KR960001739B1 -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739B1
KR960001739B1 KR1019930007704A KR930007704A KR960001739B1 KR 960001739 B1 KR960001739 B1 KR 960001739B1 KR 1019930007704 A KR1019930007704 A KR 1019930007704A KR 930007704 A KR930007704 A KR 930007704A KR 960001739 B1 KR960001739 B1 KR 96000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creen
image data
control signa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512A (ko
Inventor
박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전자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전자, 구자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전자
Priority to KR101993000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739B1/ko
Publication of KR94002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제1도는 데이타 압축에 따른 종래 광스크린 표시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광스크린 표시 상태도로서, (a)도는 제1도 클럭발생수단의 기록클럭과 판독클럭이 같을 때의 화면표시 상태를 보인 도이고, (b)도는 제1도 클럭발생수단의 기록클럭이 판독클럭의 보다 클 때의 화면표시 상태를 보인 도이며, (c) 및 (d)도는 수평편향신호이다.
제3도는 제1도의 각부 입출력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광스크린 표시상태를 보인 도로서, (a)도는 화면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수평방향으로 신호의 확장이 커지는 상태를 보인 도이고, (b)도는 화면 중앙을 대칭으로 각각 다른 샘플비 구간을 정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각부 입출력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럭발생수단 2 : 제어신호 발생수단
3 : 클럭선택수단 4 : 가변샘플비 변환수단
5 : 제1절환수단 6 : 제1라인 메모리수단
7 : 제2라인 메모리수단 8 : 제2절환수단
본 발명은 광스크린의 화상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데이타를 4 : 3 압축처리하여 광스크린(Wide Screen)에 디스플레이할 시에 원화상이 화면의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시청시의 불만족을, 시각이 집중되는 화면의 중심부는 원신호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고, 시각이 미치지 못하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수평의 확장도를 크게 하여 4 : 3 신호를 광(Wide)신호와 유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은 화상 데이타를 4 : 3의 화면에 맞게 압축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과 편향신호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전자의 경우는 데이타 압출된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시에 원래의 화상이 수평방향으로만 늘어남으로써, 원래의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편향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편향전류의 기울기를 마이콤으로 조정하여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의 기울기를 S자형태로 보정하기 때문에 4 : 3 영상의 중앙부위가 상당한 기울기를 갖고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광스크린 표시장치에 있어서, 데이타 압축에 따른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샘플링되어 입력되는 클럭(fs)를 한 수평라인에 대한 기록클럭(WCK)과 판독클럭(RCK)으로 변환시켜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100)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매 수평라인마다 절환되어 선택 출력하는 제1절환수단(101)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N)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1절환수단(101)으로부터 절환되어 선택 입력되는 홀수, 짝수의 한 라인분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클럭발생수단(100)의 기록클럭(WCK)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판독인에이블신호(REN)에 따라 클럭발생수단(100)의 판독클럭(RC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으로부터 출력되는 한 라인분의 영상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절환수단(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데이타 압축에 따른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먼저 외부로부터 샘플링된 클럭(fs)이 입력되면 클럭발생수단(100)은 상기 입력된 샘플링 클럭(fs)을 임의 정수로 분주하여 메모리 기록 클럭(WCK)과 메모리 판독클럭(RCK)으로 변환시킨 후 제1라인 메모리수단(102)과 제2라인 메모리수단(103)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제3도의 (a)와 같이 매 수평라인에 대한 N비트의 디지탈 영상데이타(DVS)가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에 입력되면 상기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는 제3도의 (b)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매 수평 라인마다 그의 고정단자(b) 또는 고정단자(c)로 접속되어 입력 디지탈 영상데이타(DVS)를 선택적으로 제1라인 메모리수단(102) 또는 제2라인 메모리수단(103)에 입력하게 된다.
즉, 일예로써,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b)로 접속되므로써, 제3도의 (a)와 같은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가 상기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와 고정단자(b)를 통해 제1라인 메모리수단(102)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로우레벨로 입력되면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c)로 접속되므로써, 제3도의 (a)와 같은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가 상기 제1절환수단(101)의 가동단자(a)와 고정단자(c)를 통해 제2라인 메모리수단(10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의해 제1절환부(101)는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제1라인 메모리수단(102)에 입력하게 되고,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제2라인 메모리수단(103)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는 제3도의 (b)와 같이, 제3도의 (a)와 같은 홀수, 짝수 수평펄스의 하강에지(falling edge)에서 반전된다.
상기 제1절환수단(101)을 통해 매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입력받은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은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c)와 같은 기록인에이블신호(WEN)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홀수번째,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클럭발생수단(100)에서 출력된 기록클럭(WCK)에 동기시켜 저장을 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기록인에이블신호(WEN)와 클럭발생수단(100)의 기록클럭(WCK) 및 판독클럭(RCK)은 모두 제3도의 (c)와 같이, 제3도의 (a)의 액티브 비디오 영역에서만 하이레벨을 유지하므로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은 상기 액티브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만을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은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e) 또는 (f)와 같은 판독인에이블신호(REN)가 입력되면 그 저장된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클럭발생수단(100)에 출력된 판독클럭(RCK)에 동기시켜 제2절환수단(104)의 고정단자(b), (c)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2절환수단(104)의 가동단자(a)는 제3도의 (b)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의해 매 수평라인마다 그의 고정단자(b), (c)로 선택 접속되어 입력되는 홀수번째,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N비트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즉,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제2절환수단(104)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c)로 접속되어 제2라인 메모리수단(103)에 저장된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N비트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광화면에 제2도의 (a) 또는 (b)와 같은 상태로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로우레벨로 입력되면 제2절환수단(104)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b)로 접속되어 제1라인 메모리수단(102)에 저장된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N비트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광화면에 제2도의 (a) 또는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키게 된다.
즉, 상기에서 클럭발생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된 판독클럭(RCK)이 디지탈 영상 데이타의 기록시에 발생되었던 기록클럭(WCK)과 같은 주기를 갖고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에 입력되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에 기록된 짝수번째,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가 제2절환수단(104)을 통해 광화면(16 : 9 화면)에 제2도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e)와 같이 입력되는 판독인에이블신호(REN)는 제3도의 (d)와 같이 수평편향신호가 오버 스캔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럭발생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된 판독클럭(RCK)이 디지탈 영상 데이타의 기록시에 발생되었던 기록클럭(WCK)의 폭보다 작은 주기를 갖고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에 입력되면 즉, KWCK=RCK(16 : 9 스크린에서 K=3/4)로 입력되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에 기록된 짝수번째,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대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가 제2절환수단(104)을 통해 광화면(16 : 9 화면)에 제2도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f)와 같이 입력되는 판독인에이블신호(REN)가 제3도의 (e)와 같은 판독인에이블신호(REN)의 펄스폭(T1)보다 3/4만큼 줄어든 3/4*T1 동안만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102), (103)을 판독함으로써, 제2도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데이타 압축에 따른 광스크린 표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 경우 원래의 화상이 수평방향으로 4/3배로 늘어나게 됨으로써, 원래의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되어 시청시의 불만족의 원인이 되었고, 또한 편향신호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편향전류의 기울기를 마이콤으로 조정하여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마이콤이 필요하고, 또한 전류의 기울기를 S자 형태로 보정하기 때문에 4 : 3 영상의 중앙부위가 상당한 기울기를 갖고 더욱 부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압축처리 방식에 의한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시에 원화상이 화면의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시청시의 불만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각이 집중되는 화면의 중심부는 원신호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고, 시각이 미치지 못하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수평의 확장도를 크게 하여 4 : 3 신호를 광신호와 유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주파수를 입력받아 화면의 각 구간에 따른 다수의 샘플링비를 갖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과, 상기 외부로부터의 샘플링되어 입력된 주파수를 분주하여 화면의 중앙을 대칭으로 화면의 각 구간에 따른 반전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화면의 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클럭을 선택하는 클럭선택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록인에이블신호에 따라 N비트의 입력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샘플링주파수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클럭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클럭에 따라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의 샘플비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가변샘플비 변화수단과, 상기 가변샘플비 변환수단으로부터의 구간별로 변화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매 수평라인마다 선택 절환하여 출력하는 제1절환수단과, 상기 제1절환수단으로부터 선택 절환되어 입력되는 홀수 짝수의 한 라인분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클럭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클럭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판독인에이블신호에 따라 클럭발생수단의 판독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매 수평라인분의 영상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절환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주파수(fs)를 입력받아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다른 샘플비를 갖는 클럭(K1fs, K2fs…Knfs)과 판독클럭(RCK)을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1)과, 상기 외부로터의 샘플링되어 입력된 주파수(fs)를 분주하여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반전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2)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2)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클럭발생수단(1)으로부터의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클럭(K1fs, K2fs…Knfs)을 선택 출력하는 클럭선택수단(3)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N)에 따라 N비트의 데이타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상기 샘플링되어 입력되는 주파수(fs)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클럭선택수단(3)에서 선택된 클럭(K1fs, K2fs…Knfs)에 따라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의 샘플비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과, 상기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으로부터의 화면의 각 구간별로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매 수평라인마다 절환되어 출력하는 제1절환수단(5)과, 상기 외부의 기록인에이블신호(WEN)에 따라 상기 제1절환수단(5)으로부터 절환되어 선택 입력되는 홀수 짝수의 수평라인분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클럭선택수단(3)의 클럭(K1fs, K2fs…Knfs)을 기록클럭(WCK)으로 입력받아 이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판독인에이블신호(REN)에 따라 클럭발생수단(1)의 판독클럭(RC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으로부터 출력되는 매 수평라인분의 영상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절환수단(8)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보통 시청자들이 TV를 시청할 때 화면의 중심을 집중하여 시청하며, 화상의 중요한 부분도 거의 화면의 중앙에 온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데이타 비(Data Rate)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화면의 중앙부분은 원신호 그대로 두고, 화면의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데이타 비를 점점 크게 함으로써 4 : 3 신호를 광스크린에 가장 적절하게 광신호와 유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샘플링된 주파수(fs)가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과 제어신호 발생수단(2) 및 클럭발생수단(1)에 입력되면 상기 클럭발생수단(1)은 그 샘플링되어 입력된 주파수(fs)를 화면의 각 구간에 맞도록 즉, 일예로써, 제5도의 (b)와 같이, 화면의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에 맞도록 샘플비를 변환시키기 위해 각각 다른 샘플비를 갖는 클럭(K1fs, K2fs…Knfs)과 판독클럭(RCK)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의 샘플비의 크기는 화면의 중앙을 대칭으로 T1<T2<T3<T4<T5<T6이다.
그리고 상기 클럭발생수단(1)에서 생성된 클럭(K1fs, K2fs…Knfs)은 클럭선택수단(3)에 입력되고 판독클럭(RCK)은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2)은 외부로부터 샘플링되어 입력된 주파수(fs)를 카운트하여 제5도의 (b)와 같은 화면의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마다의 원래 샘플 갯수후 시작이 반전된 제6도의 (e)와 같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클럭선택수단(3)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클럭선택수단(3)은 제어신호 발생수단(2)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의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에 각각 대응되는 클럭(K6fs, K5fs…K1fs)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에 입력함과 아울러 그 선택한 클럭을 기록클럭(WCK)으로 하여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N)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N비트의 데이타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를 샘플링된 주파수(fs)에 동기시켜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기록클럭(WCK)과 판독클럭(RCK)이 같을 때의 비디오신호는 제6도의 (a)와 같이, 주파수(fs)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되어 제6도의 (b)와 같이, 수평라인당 fs/fh=L개의 픽셀(Pixel)데이타를 갖는다(여기서 fh는 수평주파수이다).
그러나 액티브 비디오는 약 5/6*fh구간이므로 약 5/6*L개의 픽셀 데이타가 한 수평라인의 액티브 비디오 해당된다.
만약 수평주파수(fh)가 15.625㎑이고, 샘플링된 주파수(fs)가 13.5㎒이면 L=864로 한 수평라인에 864픽셀 데이타를 갖는다.
여기서 픽셀 데이타는 N비트이다.
그런데, 제6도의 (c)와 같이, 액티브 비디오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은 64㎲(=1/fh)중 약 52㎲이므로 864*52/64=702픽셀 데이타이므로 여유를 두고 720픽셀 데이타에 대해 가변 샘플비로 변환을 한다.
즉, 화면의 중앙을 대칭으로 제6도의 (d)와 같이,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으로 나누는데,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의 샘플 데이타는 차례로 30개, 30개, 60개, 60개, 90개, 90개로 분할하여 전체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 해당되는 720개 샘플을 할당한다.
그리고 가변샘플비 변환에 있어서, 제1구간(T1)은 상기 30개 샘플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6도의 (a)와 같은 주파수(fs)의 샘플비를 변화시키지 않고, 제2구간(T2)은 6개의 샘플에서 7개 샘플로 보간하기 위해 샘플비를 7/6*fs로 한다.
따라서 상기 30개 샘플은 7/3*fs의 샘플비를 갖는 35개 샘플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3구간(T3)은 5개 샘플에서 6개 샘플로 보간하기 위해 6/5*fs를 샘플비로 하여 상기 60개 샘플을 72개 샘플로 변환시키게 된다.
제4구간(T4)은 4개 샘플에서 5개 샘플로 보간하기 위해 5/4*fs를 샘플비로 하여 60개 샘플을 75개 샘플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제5구간(T5)은 3개 샘플에서 4개 샘플로 보간하기 위해 4/3*fs를 샘플비로 하여 상기 90개 샘플을 120개 샘플로 변환시키게 된다.
제6구간(T6)은 2개 샘플에서 3개 샘플로 보간하기 위해 3/2*fs를 샘플비로 하여 상기 90개 샘플을 135개 샘플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럭발생수단(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링된 주파수(fs)를 입력받아 각각의 샘플비가 다른 클럭{K1fs(=3/2*fs), K2fs(=5/6*fs), K3fs(=5/4*fs), K4fs(=6/5*fs), K5fs(=7/6*fs), K6fs(=fs)}을 생성하여 클럭선택수단(3)에 입력하게 되며, 제어신호 발생수단(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링되어 입력되는 주파수(fs)를 분주하여 제6도의 (e)와 같은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반전된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클럭선택수단(3)은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2)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반전될때마다 한라인에 대해 클럭발생수단(1)으로부터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에 대응되게 출력되는 클럭(K6fs, K5fs, K4fs, K3fs, K2fs, K1fs)를 선택하여 가변샘플비 변환수단(3)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은 제6도의 (f)와 같이, 클럭선택수단(3)으로부터의 클럭(K1fs)이 공급된 제6구간(T6)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90개 샘플을 135개 샘플로 변화시켜 출력하고, 클럭(K2fs)이 공급된 제5구간(T5)에서는 90개 샘플을 120개 샘플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클럭(K3fs)이 공급된 제4구간(T4)에서는 60개 샘플을 75개 샘플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클럭(K4fs)이 공급된 제3구간(T3)에서는 60개 샘플을 72개 샘플로, 클럭(K5fs)이 공급된 제2구간(T2)에서는 30개 샘플을 35개 샘플로, 클럭(K6fs)이 공급된 제1구간(T1)에서는 30개 샘플을 그대로 30개 샘플로 유지시켜 제1절환수단(5)의 가동단자(a)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절환수단(5)은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으로부터의 한라인에서 각 구간별로 다른 샘플비를 갖고 출력되는 934개 샘플을 외부의 제어신호(CNT)에 의해 절환되어 선택 출력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제1절환수단(5)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b)로 접속되어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으로부터의 홀수번째 수평라인에 해당하는 934개 샘플을 제1라인 메모리수단(6)에 입력하게 되고, 외부로 부터의 제어신호(CNT)가 제3도의 (b)와 같이 로우레벨로 입력되면 제1절환수단(5)의 가동단자(a)는 그의 고정단자(c)로 접속되어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으로부터의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해당하는 934개 샘플을 제2라인 메모리수단(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은 외부로 부터의 제3도의 (c)와 같은 기록인에이블신호(WEN)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제1 내지 제6구간(T1 내지 T6)별 샘플의 샘플비와 일치하는 클럭(K6fs 내지 K1fs)을 기록클럭(WCK)으로 입력받아 제1절환수단(5)으로부터의 홀수,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해당하는 934개 샘플을 동기시켜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에 기록된 홀수, 짝수번째 수평라인의 934개 샘플 데이타를 16 : 9스크린에 4 : 3신호로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시에는 클럭발생수단(1)으로부터 출력되는 판독클럭(RCK)을 4/3*fs로 하여 상기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에 입력하고,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e)와 같은 판독인에이블신호(REN)로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으로부터는 제6도의 (g)와 같이 화면의 중앙 구간에는 원신호 그대로 유지시키고 중앙구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의 확장도가 커지게끔 샘플 데이타가 출력되어 제2절환수단(8)의 고정단자(b), (c)에 입력되는데, 이때 상기 제2절환수단(8)의 가동단자(a)는 외부로부터의 제3도의 (b)와 같은 제어신호(CNT)에 의해 제1라인 메모리수단(6)에 샘플 데이타가 저장될때에는 그의 고정단자(c)로 접속되어 제2라인 메모리수단(7)의 샘플 데이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2라인 메모리수단(7)에 샘플 데이타가 저장될때에는 그의 고정단자(b)로 접속되어 제1라인 메모리수단(6)의 샘플 데이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은 제5도의 (a), (b)와 같이 중앙에서는 원의 모양이 거의 유지되고,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수평의 확장도가 커져 디스클레이 된다.
또한 제2도의 (b)와 같이 16 : 9스크린에서 4 : 3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할때에는 가변샘플비 변환수단(4)에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 데이타(DVS)의 샘플비와 같은 주파수(fs=K6fs)를 클럭발생수단(1) 및 클럭선택수단(3)을 통해 출력시켜 샘플수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클럭발생수단(1)으로부터 출력되는 판독클럭(RCK)은 16 : 9스크린에 대해 4/3*fs로 하여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6), (7)에 입력하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처리에 의해서 시각이 집중되는 화면의 중심부에서는 원신호 그대로 디스플레이 되고, 시각이 미치지 못하는 화면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수평의 확장도가 커지므로써, 4 : 3신호를 광신호와 유사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의 샘플링된 주파수(fs)를 입력받아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각각 다른 샘플링비를 갖는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과, 상기 샘플링되어 입력된 주파수(fs)를 분주하여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반전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화면의 구간에 따라 출력되는 클럭(K1fs, K2fs…Knfs)을 선택하는 클럭선택수단과, 외부로부터의 기록인에이블신호에 따라 N비트의 입력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샘플링된 주파수(fs)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클럭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클럭에 따라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의 샘플비를 화면의 각 구간에 맞게 변화시켜 출력하는 가변샘플비 변환수단과, 상기 가변샘플비 변환수단으로부터의 각 구간별로 변환된 영상데이타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매 수명라인 마다 선택 절환하여 출력하는 제1절환수단과, 상기 제1절환수단으로부터 선택 절환되어 입력되는 홀수 짝수 한 라인분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클럭선택수단에서 선택된 클럭에 동기시켜 저장하고 그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외부로부터의 판독인에이블신호에 따라 클럭발생수단의 판독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과,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라인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매 수평라인분의 영상 데이타를 선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2절환수단을 포함하여 된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의 화면의 각 구간에 따른 주파수의 샘플링비는 화면의 중앙을 대칭으로 하여 중앙을 가장 작은 샘플비로 정하고 중앙과 멀어질수록 샘플비를 크게 정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변샘플비 변환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 샘플비 변환은 화면의 각 구간에 따라 3/2*fs, 4/3*fs, 5/4*fs, 6/5*fs, 7/6*fs, fs로 변환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 광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KR1019930007704A 1993-05-04 1993-05-04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KR96000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704A KR960001739B1 (ko) 1993-05-04 1993-05-04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704A KR960001739B1 (ko) 1993-05-04 1993-05-04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512A KR940027512A (ko) 1994-12-10
KR960001739B1 true KR960001739B1 (ko) 1996-02-03

Family

ID=1935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704A KR960001739B1 (ko) 1993-05-04 1993-05-04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7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512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7717A (en) Display service for displaying video images of multiple channels on a screen
KR950014577B1 (ko) 고화질 텔레비젼의 픽쳐인픽쳐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6040868A (en) Device and method of converting scanning pattern of display device
KR100194922B1 (ko) 화면비 변환장치
US5166801A (en) Large size display apparatus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US6515707B1 (en) Image frame synchroniz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4752823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ill image from a video signal
KR950009698B1 (ko) 엔티에스씨/에치디티브이(ntsc/hdtvm) 듀얼 리시버의 라인 트리플러
US5715013A (en) Double picture producing apparatus for wide screen television
JP3154190B2 (ja) 汎用走査周期変換装置
KR960001739B1 (ko) 광 스크린의 화상 가변 표시장치
JPS63123284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00323661B1 (ko) 영상신호의주사선수변환방법및프레임율변환방법
KR200283945Y1 (ko) 화질 열화 방지가 가능한 다중 화면 분할기
KR20010081370A (ko) 다채널 영상 시스템
KR100209958B1 (ko) 영상 재생 장치의 분할 화면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22147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배속변환장치
JP2967727B2 (ja) 画像表示制御回路
KR100241443B1 (ko) 격행주사 모드-순차주사 모드 변환회로
KR100225581B1 (ko) 영상재생 장치의 분할 화면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0133459B1 (ko) 영상신호처리기의 화면크기 변환회로
JPS61208981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KR100221477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 화면구현장치
KR100208374B1 (ko)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