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374B1 -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374B1
KR100208374B1 KR1019950040997A KR19950040997A KR100208374B1 KR 100208374 B1 KR100208374 B1 KR 100208374B1 KR 1019950040997 A KR1019950040997 A KR 1019950040997A KR 19950040997 A KR19950040997 A KR 19950040997A KR 100208374 B1 KR100208374 B1 KR 10020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outputting
vertic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857A (ko
Inventor
박기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4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374B1/ko
Publication of KR97003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의 오버스캔량이 다를지라도 화면의 외곽부분이 짤리거나 또는 공백기간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 크기 가변회로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영상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함에 있어 유효화면의 크기를 가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는 제1수평/수직 카운터부를 구비하며, 라이트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라이트신호, 라이트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트 제어부와, 제2수평/수직 카운터부를 구비하며, 리드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리드신호, 리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드제어부와, 키 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 의거하여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라이트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라이트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와,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리드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리드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라이트하며, 상기 리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리드하며, 상기 제1, 제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상기 유효화면크기 정보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실어서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출력 영상신호를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부로 구성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의 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제1도는 종래의 영상신호처리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유효화면의 수직, 수평 파형도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유효화면의 범위를 가변하도록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가운데 동기신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공백기간과 유효 화면구간이 있다. 상기 유효 화면구간은 모니터에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실제구간이다. 상기 공백기간은 모니터상의 외곽쪽에 가로 및 세로변에 따라 나타나며, 이에 상기 유효 화면구간을 결정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라이트 제어부 (114)는 수평/수직 커운터부 (112), (113)을 구비하여, 라이트 수평 동기신호(Write Horizontal Drive : 이하 WHD라 칭함) 및 라이트 수직동기신호(Write Vertical Drive : 이하 WVD라 칭함) 및 라이트계 짝수/홀수 펄스신호(Write Odd/Even pulse : 이하 WOE라 칭함) 및 라이트 클럭신호(Write clock:이하 CLK라 칭함) 및 라이트 클리어 신호(Write clear:이하 WCLR이라 칭함)를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라이트 제어부 (114)는 상기 수평/수직 카운터부 (112), (113)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만큼 카운트된 수직/수평 유효화면크기의 정보를 실은 유효화면 라이트 신호(Write Enable:이하 WE라 칭함), 라이트 리셋신호(Write reset:이하 WRST라 칭함), 상기 CLK신호에 동기된 라이트 클럭신호(Write clock:이하 WCLK라 칭함)를 메모리부 (111)에 출력한다.
또한 리드 제어부 (117)은 수평/수직 카운터부 (115), (116)을 구비하여, 리드 수평동기신호(Read Horizontal Drive:이하 RHD라 칭함), 리드 수직동기신호(Read Vertical Drive:이하 RVD라 칭함), 리드계 짝수/홀수 펄스신호(Read Odd/Even pulse:이하 ROE라 칭함), 리드계 클럭신호(Read clock:이하 CLK라 칭함) 및 리드 클리어신호(Read clear:이하 RCLR라 칭함)을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리드 제어부 (117)은 상기 수평/수직 카운터부 (115), (116)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만큼 카운트된 수직/수평 유효화면크기의 정보를 실은 유효화면 리드 신호(Read Enable:이하 RE라 칭함), 리드 리셋신호(Read reset:이하 RRST라 칭함), 상기 CLK신호에 동기된 리드클럭신호(Read clock:이하 RCLK라 칭함)를 상기 메모리부 (111)에 출력한다.
메모리부 (111)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색신호(Y/C)를 라이트 제어부 114의 제어신호 및 리드 제어부 (117)의 제어신호에 의해 라이트/리드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 (111)에서 리드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출력부(120)내의 디지털/아날로그(Digital/analog:이하 D/A라 칭함)변환기 (118)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엔코더부 (119)에 의해 엔코딩된다. 이후 엔코딩된 영상신호는 비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되는데 이때 라이트제어부/리드제어부 (114)/(117)에서 지정된 유효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종래회로에서는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할 시 모니터의 오버스캔(Overscan)량에 따라 모니터의 외곽쪽에 표시되는 화면이 짤리는 현상 및 공백기간(blanking 기간)이 발생된다. 특히 다중분할화면에서는 더욱 심하다. 이는 다중분할화면은 모니터 모서리의 미세한 부분도 화면을 표시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유효화면의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어 지정된 유효화면크기 정보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하므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의 오버스캔량이 다를지라도 화면의 외곽부분이 짤리거나 또는 공백기간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함에 있어 유효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에 있어서, 제1수평/수직 카운터부를 구비하며, 라이트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라이트 신호, 라이트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트 제어부와, 제2수평/수직 카운터부를 구비하며, 리드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리드신호, 리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드제어부와, 키 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 의거하여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라이트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라이트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와,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리드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리드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와, 상기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라이트하며, 상기 리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리드하며, 상기 제1, 제2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상기 유효화면크기 정보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실어서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출력 영상신호를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유효화면이라는 용어는 모니터상에 화면이 방영되는 모니터의 화면 방영 구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라이트 제어부 (114)는 수평/수직 카운터 부 (112), (113)을 구비하여, WHD, WVD, WOE, 라이트계 CLK 및 WCLR를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라이트 제어부 114는 상기 수평/수직 카운터부 (112), (113)에 의해 미리 설정되고, 각기 상이하게 카운트된 수직/수평 유효화면크기의 정보를 실은 WE1, WE2, WE3, WE4, WRST, WCLK를 출력한다. 이때 여기서 상기 WE1, WE2, WE3, WE4는 수평/수직 카운터 (112)/(113)의 서로 각기의 출력단자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
또한 리드 제어부 (117)은 수평/수직 카운터부 (115), (116)를 구비하여, RHD, RVD, ROE, 리드계 CLK 및 RCLR을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리드 제어부 (117)은 상기 수평/수직카운터부 115, 116에 의해 미리 설정되고, 카운트된 수직/수평 유효화면 크기의 정보를 실은 RE1, RE2, RE3, RE4, RRST, RCLK를 출력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 (22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된다. 또한 마이콤 (222)는 상기 키 입력부 220에 의해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멀티플렉서 224는 상기 선택제어신호를 선택단자 S1, S2로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WE1, WE2, WE3, WE4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모리부 (111)에 출력한다. 또한 제2멀티플렉서 226은 상기 선택제어신호를 선택단자 (S1), (S2)로 입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RE1, RE2, RE3, RE4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모리부 (111)에 출력한다.
메모리부 (111)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색신호(Y/C)를 라이트 제어부 114의 제어신호 및 리드 제어부 (117)의 제어신호에 의해 라이트/리드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 (111)에서 리드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Digital/analog:이하 D/A라 칭함)변환기 (118)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고 엔코더부 (119)에 의해 엔코딩된다. 이후 엔코딩된 영상신호는 비디오출력단자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되는데 이때 라이트제어부/리드제어부 (114)/(117)에서 지정된 유효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유효화면의 수직, 수평 파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3도 및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Drive:이하 HD라 칭함)의 하강 에지에서 수평카운터 (112), (115)에 의해 카운트하여 WE, RE신호의 상승에지까지를 T1이라 하고, 상기 T1의 상승에지에서 유효화면이 시작되며, HD의 두 번째 하강 에지에서 수평카운터 (112), (115)에 의해 카운트하여 WE, RE신호의 하강 에지까지를 T2라 하고, 상기 T2의 하강에지에서 유효화면이 정지한다. 수직동기신호(Vertical Drive:이하 VD라 칭함)의 하강에지에서 수직카운터 (113), (116)에 의해 카운트하여 WE, RE신호의 상승에지까지를 T3라 하고, 상기 T3의 상승에지에서 유효화면이 시작되며, VD의 두 번째 하강에지에서 수직카운터 (113), (116)에 의해 카운트하여 WE, RE신호의 하강 에지까지를 T4라 하고, 상기 T4의 하강에지에서 유효화면이 정지한다.
키 입력부 (220)에 의해 마이콤 (222)는 제1, 제2멀티플렉서 (224), (226)의 선택단자 S1, S2를 제어한다. 이에 상기 선택단자 S1, S2에 의해 원하는 유효화면크기를 설정한다. 마이콤 (222)에 의해 선택단자 S1, S2에 입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유효화면모드가 아래 표에 나타나있다.
상기 표에 따른 유효화면모드의 일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여기서 1H는 63,5μsec이고, 수직 라인은 NTSC텔레비젼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525라인이다. 모드 1은 T1이 10.4μsec이고, T2는 62.5μsec이고, T3는 28/285라인이고, T4는 262/525라인이다. 이때 상기 T3, T4에 해당되는 라인이 각각 두 개인 것은 비월주사 방식의 텔레비젼으로 두 번에 걸쳐 완성된 주사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드 2는 T1이 10.8μsec이고, T2는 62.1μsec이고, T3는 27/289라인이고, T4는 262/525라인이다. 모드 3은 T1이 11.2μsec이고, T2는 61.7μsec이고, T3는 31/293라인이고, T4는 262/525라인이다. 모드 4는 T1이 11.6μsec이고, T2는 61.3μsec이고, T3는 35/297라인이고, T4는 262/525라인이다.
이에 마이콤 (222)의 선택제어신호 (00, 01, 10, 11)가 선택단자 S1, S2에 인가될시 유효화면모드는 설정된다. 이에 제1멀티플렉서 (224) 및 제2멀티플렉서 (226)은 유효화면모드에 따라 4개의 WE신호와 4개의 RE신호를 선택하여 메모리부 111에 출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 (111)은 WE, WRST 및 WCLK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휘도 신호 및 색신호를 라이트하고, RE, RRST, RCLK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된 영상신호는 D/A변환기 (118), 엔코더부 (119)에 의해 처리된 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라이트 제어부 (114)/리드 제어부 (117)의 제어신호 출력중에서 WE, RE신호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마이콤 (222)는 제1, 제2멀티플렉서 (224), (226)의 선택단자 S1, S2를 제어한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유효화면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모니터의 오버스캔양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외곽화면이 부분적으로 짤리는 현상 및 공백기간이 나타나지 않는다.

Claims (2)

  1.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서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함에 있어 유효화면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에 있어서, 제1수평/수직 카운터수단을 구비하며, 라이트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라이트 신호, 라이트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트 제어수단과, 제2수평/수직 카운터수단을 구비하며, 리드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수평 카운트에 의해 서로 상이한 수평/수직 유효화면크기의 정보가 실린 다수개의 유효화면 리드신호, 리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드제어수단과, 키 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거하여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라이트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라이트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와, 상기 다수의 유효화면 리드신호와 동일한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하나의 유효화면 리드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와, 상기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라이트하며, 상기 리드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리드하며, 상기 제1, 제2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상기 유효화면크기 정보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실어서 출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의 출력 영상신호를 엔코딩하여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한 라인 시작시점/종료시점에서 상기 제1, 제2수평/수직 카운터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수만큼 카운트되어 출력되는 유효화면 라이트/리드신호가 유효화면 크기를 결정지음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유효화면 크기 가변회로.
KR1019950040997A 1995-11-13 1995-11-13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KR10020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997A KR100208374B1 (ko) 1995-11-13 1995-11-13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997A KR100208374B1 (ko) 1995-11-13 1995-11-13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857A KR970031857A (ko) 1997-06-26
KR100208374B1 true KR100208374B1 (ko) 1999-07-15

Family

ID=1943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997A KR100208374B1 (ko) 1995-11-13 1995-11-13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3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857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65278A (ja) 多画面表示回路
JP2000338925A (ja) 映像表示装置
CA1329650C (en) Display device
KR950009698B1 (ko) 엔티에스씨/에치디티브이(ntsc/hdtvm) 듀얼 리시버의 라인 트리플러
KR100208374B1 (ko)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US6195131B1 (en) Method of generating enlarged image signal by the use of field memory
JPH0777965A (ja) 多分割画面表示装置
KR100354529B1 (ko) 다채널 영상 시스템
GB2230919A (en) Monitoring stereo signal associated with television signal
JPH0292077A (ja) 映像信号表示装置
KR920002823B1 (ko) 어드레스 제어회로
JPS61258578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200283945Y1 (ko) 화질 열화 방지가 가능한 다중 화면 분할기
KR0123769B1 (ko) 16 : 9 화면에서의 픽쳐 인 픽쳐 표시회로
JPH06292152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KR100295326B1 (ko) 디지탈광학기기의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처리장치
KR0132433Y1 (ko) 비데오 필드 메모리의 쓰기 제어장치
KR900000538B1 (ko)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KR0135832B1 (ko) 픽쳐 인 픽쳐 표시회로
JPH0540618Y2 (ko)
KR960002809Y1 (ko) 화면 확대 장치
JPH05127646A (ja) 表示装置
KR910010092B1 (ko)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JPS63242069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431892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