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38B1 -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38B1
KR900000538B1 KR1019870004322A KR870004322A KR900000538B1 KR 900000538 B1 KR900000538 B1 KR 900000538B1 KR 1019870004322 A KR1019870004322 A KR 1019870004322A KR 870004322 A KR870004322 A KR 870004322A KR 900000538 B1 KR900000538 B1 KR 90000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ignal
address
memory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808A (ko
Inventor
박원호
남용렬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1987000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538B1/ko
Publication of KR88001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제1도는 다수의 CPT(Color Picture Tube)를 집합시켜 구성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전체개략 구성도.
제2도는 멀티비젼시스템을 구성하는 CPT 하나에 대한 콘트롤러로서, 본 발명의 개략구성도.
제3도 내지 제10도는 제2도의 구성도를 구체화시킨 실시예시도로서, 제3도는 메모리의 구성도.
제4도는 색신호 입출력부의 구성도.
제5도는 어드레스발생부의 구성도.
제6도는 화상확대를 위한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수직 확대제어부의 구성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발진클록에 의해 여러 가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데이터메모리 2 :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
3 : 버퍼부 4 : 기록어드레스발생부
5 : 독출어드레스발생부 6 : 확대배율설정부
7 : 클록발생부 10 : 제1메모리뱅크
11 : 제2메모리뱅크 21-24 : 랫치회로
25 :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26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41, 42, 51, 61, 62, 72 : 카운터 71 : 발진회로
73, 75, 76 :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74 : 2분주회로
본 발명은 여러개의 칼라브라운관(Color Picture Tube ; 이하 CPT라 칭함)을 한곳에 집합시켜놓고, 텔레비젼방송신호나 컴퓨터출력신호등의 비디오신호를 신호원으로하여 이를 데이터처리하므로써 화상의 확대나 화면의 이동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 멀티비젼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개발되고 있는 멀티비젼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64대의 CPT를 가로 8대, 세로 8대로 배열하여 설치해놓고, 텔레비젼신호나 컴퓨터의 출력신호등을 공급하여 각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멀티비젼시스템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동기신호나 색신호등을 분리하지 않고 비디오신호 자체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킨다음 이 디지털데이터를 컴퓨터에서 데이터처리하여 각 CPT에 공급할 때 화면상에 전체 또는 부분적확대, 화면의 이동등을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비젼시스템은 비디오신호 자체를 디지털처리하게 되므로써 비디오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한계가 있게 되므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는 떨어지게 되고, 디지털데이터화된 비디오신호를 가지고 멀티비젼의 화면상에 확대화상이나 화면의 이동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내부에서 일일이 프로그램으로 처리해주어야 하므로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복잡해질뿐만 아니라 처리되는 속도 또한 느리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멀티비젼의 비디오신호 입력부에 색신호와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색신호를 R, G, B 각각 디지털데이터화 하므로써 선명한 화면재생을 함과 더불어 동기신호와 발진클록에 의해 디지털데이터화된 색신호를 기록 또는 화면표시하게 하되 화면표시시에 화상의 확대와 화면의 이동등을 간단하게 수행시킬 수 있도록 된 멀티비젼의 콘트롤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멀티비젼시스템을 구성하는 CPT에 1 : 1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도와 같이 64대의 CPT를 사용하는 멀티비젼시스템에서는 제2도의 회로구성이 64개 사용되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화상데이터메모리로서, 2개의 메모리뱅크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각 메로리뱅크는 화면의 1필드(field)분량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고, 그에따라 화상데이터메모리(1)는 2필드로 구성되는 1프레임, 즉, 1화면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데이터메모리(1)는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와 화상데이터를 주고받음과 더불어 버퍼부(3)를 통해 공급되는 기록 또는 독출어드레스에 의해 메모리번지를 지정받게 되는데, 버퍼부(3)를 통해 공급되는 어드레스신호는 기록어드레스와 독출어드레스가 동시에 공급되어 후술하는 메모리뱅크 선택신호에 의해 제1메모리뱅크에 기록어드레스가 공급되면 제2메모리뱅크에는 독출어드레스가 공급되고, 이에 대응되게 화상데이터 입출력 변환부(2)에서는 제1메모리뱅크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로부터 CPT에 R, G, B화상신호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메모리뱅크 선택신호가 상호 바뀌게 되면 독출과 기록동작을 상호절환한다.
한편 버퍼부(3)에는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제1, 제2메모리뱅크에 공급할 기록어드레스와 독출어드레스가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와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로부터 공급된다.
기록어드레스발생부(4)는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를 통해 입력되는 1필드분량의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제1 또는 제2메모리뱅크에 모드 저장시키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시키고,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는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중에서 일정위치의 화면영역을 설정하여 그 영역의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를 통해 CPT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시킨다. 이때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는 외부로부터 CPT의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영역의 최초어드레스를 공급받고 또한 확대배율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확대배율에 따라 클록신호를 공급받아서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와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는 수평, 수직동기신호에 동기되는데 이 동기신호 및 클록신호는 클록발생부(7)로부터 공급된다. 클로발생부(7)는 비디오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 수직 동기신호와 일정한 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클록에 의해 전술한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와 버퍼부(3), 기록어드레스발생부(4), 독출어드레스발생부(5) 및 확대배율설정부(6)에 각각 요구되는 클록신호를 공급해주는 것으로서, 화상데이터 이 출력변환부(2)에는 비디오신호의 R, G, B 색신호를 각각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주면서 변환된 디지털데이터신호를 화상데이터메모리(1)측으로 보내도록 버퍼를 인에이블시켜주는 기록클록신호(WRCK)와 화상데이터메모리(1)측에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를 CPT측으로 보내기 위해 아날로그 R, G, B 색신호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독출클록신호(RDCK), D/A변환 위한 클록신호(2) 및 뱅크선택신호(BOCK)(BLCK)를 공급해주고, 버퍼부(3)에는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제1, 제2메모리뱅크에 기록, 독출어드레스를 각각 엇갈려 공급하도록 뱅크선택신호(BOCK)(BLCK)를 공급함과 더불어 기록인에이블신호(WE)를 공급한다.
또한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와 독출어드레스발생부(5) 및 확대배율설정부(6)에 수평, 수직 동기신호와 클록신호를 공급하여 각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실시예에 대한 회로구성도가 제3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메모리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메모리뱅크(10)에 공급되는 어드레스(ABO)가 기록어드레스이면 제2메모리뱅크(11)에 공급되는 어드레스(ABI)는 독출어드레스가 되는데, 1필드의 기록이 끝나면, 즉 수직동기신호가 있을때마다 상호 어드레스를 바꿔서 기록, 독출동작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각 메모리뱅크는 R, G, B 각 화상데이터를 기록시키는 영역을 분할하여 저장시키게 되므로써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와의 데이터버스를 R, G, B 신호가 각각 대칭되게 연결한다. 그중 R 신호에 대한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의 구성을 제4도에 도시하였는바, 도면의 도시와 같은 회로구성을 3개 병렬로 구성하여 R, G, B 데이터버스(RBO)(RBl)(RBO)(GBl)(GBO)(BGl)에 각각 연결한다.
제4도의 R신호에 대한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의 구성을 살펴보면, 4개의 랫치회로(21-24)와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5)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6)로 구성되는데, 제1메모리뱅크 데이터버스(RBO)에는 랫치회로(21)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6)가 연결됨과 더불어 랫치회로(24)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5)가 연결되어 R 신호가 제1메모리뱅크(10)에 기록되거나 독출되게 되며, 제2메모리뱅크 데이터버스(RBI)에는 랫치회로(22)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6)가 연결됨과 더불어 랫치회로(23)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5)가 연결되어 R 신호가 제2메모리뱅크(11)에 기록되거나 독출되게 된다.
여기서 랫치회로(21-24)는 뱅크선택신호(BOCK)(BLCK)에 의해 이네이블되면서 기록클록신호(WRCK) 또는 독출클록신호(RDCK)에 의해 랫치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제1메모리뱅크(10)가 기록동작을 하고 제2메모리뱅크911)가 독출동작을 할 때는 뱅크선택신호(BOCK)에 의해 랫치회로(22)(24)만 인에이블상태로 되고 기록독출신호(WRCK)(RDCK)에 의해 랫치되어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5)를 통한 R 입력신호(RIN)의 데이터신호가 제1메모리뱅크(10)에 기록되면서 제2메모리뱅크(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6)를 통해 R 출력신호(ROUT)로서 CPT로 공급된다. 이와같은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는 G 신호와 B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각각 연결된다.
제5도는 버퍼부(3)와 기록, 독출어드레스발생부(4)(5)를 나타내는 것으로, 버퍼부(3)는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와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로부터 기록어드레스와 독출어드레스를 동시에 받아서 뱅크선택신호(BOCK)(BICK)의 상태에 따라 제1메모리뱅크 어드레스(ABO)와 제2메모리뱅크 어드레스(ABl)에 상호 엇갈리게 공급한다.
즉 제1메모리뱅크 선택신호(BOCK)가 공급되면 기록어드레스발생부(4)로부터의 기록어드레스를 어드레스버스(ABO)를 통해 제1메모리뱅크(10)에 공급시킴과 더블어 독출어드레스 발생부(5)로부터 독출어드레스를 어드레스바스(ABl)를 통해 제2메모리뱅크(11)에 공급시키고, 제2메모리뱅크 선택신호(BICK)가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기록어드레스를 제2메모리뱅크(11)에 공급시키고 독출어드레스를 제1메모리뱅크(10)에 공급시킨다.
여기서 제1, 제2메모리뱅크 선택신호(BOCK)(BICK)는 전술한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에 공급되는 뱅크선택신호와 같은 신호로서 수직동기신호를 2분주한 신호이다. 한편 기록어드레스는 1수평주기동안의 화소를 예를 들어 512돗트로 구분하고, 각 돗트의 디지털데이터를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1필드분에 대한 256라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느 어드레스로서, 1수평주사선에 대한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의 카운터(41)에서 출력시키며, 매수평주사선에 대한 어드레스를 카운터(42)에서 출력시킨다.
즉 카운터(41)는 돗트클록(ψ)을 카운트하되 반전된 수평동기신호
Figure kpo00001
에 의해 클리어되어서 1수평주기동안의 각 돗트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공급하고, 카운터(42)는 수평동기신호(HS)를 카운트하되 반전된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02
에 의해 클리어되어서 1필드의 수평주사선수에 대한 어드레스를 공급하게 되므로써 1필드분량의 화상데이터에 대한 기록어드레스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출어드레스는 전술한 기록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바와 같이 카운터(51)와 카운터(52)로써 CPT의 화면에 표시할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메모리(1)로부터 출력시키도록 발생되는데, 반전된 수평,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에 의하여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중에서 CPT의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메모리영역의 최초어드레스를 로딩시키고 그 최초어드레스로부터 차례로 화상데이터를 독출시키도록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최초어드레스는 셋팅된 데이터(SDATA)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 셋팅데이터(SDATA)는 컴퓨터로부터의 출력신호로 공급받을 수도 있고, 수동식으로 딥스위치등을 이용해서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셋팅데이터(SDATA)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반전된 수평동기신호
Figure kpo00005
가 공급되면 카운터(51)에 셋팅데이터(SDATA)가 로딩되면서 확대배율설정부(6)로부터 공급되는 확대돗트클록(HNCK)에 의해 카운트되고, 반전된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06
가 공급되면 카운터(52)에 셋팅데이터(SDATA)가 로딩되면서 확대배율설정부(6)로부터 공급되는 확대수평주사클록(HVNCK)에 의해 카운트되어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확대배율설정부(6)에서 공급되는 확대돗트클록(HNCK)과 확대수평주사클록(HVNCK)은 셋팅데이터(SDATA)로부터 공급되는 배율설정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배율만큼 2배의 돗트클록(2ψ)과 조정된 수평도기신호(HVCK)를 분주되어 상기 카운터(51)(52)에 각각 공급되는 것인데, 이에따라 확대배율설정부(6)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카운터(61)(62)와 계속적인 상기 클록(HNCK)(HVNCK)을 공급하도록 로드신호를 공급하는 인버터(IV61)(IV62)와 앤드게이트(AD61)(AD62)로 구성된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4비트의 셋팅데이터(SDATA)를 카운터(61)(62)에 병렬로 공급하도록 되어있는데, 입력비디오신호에 대한 화면크기와 CPT에 표시할 화면크기의 배율을 각각 1 : 1로부터 1 : 16까지 16배율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배율설정에 의해 각각 지연된 클록신호가 카운터(51)(52)를 카운트하여 CPT의 화면에 표시할 화상데이터를 독출시키는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므로써 CPT의 화면에는 각각 설정된 배율에 따른 화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출어드레슬발생부(5)의 카운터(51)(52)에 로딩되는 셋팅데이터(SDATA)의 데이터값을 순차적으로 변경시켜주면 이 셋팅데이터(SDATA)는 CPT화면에 표시할 메모리영역의 최초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으로 표시할 메모리영역의 최초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주게 되므로서 표시되는 메모리영역위 위치가 변경되게 되어 SDATA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화상은 화면이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확대배율설정부(6)에서 셋팅데이터(SDATA)가 1111(2)일때는 카운터(61)(62)가 카운트를 못하게 되어 배율조정클록신호(HNCK)(HVNCK)가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는 앤드게이트(AD63)를 통해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를 제어하여 R, G, B 아날로그입력신호가 변환기(25)(26)를 직접통해 곧바로 CPT에 공급되게 한다. 이때는 입력화상과 CPT에 나타나는 화상의 배율은 1 : 1이 된다.
제7도 내지 제10도의 회로구성은 클록발생부(7)의 각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평동기신호(HS)와 수직동기신호(VS) 및 내부발진회로(71)에서 출력되는 발진클록(4ψ)에 의하여 각각의 클록신호를 공급한다.
우선 돗트클록(ψ)은 발진회로(71)의 출력을 카운터(72)를 통해 4분주시켜 공급하되 발진회로(71)와 카운터(72)의 출력은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73)를 통해 펄스형태로 공급되는 수평동기신호(HS)에 의해 그 동기를 맞춰서 공급시킨다. 또한 기록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7
는 발진회로(71)의 출력신호에 대한 2분주신호와 4분주신호를 조합하여 돗트클록(ψ)에 동기되는 펄스형태의 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기록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8
는 1비트의 셋팅데이터(SDATA)의 제어를 받게되는데, 셋팅데이터(SDATA)가 로우레벨로 되면 화상데이터 메모리(1)에 기록인에이블신호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CPT 의 화면에는 정지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 확대배율실정부(6)에 공급되는 수평클록(HVCK)은 발진회로(71)의 분주신호와 수직, 수평동기신호(VS)(HS)를 조합시켜 공급한다.
동기분리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HSYNC)(VSYNC)는 인버터(IV71-IV74)를 통해 수평, 수직동기신호(HS)(VS)와 반전된 수평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로 출력된다.
뱅크선택신호(BO)(B1)는 수직동기신호(VS)를 2분주기(74)를 통해 반전신호와 비반전신호로 각각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정지화상재현을 위해 사용되는 셋팅데이터(SDATA)에 의해 클리어되면 뱅크선택신호(BO)(B1)의 출력은 고정되게 된다.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에 공급되는 기록클록신호(WRCK)와 독출클록신호(RDCK)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돗트클록(ψ)과 확대돗트클록(HNCK)을 각각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75)(76)를 통해 지연된 클록신호로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회로구성은 멀티비젼시스템을 구성하는 CPT의 콘트롤러로서 1대의 CPT에 1개씩 설치되고, 64개의 CPT로 구성되는 멀티비젼시스템인 경우 전술한 콘트롤러는 64보드가 필요하게 된다. 이 각각의 콘트롤러를 컴퓨터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되면 멀티비젼시스템의 전체 또는 부분확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고, 메모리영역의 표시위치를 순차적으로 옮기므로써 화면의 이동 또한 간단하게 실현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 G, B 색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데이터처리하도록 하므로써 화면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어서 확대화상시에도 선명한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고, 화상의 확대나 화면의 이동등의 조작이 매우 간단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제1필드의 R, G, B 색신호와 제2필드의 R, G, B 색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제1, 제2메모리뱅크(10)(11)로 구성되는 화상데이터메모리(1)와 R, G, B 색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공급함과 더불어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출력화상데이터를 R, G, B 색신호로 변환시켜 CPT에 공급하는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화부(2)와, 기록어드레스와 독출어드레스를 상기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공급하는 버퍼부(3)와, 상기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R, G, B 색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 있도록 기록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기록어드레스발생부(4)와, 화상데이터메모리(1)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중에서 일정위치의 화면영역을 설정하여 그 영역의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를 통해 CPT의 전체화면에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독출어드레스르 발생시키는 독출어드레스발생부(5)와, 상기 독출어드레스발생부(5)에 화상확대를 위한 배율을 설정하여 클록신호fmf 공급하는 확대배율설정부(6)와, 뱅크선택신호(BO)(B1)와 독출기록을 위한 클록신호를 각각 공급해주는 콜록발생부(7)와를 구비하여 구성된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메모리(1)는 제1메모리뱅크(10)와 제2메모리뱅크(11)에 화상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출하는 동작을 상호 교번되게 수행하도록 어드레스가 절환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화상데이터 입출력변환부(2)의 R 색신호에 대한 회로구성은 4개 랫치회로(21-24)와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5)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6)로 되고, G 색신호 및 B 색신호에 대해 상기 R 색신호에 대한 회로구성을 병렬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어드레스발생부(4)는 카운터(41)(42)로 구성되어서 1수평주기동안의 돗트클록(ψ)을 카운트하고 1필드기간동안의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1필트량의 기록어드레스를 발생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독출어드레스발생부(5)는 카운터(51)(52)로 구성되어서 수평동기신호
    Figure kpo00011
    에 의해 최초독출할 수평어드레스를 로드하고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12
    에 의해 최초 독출할 수직어드레스를 로드하여 확대배율로 조정된 독출클록(HNCK)(HVNCK)을 카운트하므로써 독출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수평수직의 최초어드레스는 셋팅데이터(SDATA)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셋팅데이터(SDATA)를 순차적으로 조정하므로써 화상데이터메모리(1)의 표시메모리영역의 위치를 변경시켜 CPT에 나타나는 화면의 이동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8. 제5항에 있어서, 확대배율 조정된 돗트클록(HNCK)(HVNCK)은 카운터(61)(62)와 인버터(IV61)(IV62) 및 앤드게이트(AD61)(AD62)로 구성되는 확대배율설정부(6)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확대배율은 셋팅데이터(SDATA)를 로딩시켜 셋팅데이터(SDATA)로부터 돗트클록 또는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리플캐리출력신호를 사용하므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10. 제1항에 있어서, 클록발생부(7)는 수평동기신호(HS)와 수직동기신호(VS) 및 내부발진회로(7)의 발진클록을 조합하여 각 클록신호를 공급하되 발진회로(71)는 수평동기회로(HS)에 동기되어 발진클록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KR1019870004322A 1987-05-02 1987-05-02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KR90000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4322A KR900000538B1 (ko) 1987-05-02 1987-05-02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4322A KR900000538B1 (ko) 1987-05-02 1987-05-02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808A KR880014808A (ko) 1988-12-24
KR900000538B1 true KR900000538B1 (ko) 1990-01-31

Family

ID=1926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322A KR900000538B1 (ko) 1987-05-02 1987-05-02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5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808A (ko) 198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843B1 (ko) 액정표시제어장치, 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JPS6214247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307832A (ja) 画面比変換装置及び方法
JPS60165882A (ja) 高精細度テレビジヨン装置
JPH0426273B2 (ko)
KR900000538B1 (ko) 멀티비젼시스템의 콘트롤러
JPS6194479A (ja) 表示装置
KR100227425B1 (ko) 1픽셀 오차를 제거한 이중화면 표시장치
JP2510019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418445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3217820B2 (ja) 映像合成方法および外部同期表示装置
JPS63245084A (ja) インタレ−ス画像デ−タ変換方式
KR200283945Y1 (ko) 화질 열화 방지가 가능한 다중 화면 분할기
JPH0470797A (ja) 画像信号合成装置
KR100208374B1 (ko) 영상신호처리 시스템에서 유효화면크기 가변회로
KR100323661B1 (ko) 영상신호의주사선수변환방법및프레임율변환방법
JPS59231643A (ja) 複数画面表示装置
JP2820068B2 (ja) 画像データ合成表示装置
KR950004132B1 (ko) 디지탈 rgb엔코더
JPH01126686A (ja) ビデオ合成装置
KR100348444B1 (ko) 텔레비젼의 표준신호 변환장치
JPS59214085A (ja) 信号変換装置
KR100269227B1 (ko) 비월주사형식영상에서비비월주사형식영상으로의변환장치및방법
JP2610181B2 (ja) ビデオ走査周波数変換装置
JPH0628428B2 (ja) 映像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0002038; OPPOSITION DATE: 199003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120100046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