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28B1 -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28B1
KR100221128B1 KR1019960076208A KR19960076208A KR100221128B1 KR 100221128 B1 KR100221128 B1 KR 100221128B1 KR 1019960076208 A KR1019960076208 A KR 1019960076208A KR 19960076208 A KR19960076208 A KR 19960076208A KR 100221128 B1 KR100221128 B1 KR 10022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ignal
line
r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938A (ko
Inventor
홍종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1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전화선에 캠코더와 티브이 등을 연결하여 가옥 내부에서 수시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손쉽게 모니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전화선으로부터 복수개의 제1 및 제2 전화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시켜 가옥 내벽에 설치한 복수개의 전화 인출선;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1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외부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인출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촬상수단;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2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전화 인출선을 통해 들어오는 화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처리할 수 있는 화상 출력수단;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과 제1 전화기 및 상기 화상 출력수단과 제2 전화기의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전화기 또는 모니터 기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변환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은 집집마다 설치되어 있는 전화선과 티브이 및 캠코더등을 이용하여 가옥내부의 원하는 장소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옥내에 설치되어 전화선에 무인 카메라(또는 캠코더 등의 화상 입력이 가능한 장치)와 티브이 시스템(화상 출력이 가능한 장치)을 기존 전화기와 스위칭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전화선으로 이어지는 전화기와 카메라 또는 전화기와 티브이 시스템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기능 변환함으로써, 단일의 전화선에 의해 전화기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택 동작시켜 가옥 내부에서 수시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분분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 연결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외부로부터 단일의 전화선(Tip)(Ring)을 끌어들여 가옥 내벽에 복수개 라인으로 분기하여 인출선을 설치하고, 상기와 같이 분기 설치된 전화선(Tip)(Ring)을 인출하여 가옥내 여러 방에서 복수개의 전화기(10)(2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외부 전화선으로부터 가옥 내벽에 설치되는 인출선은 모두 4개로서, 실제로 전화기에 이용되는 두 개의 인출선과 전화기에 이용되지 않는 두 개의 인출선으로 각각 구분되어져 있으며, 이들 인출선중 전화기에 이용되지 않는 나머지 두 개의 인출선은 다른 기능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되지 않아 항상 불필요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옥내에 설치되어 전화기로 이어지는 전화선에 외부 화상 신호의 촬상이 가능한 촬상 수단(무인 카메라또는 캠코더)와 화상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화상 출력수단(티브이 시스템 등)을 각각 전화기와 스위칭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전화선으로부터 전화기와 촬상 수단 또는 전화기와 화상 출력수단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기능 변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옥내 모니터를 필요로 하는 아이들방이나 노약자들이 기거하는 방 혹은 가옥내부에서 수시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분분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전화선으로부터 복수개의 제1 및 제2 전화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시켜 가옥 내벽에 설치한 복수개의 전화 인출선;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1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외부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인출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게 한 비디오 촬상수단;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2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전화 인출선을 통해 들어오는 화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처리할 수 있게 한 화상 출력수단;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과 제1 전화기 및 상기 화상 출력수단과 제2 전화기의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전화기 또는 모니터 기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변환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가옥 내벽에 설치된 전화선으로부터 다수의 전화기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식화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1 변환수단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회로도
도 4는 도 3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실시하는 일련의 처리동작을 도식화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전화기 30 : 캠코더
40 : 티브이 50,60 : 변환수단
51 : 라인 스위치 52 : 변환 케이블
52A : 폰 연결부 52B : 전화 연결부
53 : 링신호 검출기 54 : 링신호 발생기
55 : 키입력부 56 :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하나의 전화선(Tip)(Ring)을 복수개의 전화 인출선으로 분기시켜 가옥 내벽에 설치하여 제1 전화기(10) 및 제2 전화기(20) 등을 연결하고 있으며, 외부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인출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촬상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하나의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화기(10)와 병렬 연결하고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전화 인출선에는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으로부터 전화 인출선을 통해 들어오는 화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처리할 수 있는 화상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화기(20)와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고,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과 제1 전화기 및 상기 화상 출력수단과 제2 전화기의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전화기 또는 모니터 기능으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제1 변환수단(50) 및 제2 변환수단(60)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은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 화상 신호의 촬상이 가능한 무인 카메라 또는 캠코더(30)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화상 출력수단은 화상 신호의 화면 출력이 가능한 티브이 시스템(40) 혹은 모니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제1 변환수단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 회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촬상수단이나 제1 전화기(또는 화상 출력수단이나 제2 전화기)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단자(A,B)와 다수의 스위칭 단자(1,2,3,4)를 구비하여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스위칭 단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 인출선에 연결하는 라인 스위치(51)와, 폰 연결부(52A)나 전화 연결부(52B)를 구비하여 각각 비디오 촬상수단 또는 제1 전화기(또는 화상 출력수단 또는 제2 전화기)로 직접 연결될 수 있게 한 변환 케이블(52)과, 외부에서 사용자가 기능 변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 선택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를 실시하는 키입력부(55)와,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링신호 검출기(53)와, 상기 링신호 검출기의 링검출신호에 의해 링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링신호 발생기(54)와, 상기 링신호 검출기의 링검출신호나 키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라인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6)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화 인출선은 가옥 내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전화선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라인 스위치(51)는 릴레이나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선택단자(A)(B)를 전화기로 이어지는 스위칭 단자(1)(2) 또는 티브이나 캠코더로 이어지는 스위칭단자(3)(4)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변환 케이블(52)은 전화 연결부(52B)와 폰 연결부(52A)로 구성하여 전화 잭과 폰잭을 통해 각기 전화기와 모니터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며, 링신호 검출기(53)는 전화선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전화선에 신호가 오고 있음을 판단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6)에 검출된 링신호를 전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56)는 상기 링신호 검출기(53) 또는 리모콘이나 세트 등의 키입력부(55)를 통해 들어노는 검출 신호를 받아 라인 스위치의 선택단자(A)(B)를 각각의 스위칭단자(1)(2) 또는 (3)(4)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 2의 제2 변환수단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실시하는 일련의 처리동작을 도식화한 동작 흐름도로서, 동작 초기에 라인 스위치를 전화 연결부로 스위칭 절환하여 제어하는 단계(S111)와, 링신호가 검출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2)와, 링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키입력신호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4)와, 키입력신호가 있으면 라인 스위치를 폰 연결부로 스위칭 절환하여 제어하는 단계(S1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6)는 링신호 검출기(53)로부터 링검출신호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변환 케이블(52)의 전화 연결부(52B)로 스위칭 단자가 연결되게 라인 스위치(51)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6)는 키입력부(55)로부터 키입력신호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변환 케이블(52)의 폰 연결부(52A) 즉, 비디오 촬상수단과 화상 출력수단으로 스위칭 단자가 연결되게 라인 스위치(51)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6)는 링검출신호를 키입력신호에 우선되게 판단 기준을 설정하여 키입력신호가 있어 라인 스위치를 비디오 촬상수단이나 화상 출력수단으로 연결되게 제어하는 상태에서도 링검출신호가 있으면 그 즉시 라인 스위치를 전화기로 연결되게 제어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가정내에서 부모가 티브이 등을 보고 있고 모니터를 필요로 하는 자녀들이 아이들 방에서 따로 있을 경우 아이들의 방을 살펴 보고 싶거나 이상한 소리가 들려 아이들의 방을 보고 싶을 때 부모의 방에서 기능 변환키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도 2의 구성이 전화기능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기능 변환되면서 아이들 방의 전화 인출선 및 제1 변환수단(50)으로 연결된 감시용 카메라 또는 캠코더(30) 촬상신호를 부모 방의 제2 변환수단(60)으로 연결된 티브이 등의 모니터로 온 라인 출력함으로써 옥내 모니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도중에 전화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6)에서는 상기 도 2의 구성을 전화기로 기능 변환되면서 제1 전화기 또는 제 2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변환수단(50) 및 제2 변환수단(60)의 동작을 보면, 보통때에는 라인 스위치(51)의 선택단자(A)(B)가 스위칭 단자(1)(2)에 연결되어 있게 되므로 전화 인출선이 변환 케이블(52)의 전화 연결부(52B)로 연결되면서 종래 전화기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동작과는 반대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공간을 보고 싶을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라인 스위치(51)의 선택단자(A)(B)를 스위칭 단자(3)(4)로 접속시키면 전화 인출선이 변환 케이블의 폰 연결부(52A)로 연결되면서 본 발명에서의 모니터링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마이므로 프로세서(56)는 우선 순위를 전화기에 두어 프로그래밍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동작중 전화가 왔을 경우에는 링신호 검출기(53)에서 검출된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56)는 강제로 라인 스위치(51)의 선택단자(A)(B)를 스위칭 단자(1)(2)로 접속시켜 전화 인출선이 다시 변환 케이블(52)의 전화 연결부(52B)로 연결되게 하여 제1 전화기(10) 또는 제2 전화기(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가옥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출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말끔한 인출선의 정리가 가능하고, 또한 감시용 카메라 등을 설치하는 이중의 부담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변환수단들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라인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해주어 대부분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티브이를 모나터로 공유할 수 있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하나의 전화선으로부터 복수개의 제1 및 제2 전화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시켜 가옥 내벽에 설치한 복수개의 전화 인출선;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1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외부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인출선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촬상수단; 상기 전화 인출선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2 전화기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으로부터 전화 인출선을 통해 들어오는 화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처리할 수 있는 화상 출력수단; 상기 비디오 촬상수단과 제1 전화기 및 상기 화상 출력수단과 제2 전화기의 연결 부분을 링신호 검출 및 외부 키입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전화기 또는 모니터 기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변환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수단 및 제2 변환수단은 비디오 촬상수단이나 제1 전화기(또는 화상 출력수단이나 제2 전화기)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칭 단자(1-4)를 구비하여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스위칭 단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 인출선에 연결하는 라인 스위치; 폰 연결잭이나 전화 연결잭을 구비하여 비디오 촬상수단 또는 제1 전화기(또는 화상 출력수단 또는 제2 전화기)로 직접 연결될 수 있게 한 변환 케이블; 외부에서 사용자가 기능 변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 선택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를 실시하는 키입력부;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링신호 검출기; 상기 링신호 검출기의 링검출신호에 의해 링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링신호 발생기; 상기 링신호 검출기의 링검출신호나 키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라인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링신호 검출부로부터 링검출신호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전화기로 스위칭 단자가 연결되게 라인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키입력부로부터 키입력신호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비디오 촬상수단과 화상 출력수단으로 스위칭 단자가 연결되게 라인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링검출신호를 키입력신호에 우선되게 판단 기준을 설정하여 키입력신호가 있어 라인 스위치를 비디오 촬상수단이나 화상 출력수단으로 연결되게 제어하는 상태에서도 링검출신호가 있으면 그 즉시 라인 스위치를 전화기로 연결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60076208A 1996-12-30 1996-12-30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022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208A KR100221128B1 (ko) 1996-12-30 1996-12-30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208A KR100221128B1 (ko) 1996-12-30 1996-12-30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938A KR19980056938A (ko) 1998-09-25
KR100221128B1 true KR100221128B1 (ko) 1999-09-15

Family

ID=1949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208A KR100221128B1 (ko) 1996-12-30 1996-12-30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1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938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249B2 (en) In-hom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having a video camera connected to a set-top box
US6759957B2 (en) Home security system
US9852608B2 (en) Monitoring system
JP2003284161A (ja) 動作制御装置
KR100221128B1 (ko) 가옥내 전화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3283524A (ja) 信号中継装置
KR20010068528A (ko)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KR19990083803A (ko) 가정자동화시스템
KR100554303B1 (ko) Dvr기능을 구비한 전력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930009860B1 (ko) 텔레콘트롤러의 유선/무선 선택 제어방법
JP200100827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04133588A (ja) 映像モニタ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の映像モニタシステム
JPH0465592B2 (ko)
JPH05347719A (ja) 映像機器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映像機器通信制御方法
JP7178580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
KR900007280B1 (ko) 전화제어장치
JP3254359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60061962A (ko) 홈 오토메이션용 비디오폰의 외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275278A (ja) 待機電力節電装置
JP2597437Y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KR960010859B1 (ko) 인체감응식 스피커폰을 이용한 전화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060470B1 (ko) 유무선 원격제어 전화장치
KR200328706Y1 (ko) 홈 자동화 시스템
JPH0654076A (ja) 電話機
JP2001238273A (ja) ホーム機器制御装置及び該ホーム機器制御装置の操作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