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21B1 - 잉크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잉크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21B1
KR100221121B1 KR1019970705148A KR19970705148A KR100221121B1 KR 100221121 B1 KR100221121 B1 KR 100221121B1 KR 1019970705148 A KR1019970705148 A KR 1019970705148A KR 19970705148 A KR19970705148 A KR 19970705148A KR 100221121 B1 KR100221121 B1 KR 10022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riting instrument
shaft
flake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1752A (ko
Inventor
바스티안센 베른트
Original Assignee
롤프 쉴러
로트링 인터내쇼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 쉴러, 로트링 인터내쇼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롤프 쉴러
Publication of KR1998070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부와, 잉크를 수용하고 분배하기 위한 박편 시스템이 배치되는 샤프트(3)를 구비하고, 박편 시스템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박편 지지체(10)에 연장되어 있는 잉크 공급 홈(18)을 구비하는 잉크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군의 박편(24)들은 잉크 공급 홈(18)으로부터 시작하여 서로 이격된 채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박편(24)들 사이에는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박편 지지체(10)의 측면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에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가 존재한다. 일군의 박편(24)들은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구역에 위치하는 제1구역(34)에서는 각각 샤프트(3)의 내벽(22)에까지 도달되고, 제1구역(34)으로부터 벗어나 박편(24)의 둘레의 80% 이상에 걸쳐 연장되는 제2구역(36)에서는 각각 모세관 작용이 저지될 정도의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간격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잉크용 필기구
그러한 형식의 필기구는 DE 34 21 417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공보는 샤프트의 전방 구역에 잉크를 수용하거나 분배하기 위한 박편 시스템이 배치되는 만년필을 개시하고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편 지지체에는 잉크 저장조와 연통된 잉크 공급 홈이 연장되어 있고, 박판 디스크 또는 박판 핀으로도 불리우는 박편들이 그 잉크 공급 홈으로부터 시작하여 서로 이격된 채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한 박편들 사이에는, 잉크 공급 홈이 개방된 쪽의 박편 지지체의 측면과 샤프트의 내벽과의 사이에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가 존재하여, 잉크가 잉크 공급홈으로부터 그 틈새를 통해 박편들 사이의 개재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박편들 자체는 실질적으로 그 둘레의 일부에 걸쳐 샤프트의 내벽까지 직접 연장된다. 박편 시스템은 과잉의 잉크를 수용하여 필요 시에 재분배함으로써, 잉크 저장조에서의 압력 변동 또는 온도 변동으로 인해 잉크의 유동에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한 구성의 박편 시스템을 구비하는 필기구는 DE 34 29 031 A1 및 DE 90 06 540 U1 에도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필기구들에서는, 박편과 샤프트의 내벽과의 사이의 접촉 구역에 있는 틈새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그 구역에서는 잉크가 항상 박편과 샤프트의 내벽과의 사이에 점착되어 남게 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로 인해, 샤프트가 박편 시스템의 구역에서 투명하거나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형성된 필기구에서는 그 외관이 지저분하게 보이게 된다.
박편이 그 전둘레에 걸쳐 샤프트의 내벽에 대해 보다 더 큰 간격을 유지하는 필기구도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의 박편 시스템은 민감성이 떨어지고, 불량한 조건 하에서는 필기구의 선단부에서 잉크의 액적이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잉크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제1도는 필기구의 선단부가 필기용 볼을 구비하는 형식의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전방 구역의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를 수용하거나 분배하는 박편 시스템이 기능적으로 유용하게 구성되는 잉크용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이 마련된 잉크용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구성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용 필기구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채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는 잉크 공급 홈이 개방된 쪽의 박편 지지체의 측면과 샤프트의 내벽과의 사이에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가 존재하는 박편들 중에서 일군의 박편들이 잉크 공급 홈이 개방된 쪽에 위치하는 제1 구역에서 각각 필기구의 샤프트의 내벽에까지 도달된다. 제1 구역을 벗어나 위치하고 박판의 둘레의 적어도 80% 이상에 걸쳐 연장되는 제2 구역에서는, 일군의 박판들이 모세관 작용이 저지될 정도의 샤프트의 내벽과의 간격을 각각 유지한다.
그와 같은 박편들의 구성에 의해, 일군의 박편들의 제1구역의 부위에서는 잉크가 잉크 공급 홈과 연통된 잉크 저장조의 주어진 압력 또는 온도에 따라 내벽에 대해 형성되어 있는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를 경유하여 아무런 장애가 없이 잉크 공급 홈으로부터 박편들 사이의 개재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그 개재 공간으로부터 다시 잉크 공급 홈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제2 구역에서는 일군의 박편들이 모세관력의 작용 하에 박편의 연부에 잉크가 묻혀져 퍼지는 것이 그 구역에서는 불가능할 정도로 샤프트의 내벽과의 간격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잉크 저장조에서의 압력 변동 또는 온도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박편 시스템을 구비한다. 그에 의해, 필기구의 선단부에 걸리는 부하가 확실하게 경감되어 잉크의 액적의 형성이 방지된다.
적합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박편 시스템이 배치되는 샤프트의 구역은 투명하거나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와 같이 필기구를 구성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박편 시스템의 또 다른 장점이 나타난다. 즉, 제 2구역에서 모세관 작용이 없음으로 인해 그 구역에서의 일군의 박편들의 연부에는 잉크가 점착되어 잔존하지 않고, 그 때문에 박편 시스템이 깨끗하게 보이게 된다. 단지 잉크 공급 홈이 개방된 쪽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의 내벽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으로만 잉크가 적셔진다. 즉, 일군의 박편들의 제1 구역만이 각각 잉크로 적셔진다. 그러한 스트립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저분한 느낌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수려한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모세관 작용을 저지하는 간격은 0.1mm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일군의 박편들에 있어서, 그들의 제2구역에서의 형태는 박편 시스템의 기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군의 박편들은 제2구역에서 예컨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제2구역에서 잉크가 모세관력의 작용 하에 박편의 연부에 묻혀져 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그 구역에 잔존하지 않을 수 있는 정도로 제2 구역에서의 샤프트의 내벽과의 간격이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구성에 있어서, 일군이 박편들은 제2 구역에서 통풍용으로 사용되는 절결부를 각각 구비한다. 그러한 절결부에서는, 샤프트의 내벽과 각각의 박편의 연부와의 간격이 제2구역의 잔여 구역에서의 간격보다 더 크고, 그에 의해 일군의 박편들 사이의 개재 공간이 특히 확실하게 통풍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통풍 작용은 박편 시스템의 기능에 있어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는 예컨대 펜촉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 잉크 공급 홈은 잉크 저장조 뿐만 아니라 펜촉과도 연통된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는, 잉크가 공지의 방식대로 저장조로부터 잉크 공급 홈을 경유하여 펜촉에 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성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는 잉크심을 경유하여 잉크 저장조와 연통되는 필기용 볼을 구비한다. 그 경우, 잉크 공급 홈은 박편시스템의 내부에서 종료되고 필기구의 선단부까지는 연장되지 않는다. 잉크는 잉크심을 경유하여 인출되는 한편, 박편 시스템은 그에 의존하여 잉크 저장조의 압력 변동 또는 온도 변동을 보상하도록 잉크 저장조와 연통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1)의 실시예는 잉크 볼펜으로서 형성된 것이다.
제1도는 잉크를 수용하거나 분배하기 위한 박편 시스템(5)이 배치되는 샤프트(3)의 전방 구역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형식의 박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잉크 저장조에서의 압력 변동 또는 온도 변동이 있을 때에 잉크를 수용하거나 재분배함에 의해 필기구의 선단부에서 잉크의 액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박편 시스템(5)은 일체형 부품으로 제작되고, 필기구(1)의 종축선(L-L)에 동심적으로 연장되어 샤프트(3)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필기구의 관형 선단부 홀더(6)와 일체로 결합된다. 필기구의 선단부홀더(6)에는 그 전방 단부에 필기용 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필기구의 선단부(7)가 장착된다. 필기구의 선단부(7)는 잉크심(9)을 경유하여 잉크를 공급받는다. 잉크심(9)의 후방 단부는 샤프트(3)의 후방 구역, 즉 제1도에 따른 도면에서 박편 시스템(5)의 우측에 배치된 잉크 저장조로 돌출되는데, 그 도면에는 잉크 저장조가 직접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본 실시예에서의 잉크 저장조는 교환이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예컨대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만년필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박편 시스템(5)은 필기구(1)의 종축선(L-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편 지지체(10)를 구비한다. 박편 지지체(1O)는 그 내부에 잉크심(9)을 수납하기 위한 채널(12)을 구비한다. 채널(12)과 박편 지지체(10)의 외부 공간과는 직접적으로 연통되지 않는다.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을 따른 박편 지지체(10; 빗금친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그 도면에 있어서, 박편 지지체(10)의 횡단면 윤곽 형상은 하부 구역(14)에서 둥글게 형성되고, 그 반경은 샤프트(3)의 반경에 비해 현저히 더 작다. 박편 지지체(10)는 그 상부 구역(16)에서 거의 샤프트(3)이 내벽에까지 도달된다(이때의 "상하"의 개념은 제2도에 도시된 박편 지지체(10)의 배향과 관련하여 지칭하는 것임). 박편 지지체(10)의 상부 구역(16)에는 잉크 저장조와 연통되는 잉크 공급 홈(18)이 가공된다.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박편 지지체(10)의 측면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에는 과잉물 유출부로서도 지칭되는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가 존재한다.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는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공급홈(18)의 양측에 마련된다. 그러한 구성과는 달리,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가 잉크 공급 홈(18)의 일측에서만 박편 지지체(10)의 상부 구역(16)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잉크 공급 홈(18)의 반대측에서는 상부 구역(16)이 샤프트(3)의 내벽(22)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는 모세관력의 작용 하에 잉크가 잉크 공급 홈(18)으로부터 박편 지지체(10)의 외부 공간으로 범람할 수 있을 정도로 좁게 형성딘다.
박편 지지체(10)에는 박편들이 서로 이격된 채 고정되고, 그러한 박편들의 평면은 필기구(1)의 종축선(L-L)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박편들은 다수의 군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일군의 박편들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횡단면 윤곽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군의 박편들이 마련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횡단면(빗금치지 않은 부분)을 구비하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은 일군의 박편(24) 및 그 연부와 샤프트(3)의 내벽과의 간격이 보다 더 크게 되어 있는 또 다른 일군의 박편(26)이 마련된다. 박편(24,26)들 사이에는 챔버(28)가 형성되는데, 그들 챔버(28)는 잉크 공급 홈(18)은 물론 박편(24,26)의 외부 구역을 경유하여 서로 연통되어 잉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박편 시스템(5)은 전방 쪽으로 공기 통로를 구비한 벽부(30)에 의해 폐쇄되고, 후방 쪽으로 벽부(32)에 의해 폐쇄된다. 박편 시스템(5)은 벽부(30,32)에 의해 샤프트(3)내에 고정된다.
박편 지지체(10)가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된 횡단면 윤곽 형상을 구비하는 부위에서는,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제2도에 다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박편(24)이 형성된다.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구역에 위치하는 제1구역(34), 즉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의 구역에서는, 박편(24)들이 각각 샤프트(3)의 내벽(22)에까지 도달된다. 다시 말하자면, 박편(24)들이 샤프트(3)의 내벽(22)에 직접 접촉하거나,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보다도 더 작은 매우 좁은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간격을 유지한다. 제1구역(34)으로부터 벗어난 제2구역(36)에서는, 박편(24)들이 각각 일정한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간격을 유지한다. 그러한 간격은 잉크를 박편(24)의 일측의 챔버(28)로부터 박편(24)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의 개재 공간을 경유하여 박편(24)의 타측의 챔버(28)로 인출하는 모세관이 제2구역(36)에서는 형성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잉크가 개재 공간에 점착되어 계속적으로 잔존하는 것도 방지된다.
제2구역(36)은 박편(24)의 둘레의 80% 이상에 걸쳐 연장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둘레의 약 90%에 걸쳐 연장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잉크 공급 홈(18)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구역(34)과 제2구역(36)과의 사이의 전이 구역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박편(24)들이 제2구역에서 샤프트(3)의 내벽(22)과 각각 0.1m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모세관 작용이 저지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간격은 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박편(24)의 횡단면 윤곽 형상도 제2도에 따른 원형 윤곽 형상과는 상당히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내벽(22)과의 간격이 2개의 인접된 박편(24)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되고, 그로 인해 박편들 사이에서 내벽과의 간격에 비해 보다 더 큰 모세관 작용이 일어나서 내벽에 잉크가 점착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편(24)은 제2구역(36)내에 각각 절결부(38)를 구비하고, 그러한 절결부(38)의 구역에서는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간격이 제2구역(36)의 다른 부위에서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러한 박편(24)의 절결부(38)는 박편(24)들 사이의 챔버(28)의 통풍을 용이하게 해준다. 그러한 박편 시스템(5)의 통풍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제1도 및 제2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박편 시스템(5)의 기능에 있어 중요한 그러한 통풍은 공지의 방식대로 수행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잉크 볼펜에서는, 잉크 공급 홈(18)이 잉크 저장조와는 연통되지만, 박판 시스템(5)의 전방 구역에서는 종결된다. 즉, 잉크 공급 홈(18)은 필기구의 선단부(7)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반면에, 필기구의 선단부가 펜촉으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잉크 공급 홈과 펜촉이 서로 연통되어 잉크가 잉크 저장조로부터 잉크 공급 홈을 경유하여 펜촉으로 안내된다. 그 경우, 채널(12)은 생략된다.
그와 같은 2가지의 경우에 모두, 박편 시스템(5)은 잉크 저장조에서의 압력변동 또는 온도 변동 시에 잉크를 수용하여 재분배하는 보상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한 보상 시스템에서는, 잉크가 잉크 공급 홈(18)을 통해 각각의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를 경유하여 박편(14)들 사이의 챔버(28)로 들어 간다. 또 다른 일군의 박편들 사이에는 보다 더 많은 양의 잉크가 수용된다. 그 구역에서의 잉크 공급 홈(18)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의 간격은 모세관 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크다.
박편 시스템(5)은 전체적으로는 공지의 방식대로 기능하지만, 박편(24)의 횡단면 윤곽 형상의 구성으로 인해 그 기능적 효율이 매우 높다. 챔버(28)를 채우고 비우는 것은 각각의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에 의해 수행되고, 그 때에 각각의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와 인접되어 있는 박편(24)들의 구성에 의해 제1구역(34)에서 잉크가 인접된 챔버로 직접 범람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박편 시스템(5)의 보상 작용이 민감하게 이루어진다. 박편(24)의 제2구역(36)에서는 원하지 않는 모세관 작용이 저지된다. 따라서, 박편 시스템(5)은 실제로 완전하게 비워지고, 필기구의 선단부(7)에서도 원하지 않는 잉크의 액적이 형성되지 않는다.
박편 시스템(5)이 배치되는 샤프트(3)의 구역이 투명하거나 그 속을 들여다 볼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박편(24)들의 구성의 또 다른 장점이 나타난다. 박편(24)들의 각각의 제1구역에서만 잉크가 잔존할 수 있고, 이는 외부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반면에, 잔여구역에서는 박편 시스템(5)이 깨끗하게 보이게 된다. 지저분한 인상은 생기지 않는다.

Claims (7)

  1. 선단부(7)와, 잉크를 수용하고 분배하기 위한 박편 시스템(5)이 배치되는 샤프트(3)를 구비하고, 박편 시스템(5)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박편 지지체(10)에 연장되어있는 잉크 공급 홈(18)을 구비하며, 잉크 공급 홈(18)으로부터 시작하여 서로 이격된 채 횡방향으로 일군의 박편(24)들이 배열되고, 박편(24)들 사이에는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박편 지지체(10)의 측면과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사이에 모세관 작용을 하는 틈새(20)가 존재하며, 일군의 박편(24)들은 그 둘레의 일부에 걸쳐 샤프트(3)의 내벽(22)에까지 도달되는 잉크용 필기구에 있어서, 일군의 박편(24)들은 잉크 공급 홈(18)이 개방된 쪽의 구역에 위치하는 제1구역(34)에서는 각각 샤프트(3)의 내벽(22)에까지 도달되고, 제1구역(34)으로부터 벗어나 박편(24)의 둘레의 80% 이상에 걸쳐 연장되는 제2구역(36)에서는 각각 모세관 작용이 저지될 정도의 샤프트(3)의 내벽(22)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박편 시스템(5)이 배치되는 샤프트(3)의 구역은 투명하거나 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크용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세관 작용을 저지하는 간격은 0.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 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군의 박편(24)들은 제2구역(36)에서 각각 통풍용으로 사용되는 절결부(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 필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구역(36)은 각각 일군의 박편(24)들의 둘레의 90% 이상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크용 필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는 잉크 공급 홈과 연통되는 펜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용 필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7)는 잉크심(9)을 경유하여 잉크 저장조와 연통되는 필기용 볼(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잉크용 필기구.
KR1019970705148A 1995-10-02 1996-09-27 잉크용 필기구 KR100221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8501.2 1995-10-02
DE19538501A DE19538501C1 (de) 1995-10-02 1995-10-02 Schreibgerät für Ti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52A KR19980701752A (ko) 1998-06-25
KR100221121B1 true KR100221121B1 (ko) 1999-09-15

Family

ID=777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48A KR100221121B1 (ko) 1995-10-02 1996-09-27 잉크용 필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38362A (ko)
EP (1) EP0854789B1 (ko)
JP (1) JPH11512668A (ko)
KR (1) KR100221121B1 (ko)
AT (1) ATE181286T1 (ko)
DE (2) DE19538501C1 (ko)
ES (1) ES2132959T3 (ko)
TW (1) TW314838U (ko)
WO (1) WO1997012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242B1 (en) 1993-11-12 2002-07-09 Dataprint R. Kaufmann Gmbh Efficient fluid dispensing utensil
DE19529865C2 (de) 1995-08-14 2002-02-28 Kaufmann R Dataprint Gerät zum Auftragen von Flüssigkeiten auf eine Unterlage mittels eines Auftragselements
TW509148U (en) * 1999-12-16 2002-11-01 Mitsubishi Pencil Co Writing instrument with pressure adjusting rings
US6390711B1 (en) 2000-11-13 2002-05-21 Chartpak, Inc. Liquid ink writing pen
US6425702B1 (en) 2000-11-14 2002-07-30 Chartpak, Inc. Multi-color pen system
US6464420B2 (en) 2001-03-29 2002-10-15 Chartpak, Inc. Liquid ink writing pen with visible tip
US6457892B1 (en) 2001-04-20 2002-10-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apillary hole through the container
US6637965B1 (en) 2001-06-22 2003-10-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reservoir between a tip and a capillary storage
TWI239903B (en) 2002-11-21 2005-09-21 Kotobuki & Co Ltd Liquid container
US7397384B1 (en) 2005-02-11 2008-07-08 Genlyte Thomas Group, Llc Track lighting system current limiting device
JP4909623B2 (ja) 2006-04-21 2012-04-04 株式会社壽 液体供給具
US7507005B1 (en) 2007-01-30 2009-03-24 Genlyte Thomas Group Llc Sliding flexible track lighting
US7520763B1 (en) 2007-06-29 2009-04-21 Genlyte Thomas Group Llc Track lighting system with dependent lamp cord
US7758358B1 (en) 2008-05-05 2010-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ck lighting assembly
US8498098B2 (en) 2010-12-22 2013-07-30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for removably retaining a voltage converting device
JP6309813B2 (ja) * 2013-05-21 2018-04-11 三菱鉛筆株式会社 コレクター式塗布具
TWI645987B (zh) 2017-09-18 2019-01-01 順德工業股份有限公司 書寫工具
CN111055610B (zh) * 2019-12-30 2021-09-24 上海思勤文具制造有限公司 水性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2004A (en) * 1945-03-05 1950-06-20 Russell T Wing Fountain pen
DE3311364A1 (de) * 1983-03-29 1985-01-17 Walter Ing. Anweiler (grad.), 6907 Nußloch Tintenleiter fuer fuellfederhalter
DE8309278U1 (de) * 1983-03-29 1991-01-24 Anweiler, Walter, Ing.(grad.), 6907 Nußloch Tintenleiter für Füllfederhalter
DE3338227C2 (de) * 1983-10-21 1985-11-28 Mutschler, Otto, 6900 Heidelberg Tintenleiter für Schreibgeräte
DE3421417A1 (de) * 1984-06-08 1985-12-12 Walter Ing.(grad.) 6907 Nußloch Anweiler Tintenleiter fuer fuellfederhalter
DE3429031A1 (de) * 1984-08-07 1986-02-20 Walter Ing.(grad.) 6907 Nußloch Anweiler Fuellfederhalter
JPS6145191U (ja) * 1984-08-29 1986-03-25 パイロツ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DE9006540U1 (de) * 1990-06-09 1990-08-16 Mutschler, Otto, 6900 Heidelberg Schreibeinheit für einen Patronenfüllhalter
DE4024382C1 (ko) * 1990-08-01 1992-08-27 Pelikan Ag, 3000 Hannover, De
US5551789A (en) * 1993-10-13 1996-09-03 Kawakami Giken Co Ltd Cosmetic material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81286T1 (de) 1999-07-15
TW314838U (en) 1997-09-01
JPH11512668A (ja) 1999-11-02
KR19980701752A (ko) 1998-06-25
ES2132959T3 (es) 1999-08-16
US5938362A (en) 1999-08-17
DE19538501C1 (de) 1997-03-06
DE59602265D1 (de) 1999-07-22
WO1997012765A1 (de) 1997-04-10
EP0854789A1 (de) 1998-07-29
EP0854789B1 (de) 199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121B1 (ko) 잉크용 필기구
KR102390052B1 (ko) 펜 및 펜용 리필
KR20050061315A (ko) 양두식 필기구
CN201006656Y (zh) 可更换墨仓的直液式笔
JPS62220400A (ja) インキまたは墨書き或いは製図用の筆記具
JP2008062566A (ja) 筆記具
US4824271A (en) Nib for writing instruments
US4065215A (en) Writing instrument
US6276860B1 (en) Liquid applicator
US6659672B1 (en) Writing implement
GR3036223T3 (en) Felt-tip pen or similar writing instru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3614248A (en) Pen wick made of synthetic resin
TW329412B (en) Writing tip
TW365228U (en) Ink writing implement
EP1632360B1 (en) Applicator tip, method of producing applicator tip, and applicator
CN201006657Y (zh) 直液式笔
US2958085A (en) Fountain pen
CA1328428C (en) Penpoint assembly and writing instrument employing the same
US4116569A (en) Ball holder for a ball-point pen
US1107641A (en) Fountain-pen.
JPH0423024Y2 (ko)
US730117A (en) Fountain-pen.
KR200240330Y1 (ko) 수성잉크볼펜용 잉크조절기
US776428A (en) Feeder-bar for fountain-pens.
US6499902B2 (en) Writing and me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