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04B1 -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04B1
KR100220604B1 KR1019970006768A KR19970006768A KR100220604B1 KR 100220604 B1 KR100220604 B1 KR 100220604B1 KR 1019970006768 A KR1019970006768 A KR 1019970006768A KR 19970006768 A KR19970006768 A KR 19970006768A KR 100220604 B1 KR100220604 B1 KR 10022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ion
memory
erasing
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622A (ko
Inventor
배홍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0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6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arrangement of data among different coding units, e.g. shuffling, interleaving, scrambling or permutation of pixel data or permut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 data among different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중 필요없는 부분을 소거하고 나면, 남은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앞부분으로 순차 기록하는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데이터가 소거되고 없는 무신호 구간에 이어지는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메모리 용량만큼 독출한후 무신호 구간의 앞부분에서부터 순차 기록하고, 무신호 구간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소거하여 해당 데이터 구간을 무신호 구간으로 만드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편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본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중 필요없는 부분을 소거하고 나면, 남은 정보 데이터를 자동으로 앞부분으로 순차 기록하는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는 그 기능 및 용도에 따라 CD, CD-ROM, 비디오 디스크등 사용자가 정보 재생만 가능한 재생 전용형, 사용자가 한 번 기록하고 이후 기록된 정보를 여러번 읽을수는 있으나 지우고 다시 기록할수 없는 추가 기록형 및 정보의 반복 기록, 소거, 재생이 가능한 소거 재기록형으로 나눌수 있다.
재생 전용형은 이미 음향업계에서 기존 LP 레코드판을 거의 대체하고 있는 CD와, 백과 사전등 널리 정보 확산이 필요한 대용량 정보를 CD에 기록하여 필요시 검색할수 있는 매체인 CD-ROM, 그리고 최근 국내에서 보급 속도가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비디오 디스크등이 이미 실용화되어 보급 단계에 있다. 추가 기록형 광디스크는 정보를 한 번 기록하고 필요시 수시로 읽을 필요가 있는 경우, X-레이, NMR-CT, 초음파 단층 사진등 각종 화상 정보와 환자 진료 카드 등의 저장이 필요한 병원과 방대한 문서 저장이 필요한 관공서, 그리고 광산, 유전 등의 광맥지도 등에 사용되고 있다.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는 광자기형과 상변화형이 있는데, 상변화형은 높은 레벨의 레이져빔을 이용하여 결정질 매체의 미소 부분을 가열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낮은 레벨의 레이져 빔을 이용하여 결정질/비결정질의 반사율 차이로 정보를 판독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기록시보다는 낮고, 재생시보다는 높은 레벨의 레이져빔을 주사하여 비결정질로 된 부분을 다시 결정질로 회복시켜 줌으로서 소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소거 재 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에 대한 상세 구성도가 도 1 에 도시된다.
도 1에서 오디오/비디오 입력단을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이하, 사용자 데이타라함)열이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인코더(100)에 입력된다. MPEG 인코더(100)는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열을 MPEG 압축 방식에 의거하여 압축한후 CD-포맷터(CD-formmater, 110)에 제공하고, CD-포맷터(11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압축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 바이트 단위로 분할한후 수바이트 단위로 분할된 각 데이타에 헤더(header) 및 싱크(synchronous) 데이터, 오류 검출을 위한 EDC(Error Detection Code) 데이터와 오류 정정을 위한 ECC(Error Correction Code) 데이터를 부가하여 섹터(sector)를 형성한후,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에 제공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는 CD-포맷터(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섹터 단위의 데이터열을 스크램블링(scrambling), 인터리빙(interliving) 및 EFM 변조를 수행하여 증폭부(130)에 제공한다. 증폭부(130)는 입력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광픽업 유니트(140)에 제공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50)은 서보부(160)을 제어하여 광픽업 유니트(140)가 기록 모드로 절환되도록 한다. 광픽업 유니트(140)는 서보부(160)의 제어에 의해 증폭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디스크(K)에 기록한다.
한편 재생시, 시스템 제어부(150)는 서보부(160)를 제어하여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 모드로 절환되도록 한다. 광픽업 유니트(140)는 재생 모드로 절환되면 디스크(K)에 수록된 데이터를 독출한후 증폭부(130)에 제공한다. 증폭부(130)는 독출된 데이터를 증폭한후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에 제공하고,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는 증폭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EFM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iving), 디스크램블링(scrambling)을 수행하여 CD-롬(ROM) 디코더(170)에 제공하는 한편, 시간 정보등이 포함된 서브 데이터를 검출하여 시스템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CD-롬 디코더(17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섹터 단위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 및 싱크 데이터를 제거하고, EDC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며, ECC데이타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을 수행한후 MPEG 디코더(180)에 제공한다.
MPEG 디코더(180)는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오디오/비디오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중 필요없는 정보 데이터를 소거하게 되면, 소거된 구간에는 정보가 없게 되고, 소거되지 않은 데이터들은 분산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남은 정보 데이터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할수 없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중 필요없는 부분들이 소거되고 나면, 남은 정보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앞부분으로 이동되어 순차 기록되도록 하는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거나 재생하되, 재생된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소거 재 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일정 구간들에 대한 데이타들이 소거되면, 상기 데이터가 소거되고 없는 무신호 구간들에 대한 구간 정보와,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데이터 구간들에 대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신호 구간들중 가장 앞쪽의 무신호 구간을 편집 무신호 구간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편집 무신호 구간에 이어지는 데이터 구간을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편집 데이타 구간의 데이터량(L)과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M)을 서로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량(L)이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M)보다 작으면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 전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후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상의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한후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고 나면 기록 중지후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량(L)이 메모리의 저장 용량(M)보다 크면,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중 상기 메모리의 용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데이터만을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후,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상에서 소거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광 디스크상의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한후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고 나면 기록 중지후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 방법의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 디스크 100 : MPEG인코더
110 : CD-포맷터 120 : 디지탈 신호 처리부
130 : 증폭부 140 : 광픽업 유니트
150 : 시스템 제어부 160 : 서보부
170 : CD-롬 디코더 180 : MPEG디코더
210 : 메모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 1 의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에, 편집을 위해 재생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1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 방법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3의 편집 방법은 상술한 도 2 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반 재생 모드 수행 도중(S1,S2) 외부로부터 정지키 신호가 제공되면(S3) 시스템 제어부(150)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서브 데이터를 참조하여 광디스크(K)상의 소거 시작 위치를 검출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후(S4), 광디스크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5). 이후, 외부로부터 구간 소거키 신호가 제공되면(S6), 시스템 제어부(150)는 시스템이 소거 모드로 절환되도록 한다(S7).
서보부(160)는 광픽업 유니트(14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소거가 시작되도록 한다. 광픽업 유니트(140)는 서보부(160)의 제어에 의해 광디스크(K)에 수록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소거해나간다.
이와 같이 소거가 진행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구간 소거키가 다시 제공되면(S8) 시스템 제어부(150)는 소거 종료 위치를 검출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후(S9) 소거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고(S10), 이후 재생키 신호가 제공되면(S11) 시스템 제어부(150)는 시스템이 재생 모드로 작동 되도록 한다(S2).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재생 모드로 작동시킨다.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모드로 작동됨에 따라 광디스크(K)의 데이터는 독출되어 증폭부(130)에 제공되고,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와 CD-롬 디코더(170) 및 MPEG 디코더(180)를 경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MPEG디코더(180)의 출력은 이후, 아날로그로 변환되고 오디오/비디오 신호 처리되어 모니터 및 스피커(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제공됨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시청할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재생 모드로 작동하는 도중에 다시 소거키 신호가 제공되면 상술한 S6과정 및 그 이하를 수행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광디스크에 수록된 데이터를 구간별로 소거하면, 광디스크(K)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구간들과, 데이터가 소거되고 없는 무신호 구간들로 나뉘어져 있을 것이다.
따라서 편집키 신호가 제공되면(S12) 시스템 제어부(150)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소거 시작 위치와 소거 종료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소거되고 없는 각 무신호 구간들과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데이터 구간들을 검출한다.
그런후 각 무신호 구간중 첫 번째 무신호 구간을 편집 무신호 구간으로 설정하고(S13), 편집 무신호 구간에 이어지는 첫 번째 데이터 구간을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한후(S14), 편집 데이터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량(L)(S15) 및 메모리(210)의 용량(M)을 검출한다(S16).
그런후 편집 데이터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량(L)과 메모리(210)의 용량(M)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편집 데이터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량(L)이 메모리(210)의 저장 용량(M)보다 작으면(S17), 시스템 제어부(150)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편집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을 재생 시작 포인트(point)로 설정하고(S18),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 위치를 기록 시작 포인트로 설정한후(S19),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되도록 제어한다(S20).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키고, 시스템 제어부(15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재생 모드로 절환시키고, 재생된 데이터가 메모리(210)에 저장되도록 한다(S21).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재생 모드로 작동시키고, 광픽업 유니트(140)는 점프 포인트에서부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증폭부(130)에 제공한다. 증폭부(130)에 제공된 데이터는 증폭된후,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를 경유하여 CD-롬 디코더(170)에 제공되고, CD-롬 디코더(170)는 이를 메모리(210)에 저장한다.
시스템 제어부(150)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서브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생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재생 종료 포인트까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모두 재생되어 메모리(210)에 저장되었나를 계속 검색하여(S22), 모두 저장되었으면 일단 재생이 중지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후(S23), 재생 시작 포인트를 소거 시작 포인트로 변환하고(S24), 재생 종료 포인트를 소거 종료 포인트로 변환한다(S25).
그런후, 시스템 제어부(150)는 소거 시작 포인트로 광픽업 유니트(140)가 점프되도록 한다(S26).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소거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킨다. 서보부(16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소거 시작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소거 모드로 절환 시켜 소거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소거 종료 포인트까지 소거가 진행되도록 한다(S27,S28,S29). 이에 따라 광픽업 유니트(140)는 디스크 상의 소거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소거 종료 포인트까지 소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소거가 완료되고 나면 시스템 제어부(150)는 기록 시작 포인트로 광픽업 유니트(140)가 점프되도록 한다(S30).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기록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킨다. 시스템 서보부(16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기록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기록 모드로 절환 시킨다(S31).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는 CD-포맷터(110),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 및 증폭부(130)를 경유하여 광픽업 유니트(140)에 의해 기록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순차 기록될 것이다.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가 광디스크(K)에 모두 기록되고 나면(S32) 시스템 제어부(150)는 기록 중지 위치를 기억한후 기록이 중지되도록 한다(S33,S34).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된 첫 번째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는 편집 무신호 구간에 모두 기록된후, 첫 번째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는 소거된다.
기록이 완료되고 나면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할 데이터 구간이 남아 있는지를 검색한다(S36). 검색 결과, 편집할 데이터 구간이 남아있으면 S33과정에서 기억한 기록 중지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을 검출한후, 기록 중지 위치에서부터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까지를 편집 무신호 구간으로 설정하고(S37),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한다(S38).
이후,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 데이타 구간의 데이터량(L)을 검출한후(S15,S16), S17 및 그이하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한편, 편집 데이터 구간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량(L)이 메모리(210)의 저장 용량(M)보다 크면,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을 재생 시작 포인트로 설정하고(S39),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 위치를 기록 시작 포인트로 설정한다(S40). 이후 시스템 제어부(15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되도록 제어한다(S41).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키고, 시스템 제어부(15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재생 시작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재생 모드로 절환시키고, 재생된 데이터가 메모리(210)에 저장되도록 한다(S42).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재생 모드로 작동시키고, 광픽업 유니트(140)는 점프 포인트에서부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증폭부(130)에 제공한다. 증폭부(130)에 제공된 데이터는 증폭된후,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를 경유하여 CD-롬 디코더(170)에 제공되고, CD-롬 디코더(170)는 이를 메모리(210)에 저장한다.
시스템 제어부(150)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서브 데이터를 참조하여 메모리(210)의 용량(M)만큼 데이터가 메모리(210)에 저장되면(S43) 일단 재생이 중지 위치를 기억한후(S44) 재생 중지 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후(S45), 재생 시작 포인트를 소거 시작 포인트로 변환하고(S46), 재생이 중지된 위치를 소거 종료 포인트로 설정한다(S47).
그런후, 시스템 제어부(150)는 소거 시작 포인트로 광픽업 유니트(140)가 점프되도록 한다(S48).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소거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킨다. 서보부(16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소거 시작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소거 모드로 절환 시켜 소거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소거 종료 포인트까지 소거가 진행되도록 한다(S49,S50,S51). 이에 따라 광픽업 유니트(140)는 디스크 상의 소거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소거 종료 포인트까지 소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소거가 완료되고 나면 시스템 제어부(150)는 기록 시작 포인트로 광픽업 유니트(140)가 점프되도록 한다(S52). 서보부(160)는 시스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40)를 기록 시작 포인트로 점프시킨다. 시스템 서보부(160)는 광픽업 유니트(140)가 기록 포인트로 점프하고 나면 시스템을 기록 모드로 절환 시킨다(S53). 시스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는 CD-포맷터(110), 디지탈 신호 처리부(120) 및 증폭부(130)를 경유하여 광픽업 유니트(140)에 의해 기록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순차 기록될 것이다.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가 광디스크(K)에 모두 기록되고 나면(S54) 시스템 제어부(150)는 기록이 중지되도록 한후(S55) 기록 중지 위치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56).
기록이 완료되고 나면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할 데이터 구간이 남아 있는지를 검색한다(S57). 검색 결과, 편집할 데이터 구간이 남아있으면 S56과정에서 기억한 기록 중지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을 검출한후, 기록 중지 위치에서부터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까지를 편집 무신호 구간으로 설정하고(S58),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한 데이터 구간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한다(S59).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 데이타 구간의 데이터량(L)을 검출한후 S17과정 및 그이하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광디스크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앞부분으로 이동되어 기록될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모두 편집되어, 더 이상 편집할 데이터 구간이 남아 있지 않으면(S36, S57). 시스템 제어부(150)는 편집 모드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중 필요없는 부분에 대한 데이터는 구간별로 소거한후 편집키를 누르면 남은 정보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앞부분으로 이동되어 순차 기록되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하거나 재생하되, 재생된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소거 재 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을 이용한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일정 구간들에 대한 데이타들이 소거되면, 상기 데이터가 소거되고 없는 무신호 구간들에 대한 구간 정보와,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데이터 구간들에 대한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신호 구간들중 가장 앞쪽의 무신호 구간을 편집 무신호 구간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편집 무신호 구간에 이어지는 데이터 구간을 편집 데이터 구간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편집 데이타 구간의 데이터량(L)과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M)을 서로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량(L)이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M)보다 작으면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 전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후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상의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한후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고 나면 기록 중지후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량(L)이 상기 메모리의 저장 용량(M)보다 크면, 상기 편집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중 상기 메모리의 용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데이터만을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후,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상에서 소거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광 디스크상의 편집 무신호 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기록한후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고 나면 기록 중지후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편집 방법.
KR1019970006768A 1997-02-28 1997-02-28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KR10022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68A KR100220604B1 (ko) 1997-02-28 1997-02-28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68A KR100220604B1 (ko) 1997-02-28 1997-02-28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22A KR19980069622A (ko) 1998-10-26
KR100220604B1 true KR100220604B1 (ko) 1999-09-15

Family

ID=194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768A KR100220604B1 (ko) 1997-02-28 1997-02-28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475A (ko)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KR100956814B1 (ko) * 2003-03-19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에서의 녹화 프로그램 편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22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0678B1 (en)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H04349287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EP1059640A2 (en) Information edi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3359581B2 (ja) 情報再生装置
KR100220604B1 (ko)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JP2002117652A (ja) 記録装置及び管理情報補正方法
JP2005235333A (ja) 再生装置
KR19980058840A (ko)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KR20040085890A (ko)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 및 그방법
KR100614861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US6901038B2 (en) Audio recording medium, methods of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therefor
KR20000041475A (ko) 소거 재기록형 광디스크 시스템의 편집 방법
JP2994909B2 (ja) 記録再生装置
JP3787934B2 (ja) 再生装置
JP4000425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KR19990061586A (ko) 재기록 광 디스크의 연속 재생방법
KR100213299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기록 오류 정정방법
KR20000002922A (ko) 정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300981B1 (ko)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JP379107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再生装置
JP3567765B2 (ja) 情報の記録再生装置
KR100300996B1 (ko) 오디오 에프터 레코딩 방법
KR100435316B1 (ko) 정보 기록 장치와 정보 기록 방법, 및 정보 기록매체
JP3433829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高速再生方法
KR100522958B1 (ko) 광학기록매체에서의 서치 포인터 설정/삭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