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84B1 -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84B1
KR100220284B1 KR1019900016846A KR900016846A KR100220284B1 KR 100220284 B1 KR100220284 B1 KR 100220284B1 KR 1019900016846 A KR1019900016846 A KR 1019900016846A KR 900016846 A KR900016846 A KR 900016846A KR 100220284 B1 KR100220284 B1 KR 10022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gun
electrodes
electron
thermal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777A (ko
Inventor
마닝거 로렌리
죠지 마크스 브루스
Original Assignee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트먼 어윈 엠
Publication of KR91000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4Eliminating deleterious effects due to thermal effects,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Preventing unwanted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음극(34)과 이들 음극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전극(36, 38, 40, 42, 44, 46)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 컬러 수상관(10)의 전자총(26)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3개의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전자총의 워밍업 기간중에, 각 개별 전극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수상관의 스크린(22)에서 전자 빔(28)의 오집중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제1군의 전극(38, 42, 44)은 제1 방향의 전자 빔의 오집중을 발생시키고, 제2군의 전극(36, 40, 46)은 제2 방향의 전자 빔의 오집중을 발생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전자총의 워밍업 기간 중에 전자 빔 오집중에 대한 각 개별 전극의 기여분을 합산하는 합단 단계이다. 전자총 전체의 열챙창에 의한 네트 효과는 제1 방향으로의 오집중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단계는 제1군의 전극중 적어도 1개의 전극(38, 42)을, 상기 각 개별 전극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된 오집중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제1 단계에서 사용된 열팽창 계수보다 더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Description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새도우 마스크형 컬러 수상관의 일부를 축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전자총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전자총을 단순화해서 나타낸 축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나타낸 형태의 표준의 개량되지 않은 전자총의 시간에 대한 집중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5도는 수상관의 워밍업 기간중의 시간에 대한 전극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6도는 제2도의 전자총의 각 전극에 대하여 시간에 대한 전자 빔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7도는 제6도의 그래프도와 유사하며, 수상관의 워밍업 기간의 끝에서 수렴하도록 표준화된 곡선을 갖는 그래프도.
제8도는 제7도의 그래프도와 유사하며, 적색 및 청색의 2개의 외부 빔간의 집중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9도는 전자총의 모든 전극에 대해 적색 및 청색의 외부 전자 빔간의 결합된 집중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0도는 표준의 개량되지 않은 전자총, 저 팽창율의 G2 전극을 갖는 전자총, 저팽창율의 G4 전극을 갖는 전자총 및 저팽창율의 G2 전극과 G4 전극이 결합된 전자총에 대하여 외부 전자 빔간의 결합된 집중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1(c)도는 저팽창율의 G2 전극을 갖는 3개의 상이한 수상관에 대한 집중 변동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는 저팽창율의 G4 전극을 갖는 3개의 상이한 수상관에 대한 집중 변동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저팽창율의 G2 전극 및 G4 전극을조합하여 사용된 3개의 상이한 수상관에 대한 집중 변동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14도는 표준의 개량되지 않은 전자총 및 저팽창율의 G2 전극을 갖는 전자총, 저팽창율의 G4 전극을 갖는 전자총 및 저팽창율의 G2 전극과 G4 전극이 결합된 전자총을 각각 구비한 수상관에서 외부 빔간의 집중 변동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컬러 수상관 12 : 면판 패널
14 : 네크 16 : 퍼넬
18 : 뷰잉 면판 20 : 측벽
22 : 스크린 24 : 새도우 마스크
26 : 인라인 전자총 28 : 전자 빔
34 : 음극 38,42,44 : 제1군의 전극
36,40,46 : 제2군의 전극
본 발명은 다중 빔 전자총을 갖는 컬러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상관의 워밍업 기간 중의 전자 빔의 집중((c)onvergen(c)e)의 변동(drift)을 저감하는 다중 빔 전자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컬러 수상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다중 빔 전자총은 인라인 전자총이다. 인라인 전자총은 공통 평면 내에서 바람직하게 3개의 전자 빔을 발생시키고, 이들 전자 빔을 그 공통 평면 내에 있는 집중 경로를 따라 수상관의 스크린 상의 집중점, 즉 작은 면적의 집중 영역으로 지향시키도록 설계된 것이다.
대부분의 인라인 전자총에서는, 무편향의 전자 빔의 정집중(st(a)ti(c) (c)onvergen(c)e)은 외부 빔에서 집속 자계를 어느 정도 왜곡시키고 외부 빔을 중앙 빔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스크린에서 빔의 집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한다. 집속 자계를 왜곡시키는 하나의 수단은 집속 전극 중의 한 개의 개구를 이 집속 전극에 대향하는 집속 전극 중의 대응하는 개구에 대하여 오프셋하는 것이다. 수상관의 스크린에서 소정의 정집중은 전자총 전체를 통과한 개구의 오프셋과 주 렌즈(m(a)in lens)에서의 빔 위치와의 특정의 조합에 의해서 설정된다. 정집중 내장형의 컬러 수상관에서 직면하는 문제는 수상관의 워밍업 중에 집중 변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 집중 변동은 전자총 전체를 통과하는 모든 전극의 개구의 수평 방향 위치의 상대적인 변화 때문에 주 렌즈 중에서 빔 위치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개구의 상대적인 동작은 음극으로부터 주 렌즈로의 온도 변화율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리드의 상이한 온도 팽창에 의해 발생된다.
지금까지 집중 변동의 문제는, 전자총 전체를 통과하는 모든 개구의 상대적인 수평 방향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각 전극의 팽창 계수를 온도 변화율로 정합하도록 조정하는 것에 의해 대처해 오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변형된 전자총은 1986년 12월 23일자로 리울(Reule) 씨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31,442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발명자로부터는 전자총에서 온도 변화율로 전극의 팽창 계수를 단순히 정합시키는 것만으로는 반드시 원하는 대로 집중 변동을 저감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음극과 이들 음극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전극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 컬러 수상관의 전자총의 제조 방법을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3개의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단계는 전자총의 워밍업 기간중에, 각 개별 전극의 열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수상관의 스크린에서 전자 빔의 오집중(mis(c)onvergen(c)e)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제1군의 전극은 제1 방향의 전자 빔 오집중을 발생시키고, 제2군의 전극은 제2 방향의 전자 빔 오집중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의 전자 빔의 오집중은 스크린상의 전자 빔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평 라인을 따라 중앙 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정위치에 대한 외부 빔의 이동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의 전자 빔의 오집중은 스크린상의 전자 빔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평 라인을 따라 중앙 빔을 향한 방향으로 각각의 정위치에 대한 외부 빔의 이동을 의미한다. 제2 단계는, 전자총의 워밍업 기간중에 전자빔 오집중에 대한 각 개별 전극의 기여분을 합산하는 합산 단계이다. 전자총 전체의 열팽창에 의한 네트 효과(net effe(c)t)는 제1 방향으로의 오집중으로 나타난다. 제3 단계는, 제1군의 전극중 적어도 1개의 전극을, 상기 각 개별 전극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된 오집중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제1 단계에서 사용된 열팽창 계수보다 더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집중 변동을 추가로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총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분석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장방형 컬러 수상관(10)의 평면도로서, 수상관(10)은 장방형 면판 패널(캡)(12)과 장방형 퍼넬(16)에 접속된 관형 네크(14)를 포함한 유리 엔벌로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면판 패널(12)은 뷰잉 면판(18)과, 퍼넬(16)로 봉합된 주변 플랜지(측벽)(20)을 포함한다. 뷰잉 면판(18)의 내부면에는 3색 형광체 스크린(22)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스크린이고, 형광체 선이 수상관의 고주파 래스터선 주사와 실질적으로 수직(제1도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크린(22)에 대해 간격을 두고 소정의 관계로 다중 개구된 색 선택 전극(새도우 마스크)(2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도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량형 인라인 전자총(26)은 3개의 전자 빔(28)을 발생시켜 이들 전자 빔을 공통 평면 집중 경로를 따라 마스크(24)를 통해 스크린(22)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네크(14)의 내부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제1도의 수상관은 네크(14)와 퍼넬(16)을 그 접합부의 근방에서 둘러싸도록 도시된 자기 집중형 요크(30)와 같은 외부 자기 편향 요크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부세되면, 요크(30)는 3개의 전자 빔(28)이 스크린(22) 상으로 장방형 래스터에서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빔을 주사시키는 수직 및 수평 자계의 영향하에서 빔(28)을 유지시킨다. 제1도에서 초기의 편향면(제로 편향시의 면)은 요크(30)의 대략 중간에 라인 P-P로 나타내고 있다. 프린지 필드(fringe field)로 인하여, 수상관의 편향 영역은 축방향으로 요크(30)로부터 전자총(26)의 영역으로 연장한다. 도시를 간략히 하기 위해, 편향 영역에서 편향된 빔 경로의 실제의 곡면은 제1도에는 도시 생략하였다.
전자총(26)의 세부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자총은 여러 개의 전극들이 장착된 2개의 유리제 지지 로드(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전극에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공통 평면의 음극(34)(각 빔에 대해 1개), G1 그리드 전극(36), G2 그리드 전극(38), G3 전극(40), G4 전극(42), G5 전극(44) 및 G6 전극(46)을 포함하고, 이들 전극은 표기의 순서대로 지지 로드(32)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든 포스트-음극 전극들은 3개의 공통 평면의 전자 빔의 경로를 따라 허용하는 3개의 인라인 개구를 가지고 있다. G1 그리드 전극과 G2 그리드 전극(38)은 서로 평행한 평탄한 플레이트이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엠보싱(em(b)ossing)을 포함할 수 있다. G1 그리드 전극(36)에는 3개의 인라인 개구(48)(1개만 도시됨)가 설치되어 있고, G2 그리드 전극(38)에는 3개의 개구(54)(1개만 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다. G3 전극(40)은 2개의 컵형 소자(60, 6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소자는 그 바닥부에 개구를 갖는다. 소자(60)의 개구된 바닥부는 G2 그리드 전극(38)에 대향되어 있고, 소자(60)의 개방 단부는 소자(62)의 개방 단부에 부착된다. G4 전극(42)은 3개의 개구(61)(1개만 도시됨)를 구비한 플레이트이다. G5 전극(44)은 2개의 컵형 소자(68, 70)로 형성된다. 소자(68, 70)의 폐쇄 단부는 각각 3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소자(68, 70)의 개방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G6 전극(46)은 개구가 바닥부에 설치된 2개의 컵형 소자(72, 73)을 포함하고 있다. 소자(73)의 바닥부의 외측에 차폐 컵(75)이 부착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5 전극(44)과 G6 전극(46)의 서로 대향된 폐쇄 단부에는 큰 오목부(76, 7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76, 78)에 의해 3개의 개구(82)(1개만 도시됨)를 포함하는 G5 전극(44)의 폐쇄 단부의 일부분이 3개의 개구(88)(1개만 도시됨)를 포함하는 G6 전극(46)의 폐쇄 단부의 일부 분으로부터 후퇴한다. G5 전극(44)과 G6 전극(46)의 폐쇄 단부의 잔여 부분은 각각 오목부(76, 78)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림(rim)(92, 94)을 형성한다. 림(92, 94)은 2개의 전극(44, 46)의 가장 근접된 부분이다. G6 전극(36)의 오목부(78)의 구성은 G5 전극(44)의 오목부(76)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오목부(78)는 외측의 개구에서 보다 중앙의 개구에서 폭이 좁고, 오목부(76)는 3개의 개구의 모두에 있어서 폭이 일정하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4 전극(42)은 리이드(96)에 의해 G2 전극(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G3 전극(40)은 리이드(98)에 의해 G5 전극(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G3 전극(40), G2 전극(38), G1 전극(36), 음극(34) 및 음극 히터는 각각의 리드선(도시 생략)에 의하여 수상관(10)의 베이스(100)(제1도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그에 따라서 이들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부세될 수 있다. G6 전극(46)의 전기적 부세는 차폐 컵(75)과 퍼넬(16)을 관통하는 양극 버튼(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수상관의 내부 도전 피막(도시 생략)과의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 행해진다(피막 및 양극 버튼은 도시 생략됨).
전자총(26)에 있어서, 음극(34), G1 전극(36) 및 G2 전극(38)은 전자총의 빔 형성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수상관의 동작 중에, 변조된 제어 전압은 음극(34)에 인가되고, G1 전극(36)은 접지되며, G2 전극(38)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의 전압(예컨대, 800∼1100 V)이 인가된다. G3 전극(40), G4 전극(42) 및 G5 전극(44)에 대향하는 부분은 전자총(26)의 사전 포커싱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수상관의 동작 중에, 집속 전압은 G3 전극(40) 및 G5 전극(44)의 양쪽에 인가된다. G5 전극(44)과 G6 전극(46)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전자총(26)의 주 집속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수상관의 동작 중에, 양극 전압이 G6 전극(46)에 인가되어, G5 전극과 G6 전극과의 사이에 2중 전위 집속 렌즈가 형성된다.
제2도의 전자총(26)에 대한 대표적인 치수를 다음의 표에 나타낸다.
전술한 전자총(26)에 있어서, G1 전극(36), G2 전극(38) 및 G4 전극(42)은 다른 전극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보다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1 또는 복수의 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G1 전극(36). G2 전극(38) 및 G4 전극(42)은 자기 투과성 재료인 430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G3 전극(40)의 바닥부, 즉 G2에 대향하는 부분은 자기 투과성 재료인 52% 니켈 합금으로 제조된다. G3 전극(40), G5 전극(44) 및 G6 전극(46)의 정상부는 비자성 재료인 305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상이한 열팽창 계수의 재료를 사용하는 목적 및 결과는 이하에서 논의된다.
[설계 방법]
제2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개량을 부가하지 않은 표준 전자총의 집중 변동을 제4도에 도시한다. 청색 빔과 적색 빔간의 변동은 약 20분까지 0.1㎜ 이하로 감소되지 않는다. 우선, 이 집중 변동이 0.1㎜ 이하로 감소되는데 요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집중 변동이 0.1㎜를 초과하지 않는 전자총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량형 전자총은 수상관의 워밍업 기간 중의 전자총의 각 전극의 동작을 분석하고, 각 전극중의 개구의 수평 방향의 동작에 대한 전자 빔의 이동 감도를 결정함으로써 설계된다. 일단 이 감도를 설정한 후, 집중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전극의 개구의 동작을 상이한 열팽창율의 재료를 사용하여 어떻게 변경하면 좋은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행할 때에는, 전자 빔의 궤적을 시뮬레이트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분석을 종료한 후에, 실제로 수상관을 제조하여 분석 결과의 검증을 실행한다.
[전자총의 분석]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전극의 외부 개구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서로 독립적으로 약 0.002 인치(0.05㎜)씩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에서 전자 빔의 동작의 개구의 동작에 대한 감도를 각 전극에 대해 결정한다. 이어서, 수상관의 워밍업 기간 중의 각 전극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된 전자 빔의 스크린 상에서의 동작을 각 전극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온도 상승을 전극 재료의 열 팽창 계수에 기초하여 개구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제5도에 도시된 워밍업 기간 중의 각 전극의 과도 온도 상승과, 각 전극의 수평 개구 위치의 약 0.002 인기(0.05㎜)의 변화에 의한 스크린상에서의 빔의 동작의 감도에 기초하여, 워밍업 기간 중의 스크린 상의 빔의 동작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다. 이들 곡선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집중 빔으로 정규화하면, 각 전극의 집중 변동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알 수 있다. 2개의 외부 빔(적색/청색)이 워밍업 기간중 서로 동등하게 역방향의 동작을 하기 때문에, 적-청 집중 변동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빔의 집중 변동의 2배가 된다. 특정된 시간에서 각 전극의 영향을 종합하면 제9도에 도시된 이론적인 적-청 집중 변동을 얻을 수 있다.
네트 피크 집중 변동이 +0.32㎜(제9도)이기 때문에, 집중 변동은 양의 빔 이동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저감할 수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이 양의 빔 이동 성분의 감소는 G2 및 G4 전극을 다른 전극 재료의 열팽창 계수보다 상당히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전체 305 스테인레스 강제의 성분을 갖는 표준 전자총과 비교하여, 저팽창율의 G2 전극만, 저팽창율의 G4 전극만, 저팽창율의 G2 및 G4 전극 양쪽을 사용하는 경우의 이론적인 결과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제10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상대로 저팽창율의 G2 전극만, 저팽창율의 G4 전극만, 마지막으로 저팽창율의 G2 및 G4 전극의 조합 순으로 개량도가 증가하고 있다. 저팽창율의 G2 및 G4 전극의 조합을 이용하면, 정상 상태의 집중 값의 0.1㎜의 범위 내에서 집중 변동의 고정은 1.5분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표준 전자총에서는 13분이 필요하다.
또한 저팽창율의 G4 전극 대신에 저팽창율의 G5 전극을 사용함으로서 집중 변동을 개선할 수 있다(제8도 참조). 그러나, 저팽창율의 재료는 통상 자성체이기 때문에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G5 전극의 수상관 내에서의 위치는, 이것이 자성체인 경우, 다른 소자, 예컨대 네크 상의 외부 빔을 구부리는 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요크 구동 전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G3 전극의 바닥부, 즉 G2에 대향하는 측면은 편향 자계가 전자총의 빔 형성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드로서 동작하도록 투자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투자성 재료는 열팽창 계수가 작고, 전자총 분석에 의하면, 빔 집중점으로부터는 열팽창 계수가 큰 재료의 쪽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투자성 재료가 사용된다.
유사하게, 상기 분석에 의하면, G1 전극은 음극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팽창율이 큰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팽창율이 작은 재료로 형성된다. G1 전극은 얇은 평탄한 전극이기 때문에 크게 팽창하면 그 반대로 변경한다.
[실험 결과]
전자총의 적-청 집중 변동의 이론적인 분석에 기초하여, 팽창율이 작은 G2 전극을 가진 전자총, 팽창율이 작은 G4 전극을 가진 전자총, 팽창율이 작은 G2 및 G4 전극을 가진 전자총이 제조된다. 이들 전자총 구성에 있어서의 집중 변동 결과는 각각 제11(a)도∼제11(c)도, 제12(a)도∼제12(c)도 및 제13(a)도∼제13(c)도에 도시되어 있다. 표준 전자총과 개량형 전자총(제11(a)도∼제11(c)도, 제12(a)도∼제12(c)도 및 제13(a)도∼제13(c)도)을 비교한 것을 제14도에 도시한다. 제1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된 수상관의 상대적 집중 변동 성능은 이론적인 분석에 있어서 팽창율이 작은 G2 및 G4 전극에 대하여 계산된 것과 동일하다. 정상 상태의 집중의 0.1㎜ 이내로의 안정에 요구되는 시간은 표준의 전자총에서의 18분과 비교해서 2분 정도 짧다.
전자총의 1개의 전극 또는 다수의 전극을 열팽창 계수가 작은 재료로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전술한 방법이 6개의 전극 및 특정의 전기 접속을 갖는 전자총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상이한 전극 수 및 상이한 전기 접속을 갖는 다른 전자총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 개의 음극과 이 음극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전극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자총(26)의 워밍업 기간중에, 각 개별 전극(36, 38, 40, 42, 44, 46)의 열팽창에 의해 수상관의 스크린(22)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제1군의 전극(38, 42, 44)에 의해 발생되든 제1 방향의 전자 빔 오집중과 제2군의 전극(36, 40, 46)에 의해 발생되는 제2 방향의 전자 빔 오집중으로 이루어진 전자 빔(28) 오집중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전자총의 워밍업 기간 중에 전자 빔 오집중에 대한 각 개별 전극의 기여분을 합산(이때, 전자총 전체의 열팽창에 의한 네트 효과는 제1 방향으로의 오집중임)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군의 전극중 적어도 1개의 전극(38, 42)을, 상기 각 개별 전극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된 오집중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제1 단계에서 사용된 열팽창 계수보다 더 작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 방법.
KR1019900016846A 1989-10-24 1990-10-22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KR100220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27,275 US4952186A (en) 1989-10-24 1989-10-24 Method of making a color picture tube electron gun with reduced convergence drift
US427,275 1989-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777A KR910008777A (ko) 1991-05-31
KR100220284B1 true KR100220284B1 (ko) 1999-09-15

Family

ID=2369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846A KR100220284B1 (ko) 1989-10-24 1990-10-22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52186A (ko)
EP (1) EP0425206B1 (ko)
JP (1) JP3211962B2 (ko)
KR (1) KR100220284B1 (ko)
CN (1) CN1024863C (ko)
CA (1) CA2026339C (ko)
DE (1) DE69013460T2 (ko)
PL (1) PL164857B1 (ko)
RU (1) RU2093919C1 (ko)
TR (1) TR248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566B1 (fr) * 1996-09-18 1998-11-27 Thomson Tubes & Displays Methode de fabrication de tubes image couleur utilisant differents types de canons electroniques
JP2001507861A (ja) * 1997-11-05 2001-06-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100322067B1 (ko) 1999-01-25 2002-02-04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9655B1 (ko) * 2001-01-31 2004-05-03 한국전력공사 여자시스템의 싸이리스터 점호신호 발생장치
FR2868597B1 (fr) * 2004-03-30 2007-01-12 Thomson Licensing Sa Canon a electrons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 zone de formation des faisceaux ameliore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106B2 (ko) * 1971-09-11 1981-04-08
DE2642560C2 (de) * 1976-09-22 1983-08-04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Farbbildkathodenstrahlröhre
JPS598022B2 (ja) * 1977-05-23 1984-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ラウン管製造用ガン封止治具
CA1108683A (en) * 1977-11-17 1981-09-08 Richard H. Hughes Electron gun exhibiting reduced flare
DE2920151C2 (de) * 1979-05-18 1985-04-1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Elektronenstrahlerzeugungssystem für Kathodenmehrstrahlröhren
US4460845A (en) * 1981-12-01 1984-07-17 Rca Corporation Rigid cathode support structure for an in-line electron gun assembly
US4546287A (en) * 1982-09-27 1985-10-08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athode ray tube focusing electrode shielding means
DE3334242A1 (de) * 1983-09-22 1985-04-04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Elektronenstrahlerzeugungssystem fuer mehrfachkathodenstrahlroehren, wie farbbildroehren
DE3417470C2 (de) * 1984-05-11 1994-10-20 Nokia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Messen der Konvergenz der Elektronenstrahlen in einer Farbbildröhre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JPH0668956B2 (ja) * 1986-06-23 1994-08-31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US4697120A (en) * 1986-06-26 1987-09-29 Rca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with electrostatic convergence means
US4772826A (en) * 1986-06-26 1988-09-20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JP2815169B2 (ja) * 1989-03-18 1998-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ライン型電子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4852A (tr) 1992-07-01
EP0425206B1 (en) 1994-10-19
EP0425206A3 (en) 1991-11-21
JPH03163728A (ja) 1991-07-15
CN1051269A (zh) 1991-05-08
RU2093919C1 (ru) 1997-10-20
CA2026339A1 (en) 1991-04-25
DE69013460D1 (de) 1994-11-24
DE69013460T2 (de) 1995-05-18
CN1024863C (zh) 1994-06-01
CA2026339C (en) 2001-07-03
EP0425206A2 (en) 1991-05-02
KR910008777A (ko) 1991-05-31
US4952186A (en) 1990-08-28
JP3211962B2 (ja) 2001-09-25
PL164857B1 (pl) 199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7514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xpanded focus lens
US4242613A (en) CRT Control grid having orthogonal openings on opposite sides
CA121481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built-in stigmator
KR950005112B1 (ko) 비점수차 프리포커싱 렌즈를 갖춘 인라인 전자총을 갖는 칼라 수상관
US4520292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asymmetric slot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4400649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KR100220284B1 (ko) 컬러 수상관의 인라인 전자총의 제조방법
JP2927323B2 (ja) 3つの非点収差レンズを設けたインライン電子銃を有するカラー画像管
US5010271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electron gun with reduced convergence drift
KR960004951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 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US4406970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with an improved stigmator
KR100242924B1 (ko) 음극선관의 편향수차보정방법 및 이것을 적용한 음극선관 및 화상표시장치
KR950002262B1 (ko) 집속조정 수단을 갖춘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칼라 수상관
US5177399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533494B2 (ko)
CA1182162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with an improved stigmator
GB2101805A (en) Color picture tube and inline electron gun
GB2144903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EP0348912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3348869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930007365B1 (ko) 개선된 확대 접속 렌즈형의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JPH06196108A (ja) 陰極線管
JPH02189842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