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80B1 -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 Google Patents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80B1
KR100220280B1 KR1019940700990A KR19940700990A KR100220280B1 KR 100220280 B1 KR100220280 B1 KR 100220280B1 KR 1019940700990 A KR1019940700990 A KR 1019940700990A KR 19940700990 A KR19940700990 A KR 19940700990A KR 100220280 B1 KR100220280 B1 KR 100220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parent film
modulus
melt
micr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지. 조셉
제임스 에이 러스타드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컴퍼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3Microfiber, less than 100 micron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10S428/915Fraud or tamper det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6Fraud or tamper det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10T442/2754Pressure-sensitiv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5Autogenously bon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 모둘러스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연속상 및 얽힌 미세섬유 배열을 지닌 신장성 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신장시 수증기 통과율이 증가하며 불투명하게 변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필름, 구체적으로 변형시 불투명하게 변하는 필름을 지시하는 탬퍼(tamper)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 필름은 용융-팽창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웨브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는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성 또는 저 모둘러스 물질과 고 모둘러스 또는 비-탄성중합체성의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세로로 구분된 중합체층으로 구성된다.
[발명의 배경]
미합중국 특허 제3,841,953 호에는, 새로운 특성을 지닌 웨브를 수득하기 위해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융 팽창 섬유의 부직 웨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웨브의 문제점은, 중합체 접촉면으로 인해 각 섬유가 약해지며 이로써 섬유가 심하게 파손되어 약한 지점이 생긴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에 제시된 웨브의 인장 특성은 통상적으로 대응 단일 중합체 섬유로 제조된 웨브에 비해 떨어진다 이와 같은 웨브의 약화는, 웨브내 약한 지점이 비상화성(incompatible) 중합체 혼합물로 제조된 점과 웨브 중의 섬유가 너무 짧다는 점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용융-팽창 과정을 통해 2성분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4,729,3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중합체 물질은 180° 로 교차하는 2개의 도관으로부터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2 개의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이 합해져 상기 2개의 공급 도관과 90°를 이루는 세번째 도관을 통해 배출된다. 2개의 공급 스크림은 상기 세번째 도관내에서 층구조의 플로우스트림을 형성하는데, 상기 2층 구조의 플로우스트림은 용융-팽창 다이내에 일렬로 나란히 위치한 구멍으로 공급된다. 구멍으로부터 압출된 2층구조의 중합체 용융 스트림은 이어서 높은 풍속 감쇠 또는 "용융-팽창" 과정을 통해 미세섬유형태로 형성된다. 형성된 생성물은 구체적으로 필터 물질로 성형하는데 유용한 웨브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개시된 방법은 2-층 미세섬유를 제조하는데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는 웨브를 제조할 수 없는데, 이때 상기 웨브의 특성은 섬유 적층 배열 및/또는 층의 수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 신장성, 바람직하게는 고 강도의 웨브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저 모둘러스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층 및 고 모둘러스 또는 비-탄성중합체 물질의 인접층을 포함하는, 세로로 적층된 용융-팽창 미세섬유의 부직 웨브로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세섬유는, 먼저 매니포울드 수단에 각각의 중합체 용융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중합체 용융 스트림을 2개 이상의 별도의 스트림으로 분리시키는 임의 단계, 및 분리된 스트림을 비롯하여 모든 용융 스트림을 혼합하여, 바람직하게는 교번 방식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다른 중합체 물질 스트림의 세로로 분리된 층의 단일 중합체 용융 스트림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혼합된 용융 스트림은 이어서 미공을 통해 압출되어 고 정합성과 신장성을 지닌 용융-팽창 미세섬유의 웨브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섬유는 가온 및 가압하에 경화시 거의 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은 신장시 불투명하게 변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에 유용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2개 필름의 신장율과 함수관계인 불투명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4도는 실시예 16-19의 차동 스캐닝 열량계 발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5도는 실시예 17 및 19의 광각 X-선 산란 데이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실시예 20 및 21의 웨브 단면에 대한 스캐닝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실시예 6의 필름 상면에 대한 스캐닝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한 설명]
예를 들어 웬트. 반 에이.의 "Superfine Thermoplastic Fibers",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48권, pp 1342-1346) 및 웬트. 반 에이외 다수의 "Manufacture of Superfine Organic Fibers". 1954년 5월 25일자 해군 연구소 학술지 제4364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3,849,241 호(부틴 외 다수), 제3,825,379 호(로캠프 외 다수), 제4,818,463 호(뵈닝), 제4,986,743 호(뵈닝), 제4,295,809호(미카미 외 다수) 또는 제4,375,718 호(와즈워스 외 다수)에 거론된 장치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미세섬유를 제조했다. 이들 장치 및 방법은 본 발명의 과정에서 제1도의 다이(10)로 제시된 부분에 유용한데, 이 부분은 종래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
미세섬유는 미합중국 특허 제4,729,37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또는 본 출원과 함께 출원되어 공계류중인 특허 출원인 "다층 팽창 미세섬유 웨브로부터 제조된 신규 물질 및 물질 특성"(이.지. 조셉 및 디.이. 메이어에 의해 발명)에 거론된 바와 같은 도관 배열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 성분은 각각의 분리기, 분리기 영역 또는 혼합 매니포울드(20)로부터 다이(10)의 다이 공동(12) 내로 주입되고, 압출기(22, 23)로부터 분리기로 주입된다. 기어 펌프 및/또는 퍼지블록을 사용하여 중합체 유속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분리기 또는 혼합 매니포울드(20)에서는, 각각의 중합체 성분 플로우스트림이 단일층의 플로우스트림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각각의 플로우스트림은 다이(10)에 도달하기 전에는 가능한 장 시간동안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들)로부터 배출된 각각의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은 분리기(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또는 각각의 플로우스트림은 다이에 도달하기 직전에 혼합된다. 이는, 단일층의 플로우스트림으로 혼합된 후 플로우스트림의 분리를 유발시켜 다층의 미세섬유 중의 세로층들이 비-균일하게 비연속적으로 되도록 하는 불안정한 흐름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흐름의 불안정성은 또한 모둘러스, 온도 안정성, 또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다른 목적하는 특성과 같은 부직 웨브 특성에 대해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각각의 플로우스트림은 또한 평행한 유로를 따라 판형의 플로우스트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플로우스트림은, 혼합 지점에서 각각의 흐름이 판형이 되도록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로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생성된 혼합 층 구조의 플로우스트림 유로에 대해 서로 거의 평행을 이룬다. 이는 또한 혼합 과정 후 및 과정중에 별도의 플로우스트림의 측면 흐름의 불안정도 및 난류도를 최소화한다.
별도의 플로우스트림들을 혼합하는 전술한 단계에 적당한 분리기(20)는, 예를들어 2 또는 3개의 중합체 성분을 다층구조의 직선 용융 흐름형태로 형성시키는 매니포울드가 기재되어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3,557,265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이다. 각 압출기로부터 배출된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은 플리넘(plenums)으로 공급된 후 3개의 이용가능한 일련의 입구 또는 구멍 중 하나로 공급된다. 일련의 구멍들 각각은 하나의 플리넘과는 액상으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트림은 일련의 구멍들 중 하나를 통해 다수의 분리된 플로우스트림으로 분리되는데, 각 구멍들은 높이-대-폭의 비율이 약 0.01 내지 1이다. 3개의 플리넘 챔버로부터 각각 배출된 분리된 플로우스트림은 이어서 3열의 구멍을 통해 교차방식으로 단일 채널내로 동시에 공압출됨으로써 다층구조의 플로우스트림이 제공된다. 채널에서 혼합된 다층 구조의 플로우스트림은 이후, 매니포울드 구멍으로부터 압출된 각층의 높이-대-폭의 비가 상당히 작아지도록 변형되어(예, 코트 행어 전이 조각), 총 높이가 약 50 밀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15-30 밀 또는 그 이하인 다이 구멍에 적층된 혼합 플로우스트림으로 제공된다. 플로우스트림의 폭은 다이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플로우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장치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924,990 호(슈렝크); 제3,687,589 호(슈렝크); 제3,759,647 호(슈렝크 외 다수) 또는 제4,197,069 호(클뢰렌)에 개시된 것이 있는데, 상기 특허중 제4.197,069 호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을 필름 다이 배출구로 보내기 이전에 코트행어 전이 조각 또는 넥-다운(neck-down) 영역을 통과하는 다층구조의 단일 플로우스트림으로 합성시키는 매니포울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4,197,069 호의 배열에서는 다이 공동내에 별도의 흐름 채널이 존재한다. 각 흐름 채널에는 배압 공동 및 흐름제한 공동이 순서대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은 적당한 날개수단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수단을 적당히 배열함으로써 혼합된 다층의 플로우스트림 중 상대적인 층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날개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열에서의 다층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을 반드시 적당한 길이/폭 비율로 변형시킬 필요는 없으며, 혼합된 플로우스트림은 다이 공동(12) 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다층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은 다이 공동(12)으로부터 병렬 배열된 구멍(11)들을 통해 압출된다. 상기 거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출과정 이전에, 공동(12)에 적당한 형태로 공급물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종래의 코트 행어 전이 조각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압출된 적층구조의 용융 스트림에 균일하게 가열된 공기를 고속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공(18) 등이 구멍(11)열의 측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거의 용융 스트림과 비슷하나, 중합체 용융 온도보다 20℃ 내지 30℃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온의 공기는 고속으로 인출되어 압출된 중합체 물질을 희석시키는데, 이것은 통상적으로 다이(10)로부터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한 후 고형화된다. 고형화 또는 부분 고형화된 섬유는 이어서 공지된 방법을 통해 웨브로 형성되어 회수된다(도시되지 않음). 회수된 표면은 고형이거나, 평면 또는 드럼, 이동 벨트 등의 형태로 된 유공 표면일 수 있다. 유공 표면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회수 표면의 이면이 진공 또는 저압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섬유의 증착을 도울 수 있는데,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4,103,058 호(험리섹)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저압 영역은 필로우식 저밀도 영역을 지닌 웨브를 형성시킬 수 있다. 회수기는 통상적으로 다이면과의 거리가 3 내지 약 30 인치일 수 있다 회수기의 위치가 가까와 질수록, 섬유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속도가 빨라지며 불완전 냉각으로 인해 점도가 잔재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과 같은 원래 점성이 보다 높은 열가소성 물질에 특히 들어 맞는다. 회수기가 다이면에 보다 가까와지면(예를 들어 3 내지 12 인치가 바람직함), 섬유간의 결합이 강해지고 웨브의 로프트가 저하된다 회수기가 뒤로 이동하면 일반적으로 웨브의 로프트가 높아지며 응집력도 약화된다
분리기 영역중 중합체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고융점 성분이 압출기를 빠져나감에 따라 이것의 온도와 거의 같아진다. 이 분리기 영역 또는 매니포울드는 통상적으로 다이와 일체를 이루며, 동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각각의 중합체 플로우스크림의 온도는 또한, 중합체가 보다 적당한 상대 점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각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이 모여졌을때, 통상적으로 이들의 겉보기 점도는 150 내지 800 포이즈(모세관 유류 측정계로 측정)이어야 한다. 모여질 각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의 상대 점도는 통상적으로 잘 부합하여야 한다 경험상, 이는 용융물의 온도 및 회수된 웨브의 교차 웨브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교차 웨브의 특성이 균일할수록, 점도는 보다 잘 부합된다. 다이면상의 적층 혼합된 중합체 플로우스트림(들)의 전체 점도는 150 내지 800 포이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포이즈 이여야 한다. 상대 점도에서의 차이는 통상적으로, 각 중합체 플로우스트림이 처음 혼합되었을 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플로우스트림(들)의 겉보기 점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3,849,241 호(부틴 외 다수)에서와 같이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형성된 중합체 섬유의 크기는 감쇠 기류의 속도 및 온도, 구멍의 직경, 용융 스트림의 온도 및 구멍당 총 유속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공기 용적율이 높은 경우에는, 형성된 섬유의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이나, 공기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균일한 특성을 지닌 웨브를 수득하기가 좀 더 어려워진다. 그러나, 보다 적당한 공기 유속하에서는, 중합체의 평균 직경이 커지며, 섬유가 생성물, 일명 "로프"로 엉키는 경향이 증가한다. 이는 물론 중합체 유속에 따라 좌우되며, 중합체 유속은 통상적으로 구멍 1개당 0.05 내지 0.5gm/분이 적당하다. 예를 들어 25㎛ 또는 그 이상까지의 보다 올이 성긴 섬유는 큰 기공, 또는 올이 성긴 필터 웨브와 같은 특정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미세섬유는 회수되기 전에 다른 섬유 또는 입상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성 입상 물질 또는 섬유는, 미합중국 특허 제3,971,373 호 또는 제4,429,00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다층구조의 섬유로 융집된 웨브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특허에서, 별도의 두 용융 팽창된 섬유 스트림은 섬유 회수이전에 교차된다. 입상물질, 또는 섬유는 기류내로 유입되고, 이러한 입상물질-적재 기류는 이어서 두 미세섬유 스트림의 교차 지점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입자 또는 섬유가 용융-팽창 섬유의 단일 스트림으로 이동되는 것에 관한 미합중국 특허 제4,118,531 호, 제4,429,001 호 또는 제4,755,178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스태플 섬유, 벌크 섬유 또는 결합 섬유와 같은 입상 물질 또는 섬유를 혼입시키는 다른 방법도 본 발명의 용융-팽창 미세섬유 웨브에 사용할 수 있다.
회수전, 과정중 또는 그후에, 계면 활성제또는 결합제와 같은 다른 물질을 스프레이 제트 방식으로 웨브에 혼입할 수 있다. 회수전에 혼입한 경우에는, 섬유 또는 입자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세섬유의 스트림상에 물질이 분사되어 회수 표면상으로 이동한다.
웨브 형성후, 상기 웨브는 열 및 압력하에 경화되어 필름을 형성하는데, 이것은 거의 투명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은 탄성중합체 성분을 연화시키기에는 충분한 온도 및 압력으로, 바람직하게는 비-탄성중합체 성분은 연화되는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압착된다. 상기 필름은 상기 섬유를 투명한 필름으로 경화시키기에 충분한 기간동안 압착된다.
미세섬유는 한층 또는 층들을 형성하는 저 모둘러스 물질 및 그외 층 또는 층들을 형성하는 비교적 비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저 모둘러스 물질은 저 응력하에서 파손되지 않고 상당 정도(예를들어 약 100% 이상이 바람직함) 신장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영 모둘러스는 통상적으로 약 104내지 107N/㎡ 이고 바람직하게는 106N/㎡ 이하의 범위이다. 이것들은 통상적으로 신장된 후, 그 형태로 거의 복귀되는 물질인 탄성중합체이다. 그러한 탄성중합체는 적당한 신장률, 바람직하게는 약 300-500%로 신장시켰을 때 약 20%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또는 그 이하의 영구 변형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탄성중합체로는 실온에서 700-800% 이하, 및 그 이상이 신장될 수 있는 물질 또는 혼합물이 포함된다.
비교적 비-탄성인 물질은 통상적으로 탄성중합체의 저 모둘러스 물질과 공압출될 수 있는 보다 강성의 또는 모둘러스가 보다 높은 물질이다. 또한, 비교적 비-탄성의 물질은 탄성중합체의 저 모둘러스 물질이 거의 탄성 복귀되지 않는 신장율로 영구 변형 또는 냉각 신장되어야 한다. 이 물질의 영 모둘러스는 통상적으로 106N/㎡ 이상, 바람직하게는 107N/㎡ 이상이어야 한다. 다층 미세섬유로 제조된 필름 및 웨브는 웨브 파손없이 월등한 신장도를 지닌다. 이는 다층 섬유내 개별층 및 전체적으로 웨브의 섬유간의 관계에 따른 특성의 상보적 조합으로부터 기인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 특성은 경화된 필름중에 상당 정도 잔재한다.
경화된 필름에는 통상적으로 비-탄성중합체 물질의 미세섬유가 포함된 연속적 탄성중합체층이 있다. 이들 미세섬유는 경화된 탄성중합체층에 의해 함께 보유된 웨브 섬유중의 비-탄성중합체층과 거의 동일한 단면 치수를 지닌다. 비-탄성중합체 미세섬유는 평균 두께가 10㎛ 이하로, 그 두께는 1 ㎛ 이하일 수 있으며, 0.1㎛ 이하의 두께가 수득될 수 있다. 섬유 두께는 최소 섬유 단면 치수이다. 섬유는 얽힌 섬유의 연결망을 형성하게 된다. 비교해 보면, 비교적 높은 모둘러스의 경화된 웨브는 용융되지 않는다면 상당히 불투명하고 평평한 웨브일 것이며, 이러한 경우 강성 필름을 형성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비교적 낮은 모둘러스 물질은 얽힌 섬유망 또는 불투명한 웨브가 없는 필름을 형성할 것이다
테이프 배킹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필름은 부직 웨브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종래의 고온 용융, 용매 코팅등의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종래 기술, 예를 들면 리버스 롤, 나이프-오버-롤, 철사 권선 봉, 부유 나이프 또는 공기 나이프와 같은 방법에 의한 용매 코팅법, 슬롯 오리피스 코팅기, 롤 코팅기 또는 압출 코팅기에 의한 것과 같은 고온 용융 코팅방식에 의해 적당한 코팅 중량으로 도포할 수 있다. 웨브의 신장성은 이전에 도포된 접착제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와의 접촉시 이용가능한 접착제의 양은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력이 적당 수준까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테이프는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거시 그 기능이 상실된다(웨브 테이프 배킹은 제거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1회용으로만 맞게 제조된 제품과 용도를 지시하는 특정 탬퍼에 아주 적당한 테이프가 제조된다. 웨브가 연장 또는 신장된 후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압감성 접착제는 대부분의 용도에 바람직하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용융 팽창 기법에 따라 처리하기에 적당한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것으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예, 모르톤 티오콜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Morthane(상표명)") ; A 가 폴리스티렌과 같은 폴리(비닐 아렌)부분으로 형성되고, B 는 선형 디-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별 형태, 방사상 또는 측쇄형 공중합체 형태의 공역 디엔 또는 저급 알켄과 같은 탄성중합체 중간-블록인 A-B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KRATON(상표명)" (쉘 케미칼 컴패니)로 시판되는 탄성중합체 ; 폴리에테르에스테르(예, 악조 플라스틱스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Arnitel(상표명)") ; 또는 폴리아미드(예, 오토켐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Pebax(상표명)")가 있다. 공중합체 및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가능한 물질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탄성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탄성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공중합체가 있다. 상기 모든 물질의 혼합물도 가능한데, 단 생성된 영 모둘러스는 약 107N/㎡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6N/㎡ 또는 그 이하여야 한다.
매우 낮은 모둘러스의 탄성 중합체의 경우, 보다 큰 강성 및 강도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혼합물의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를 폴리비닐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과 같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특정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의 물질, 또는 쿠마론-인덴 수지와 같은 경화제로 할 수 있다.
점도 감소 물질 및 가소제를, 또한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합제및 공중합체와 같은 저 모둘러스의 신장성 물질 및 탄성중합체, 또는 굿이어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Wingtack(상표명) 지방족 탄화수소 점착 부여제와 같은 점착화 수지와 혼합할 수도 있다. 점착 부여제는 또한 비교적 비탄성의 층에 대한 탄성중합체 수지와 혼합할 수도 있다. 점착 부여제는 또한 비교적 비탄성의 층에 대한 탄성중합체의 저 모둘러스 층의 점착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예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액체 점착 부여제, 폴리터펜 수지 점착 부여제, 및 수소첨가된 점착화 수지가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비교적 비-탄성중합체 층의 물질은 상기 거론된 바와 같이 신장 및 영구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섬유를 형성한다. 유용한 물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알킬렌 ; 나일론 6과 같은 폴리아미드 ; 폴리스티렌 ; 또는 폴리아릴설폰이 있다. 일부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중합체 공중합체와 같은 일부 올레핀계 탄성중합체 물질 또는 일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기타의 에틸렌계 공중합체도 또한 유용하다.
통상의 첨가제는 임의의 물질 또는 중합체 혼합물 중으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상기된 2 종류의 층으로 형성된 웨브가 총 섬유 부피의 1 내지 99 부피%를 구성할 수 있으나, 탄성중합체 물질은 섬유 부피의 약 40% 이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수준 이하에서는 탄성중합체 물질이 고형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난 양으로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는 층의 갯수는 이론상으로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중 중합체 스트림을 고도로 적층된 배열로 분리 및/또는 혼합할 수 있는 매니포울드의 제조가 매우 복잡하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다이 구멍에 공급하기 적당한 칫수의 플로우스트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성형한 후 적당한 전이 조각을 통해 적층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보다 어려워질 수 있다. 실제층의 제한은 1,000층으로 간주되며, 이 경우에는 처리상의 문제점이 잠재적으로 부가되는 특성상의 잇점보다 더 부각될 것이다.
성형된 웨브는 목적하는 최종 용도에 적당한 어떠한 두께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용도에서는 0.01 내지 5㎝의 두께가 적당하다. 얇은 웨브는 얇은 필름을 제공하여 더욱 쉽게 변형될 것이므로, 탬버용으로는 이러한 얇은 웨브가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은 변형시 대부분 즉시 불투명하게 되며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필름은 최소한 이전에 신장되는 수준까지 신장 또는 변형된 후 어느 정도 탄성을 나타낼 것이다. 통상적으로, 길이를 약 5% 변화시킨 후에 신장에 따른 불투명도에서의 변화는 상당하다.
상기 필름은, 약 20% 또는 그 이상으로 변형 또는 신장시켰을 경우 수증기 통과율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1000%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또는 그 이상까지 증가하나, 물 또는 액체 홀드아웃(holdout)은 유지된다. 이는 대다수의 용도에 유리하다.
기재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약 35°이하의 각도에서 배킹을 신장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테이프 배킹으로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들 테이프는 부착 또는 연결 테이프 또는 제거성 라벨 등에 유용하다. 신장성 배킹은 영 모둘러스가 3.5×108N/㎡(50,000 PSI) 및 바람직하게는 3.5×107N/㎡ 내지 2×108N/㎡ (5,000 내지 30,000 PSI)인, 전달면을 따라 변형되며, 이로써 전달면에 응력이 집중된다. 이렇게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비교적 적은 힘에도 변형 전달면에서 접착제 파손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는 적은 힘으로도 기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깨끗이 제거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신장성을 지녀야 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점착화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압감성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와 같은 종래의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시, 상기 테이프는 신장되지 않거나, 낮은 한도(예, 정합성을 향상시킬 정도)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배킹은 여전히 고도로(예,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신장된다.
하기 실시예는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 및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인장 모둘러스]
조오 갭이 10.48㎝(2 인치)이고 크로스헤드 속도가 25.4㎝/분(10 인치/분)인 인스트론 인장 테스트기(모델 1122)를 사용하여 다층 BMF 웨브에 대한 인장 모둘러스 데이타를 산출하였다. 웨브 샘플의 폭은 2.54㎝(1 인치)였다. 웨브의 탄성 복귀도는, 샘플을 어느 정도 신장시키고 신장력을 해제한 후 샘플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어서 1분동안 샘플을 이완시킴으로써 판정하였다. 승온에서의 인장 모둘러스는 변형 완화 방식으로 Rhemotric(상표명) RSAⅡ로 측정하였다.
[광각 X-선 산란 테스트]
(파우어 HTK 온도 조절장치 및 고온 스테이지가 장착된) 필립스 APD-3600 회절계를 사용하여 X-선 회절 데이타를 산출하였다. 전력 튜브를 45kV 및 4㎃로 설정한 상태에서 구리 Kα 방사선을 사용하였고, 강도는 섬광 감지장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 25℃에서 단계별로 온도를 0.02℃ 씩 증가시키면서 2초의 계측 시간 동안 2-50°(2θ) 산란 영역내로 주사하였다.
[열성]
다층 BMF 웨브중 중합체 성분의 용융 및 결정화 특성은, 시스템 4 분석기가 설치된 퍼킨-엘머 모델 DSC-7 차동 스캐닝 열량 측정계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열 주사는 10 또는 20℃/분으로 수행하였는데, 융점이상에서 3분동안 유지시킨 후 10℃/분의 속도로 냉각시켰다. 용융 흡열량 및 결정화 발열량 아래의 면적을 통해 다층 BMF 웨브중 증합체 성분의 결정화도를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예를 들어, 웬트, 반 에이.의, "Superfine Thermoplastic Fibers",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48권, p1342 (1956)), 또는 1954. 5. 25 자 해군 연구소 학술지 제4364 호에 기재된 웬트, 반 에이. ; 분, 시 디 : 및 플루하티, 이.엘.의 "Manufacture of Superfine Organic Fibers"에 기술된 바와 유사한 용융-팽창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폴리우레탄 다층 BMF 웨브를 제조했는데, 단 상기 BMF 장치에서는 2개의 압출기가 사용되고 각 압출기에는 중합체 용융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기어 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각 펌프는 미합중국 특허 제3,480,502 호(키솔름 외 다수) 및 제3,487,505 호(슈렝크)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며 길이 : 직경이 5 : 1 인 매끄러운 표면의 원형 구멍(10㎝)이 있는 용융-팽창 다이와 연결되어 있는 5-층 공급블록(분리기) 조립체를 공급한다. 제1 압출기(260℃)는 800 용융 유속(MFR) 폴리프로필렌(PP) 수지(Escorene(상표명), 엑슨 케미칼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의 용융 스트림을, 약 260℃로 가열된 공급블록 조립체에 전달하였다. 약 220℃로 유지된 제2 압출기는 폴리(에스테르우레탄) (PU) 수지(Morthane(상표명) PS 455-200, 모르톤 티오 콜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의 용융 스트림을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공급 블록은 2개의 용융 스트림을 분리하였다. 중합체 용융 스트림은 공급블록으로부터 배출된 후 교대로 5-층 용융 스트림에 모여지는데, 외곽층이 PP 수지였다. 기어 펌프는, 25:75 펌프비의 PP:PU 중합체 용융물이 공급블록 조립체에 전달된 후 BMF 다이(260℃)에서 0.14㎏/시간/㎝ 다이 폭(0.8 1b/시간/인치)의 중합체 생산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하였다. 1차 공기 온도는 약 220℃로 유지하였으며, 압력은 0.076㎝ 갭의 폭을 지닌 균일한 웨브를 제조하기에 적당한 상태로 유지하였다. BMF 다이까지의 거리가 30.5㎝(12 인치)인 회수기에 웨브를 수거하였다.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5-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생성된 BMF 웨브의 기본 중량은 50g/㎡ 였다.
[실시예 2]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27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제조하되, PP와 PU 용융 스트림은 25:75 비율로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투명한 필름은, 약 60초동안 120℃ 및 178,000N에서 생성된 BMF 웨브를 압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액체 질소 온도에서 상기 필름을 파열함으로써 수득된 파열 표면의 현미경 사진을 통해, 승온에서 압착하여 투명한 필름을 형성한 후에도 다층 미세섬유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샘플의 불투명도는 등급이 0 내지 10인 바슈 앤드 롬 불투명도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신장률하에서 측정하였는데, 10은 완전히 불투명한 샘플을 나타낸다.
상기 샘플의 불투명도는 1.0 이었다.
[실시예 3]
약 60초동안 120℃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2의 2층 BMF 웨브를 압착 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측정된 불투명도는 1.5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력이 100g/㎡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27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및 PU 용융 스트림은 50:50 비율로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약 60초동안 120℃에서 178,000N 하에 상기 생성된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측정된 불투명도는 1.3이었다.
[실시예 5]
약 60초동안 120℃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4의 2층 BMF 웨브를 압착 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측정된 불투명도는 1.5였다.
[실시예 6]
약 60초동안 120℃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1의 1층 BMF 웨브를 압착 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불투명도는 1.1이었다.
표준 기술을 통해 이 필름을 스캐닝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였으며, 이것은 제8도에 제시하였는데, 이는 투명한 필름의 표면을 45°각도에서 250 배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300% 신장시켰는데, 이때 상기 필름이 불투명하게 변했다.
두 번째 스캐닝 전자 현미경 사진을 찍어 제9도에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불투명한 필름의 표면을 45° 각도에서 250배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신장된 필름은 필름 및 섬유 구조를 밝힌 것이다.
100 내지 300%의 신장율로 신장시켜 이 필름의 원상복귀 성능을 알아 보았다. 상기 필름을 늘린 후 1분 동안 완화시켰다. 탄성 복귀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각 샘플은 4회씩 테스트한 것이다. 상기 결과를 통해 필름이 어느 정도 탄성 복귀율을 지님이 증명되었다.
이전의 신장 지점까지 연이어 신장시켰을 때, 상기 필름은 상당한 탄성능을 보였다.
[실시예 7]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1의 2층 BMF 웨브를 압착 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불투명도는 1.0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다층 BMF 웨브를 제조하되, 폴리프로필렌 대신 폴리에틸렌(PE) 수지(ASPUN (상표명) 6806, 105 MI, 다우 케미칼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를 사용하고, 제1 및 제2 압출기는 약 210℃로 유지시키고, 공급블록 및 다이는 약 210℃로 가열하였으며, 용융 스트림은 27층 공급블록으로 전달하였다.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1층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불투명도는 1.0이었다.
[실시예 9]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8의 2층 BMF 웨브를 압착 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8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다층 웨브를 제조하되, PE 및 PU 용융 스트림은 50:50 비율로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1층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10의 2층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8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다층 웨브를 제조하되, PE 및 PU 용융 스트림은 75:25 비율로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약 60초 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1층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비교적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약 60초동안 125℃에서 178,000N하에 실시예 12의 2층(P28) BMF 웨브클 압착시킴으로써 비교적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인스트론 인장 테스트기(모델 1122)를 분당 2.54㎝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하고 개의 뼈 형태의 견본(1.73㎝×0.47㎝)을 사용하여 실시예 2-13의 투명한 필름에 대해 인장 모둘러스를 측정하였으며, 그 값은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이고 27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용융물은 각각 250℃ 및 210℃로 유지된 2개의 압출기로부터 250℃로 유지된 공급블록으로 전달하였고, 매끄러운 회수기 드럼은 BMF 다이로부터 13.2㎝ 떨어진 지점에 배치하였다. PE 및 PU 용융 스트침은 25/75 비율로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약 60초동안 125℃에서 6810㎏(66.8 kN)하에 BMF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2개 샘플에 대한 결과는 제2 도에 제시하는데, 이때 수평축은 측정된 신장율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불투명도 수치를 나타낸다. 처음에는 50% 신장율하에 측정하였으나, 신장 개시 직후에 불투명도의 변화를 나타냈다 이 샘플은 낮은 신장율로 신장시켰을 때에도 쉽게 불투명하게 변했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27 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대신 선형 저밀도의 폴리에틸렌(PE)(ASPUN(상표명) 6806, 105 MI, 다우 케미칼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을 사용하고, 210℃로 유지된 2개의 압출기로부터 PE 및 PU 용융 스트림을 25:75 비율로 210℃로 유지된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125℃에서 6810㎏(66.8 kN)하에 웨브를 압착시킴으로써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2개 샘플을 신장에 따른 불투명도 변화에 대해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는 제3 도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이하인 2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및 PU 용융 스트림은 2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고, 다이 및 대기 온도는 약 230℃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 이하인 3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및 PU 용융 스트림은 3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 이하인 5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및 PU 용융 스트림은 5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실시예19]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 이하인 27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P 및 PU 용융 스트림은 27층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5의 방식에 따라, 기본 중량이 100g/㎡ 이고, 평균 직경이 약 10 ㎛ 이하인 27층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BMF 웨브를 제조하되, PE 및 PU 용융 스트림은 75:25 비율로 공급블록에 전달하였다. 폴리우레탄을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세척 제거한 후 이 샘플의 단면에 대한 스캐닝 전자 현미경 사진(제6 도- 2000배)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절단하여, 부착시킨 후 표준 기술을 통해 분석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실시예 21]
기본 중량이 100g/㎡인 BMF 웨브를 실시예 20의 방식에 따라 제조하되, Morthane(상표명) PS 455-200 대신 PE 및 PU 용융물 폴리(에스테르우레탄)(PU) 수지(Morthane(상표명) PS 440-200, 모르톤 티오콜 코오포레이션에서 시판)를 사용하였고, 압출기 온도는 각각 230℃ 및 230℃로 유지하였으며, 용융 스트림은 230℃로 유지된 3층 공급블록에 75:25 비율로 전달하고, BMF 다이 및 1차 대기 공급 온도는 각각 225℃ 및 215℃로 유지하였으며, 회수기 거리는 30.5㎝ 였다 실시예 20에서와 같이 SEM 분석을 위해 샘플을 제조하되, PU는 제거하지 않았다; 제7 도(1000배).
하기 표 3은 PP:PU 조성이 25:75이나 미세섬유중의 층수는 달리한 일련의 BMF 웨브에 대한 모둘러스 값을 요약한 것이다.
PP/PU BMF 웨브의 결정화 특성에 대해 미세섬유 단면내 층수가 미치는 영향은, 차동 스캐닝 열량계를 사용하여 연구하였고, 그 결과는 제4 도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층수가 각각 2, 3, 5 및 27개인 팽창 미세섬유에 해당하는 실시예 16, 17, 18 및 19(각각 a, b, c 및 d)의 BMF 웨브의 결정화 발열을 검측한 결과, 실시예 19의 웨브에 대한 결정화 발열 피크가 층수가 보다 적은 팽창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웨브의 대응 피크 수치보다 약 6℃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데이타를 통해, 층수가 27개인 미세섬유에서 결정화 반응이 향상됨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또한 제5 도에 제시된 광각 X-선 산란 데이타를 검측함으로써 지지되며, 이로써 27층 미세섬유 웨브 샘플의 PP의 결정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e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로 PU를 세척 제거한 후의 실시예 19에 해당하고, f는 실시예 17에 해당한다).
당업자들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조절 및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설명을 위해 본문에 제시된 바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9)

  1. 영 모둘러스가 약 107N/㎡ 이하인 열가소성의 저 모둘러스 물질로 이루어진 거의 연속적인 층 및 신장성 비-탄성중합체 또는 고 모둘러스 물질로 이루어진 불연속 배열의 얽힌 용융-팽창 미세섬유를 지니고 ; 세로로 적층된 용융-팽창 미세섬유의 경화된 용융-팽창 부직 웨브로 형성되어 있으며 ; 저 모둘러스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층과 고 모둘러스 또는 비-탄성중합체 물질의 인접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층이 필름의 2.0 부피%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필름은 5 내지 50% 신장시 불투명도가 30% 이상 변하는 투명한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의 평균 두께가 10μ 이하인 투명한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의 평균 두께가 1μ 이하인 투명한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의 평균 두께가 0.1μ 이하인 투명한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압감성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모둘러스층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미세섬유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모둘러스 물질의 영 모둘러스가 106N/㎡ 이하인 투명한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모둘러스 물질이 탄성중합체인 투명한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가 106N/㎡ 이상의 영 모둘러스를 갖는 비-탄성중합체 물질로 제조되는 투명한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가 107N/㎡ 이상의 영 모둘러스를 갖는 비-탄성중합체 물질로 제조되는 투명한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20% 이상 신장시켰을때 필름의 수증기 통과율이 증가하는 투명한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2000% 이상 신장시켰을때 필름의 수증기 통과율이 증가하는 투명한 필름.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영 모둘러스가 3.5×108N/㎡ (50,000 PSI) 이하인 투명한 필름.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영 모둘러스가 3.5×107N/㎡ 내지 2×108N/㎡(5, 000 내지 30,000 PSI)인 투명한 필름.
  16. 스트림중 하나 이상이 107N/㎡ 이하의 영 모둘러스를 갖는 열가소성의 저 모둘러스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이중 하나 이상이 열가소성의 고 모둘러스 또는 비-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2 또는 그 이상의 용융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용융 스트림을 다층 용융 스트림으로 혼합하는 단계 ; 구멍을 통해 상기 적층된 용융 스트림을 압출시켜 희석 기류에 의해 다층 미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형성된 미세섬유를 부직 웨브로서 수거하는 단계 ; 및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열가소성의 탄성중합체 성분을 연화시키기에 충분한 열 및 압력하에서 상기 웨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웨브내 열가소성 물질 섬유의 평균 두께가 10μ 이하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웨브내 열가소성 물질 섬유의 평균 두께가 1μ 이하인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층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미세섬유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40700990A 1991-09-30 1992-08-11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KR100220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68,174 US5190812A (en) 1991-09-30 1991-09-30 Film material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768.174 1991-09-30
PCT/US1992/006672 WO1993007319A1 (en) 1991-09-30 1992-08-11 Film material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280B1 true KR100220280B1 (ko) 1999-09-15

Family

ID=2508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990A KR100220280B1 (ko) 1991-09-30 1992-08-11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90812A (ko)
EP (1) EP0606237B1 (ko)
JP (1) JP3345418B2 (ko)
KR (1) KR100220280B1 (ko)
CA (1) CA2114147C (ko)
DE (1) DE69207422T2 (ko)
WO (1) WO1993007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4470A (en) * 1988-09-23 1996-05-07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051241A (en) * 1988-11-18 1991-09-24 Pfefferle William C Microlith catalytic reaction system
US5238733A (en) * 1991-09-30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JP3134959B2 (ja) * 1992-03-17 2001-02-13 チッソ株式会社 複合メルトブロー紡糸口金装置
FR2704179B1 (fr) * 1993-04-19 1996-09-20 Guial Sa Materiau plan composite comportant un film perfore et des fibres thermoplastiques, utilis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704244B1 (fr) * 1993-04-19 1995-07-13 Guial Materiau plan composite comportant un film et des fibres thermoplastiques, utilis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CA2116081C (en)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US5707468A (en) * 1994-12-22 1998-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action-free method of increasing the integrity of a nonwoven web
WO1996026697A1 (en) 1995-02-28 1996-09-06 Tredegar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film formed by melt bonding fibers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film
US6066221A (en) * 1997-06-17 2000-05-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using zoned hot air knife
US6102039A (en) 1997-12-0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respirator containing sorbent particles
US6133173A (en) * 1997-12-01 2000-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woven cohesive wrap
USH1927H (en) * 1998-03-03 2000-12-05 Tredegar Corporation Embossed monolithic polymer film and process of forming the same
US6395376B1 (en) * 1999-01-22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adhesive device
US6273938B1 (en) 1999-08-13 2001-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hannel flow filter
US6416857B1 (en) * 2000-10-25 2002-07-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device
WO2004095401A2 (en) * 2003-04-21 2004-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information
US20080035103A1 (en) * 2004-02-23 2008-02-14 Donaldson Company, Inc. Crankcase Ventilation Filter
US8021457B2 (en) 2004-11-05 2011-09-20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a and structure
AU2005304879B2 (en) * 2004-11-05 2010-02-0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um and structure
US8057567B2 (en) * 2004-11-05 2011-11-15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um and breather filter structure
WO2006068542A1 (en) * 2004-12-20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visible patterns
CN101083966B (zh) * 2004-12-20 2010-11-10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包括一个或数个图样的吸收性物品
EA011777B1 (ru) 2005-02-04 2009-06-30 Дональдсон Компани, Инк. Фильтр и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картера
CN101163534A (zh) 2005-02-22 2008-04-16 唐纳森公司 气溶胶分离器
JP2010529902A (ja) * 2007-02-22 2010-09-02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イルタ要素及び方法
WO2008103821A2 (en) 2007-02-23 2008-08-28 Donaldson Company, Inc. Formed filter element
US8673040B2 (en) 2008-06-13 2014-03-18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onstruction for use with air in-take for gas turbine and methods
US10161063B2 (en) *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US9498932B2 (en) *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100266824A1 (en) * 2009-04-21 2010-10-21 Alistair Duncan Westwood Elastic Meltblown Laminate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100266818A1 (en) * 2009-04-21 2010-10-21 Alistair Duncan Westwood Multilayer Composite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heir Making
US8664129B2 (en) *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US8267681B2 (en) 2009-01-28 2012-09-18 Donalds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ibrous media
CN102333644B (zh) * 2009-02-27 2015-07-2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多层非织造原位层压体及其制备方法
US8668975B2 (en) *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5199998A1 (en) * 2014-06-27 2015-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ly stable meltblown web comprising multilayer fibers
US10676614B2 (en) 2016-04-20 2020-06-09 Clarcor Inc. High molecular and low molecular weight fine fibers and TPU fine fibers
US20170306563A1 (en) * 2016-04-20 2017-10-26 Clarcor Inc. Fine fiber pulp from spinning and wet laid filter media
US10112740B2 (en) * 2016-04-22 2018-10-30 JX Nippon ANCI, Inc. Tamper-evident mesh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502A (en) * 1965-11-22 1969-11-25 Dow Chemical Co Method of making christmas tinsel
US3487505A (en) * 1967-08-21 1970-01-06 Dow Chemical Co Laminates
US3557265A (en) * 1967-12-29 1971-01-19 Dow Chemical Co Method of extruding laminates
US3841953A (en) * 1970-12-31 1974-10-1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of thermoplastic blends by melt blowing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US3759647A (en) * 1969-04-10 1973-09-18 Turner Alfrey Us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layer plastic articles
US3684601A (en) * 1969-12-29 1972-08-15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of producing a soft outer surface of fine denier fiber on a nonwoven fabric
US3687589A (en) * 1970-07-20 1972-08-29 Dow Chemical Co Apparatus for the controlled extrusion of multi-component synthetic resinous bodies
CA1007015A (en) * 1971-09-27 1977-03-22 Walter J. Schrenk Coextrusion apparatus
US3825379A (en) * 1972-04-10 1974-07-23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Melt-blowing die using capillary tubes
US3971373A (en) * 1974-01-21 1976-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rticle-loaded microfiber sheet product and respirators made therefrom
US4103058A (en) * 1974-09-20 1978-07-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illowed web of blown microfibers
US4197069A (en) * 1976-05-21 1980-04-08 Peter Cloeren Variable thickness extrusion die
CA1073648A (en) * 1976-08-02 1980-03-18 Edward R. Hauser Web of blended microfibers and crimped bulking fibers
DE2936905A1 (de) * 1979-09-12 1981-04-02 Toa Nenryo Kogyo K.K., Tokyo Matrize zum schmelzblasen
US4375718A (en) * 1981-03-12 1983-03-08 Surgikos, Inc. Method of making fibrous electrets
US4429001A (en) * 1982-03-04 1984-01-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product containing sorbent particulate material
US4729371A (en) * 1983-10-11 1988-03-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spirator comprised of blown bicomponent fibers
US4755178A (en) * 1984-03-29 1988-07-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rbent sheet material
US4720415A (en) *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69163A (en) * 1985-12-12 1987-06-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olefin fiber roll
US4818463A (en) * 1986-04-26 1989-04-04 Buehning Peter G Process for preparing non-woven webs
US4781296A (en) * 1987-05-26 1988-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ffording an easy opening device for nonwoven thermoplastic fiber envelopes
US4929492A (en) * 1987-07-24 1990-05-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insulating fabric
US4939016A (en) * 1988-03-18 1990-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entangled nonwoven elastomeric web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U609963B2 (en) * 1988-05-13 1991-05-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omeric adhesive and cohesive materials
US4876123A (en) * 1988-06-27 1989-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mper indicating tape and delaminating film therefore
US4986743A (en) * 1989-03-13 1991-01-22 Accurate Products Co. Melt blowing die
US5073423A (en) * 1990-01-04 1991-12-17 Corning Incorporated Decalcoman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90812A (en) 1993-03-02
JPH06511037A (ja) 1994-12-08
EP0606237B1 (en) 1996-01-03
CA2114147C (en) 2003-12-16
WO1993007319A1 (en) 1993-04-15
JP3345418B2 (ja) 2002-11-18
DE69207422D1 (de) 1996-02-15
EP0606237A1 (en) 1994-07-20
CA2114147A1 (en) 1993-04-15
DE69207422T2 (de) 199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80B1 (ko)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필름물질
KR100221709B1 (ko) 다층 팽창 미세섬유계 와이프 물질
KR100240805B1 (ko) 다층 블로운 미세섬유를 기초로 한 향상된 모듈러스를 갖는 부직 웨브
KR100221706B1 (ko) 다층 팽창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온 안정성 부직 웨브
KR100226327B1 (ko) 다층팽창 미소섬유 기초한 연신성 부직웨브
US5248455A (en) Method of making transparent film from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KR100221708B1 (ko) 다층 팽창 미세 섬유 웨브로 제조된 신규물질 및 그 특성
TWI393633B (zh) 間歇式結合之纖維網層合板
KR100255571B1 (ko) 비등방성 탄성 섬유 웹을 포함하는 복합 탄성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A2106460C (en) Composite fabrics comprising continuous filaments locked in place by intermingled melt blown fiber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JPS6328570A (ja) 研磨用成層ウェブおよびその製法
JPS63109047A (ja) 弾性耐摩性積層材
SE468989B (sv) Icke-vaevd fiberbaserad bana av kontakthaeftande elast,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samt dess anvaendning i kompositmaterial
JP2005536647A (ja) 改良されたネック付与均一性を持つ不織ウエ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