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617B1 -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 Google Patents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617B1
KR100217617B1 KR1019960064888A KR19960064888A KR100217617B1 KR 100217617 B1 KR100217617 B1 KR 100217617B1 KR 1019960064888 A KR1019960064888 A KR 1019960064888A KR 19960064888 A KR19960064888 A KR 19960064888A KR 100217617 B1 KR100217617 B1 KR 10021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switch
switch
airbag cover
rod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529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6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07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유체를 채우고 이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작동되면서 접점을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여 에어백 커버의 전면 임의의 부의를 누르거나 떼기만 하면 혼 스위치가 ON/OFF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 및 용이한 조작의 혼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에어백 모듈 전체를 움직이게 할 때보다 에어백 모듈뿐만 아니라 혼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단순하게 만들 수 있고, 또 조작에 대한 응답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유체를 채우고 커버의 전면을 누르면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스위치가 ON 되면서 경적이 울릴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혼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에어백 모듈 전체가 움직이도록 한 구조에 비해 조작 감도를 높일 수 있고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여러 잇점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사고의 위험에 많이 부닥치게 되고, 그때마다 보통 경적을 울려 주변 차량이나 주위에 경고를 주게 된다.
에어백이 갖추어져 있는 자동차의 혼(Horn) 스위치를 휠 스포크에 있는 버튼식 스위치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를 개선한 휠 커버 전체를 눌러주는 방식의 혼 스위치가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에어백 모듈의 배면에 혼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에어백 모듈 전체를 눌러주게 되면 안쪽에서 혼 스위치의 접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에어백 모듈 전체를 움직이게 하면서 혼 스위치를 ON/OFF 시키는 방식은 에어백 모듈 뿐만 아니라 혼 스위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작시 에어백 모듈 전체를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에 조작에 대한 응답성 즉, 조작 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은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유체를 채우고 이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작동되면서 접점을 형성하고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여 에어백 커버의 전면 임의의 부위를 누르거나 떼기만 하면 혼 스위치가 ON/OFF 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 및 용이한 조작의 혼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에어백 모듈 전체를 움직이게 할 때보다 에어백 모듈 뿐만 아니라 혼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단순하게 만들 수 있고, 또 조작에 대한 응답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혼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추에이터 수단 11 : 유체
12 : 연결부 13 : 피스톤
14 : 걸림돌기 15 : 로드 끼움구멍
20 : 스위치 수단 21 : 스프링
22 : 로드 23 : 단자
24 : 하우징 25 : 걸림구멍
26 : 하우징 날개 100 : 에어백 커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곳에 유체(11)를 채우고, 공간부와 통하는 일측에는 길다란 관형태의 연결부(12)를 형성하여 여기에 유체(11)의 압력변화에 따라 일정거리를 움직이는 피스톤(13)을 설치한 구조로 구성된 액추에이터 수단(10)과, 스프링(21)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피스톤(13)과 접하여 움직이는 로드(22), 상기 로드(22)에 의해 눌려져 접점을 형성하는 2개의 단자(23), 상기 로드(22) 및 단자(23)가 설치되는 하우징(24)을 포함하면서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 측에 조합되는 스위치 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과 스위치 수단(20)은 각각 가직 있는 걸림돌기(14)와 걸림구멍(25)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도는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혼 스위치는 크게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밀폐가능한 구조로 채워진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소정의 거리를 움직이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접점 형성을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수단(10)과,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에 일체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접점을 형성하는 스위치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은 판형태를 하고 있는 에어백 커버(100)의 내부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박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공간부에는 비압축성 유체(11)를 채우고, 에어백 커버(100)의 배면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통하는 관형태의 연결부(12)를 연장 형성하여 이곳까지 유체가 채워지게 하면서 그 하단쪽에는 피스톤(13)을 내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의 피스톤(13)은 그 윗면이 유체(11)와 접해 있게 되므로 유체의 유동에 따라 이에 비례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에어백 커버(100)의 전면을 누르게 되면 그 안에 있는 유체(11)는 체적이 줄어든 만큼 압력변화를 일으켜 연결부(12) 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렇게 유체(11)가 유동된 양만큼 피스톤(13)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의 하단을 막고 있는 마감판의 중심에는 로드 끼움구멍(1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후술하는 스위치 수단(20)의 로드(22)가 연결부(12)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게 되며, 하단부의 둘레에는 양쪽 대칭을 이루는 적어도 2개의 걸림돌기(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후술하는 스위치 수단(20)의 하우징(24)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 수단(20)은 내부의 길이 중간에 칸막이를 가지면서 한쪽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있는 칸막이상에 지지되며 스프링(21)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및 복귀가능한 로드(22)와, 상기 하우징(24)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접점을 형성하는 2개의 단자(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4)은 개방부위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12)의 하단부위에 끼워지게 되고 연결부(12)에 있는 걸림돌기(14)가 양쪽의 걸림구멍(25)에 체결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하우징(24)이 연결부(12)에 결합되면 로드(22)는 연결부(12)의 마감판에 있는 로드 끼움구멍(15)을 통하여 그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피스톤(13)의 밑면과 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오게 된다.
또한, 하우징(24)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2개의 단자(23)는 로드(22)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게 되고, 그 중 1개는 탄력편으로 되어 있어 항상 떨어져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로드(22)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만 접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우징(24)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하우징 날개(26)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24)을 연결부(12)에 결합시킬 때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21)은 하우징(25)에 있는 칸막이의 저면과 로드(22)의 하단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양단이 각각 칸막이 밑면과 플랜지 윗면에 고정되게 되므로 로드(22)를 항상 윗쪽으로 당겨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로드(22)는 피스톤(13)에 의해 아래로 밀려 났다가 피스톤(13)의 복귀와 동시에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혼 스위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면적을 갖는 에어백 커버의 전면 임의의 부위를 살짝 누르게 되면, 그 안에 꽉 채워져 있는 유체는 커버가 눌려 들어간 만큼 연결부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도 함께 밀려 내려가면서 로드를 밀게 되므로서, 로드에 의해 2개의 단자가 접점을 형성하여 경적을 울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운전자가 에어백 커버를 누르고 있는 동안 지속되므로 경적이 계속적으로 울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백 커버에서 손을 떼게 되면 눌려졌던 커버가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연결부쪽으로 밀려나 있던 유체가 피스톤과 함께 재차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의 힘에 의해 로드가 위로 올려지게 되므로서, 2개의 단자가 떨어지면서 경적이 끊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에어백 커버의 배면 일측에 손쉽게 설치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혼 스위치를 제공하여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는데 이 혼 스위치로 인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모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또 혼 스위치를 구성하는 측면에서 볼 때에도 에어백 모듈과는 거의 관계없이 구성할 수 있으므로 혼 스위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혼 스위치 조작시 에어백 모듈 전체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에어백 커버의 전면 아무곳이나 살짝 눌러주기만 하면 경적을 울릴 수 있으므로 그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ON/OFF 시킬 수 있는 구조의 혼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 모듈 뿐만 아니라 혼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작시 그 조작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에어백 커버(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곳에 유체(11)를 채우고, 공간부와 통하는 일측에는 길다란 관형태의 연결부(12)를 형성하여 여기에 유체(11)의 압력변화에 따라 일정거리를 움직이는 피스톤(13)을 설치한 구조로 구성된 액추에이터 수단(10)과, 스프링(21)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피스톤(13)과 접하여 움직이는 로드(22), 상기 로드(22)에 의해 눌려져 접점을 형성하는 2개의 단자(23), 상기 로드(22) 및 단자(23)가 설치되는 하우징(24)을 포함하면서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 측에 조합되는 스위치 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10)과 스위치 수단(20)은 각각 가지고 있는 걸림돌기(14)와 걸림구멍(25)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
KR1019960064888A 1996-12-12 1996-12-12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KR10021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8A KR100217617B1 (ko) 1996-12-12 1996-12-12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8A KR100217617B1 (ko) 1996-12-12 1996-12-12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29A KR19980046529A (ko) 1998-09-15
KR100217617B1 true KR100217617B1 (ko) 1999-09-01

Family

ID=1948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88A KR100217617B1 (ko) 1996-12-12 1996-12-12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105A (zh) * 2016-12-14 2018-06-29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105A (zh) * 2016-12-14 2018-06-29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CN108216105B (zh) * 2016-12-14 2021-08-31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2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7627B (zh) 气囊装置及方向盘
US5497677A (en) Accelerator ped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AU695452B2 (en) Thermoplastic air bag cover having a unitary multifunctional domed switching module
JPH0664545A (ja) 小さい変位で作動し、保守の容易な運転者側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内のクラクション吹鳴用センタ・スイッチ
KR20060130701A (ko)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을 위한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모듈
FR2650544A1 (fr) Dispositif de rembourrage et de protection laterale pour paroi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P0560355A1 (en) Air bag module
KR100217617B1 (ko) 혼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US6426473B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7316414B2 (en)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EP0949125A2 (en) Steering device
KR100629340B1 (ko) 혼 스위치 겸용 에어백장치
JP2000225907A (ja) 車両用バンパ
EP0754597B1 (en) Driver's side airbag cover incorporating function switches
US6365853B1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ical switch
US6247723B1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ical contactor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6121558A (en) Steering column switch
KR10021093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센서
JPH0625405Y2 (ja) エアバッグ用カバー
KR20010061249A (ko) 공기압을 이용한 자동차용 혼 작동장치
KR970007514B1 (ko) 유체 백을 이용한 혼 스위치
GB2398277A (en) Spring mounted air bag cover with electrical switch
KR100521188B1 (ko) 차량의 스티어링휠
JPH0930939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