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815B1 -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815B1
KR100216815B1 KR1019950023714A KR19950023714A KR100216815B1 KR 100216815 B1 KR100216815 B1 KR 100216815B1 KR 1019950023714 A KR1019950023714 A KR 1019950023714A KR 19950023714 A KR19950023714 A KR 19950023714A KR 100216815 B1 KR100216815 B1 KR 100216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
window switch
control unit
fus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270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2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815B1/ko
Publication of KR97001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POWER WINDOW SWITCH)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그니션스위치(SW11)에 접속된 퓨즈를 소용량의 제1퓨즈(F11)와 제2퓨즈(F12)로 구성하고, 상기 제1퓨즈(F11)에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30)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40)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F12)와 접지점 사이에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10)를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F12)와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10)의 공통접속점에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20)의 일측을 접속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를 운전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15)와, 조수석과 후석좌측과 후석우측의 윈도우스위치위치를 나타내는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로 나누어,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키는 제어신호의 입력단(P점)과 접지점 사이에 상기 운전석야간조명 발광다이오드부(51)를 접속하고,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P점)에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20)와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30)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40)와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타 접속점을 윈도우로크스위치(SW12)를 통해 접지점에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1D14 : 발광다이오드 F11, F12 : 퓨즈
M11M14 : 윈도우구동모터 W1W8, W13W18 : 스위치
SW11 : 이그니션스위치 SW12 : 윈도우로크스위치
10 :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 20 :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
30 :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 40 :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
51 : 운전석 야간조명 발광다이오드부 51 : 승객석 야간조명 다이오드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POWER WINDOW SWITCH)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개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원선을 다수개로 분리하여 각각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가 쇼트(SHORT)되었을 시, 퓨즈(FUSE)의 용단을 용이하게 하여 화재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야간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야간조명 발광다이오드의 결선방법을 개선하여 야간에 윈도우로크스위치(WINDOW LOCK SWITCH)를 오프(OFF)하였을 경우 상기 야간조명 발광 다이오드도 함께 오프되도록 구성하므로 인해, 윈도우로크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그니션(IGNITION)스위치 (SW1)와 퓨즈(F1)를 통해 인가되는 자동차의 플러스(PLUS)(+)전원과 접지점 사이에, 윈도우구동모터(M1)와 윈도우작동스위치(S1)로 구성된 운전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1)가 접속되고, 상기 운전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1)에 윈도우로크스위치(SW2)를 통해, 윈도우구동모터(M2, M3, M4)와 윈도우작동스위치(S2S8, S13S18)로 구성된 조수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2)와, 후석좌측 윈도우스위치조작부(3)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조작부(4)가 병렬로 접속되고, 윈도우의 오르내림을 원터치(ONE TOUCH)로 동작시키는 원터치조작부(6)가 상기 운전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1)에 접속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률적으로 온(ON)/오프(OFF)되어 야간에 윈도우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6)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윈도우를 오르내리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는, 첫째, 운전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1)와, 조수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2)와,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조작부(3)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조작부(4) 모두가 상기 대용량(30A)의 퓨즈(F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운전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1)와, 조수석윈도우스위치조작부(2)와,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조작부(3)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조작부(4)의 어느 일측에 쇼트가 발생하였을 시, 상기 퓨즈(F1)의 용단시간이 지연되어 쉽사리 용단되지 않으므로 인해 과전류가 흘러 상기 윈도우조작스위치부의 구성요소를 손상시킴은 물론 화재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상기 윈도우로크스위치(SW2)를 오프하였을 경우 그 오프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상기 윈드우로크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4개의 윈도우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원선을 다수개로 분리하여 다수개의 퓨즈를 통해 각각 접속시켜 각각의 윈도우스위치가 쇼트되었을 시, 퓨즈의 용단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므로 인해 화재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야간에 윈도우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의 결선방법을 개선하여 야간에 윈도우로크스위치를 오프하였을 경우 상기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도 함께 오프되도록 구성하여, 윈도우로크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3도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그니션스위치(SW11)에 접속된 퓨즈를 소용량의 제1퓨즈(F11)와 제2퓨즈(F12)로 구성하고, 상기 제1퓨즈(F11)에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30)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40)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F12)와 접지점 사이에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10)를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F12)와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10)의 공통접속점에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20)의 일측을 접속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를 운전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1)와, 조수석과 후석좌측과 후석우측의 윈도우스위치 위치를 나타내는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로 나누어,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키는 제어신호의 입력단(P점)과 접지점 사이에 상기 운전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1)를 접속하고,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P점)에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20)와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30)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40)와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타 접속점을 윈도우로크스위치(SW12)를 통해 접지점에 접속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는, 상기 이그니션스위치부(SW11)에 접속된 퓨즈를 소용량의 퓨즈로 나누어 각각의 퓨즈에 상기 윈도우스위치제어부(10, 20, 30, 40)를 분등하여 접속시키므로 인해, 어느 일측의 윈도우스위치제어부가 쇼트되었을 시 즉각적으로 퓨즈(F11, F12)가 용단되므로 하여, 퓨즈의 용단 지연으로 인한 부품손상이나 화재의 위험을 제거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를 운전석용과 승객석용으로 나누고, 상기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를 상기 윈도우로크스위치(SW12)를 통해 접지점에 결선시키므로 인해, 상기 윈도우로크스위치(SW12)가 오프되었을 시, 상기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D11D14)도 같이 오프되어, 상기 윈도우로크스위치(SW12)의 오프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제1퓨즈(F11)와 제2퓨즈(F12)의 수에 상관없이 상기 윈도우로크스위치(SW12)를 오프하므로 인해 상기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52)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D11D14)도 같이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M11M14)는 윈도우구동모터를, (W1W8, W13W18)는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의 설명에서는 이그니션스위치에 접속된 퓨즈를 용량이 적은 2개의 퓨즈로 구성을 하여, 각각의 퓨즈에 윈도우스위치제어부를 균등하게 접속시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퓨즈를 다수개로 구성하여 각각의 퓨즈에 윈도우스위치제어부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는, 4개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원선을 다수개로 분리하여 각각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가 쇼트되었을 시, 퓨즈의 용단을 용이하게 하여 화재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야간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위치를 나타내는 야간조명 발광다이오드의 결선방법을 개선하여 야간에 윈도우로크스위치를 오프하였을 경우 상기 야간조명 발광다이오드도 함께 오프되도록 구성하므로 인해, 윈도우로크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이그니션스위치에 접속된 퓨즈를 소용량의 제1퓨즈와 제2퓨즈로 구성하고, 상기 제1퓨즈에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와 접지점 사이에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를 접속하고, 상기 제2퓨즈와 운전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의 공통접속점에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의 일측을 접속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를 운전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와 조수석과 후석좌측과 후석우측의 윈도우스위치 위치를 나타내는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로 나누어, 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키는 제어신호의 입력단과 접지점 사이에 상기 운전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를 접속하고,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에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의 일측을 접속하고, 상기 후석좌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와 조수석윈도우스위치제어부와 후석우측윈도우스위치제어부와 승객석야간조명발광다이오드부의 타접속점을 윈도우로크스위치를 통해 접지점에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KR1019950023714A 1995-08-01 1995-08-01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KR10021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714A KR100216815B1 (ko) 1995-08-01 1995-08-01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714A KR100216815B1 (ko) 1995-08-01 1995-08-01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70A KR970011270A (ko) 1997-03-27
KR100216815B1 true KR100216815B1 (ko) 1999-09-01

Family

ID=1942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714A KR100216815B1 (ko) 1995-08-01 1995-08-01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8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7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886E (en) Electrical system for vehicle daytime running lights
US6531837B1 (en) Control circuit between a port of a microprocessor and an actuator and method of maintaining the momentary state of an actuator during a dip in the supply voltage
US8129909B1 (en) Protected trailer lighting converter
US5120981A (en) Windshield wiper system activated lighting
US4841199A (en) Electrical system for vehicle daytime running lights
US4037197A (en) Automobile high beam glare warning device
KR100216815B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제어회로
US6734634B2 (en) Control system for daytime running lights
WO1994003967A1 (en) Vehicle light, windshield wiper control system
CN111381527B (zh) 车辆负载控制电路及方法
US20010054955A1 (en) Monitoring device for a control unit, preferably for controlling signal lights of motor vehicles
CN1089070C (zh) 车辆用转向指示灯点灯电路
JPH07296268A (ja) 間欠作動要素を持った装置特に自動車・障害警報装置における電気回路
KR0126608B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블형 헤드램프 포드 지연장치
JP2515121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方法
US3609449A (en) Vehicle headlighting and standby parking light system
KR100246883B1 (ko) 자동차의 포그램프 작동장치
KR100210924B1 (ko) 저전류 동작을 위한 자동차용 등화장치 제어회로
KR100187153B1 (ko) 후미등 겸용 브레이크등
KR0120678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소등 경고장치
KR100401772B1 (ko) 주간 운행등이 적용된 자동차용 고광도 헤드 램프 제어 회로
JPH08500069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及びワイパの制御システム
JPS6234832A (ja) ヘツドランプ自動点消灯装置
US20040052086A1 (en) Vehicle brake light system and method
KR19980038534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점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