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236B1 -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236B1
KR100216236B1 KR1019960069495A KR19960069495A KR100216236B1 KR 100216236 B1 KR100216236 B1 KR 100216236B1 KR 1019960069495 A KR1019960069495 A KR 1019960069495A KR 19960069495 A KR19960069495 A KR 19960069495A KR 100216236 B1 KR100216236 B1 KR 10021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ontrol program
control
update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650A (ko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2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확장을 시도할 경우 이미 출시된 이동 전화기도 새로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내장 프로그램을 갱신시킬 수 있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각각의 이동 전화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수신하여 제1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에 따라 제2 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갱신모드인 경우 이동 전화 교환장치에서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 교환장치에서 전화장치로부터 전화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전화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장치에서 이동 전화 교환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장치에서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로 제2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확장을 시도할 때, 이미 출시된 이동 전화기도 새로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내장 프로그램을 갱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에서 종래의 이동 전화 교환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에서 종래의 이동체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장치에서 이동 전화 교환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의 구성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장치에서 이동체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 전화 교환국(MTSO) 2, 3 : 기지국(Cell-Site)
4, 5 : 이동체 10 : 시스템 제어 처리기
11, 12 : 디지털 교환기 13 : 디지탈 보코더
14 : 다이버시티 조합기 20 : 안테나
21 : 아날로그 수신부 22 :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
23 :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 24 : 송신부
25 : 스피커 26 : 마이크
30 : 제어부 31 :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
101 :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부
110 :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부 111 :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
11 : 제1제어부 120 : 제1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
121 :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
본 발명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확장을 시도할 경우 이미 출시된 이동 전화기도 새로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내장 프로그램을 갱신시킬 수 있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 이하, MTSO라 한다), 기지국과 이동국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새로운 전화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확장을 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이동체 전화기를 상기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이 요구되어 졌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 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통상 시스템 제어 및 교환기인 MTSO(1)와 다수의 기지국(Cell-Site; 2, 3)과, 다수의 이동체(Mobile Unit; 4, 5)를 구성으로 한다.
제1도에서 MTSO(1)는 기지국A, B(2, 3)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PSTN(Public Switching Telephobne Network; 공중 전화망)과 기지국A, B(2, 3) 사이의 루팅(Routing) 및 기지국A, B(2, 3) 간의 루팅을 제어한다. 이때, MTSO(1)는 전화선, 광섬유 링크, 초고주파 링크 등을 통하여 기지국과 연결된다. 그리고, 기지국A, B(2, 3)는 50a-50b, 51a-51b, 52a-52b, 53a-53b와 같은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체I, J(4, 5)와 연결된다. 여기서, 기지국A, B(2, 3)과 이동체I, J(4, 5) 사이의 통신방법의 일례로 미합중국 특허 제5,416,797호에서 적용된 대역 확산 통신 기술을 들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MTSO(1)의 구성 블록도로서, MTSO(1)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10), 제1, 2 디지탈 교환기(11, 12), 디지탈 보코더(13), 다이버시티 조합기(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탈 보코더(Digital Vocoder, 12) 및 다이버시티 조합기(Diversity Combiner, 14)는 필요에 따라 추가하여 상기 제1, 2 디지탈 교환기(11, 12)에 접속할 수 있다.
제1도에서 통상 다이버시티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통화가 두 기지국A, B(2, 3)에서 처리되므로 MTSO(1)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 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MTSO(1)의 다이버시키 조합기(14)는 제2 디지탈 교환기(12)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정보를 조합하고 양질의 신호로 만든 후 디지탈 보코더(13)로 출력한다. 디지탈 보코더(13)는 다이버시티 조합기(14)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표준 포맷, 즉 64kbps PCM의 전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1 디지탈 교환기(11)로 전송하거나,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여 제2 디지탈 교환기(12)로 비트열을 출력한다. 제2 디지탈 교환기(12)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10)의 제어하에 MTSO(1)와 기지국A, B(2, 3) 사이의 루팅을 담당하고, 제1 디지탈 교환기(11)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10)의 제어하에 셀룰라 망과 PSTN 사이의 루팅을 담당한다. 시스템 제어 처리기(10)는 상기 제1, 2디지탈 교환기(11, 12)를 제어하여 MTSO(1)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루팅하므로서 통화국 기지국A, B(2, 3) 및 디지탈 보코더(13)에 적절히 할당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처리기(10)는 각 기지국A, B(2, 3)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한다.
제3도는 제1도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체I, J(4, 5)의 전화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일반적으로 안테나(20), 아날로그 수신부(21),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2), 디저털 기저대역 처리부(23), 송신부(24), 스피커(25), 마이크(26), 제어부(30),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31)를 구비한다.
제3도에서 안테나(20)는 도시되지 않은 듀플렉서(Duplexer)를 통하여 아날로그 수신부(21) 및 송신부(2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20)는 제1도의 기지국A, B(2, 3)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모아서 아날로그 수신부(21)로 전송하고, 송신부(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A, B(2, 3)으로 송출한다. 아날로그 수신부(21)는 안테나(20)로부터 고주파(이하, RF라 한다)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 주파수(이하, IF라 한다) 대역으로 변환하고, 대역 통과 필터(이하, BPF라 한다)를 이용하여 필터링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수신부(21)는 필터링된 신호를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양자화하여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2)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A, B(2, 3)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롯 신호를 검색하고, 아날로그 수신부(21)로부터 수신된 비트열을 2개 이상의 복조장치를 이용하여 복조한다. 그리고,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2)는 복조된 비트열을 다이버시티 조합하여 양질의 신호를 얻은 후, 오류정정하여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로 전송한다. 보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는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2)로부터 수신된 비트열을 디코딩하여 스피커(25)로 출력한다. 또한,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는 마이크(26)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로를 A/D 변환하고, 보코더에서 인코딩하여 송신부(24)로 전송한다. 송신부(24)는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에서 입력된 신호를 RF 대역으로 변환하여 안테나(20)를 통하여 기지국A, B(2, 3)으로 송출한다. 제어부(30)는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3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고,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31)는 전화기를 동작시키고 각종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할 경우, 이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이 필요하다.
한편, 이동 전화기의 내장된 프로그램 코드의 재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의 일례로 미합중국 특허 제 5,430,877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두 이동 전화기의 플래시(Flash)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의 등급이 다를 경우, 두 이동 전화기를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높은 등급의 프로그램을 가진 전화기로부터 낮은 등급의 프로그램을 가진 전화기로 프로그램을 재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프로그램의 교체가 두 전화기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Upgrade ; 이행)를 하는 방법에 적용하기 어렵다. 다시 말하여, 종래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추가에 따른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이동 전화기로는 추가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서비스가 추가될 때마다 새로운 전화기를 구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할 경우 이동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함으로써, 종래의 전화기로도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전화기 내의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MTSO에서 이동 전화기로 갱신할 제어 프로그램의 코드를 제공하여 이동 전화기에서 제어 프로그램의 해당부분을 교체기록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는 다수의 이동 전화 장치, 다수의 이동 전화장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를 갖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각각의 이동 전화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수신하여 제1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에 따라 제2 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갱신 모드인 경우 이동 전화 교환장치에서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 교환장치에서 전화장치로부터 전화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전화장치에 대응하는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장치에서 이동 전화 교환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장치에서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로 제2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외에도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장치에서 MTSO(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4도의 구성과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2도의 구성을 대비하여 보면, 제4도의 구성은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의 코드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도 구성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동작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도는 제4도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로서, 다수의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부(110),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1) 제1제어부(112)를 구비한다.
제4도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받아서 데이터베이스와하고, 후술될 이동 전화기 내의 제2제어부(30)와 기지국A, B(2, 3)를 통하여 제어명령을 주고 받는다. 또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는 상기 전화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제2 디지탈 교환기(12), 기지국A, B(2, 3)을 경유하여 후술될 이동 전화기로 출력한다.
이를 구체화하면, 제5도의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에서 전화기별 식별 정보의 개수(N개)에 따른 N개의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부(110)는 전화기별 식별 가능한 정보를 입력 받아서 각 전화기 종류에 맞는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발생시켜서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2)로 출력하다. 여기서, 상기 전화기별 식별 가능한 정보란, 전화기 제조 업체 또는 전화기에 내장된CPU의 종류 등의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 코드를 발생시키는 필요한 정보를 지칭한다.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1)는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부(110)들로부터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입력받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제1 저장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전화기 정보에 따라 해당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출력하여 제4도의 제2 디지탈 교환기(12)와 기지국A, B(2, 3)을 통하여 이동 전화기로 출력한다. 제1 제어부(112)는 후술될 이동 전화기 내의 제2 제어부(30)와 통신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주고 받으며, 전화기의 종류를 파악하여 전화기 식별정보를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1)로 전송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장치에서 이동 전화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6도의 구성과 종래의 제3도의 구성을 대비하여 보면, 제6도는 제3도의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31)를 제1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0)와,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1)로 나누어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3도와 중복되는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도에서 제1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0)는 제어 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는 부분을 저장하고 제2 제어부(30)로 프로그램 코드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저장부(120)는 일반적인 ROM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OS(Operating System) 및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위한 루틴, 전화기 제 루틴, 제어 프로그램 갱신 처리 루틴 등의 기본적이며 향후 변동 가능성이 없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1)는 갱신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2 제어부(30)로 프로그램 코드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121)는 제2 제어부(30)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입력받아서 교체기록한다. 이때, 상기 제2 저장부(121)는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d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교체기록이 가능한 ROM형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으며, 향후 서비스 확장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5,487,175호에 제시된 음성/데이터 동시 수신과 같은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가 저장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단계 200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의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부(110)에서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코드를 발생시켜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1)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 다음 단계 220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의 제1 제어부(112)는 전화기 식별정보를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전화기 식벽정보를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부(111)에 전송하여 해당 전화기에 맞는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여 해당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준비한다. 이어서, 단계 260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에서 이동 전화기로 갱신이 시작됨을 알리고, 이동 전화기는 제1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0) 내의 전화기 갱신처리 루틴을 시작하여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전송할 준비를 완료한다. 그리고, 단계 280에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에서 이동 전화기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전송하고, 이동 전화기는 상기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1)에 교체기록하여 제어 프로그램 갱신을 완료한다.
제8도는 상기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은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부(101)의 제1 제어부(112)와 이동 전화기의 제2 제어부(30) 사이의 상호 정보 교환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시점은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될 때이며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단계 190에서 제1 제어부(112)는 갱신모드인가를 판단하여 갱신모드가 아니면 정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190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갱신모드로 판별되면 200단계를 수행하여, 제어 프로그램 갱시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 다음 단계 221에서 제2 제어부(30)에 전화기 식별 정보를 요구하고, 단계 222에서 제2 제어부(30)는 전화기 식별 정보를 제1 제어부(112)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223에서 제1 제어부(112)는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가 식별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의하여 식별 불가능하면 갱신 실패시 처리 단계 224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계 224의 일례로는 직접 방문에 의한 프로그램 갱신 등이 될 수 있다. 223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정보가 식별 가능하면 단계 240을 수행하여, 제1 제어부(112)는 식별된 전화기에 해당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한다. 그 다음 단계 261에서 제1 제어부(112)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 시작을 알리는 코드를 제2 제어부(30)으로 전송하고, 단계 262에서 제2 제어부(30)는 상기 갱신 시작 코드를 전송받아 제1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120)내의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을 시작하고 제2 제어부(112)에 프로그램 갱신코드의 수신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이어서, 단계 281에서 제1 제어부(112)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제2 제어부(30)로 전송하고, 단계 282에서 제2 제어부(30)는 상기 전송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교체기록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112)는 단계 291에서 제2 제어부(30)와 상호 협의하에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시험하고, 단계 293에서 전송된 프로그램의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오류를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의하여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281단계로 복귀하여 재전송을 시도하거나 갱신 실패시 처리(단계 295)를 수행한다. 293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오류가 없으면 갱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이다. 한편, 제2 제어부(30)는 단계 282가 완료된 후, 단계 292에서 제1 제어부(112)와 상호 협의하에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고, 단계 294에서 전송과정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의하여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단계 282로 복귀하여 재전송을 시도하거나 갱신 실패시 처리(단계 296)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296단계는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294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오류가 없으면 갱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며,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새로운 서비스를 수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확장을 시도할 때, 이미 출시된 이동 전화기도 새로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내장 프로그램을 갱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전화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MTSO, 즉 서비스 제공자가 자동적으로 전화기의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시키므로 사용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MTSO는 더욱 많은 가입자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8)

  1. 다수의 이동 전화 장치, 다수의 이동 전화장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를 갖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모든 종류의 전화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와 하고 상기 각 전화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수신하여 제1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에 따라 제2 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루팅하는 디지탈 교환기와, 상기 루팅을 제어하는 시스템 베어 처리기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양질의 신호로 만들어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조합기와, 상기 다이버시티 조합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포맷변환하거나 인코딩하는 디지탈 보코더와, 상기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모든 종류의 상기 이동 전화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전화기로 제어 갱신코드를 출력하는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처리 수단은 N개의 전화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서 각 전화기의 종류에 맞는 전화기제어 갱신코드를 발생시키는 N개의 전화기 갱신코드 발생수단과, 상기 전화기 제어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화기의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출력하는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수단과, 상기 이동 전화장치의 제어부와 각종 제어 명령을 주고 받으며 전화기의 종류에 따른 식별정보를 상기 전화기 갱신코드 저장수단에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식별정보는 전화기 제조 업체 또는 전화기에 내장된 중앙처리기의 종류 등의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 변환하고 디지탈 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 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수신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오류정정하는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와, 상기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에서 수신된 비트열을 디코딩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탈 변환하고 인코딩하는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로터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제어 프로그램의 변경되지 않는 부분을 저장하는 제1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수단과,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가능한 부분을 저장하는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수단과, 상기 이동 전화 교환 장치의 제어부와 각종 제어 명령을 주고 받으며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
  6. 다수의 이동 전화 장치, 다수의 이동 전화장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를 구성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이 갱신모드인 경우 이동 전화 교환장치에서 모든 종류의 전화장치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교환장치에서 상기 전화장치로부터 전화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전화장치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장치에서 상기 전화 교환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갱신처리 루틴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장치에서 상기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들로 제2저장부를 교체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의 제1 제어부에서 전화기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전화장치의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요구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가 식별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서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 갱신 실패시 처리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서 식별이 가능한 경우 해당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갱신코드로 교체기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부에서 해당하는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부와 상기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제2 전화기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에 교체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시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프로그램 갱신코드를 시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시험단계에서 오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시험단계에서 오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KR1019960069495A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0216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95A KR100216236B1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95A KR100216236B1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50A KR19980050650A (ko) 1998-09-15
KR100216236B1 true KR100216236B1 (ko) 1999-08-16

Family

ID=1948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495A KR100216236B1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234A (ko) * 1997-05-22 1998-12-05 윤종용 셀룰라 무선 단말기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KR100506271B1 (ko) * 1997-12-30 2005-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센터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환경 데이터 갱신방법
KR100429628B1 (ko) * 2001-08-24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데이터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8160A (ko) * 2002-12-02 2004-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신규 단말서비스 추가 방법 및 시스템
KR100663497B1 (ko) * 2005-10-0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서비스정보 알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5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5571C (en) Up link macro d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in a digital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0944275B1 (en) Broadcast information delivering system
US5946634A (en) Mobile communications
US6349204B1 (en) Provision of telecommunications control program data pursuant to preliminary data exchange between system elements
US20070190950A1 (en) Method of configur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over a voice channel
NO317235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taleoverforing i et mobilkommunikasjonssystem
WO1997029606A1 (en) Telephone system
KR100216236B1 (ko)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갱신 방법 및 장치
JP3215053B2 (ja) 移動通信装置
KR100365340B1 (ko) 유.엠.티.에스 시스템의 안내방송 장치
JP2001043087A (ja) 無線通信端末のソフトウェア変更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JP3081076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アンテナ・ダイバーシチ方法
CA2151714C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JP2000308135A (ja) 移動無線端末
JP3201452B2 (ja) データ通信制御装置
KR19980050649A (ko)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
JP2002334032A (ja) データ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携帯端末装置
US7190953B2 (en) Method for downloading and selecting an encoding/decoding algorithm to a mobile telephone
EP0880865B1 (en) Telephone system
JPH1126632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通信端末装置
JP2007281896A (ja) 通信ソフトウェア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無線端末装置
KR100521042B1 (ko) 음성메일 센터를 이용한 폰북데이터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JPH0928483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H118708A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装置
JP3398091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