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179B1 -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단자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단자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179B1
KR100215179B1 KR1019960009132A KR19960009132A KR100215179B1 KR 100215179 B1 KR100215179 B1 KR 100215179B1 KR 1019960009132 A KR1019960009132 A KR 1019960009132A KR 19960009132 A KR19960009132 A KR 19960009132A KR 100215179 B1 KR100215179 B1 KR 10021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terminal
retaining
electrical connector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214A (ko
Inventor
신이찌 아이하라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6003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단자(6)는 대체로 명랭한 대향 측면 및 대함 에지를 한성한 긴 편평 본체부(8)를 포함한다. 접촉부(9)는 톤세부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접촉부(7)는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한다. 본체부(8)는 본체부의 각 에지 바깥에 성형된 보유 닙(12)율 갖는 보유부를 포함하고, 각 보유 닙은 본체부의 함쪽 측면으로부더 오프셋되고 대세로 평행한 편평면(l2a)을 한정한다. 본체부의 대함 축면이 통로의 대형축면(20)과 맞물릴 때, 브유 닙(12)의 편명면(12a)은 커넥터 하우징(2)내의 통로(5)의 함쪽 측면(22)과 결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만자 및 커넥터
제 1 도는 제 3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 2 도는 제 3 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
제 4 도는 커넥터의 상면도.
제 5 도는 커넥터의 측면도.
제 6 도는 제조중에 캐리어 스트림에 접속된 복수의 스탬프 및 성형된 단자의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선 7-7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커넥터의 단자 수남 영역에 걸친 확대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커넥터 하우징
3 : 전방 결함면 4 : 후방 접속면
5 : 단자 수납 퉁로 6 : 만자
7 : 말단부 8 : 본체부
8a : 보유부 9 : 접촉부
10 : 캐리어 스트림 11 : 치(teeth)
12 : 보유 닙 17a,17b : 하부 및 상부 내벽
19 : 마우스또는갭 20 : 명탄면
21 : 전방 연장 테이퍼면 23 : 협소부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 하우징내에 단자를 고정시키기 의한 개선된 보유 수단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형태의 입력/출력 전기 커넥터는 단자 수납 공동 수단을 구비한 전방결합면 및 후방면을 갖고 이 면들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수남 통로를 구비한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칸다. 하우징내에는 상보형 결함 커넥터의 단자와 결함되도록 제공된 단자의 전방 돌출 결함부 또는 접촉부를 구비한 복수의 단자가 장착된다.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칸 말단부와 같은 후방 연장 접속부를 갖는다. 흔히, 단자는 하우징의 통로내에 단자를 배치하여 단자를 알맞은 간격으로 정렬을 유지하도록 결함부와 접속부 사이에 확대된 본체부를 갖고 있다. 단자는 통상 도전성 금속 만재로 스탬프 및 성형된다.
종래의 단자의 확대된 본체부는 보유부를 포함하고 있었다. 통상적으로, 보유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각 단자 수납 통로의 측면에 끼이도록 단자의 양단으로부터 측방향 의향 돌출한 치가 성형된다. 다른 형태의 단자 보유 수만은 만자의 종축상에 중심 위치된 단자의 응기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측면 치 또는 중심 융기부는 각 만자 수납 통로 내부로의 단자의 이동을 막기에는 부적절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전기 커넥더 하우징의 통로내에 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보유 시스렘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보유 시스템 또는 수단을 전기 커넥더 하우징의 단자에 제공하기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단자는 명랭한 대향 측면 및 대향에지를 한정한 긴 편명 본체부를 포함한다. 접촉부는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접속부는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한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각 에지 바깥에 성형된 보유 닙을 갖는 그리고 본체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대체로 명랭한 편명면을 한정한 보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의 조항에 있어서, 보유 닙의 편평면은 적합한 전기 커넥터 하우징내의 통로의 한쪽 측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체부의 대향 측면은 통로의 대향 측면과 맞물린다.
본 명세서에 상술된 것처럼, 단자는 금속 만재를 스탬프 및 성형하여 형성된다. 각 보유 닙은 퉁로의 일부와 억지 끼워 맞춤되기 의해 본체부의 인접 에지의 외부로 돌출찬 치를 포함한다. 보유 닙은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본체부의 편명부를 남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체부의 대향 에지로부더 의향으로 돌출하고 보유부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치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치는 보유부와 단자의 접촉부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솜서 취한 다음의 상세찬 설명으로 명확해 칠 것이다.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의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과 함께, 본 발명은 동일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첨부 도면과 관련솜서 쥐찬 다음 설명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더욱 상세하게 삼조하면, 우선 제1도 내지 제 5 도에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2)을 갖는 전기 커넥터(1)로 구체와된다. 하우징은 전방 결합면(3) 및 후방 접속면(4)을 포함한다. 복수의 만자 수납 통로(5)는 상기 면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복수의 단자(6)는 금속 만재를 스탬프 및 성형하여 형성되고 하우징의 배면을 통해 통로로 삽임된다.
다음으로 제 6 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각 단자(6)는 편명 본체부(8)의 후방으로 연장한 점슥부 또는 말만부(7)를 포함한다. 접촉부(9)는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한다. 단자는 캐리어 스트림(10)에 접속된 각 만자의 접속부 또는 말단부(7)를 수반한 공지된 공정으로 스탬프 및 성형된다. 커넥터 하우징(2)으로의 단자 장착시에, 각 단자(6)는 파선(7a)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캐리어 스트림(10)으로부터 분리된다.
각 단자(6)의 본체부(8)는 편명 또는 명면 형상으로 되어있고 보유부(8a)를 포함한다. 보유부(8a)와 접촉부(9) 사이의 본체부의 대향 에지로부터는 한 쌍의치(11)가 의향 들출한다. 이하에 더욱 명확히 설명되겠지만, 브유 닙(12)은 본체부/보유부의 한쪽 측면(8c)으로부터 오프셋된 편명면(12a)을 한정하도록 본체부(8)의 보유부(8a)의 각 에지 바깥에 성형된다. 접촉부(9)는 단자의 U형 전방 단부의 한쪽 래그로서 성형되고, 이 U형 전방 단부는 접촉부와 본체부의 연장부(8b) 사이에 밴드부(13)를 포함하도록 성형된다. 제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9)는 본체부(8)로 기울거나 경사진다.
커넥터 하우징(2)의 전방 결함면(3)은 가요성 편평 케이블과 같은 편명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만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단자(6)의 접촉부(9)와 맞물리는 도체를 갖는다. 하우징(2)의 배면(4)은 전방 결합면(3)과 단자 수납 통로(5)에 의해 연통되는 만자 장착 영역을 함정한다. 각 단자 수납 통로(5)는 하부내벽(17a) 및 상부 내벽(1花)을 포함한다. 하부 내멱(17a)은 단자의 접촉부(9)와 대향하여 접촉부(9)와의 사이에 편명 케이블을 수납하는 입구부 또는 갭(19)을 영성한다. 하부 내멱은 대체로 하우징(2)의 외부 표면(18)에 평행하다.
각 단자 수남 통로(5)의 상부 내벽(17b)은 각 단자(6)의 편명 본체부(8)의 보유부(8a)에 대향한 명탄면(20)을 갖는다. 명탄면(20)은 대체로 하우징(2)의 외부표면(18)에 평행하다.
각 통로(5)의 상부 내멱(17b)은 본체부의 연장부(8b)의 영역에서 단자의 본체부(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된 전방 연장 테이퍼면(2l)을 갖는다. 이렇게 하면 단자가 보유부(8a)의 영역내에 보유되는 동안 단자의 접촉 단부의 면향을중가시킨다.
제 1 도 및 제 2 도와 관련하여 제 8 도를 참조하면, 각 단자의 보유부(8a)는 각 단자 수납 통로(5)의 대향 측면상의 대향 슬롯으로 삽입된다. 각 슬롯은 한 쪽 또는 상부 측면이 상부 내멱(1化)의 명탄면(20)에 의해 그리고 반대쪽 또는 하부 측면이 벽부(22)에 의해 한정된다. 한편, 단자 삽임 통로(5)로의 단자 삽입시에 보유부는 단자의 측면 에지에 대향하여 명탄면(20)과 벽부(22) 사이에 끼의진다. 제 6 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처럼, 단자의 전방 단부는 보유부(8a)보다 아주 좀기 때문에 접촉부(9) 및 단자의 전방 단부는 이들 슬롯에 결함하지 암게 할 수 있다.
제 8 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각 통로(5)의 각 대컁 측면상에 있는 각 슬롯의 벽부(22)는 하우징의 우방 삽입 단부의 방향으로 슬롯을 확장시키도록 테이퍼진다. 제8도는 또찬 각 성형 보유 닙(12)이 어떻게 보유부(8a)의 하부 측면 및 본체부(8)로부터 오프셋된 편명면(12a)에 성형되는가를 도시한다.
따라서, 단자(6)가 퐈살표 A방함으로 단자의 각 통로(5)로 삼임될 때, 대체로 성형 보유 닙(12)의 편명면 또는 명탄면(12a)은 통로(5)의 측면에 대향하여 슬룻 벽부(22)의 테이퍼진 표면과 결함하게 되지만 본세부(8) 및 보유부(8a)의 대향측면은 슬롯의 대향 측면에서 표면(20)과 결함하게 된다. 특히, 단자의 성형 보유 닙(12) 부분은 명탄면(20)과 테이퍼진 표면(22) 사이에서 억지 끼워 맞춤으로써 클램프된다. 따라서, 제 6 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성형 보유 닙(12)은 의향 돌출 치(12b)와 함께 스탬프된다. 상기 치들은 명탄면(20)과 테이퍼진 표면(22) 사이에서 각 단자 수남 통로(5)의 측면에 대향하여 슬롯의 측방향 측벽(도시되지 암음)에 끼이게 된다. 따라서, 치(11)도 또한 슬롯의 측멱에 끼이게 된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단자의 본체부(8)는 명탄면(20)과 벽부(22)의 전방 단부(22a) 사이에서 통로의 전방으로 테이퍼진 표면(22)과 클램프된다. 이러한 전체보유 시스렘은 단자 수남 통로 내부에서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어떠한 활동 또는 이동도 제찬한다.
편명 케이블은 하우징(2)의 전방 결함면(3)을 통해 마우스 또는 갭(19)으로 삼임되어 전기 커넥터(1)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만 및 기만상의 회로 트레이스에 연결된 말단부(7)와 상호 접속된다. 갭(19)으로의 편명 케이블 삽임시에, 만곡부(13)의 작용에 의한 단자의 접촉부(9)의 편향 의에, 본체부(8)의 연장부(8b)도 상부 내벽(17b)의 테이퍼진 표면(21)과 접촉할 때까지 편향된다. 그러므로, 접촉부(9)의 효과적인 스프링 길이는 팽창된다. 따라서, 편명 케이블의 삼입력이 감소될수 있다. 또한, 접촉부(9)와 편명 케이블상의 각 도체 사이에서의 전기 접속이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단자가 효과적인 스프링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특정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단자의 조립은 효과적이고 비용이 덜든다.
마지막으로, 단자(6)를 조립항에 있어서, 보유 닙(12)은 제 6 도에 도시된 본체부(8)의 보유부(8a)의 측면 에지 바깥에 성형되고, 보유 닙(12)은 닙들 사이에 본체부의 편명부(8c)를 남기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보유 닙(12)의 편명면(12a)에 대향한 편명부의 측면은 커넥터 하우징의 명탄면(20)과 효과적으로 맞물린다.
치를 의한 다른 샤프찬 프로필을 한정하기 위해 치(12b)는 성형 작동과 동시에 또는 후슥하여 보유 닙(12)으로부터 스램프 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정신적 또는 중심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앝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예들 및 실시예들은 설명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그 세부 사항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8)

  1.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유전체 하우징과,
    하우징내에서 횡단면으로 보아 대체로 평행한 대향 측면 및 대향 단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 수납 통로와,통로내에 수납되고, 평행함 대함 측면 및 대향 에지를 한정한 확대된 편명 본체부,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한 접촉부, 그리고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북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의 각 에지 바깥으로 성형된 보유 닙 및 본체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오프샛되고 대체로 명앵칸 편명면을 가진 보유부를 포함함으로써, 보유 닙의 펀명면은 상기 단자 수납 퉁로 중 하나의 대향 측면 중 하나와 결함하고 본체부의 대향 측면은 함쪽 측면에 대함한 통로의 측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금속 만재를 스탬프 및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닙은 각 퉁로의 대향 단부와 억지 끼의 맞춤되도록 본체부의 에지로부터 의향으로 돌출찬 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의 대향 에지로부터 의향으로 돌출하고보유부의 종방함으로 이격된 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는 보유부와 접촉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닙은 닙들 사이에 본체부의 편명부를 남기도록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자 수납 통로의 상기 명랭한 대향 측면은 보유 닙의 편명면과 본체부의 대향 측면 사이에서 억지 끼의 맞춤되도록 단자 삽입 방향으로 서로를 함해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단자 수남 통로는 보유부의 전방으로 본체부의 대향 측면을 클램프시키도록 상기 테이퍼진 대향 측면들 사이에 헙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60009132A 1995-03-30 1996-03-29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단자 및 커넥터 KR100215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97718 1995-03-30
JP7097718A JP2849600B2 (ja) 1995-03-30 1995-03-30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14A KR960036214A (ko) 1996-10-28
KR100215179B1 true KR100215179B1 (ko) 1999-08-16

Family

ID=1419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132A KR100215179B1 (ko) 1995-03-30 1996-03-29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단자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88149A (ko)
EP (1) EP0735618B1 (ko)
JP (1) JP2849600B2 (ko)
KR (1) KR100215179B1 (ko)
CN (1) CN1061179C (ko)
DE (1) DE69619011D1 (ko)
MY (1) MY112319A (ko)
SG (1) SG52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7380U (en) * 1996-08-28 1997-10-0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terminal
DE19644416C1 (de) * 1996-10-25 1997-11-20 Schroff Gmbh Kontaktelemen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von Leiterkarten mit einer vorderen Modulschiene eines Baugruppenträgers
US6093062A (en) * 1999-06-03 2000-07-25 Wieson Electronic Co., Ltd. Structure of a connector terminal
TW540838U (en) * 2002-05-22 2003-07-01 Benq Corp Electrical connector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20070221591A1 (en) * 2006-03-24 2007-09-27 Yang-Yuan Hsu Wedged sliding trough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548Y2 (ko) * 1977-01-24 1981-10-30
JPS5726305Y2 (ko) * 1978-03-27 1982-06-08
JPS5696474A (en) * 1979-12-28 1981-08-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Connector
JPS5995587U (ja) * 1982-12-18 1984-06-28 日本バ−ンデイ株式会社 可撓性導体用コネクタ
DE8318896U1 (de) * 1983-06-30 1983-12-08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Mehrfachsteckverbindung
JPS60130583U (ja) * 1984-02-10 1985-09-02 日本バ−ンデイ株式会社 コネクタ
US4679879A (en) * 1986-10-03 1987-07-14 Molex Incorporated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DE69230913T2 (de) * 1991-07-16 2000-12-07 Berg Electronics Mfg Flachbau-, oberflächenmontierter Steckverbinder mit gekrümmten freitragendenKontaktfedern.
US5362256A (en) * 1991-12-24 1994-11-08 Nec Corporation Connector
US5358413A (en) * 1992-12-08 1994-10-25 The Whitaker Corporation Right-angle board-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cision terminal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49600B2 (ja) 1999-01-20
JPH08273772A (ja) 1996-10-18
MY112319A (en) 2001-05-31
SG52577A1 (en) 1998-09-28
EP0735618A3 (en) 1999-02-24
CN1140345A (zh) 1997-01-15
DE69619011D1 (de) 2002-03-21
EP0735618B1 (en) 2002-02-06
KR960036214A (ko) 1996-10-28
US5688149A (en) 1997-11-18
EP0735618A2 (en) 1996-10-02
CN1061179C (zh) 200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700A (en) Low cost electrical connector
US4464003A (en) Insulation displacing connector with programmable ground bussing feature
US607422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put/output port connections
US5064391A (en) Asymmetrical high density contact retention
US6039606A (en) Cable connector
KR970004145B1 (ko) 향상된 단자 보유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3999095A (en) Lamp socket and bulb assembly with side contacts
KR100241845B1 (ko) 개선된 보유 수단을 갖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2627948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4993964A (en) Electrical connector environmental sealing plug
US6319021B1 (en) Power connector providing improved performance
US4436361A (en) Hermaphroditic back shell cover
KR870001866B1 (ko) 리브 케이지 단자
KR100227168B1 (ko) 전기 커넥터
US5766039A (en) Waterproof connector with pressing holes in seal member
US447442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KR960006149A (ko) 전기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CA1200864A (en) Rib cage terminal
US620335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assive clip
US6312294B1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100215179B1 (ko) 개선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단자 및 커넥터
KR100400150B1 (ko) 전기 커넥터
US4752246A (en) Preloaded spring contact electrical terminal
EP073561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712624B2 (en) Board mountable connector and board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