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15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150B1
KR100400150B1 KR10-2000-0071452A KR20000071452A KR100400150B1 KR 100400150 B1 KR100400150 B1 KR 100400150B1 KR 20000071452 A KR20000071452 A KR 20000071452A KR 100400150 B1 KR100400150 B1 KR 10040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axis
body portion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001A (ko
Inventor
이또나오또시
야마구찌시게또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20)는 길이방향 축(44)을 한정하고 축의 대향 측면들에서 2열의 단자 수용 통로(26)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통로들은 2열 내의 통로들의 인접 측면(46)들이 축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축을 따라 교대로 엇갈려 있다.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24)들이 통로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단자(24)는 비교적 넓은 본체부(70)를 포함하고, 비교적 좁은 접촉부(72)가 본체부의 일 측면(83)으로부터 돌출한다. 단자들은 축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는 배치 방향으로 통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단자들의 접촉부(72)들은 통로(26)들의 중첩하는 측면들 내에 배치되어 축(44)의 길이방향으로 1열의 접촉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크기의 격벽 또는 벽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밀접 이격된 단자들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대체로 금속 재료로 제조된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공동 또는 통로를 한정하는 몇몇 형태의 유전성 또는 절연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단자들은 개별 전기 와이어, 회로 기판 등의 여러 전기 요소들에 접속된다. 단자들은 상호 보완적인 결합 커넥터의 단자들과 결합하는 접촉부를 갖는다.
전술된 특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양호한 기계적 강도 및 단자들 사이의 적당한 전기 절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격벽 또는 내부벽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의 단자 수용 통로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불행하게도, 내부벽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단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의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의 단자들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열(row)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열 내의 각각의 단자는 내부벽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길이는 열 내에 있는 단자의 개수에 직접 비례한다. 하우징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단자의 열을 2개의 열로 분할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는 하우징이 소정의 응용에 대해 허용 가능한 것보다 넓게 될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의 폭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단자들 사이에서 상당히 큰 내부벽을 유지하면서 단자들이 커넥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밀접 이격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 또는 딜레마를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특징을 갖는 신규하고 개량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교번적으로 배치된 인접한 한 쌍의 단자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통한 전후방향의 확대 단면도.
도2는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
도3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면도.
도4는 하우징의 전방 단부면도.
도5는 하우징의 측면도.
도6은 도3의 선 6-6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7은 도3의 선 7-7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8은 하우징 내의 수 개의 통로의 후방부의 다른 확대 부분도.
도9는 도1a에서 단자를 볼 때 (가공 중에 캐리어 웨브에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단자들 중 하나의 평면도.
도10은 도9의 단자의 측면도.
도11은 단자의 저면도.
도12는 도10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3은 단자 보유기의 평면도.
도14는 단자 보유기의 정면도.
도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내의 단자 통로의 개략도.
도16은 종래 기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15와 유사한 개략도.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 형태 또는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기 커넥터
22 : 하우징
24 : 단자
26 : 단자 수용 통로
28 : 단자 보유기
44 : 축
70 : 본체부
72 : 접촉부 또는 접촉핀 부분
74 : 크림핑 부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고 축의 대향 측면들상에 2열의 단자 수용 통로를 갖는 절연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통로들은 2열 내의 통로들의 인접 측면들이 축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축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교대로 엇갈려 있다.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들이 통로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단자는 비교적 넓은 본체부를 포함하고, 비교적 좁은 접촉부가 본체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단자들은 축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는 배치 방향으로 통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단자들의 접촉부들은 통로들의 중첩하는 측면들 내에 배치되어 축의 길이방향으로 1열의 접촉부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단자들은 전도성 판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된다. 각각의 단자의 접촉부(contact portion)는 단자의 본체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본체부의 대향 단부에 접속부(terminating portion)가 배치된다.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접속부는 전기 와이어 상에 클램핑되도록 단자의 크림핑 부분(crimping section)을 포함한다. 접촉부는 본체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핀(pi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자 보유기(terminal retainer)가 하우징과 단자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어 단자를 하우징 내의 각각의 통로 내에 보유 유지한다. 단자 보유기는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단자 보유기는 하우징 내의 통로 내로 연장하고 단자와 보유 결합 상태로 되는 복수개의 핑거(finger)를 포함한다.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이 단자 보유기와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특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과 더불어 본 발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여, 우선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24)를 장착하는 유전성 또는 절연성 하우징(22)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20)로 실시되어 있다. 하우징(22)은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 재료로 주조 성형된다. 단자(24)는 양호하게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된다. 단자는 하우징 내의 공동 또는 통로(26) 내에 장착되어, 화살표 "A"(도1a 및 도1b)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기(28)는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하우징의 후방에 장착되어 단자(24)를 커넥터 하우징(22)의 통로(26) 내에서 보유 유지한다.
도1a 및 도1b를 계속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22)은 후방 단부(30) 및 전방 단부(32)를 갖는다. 단자 보유기(28)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부분은 아니지만, 상호 보완적인 결합 커넥터(34)는 전방 단부(32)에서 하우징과 결합된다. 일체형 피벗 가능 래치(36)가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서 결합 커넥터를 보유 유지한다. 결합 커넥터는 단자(24)의 (후술되는) 접촉핀 부분과 결합하는 복수개의 단자(38)를 포함한다. 도1a 및 도1b와 관련하여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2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자 보유기(28)와 래칭 결합하는 래치 돌기(42)가 돌출하여 있는 상부면 및 하부면(4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3 및 도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2)은 횡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어 길이방향 축(44)을 한정한다. 단자 수용 통로(26)가 축의 대향 측면 상에서 2열로 배열된 것을 볼 수 있다. 통로들은 2열의 통로들의 인접한 측면(46)들이 축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축(44)을 따라 교대로 엇갈려 있다. 바꿔 말하면, 축(44)을 따른 인접한 통로(26)들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역전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26)는 전술된 상호 보완적인 결합 커넥터(34)(도1a 및 도1b)를 수용하는 전방 공동(48)과 연통한다. 각각의 공동은 중앙 부분(50) 및 후방 부분(52)을 포함한다. 내부의 외팔보형 가요성 래치 아암(54)이 중앙 부분(50)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후향 결합 돌출부(56)는 가요성 래치 아암(54)에 대향하여 중앙 부분(50)에 배치된다. 확장된 오목 영역(58)이 후방 부분(52)의 측벽(60)에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도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크기의 격벽 또는 벽(62)이 각각의 열의 단자 수용 통로(26)를 분리하며, 축(44)의 대향 측면 상의 격벽 또는 벽은 주조 성형된 플라스틱 하우징의 일체형 웨브 부분(6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1a 및 도1b와 관련하여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자(2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도성 판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된다. 가공 동안에, 단자들은 단자들이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된 후에 절단되는 웨브(68)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 66)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는 중앙 본체부(70), 전방 접촉핀 부분(72) 및 후방 크림핑 부분(74)을 포함한다. 도10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70)는 접촉핀 부분(72)보다 상당히 넓다. 접촉핀 부분은 본체부의 일 측면에서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본체부와 대체로 동일 평면 내에 있다. 결합 플랩(76)은 본체부(70)의 대향 측면(78)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다. 후술되는 목적을 위하여, 창(window, 80)이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래치 리세스(latch recess, 82)가 본체부의 측면(83)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단자(24)의 크림핑 부분(74)은 한 쌍의 전방 크림프 아암(84) 및 한 쌍의 후방 크림프 아암(86)을 포함한다. 도1a 및 도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크림프 아암(84)은 전기 와이어(90)의 전도체(88) 상으로 클램핑되고, 후방 크림프 아암(86)은 전기 와이어의 외부 절연부 상으로 클램핑된다.
도1a 및 도1b와 관련하여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단자 보유기(28)는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주조 성형될 수 있는 대체로 U자형인 본체(92)를 포함한다. U자형 본체는 도1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 있고 도1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돌출한 복수개의 핑거(94)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래치 아암(96)이 도1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의 외부에서 그리고 도1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돌출한다.
전기 커넥터(20)의 조립에 있어서, 단자(24)는 전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도1a 및 도1b) 방향으로 하우징(22)의 단자 수용 통로(26) 내로 삽입된다. 단자들이 완전 삽입된 때, 통로의 중앙 부분(50) 내의 결합 돌출부(56)는 단자의 본체부(70)의 전방에서 창(80)으로 진입한다. 하우징 내의 가요성 래치 아암(54)은 단자의 본체부의 래치 리세스(82) 내에서 래칭 결합 상태로 스냅 결합한다. 단자들이 완전 삽입된 때, 단자의 접촉핀 부분(72)은 상호 보완적인 결합 커넥터(34)의 단자(38)와 상호 결합한다. 단자들을 커넥터 하우징의 각각의 통로 내에서 확실하게 보유 유지하기 위하여, 단자 보유기(28)도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하우징에 장착된다. 단자 보유기가 하우징 상에 완전 장착된 때, 단자 보유기 상의 래치 아암(96)은 하우징(22)의 상부 및 하부에서 래치 돌기(42)와 래칭 결합한다. 단자 보유기의 핑거(94)의 전방 말단부들은 단자의 본체부(70)의 후방에서 결합 플랩(76)에 맞닿아서 단자를 하우징의 각각의 대응 통로 내에서 확실하게 보유 유지한다.
도15 및 도18은 본 발명의 이점을 도시한다. 우선, 도15에 도시된 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98)이 복수개의 격벽 또는 벽(102)에 의해 분리되어 1열로 있는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100)를 가짐을 볼 수 있다. 벽들은 하우징을 위한 충분한 강도 및 통로들 사이의 적당한 절연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넓다. 불행하게도, 커넥터 내의 통로(즉, 단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격벽(102)이 충분히 두껍게 유지된다면 하우징(98)은 과도하게 길어진다.
커넥터 하우징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16에 도시된종래 기술에 따라 하우징(98) 내의 통로(100)를 2열로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하우징의 강도 및 통로들 사이의 적당한 절연을 제공하도록 적당한 벽(102)이 통로들 사이에 제공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도16의 하우징(98)은 많은 적용에 대하여 과도하게 넓을 수 있다.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이 도15 및 도16과 관련하여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하우징(22)의 단자 수용 통로(26)가 축(44)의 대향 측면들에서 2열로 배열되지만, 2열의 통로들의 인접한 측면(46)들이 축(44)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통로들이 축을 따라 교대로 엇갈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일체형 웨브(64)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열의 통로들 사이에 있는 상당히 큰 크기의 벽 또는 격벽(62)을 남겨 두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17 및 도18의 하우징(22)은 도15의 종래 기술의 하우징(102)보다 짧고 도16의 종래 기술의 하우징(102)보다 좁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예 및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설명하는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폭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단자들 사이에 상당히 큰 내부벽을 유지하면서 단자들이 커넥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밀접 이격된다.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양호한 기계적 강도 및 단자들 사이의 적당한 전기 절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내부벽이 제공된다.

Claims (12)

  1.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고 축의 대향 측면들에 2열의 단자 수용 통로를 갖고, 상기 통로들은 2열로 된 통로들의 인접 측면들이 축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축을 따라 교대로 엇갈려 있는, 절연성 하우징과,
    각각이 일 측면으로부터 좁은 접촉부가 돌출하여 있는 넓은 본체부를 포함하며, 축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는 배치 방향으로 통로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부들은 통로들의 중첩하는 측면들 내에 배치되어 축의 길이방향으로 1열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된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들과,
    단자를 하우징의 각 대응 통로 내에 보유 유지하도록, 상기 통로 내로 연장하고 접촉부에 대향하는 단자 본체부측과 보유 결합 상태로 되는 복수개의 핑거를 포함하는 단자 보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각각의 단자의 본체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며, 본체부의 대향 단부에는 접속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전기 와이어 상에의 클램핑을 위한 단자의크림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유기는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단자 보유기와 하우징 사이에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본체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고 축의 대향 측면들에 2열의 단자 수용 통로를 갖고, 상기 통로들은 2열로 된 통로들의 인접 측면들이 축을 따라 중첩하는 상태로 축을 따라 교대로 엇갈려 있는, 절연성 하우징과,
    각각이 일 단부 및 일 측면으로부터 좁은 접촉핀 부분이 돌출하여 있는 넓은 본체부와, 전기 와이어 상에 클램핑하도록 본체부의 대향 단부에 있는 접속 크림핑 부분을 포함하며, 축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는 배치 방향으로 통로 내에 위치되고, 단자들의 접촉핀 부분들은 통로들의 중첩하는 측면들 내에 배치되어 축의 길이방향으로 1열의 접촉핀 부분을 형성하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되고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들과,
    단자를 하우징의 각 대응 통로 내에 보유 유지하도록, 상기 통로 내로 연장하고 접촉부에 대향하는 단자 본체부측과 보유 결합 상태로 되는 복수개의 핑거를 포함하는 단자 보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유기는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단자 보유기와 하우징 사이에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0-0071452A 1999-11-30 2000-11-29 전기 커넥터 KR100400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896499A JP3837983B2 (ja) 1999-11-30 1999-11-30 電気コネクタ
JP99-338964 199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001A KR20010052001A (ko) 2001-06-25
KR100400150B1 true KR100400150B1 (ko) 2003-10-01

Family

ID=1832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452A KR100400150B1 (ko) 1999-11-30 2000-11-2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1379B1 (ko)
EP (1) EP1107392A3 (ko)
JP (1) JP3837983B2 (ko)
KR (1) KR100400150B1 (ko)
CN (1) CN12991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081B2 (en) 2001-05-31 2003-0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oat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staggered overlapping contact pattern
JP2005019282A (ja) * 2003-06-27 2005-01-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401877B2 (ja) * 2004-06-29 2010-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5618677B2 (ja) * 2010-07-30 2014-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US9147957B2 (en) * 2014-01-14 2015-09-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102014202316B4 (de) * 2014-02-07 2021-04-0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träger mit einem Grundkörper und wenigstens einem Kontaktelement, Werkzeug zum Spritzgießen eines Kontaktträger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trägers
KR101755856B1 (ko) * 2015-10-06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JP7001962B2 (ja) * 2018-04-27 2022-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811796B2 (en) * 2018-04-27 2020-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connector terminal to be used in the connector
US10461457B1 (en) * 2018-07-23 2019-10-2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housing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oint clip site
CN109378619A (zh) * 2018-10-17 2019-02-2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冲压式焊接端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7756A2 (en) * 1980-03-28 1981-10-14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636020A (en) * 1983-05-31 1987-01-13 Allied Corporation Inser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2257581A (ja) * 1988-12-28 1990-10-18 Amp Inc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組立体
US5295871A (en) * 1992-05-29 1994-03-22 Thomas & Betts Corporation High density cable connector assembly
US6036548A (en) * 1997-07-18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Double slot edge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700A (en) * 1977-10-12 1981-06-23 Bunker Ramo Corporation Low cost electrical connector
US4605276A (en) * 1983-03-30 1986-08-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wo row coaxial cable connector
JPH09129276A (ja) * 1995-11-06 1997-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DE29610993U1 (de) * 1996-05-31 1997-10-16 Itt Cannon Gmbh Kabelstec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7756A2 (en) * 1980-03-28 1981-10-14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636020A (en) * 1983-05-31 1987-01-13 Allied Corporation Inser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2257581A (ja) * 1988-12-28 1990-10-18 Amp Inc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組立体
US5295871A (en) * 1992-05-29 1994-03-22 Thomas & Betts Corporation High density cable connector assembly
US6036548A (en) * 1997-07-18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Double slot edge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55828A (ja) 2001-06-08
EP1107392A3 (en) 2002-05-29
US6361379B1 (en) 2002-03-26
CN1299168A (zh) 2001-06-13
JP3837983B2 (ja) 2006-10-25
EP1107392A2 (en) 2001-06-13
KR20010052001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952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blade receiving slots
US5788539A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US7033216B2 (en) Watertight connector
KR100241845B1 (ko) 개선된 보유 수단을 갖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3550067A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terminal
KR100231122B1 (ko) 개선된 배치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4317608A (en) Slotted pate terminal for stranded wire
US6769937B1 (en) Modular jack assembly for jack plugs with varying numbers of wires
US20040185703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DC contacts
WO2022083683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EP0568273B1 (en) Modular plug having enhanced cordage strain relief provisions
US452643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JP3097895B2 (ja) 電気コネクタ
US4030804A (en) Electrical terminal
USRE32760E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1506048A (ja) 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ンタクト
KR100400150B1 (ko) 전기 커넥터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KR100227168B1 (ko) 전기 커넥터
US6544050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5554047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supporting walls
US513367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6866538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ans
KR0141974B1 (ko) 개선된 단자 래칭 수단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5588877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blade cont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