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134B1 - 충전노즐 - Google Patents

충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134B1
KR100215134B1 KR1019930001376A KR930001376A KR100215134B1 KR 100215134 B1 KR100215134 B1 KR 100215134B1 KR 1019930001376 A KR1019930001376 A KR 1019930001376A KR 930001376 A KR930001376 A KR 930001376A KR 100215134 B1 KR100215134 B1 KR 10021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nozzle body
discharge pipe
nozzle
larg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808A (ko
Inventor
우에다미치오
미키다카오
이우치데쯔야
미키요시후미
Original Assignee
시고쿠 가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고쿠 가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고쿠 가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808A/ko
Priority to KR101996004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 B67C3/002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 B67C3/004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filling machine and movable between a rest and a wo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3/2634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or suction filling

Landscapes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충전 노즐은, 수직윈통형 노즐 본체(61)과 노즐 본체(61)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고정되고 또 노즐 본체(61)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출부(62a)를 지니는 공기배출관(62)와 하방 돌출부(62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 피충전 용기의 입구 연부에 당접시킬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상부 대경부(82) 및 동용기 입구부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하부소경부(83)를 가지며 또 대경부(82) 상면에 노즐 본체(61)의 바닥면에 대안 당접면(85a)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이동 가능한 토출관(64)와, 돌출부(62a) 외면 하단에 설치되며 또 노즐 본체(61) 하단면과 당접면(85a) 사이에 토출관(64)를 상하운동시킬 수 있는 간극 C를 형성하도록 소경부(83)의 하단들 수용하는 시이트링(63) 과 토출관(64)를 하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66)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관 대경부(82) 상면중, 적어도 당접면(85a)의 내측부분이 당접면(85a)과 동일 레벨 또는 그 이하의 레벨이되도룩 형성되어 있다. 노줄 본체(61)와 토출관(64)사이가 이들에 걸쳐서 부착되고 또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수직 원통형 패킹(67)로 밀봉되어 있다.

Description

충전 노즐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전체의 파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제 2 도는 동 충전기의 충전액 탱크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동 충전기의 충전 노즐의 수직 증단면도,
제 4 도는 동 충전기의 세정 장치의 수직 종단면도,
제 5 도는 동 세정 장치의 평면도,
제 6 도는 동 충전기 탱크내에서의 흡인 동작의 설명도,
제 7 도는 동 제정 장치에 의한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 8 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 9 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 10 도는 동 세정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동작의 설명도.
제 11 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충전 노즐의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초 받침대 12 : 수직 회전 지지축
13 : 충전액 탱크 14 : 용기 이송 테이블
15 : 충전 노즐 17 : 어댑터
21 : 개구부 24 : 밀봉 링
28 : 슬립 링 33 : 세정 파이프
36 : 3 방향 절환 밸브 61 : 노즐 본체
62 : 공기 배출관 62a : 하향 돌출부
64 : 토출관 66 : 스프링
82 : 하부 대직경부 83 : 상부 소직경부
85 : 아암 91, 92 : 플랜지
94, 95 : 캡 너트 96, 97 : 스러스트 와셔
본 발명은 쥬스와 같은 액체를 용기에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회전식 진공 충전기의 충전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증류의 충전 노즐로서,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원통형 노즐 본체(301)와. 노즐 본체(301)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노즐 본체(30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향 돌출뷔302a)를 가진 공기 배출관(302)과, 하향 돌출부(302a)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피충전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상부 대직경부(304a)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하부 소직경부(304b)를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부(304a) 상부면에 노즐 본체(301)의 하단면에 맞닿는 접촉면(304c)이 형성된 수직이동식 토출관(304)과, 하향 돌출부(302a)의 하단에 설치되고 노즐 본체(301)의 하단면과 접촉면(304c) 사이에 토출관(304)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소직경부(304b)의 하단을 지지하는 시트 링(303)과. 토출관(304)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렁(306)과, 노즐 본체(301)와 토출관(304) 사이를 밀봉하는밀봉 수단을 구비하며, 밀봉 수단이 접촉면(304c)의 내측에 직립된 형상으로 설치되고 노즐 본체(301) 내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직 미끄럼 이동식 안내통(305)으로 구성되는 충전 노즐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충전 노즐에서는. 노즐 본체(301)의 내면과 미끄럼 이동식 안내통(305)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밀봉성의 확보를 위해 0.05 mm 정도로 매우 작게 설정되어 있으나, 충전중 그 간극에 총전액이 유입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충전 노즐의 세정시 세정액을 노즐 본체(301)내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충전액을 제거할 수 없으며, 충전액을 제거하려면 노즐 본체(301)로부터 미끄럼 이동식 안내통(305)을 포함한 토출관(304)을 분해해야만 하였다.
이것이 바로 충전 노즐의 자동 세정을 도모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본 발명외 목적은 충전 노즐의 자동 세정을 달성하기 위해 노즐본체와 토출관을 분해함이 없이 충전 노즐의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충전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노즐은, 수직 원통형 노즐 본체와. 노즐 본체내를 상하로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노즐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를가진 공기 배출관과·하향 돌출부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피충전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상부 대직경부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내에 수 있어 충전 노즐의 자동 세정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제 1 도 내지 제 10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진공 총전기는 기초 받침대(11)상에 세워진 수직 회전 지지축(12)과, 지지축(12)의 상단부에 의해 그 바닥벽이 지지된 총전액탱크(13)와, 탱크(13)의 바닥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지지축(12)높이의 대략 중간에 고징된 용기 이송 테이블(14)과, 탱크(13)의 바닥벽 가장자리부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충전 노즐(15)과, 각각의 충전 노즐(15)의 바로 아레에 각각 위치하도록 용기 이송 테이블(14)의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승강 용기받침대(16)를 구비한다.
또한,2 개씩의 충전 노즐(15)에 대해 회수 파이프 접속용 어댑더(17)가 1 개씩 설치된다.
탱크(13)의 상단벽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원통형 개구부(21)가 설치된다. 개구부(21)의 상단 개구에는 덮개(22)가 형성된다. 개구부(21)의 외면상에는 한형의 제징액 회수용 물받이(23)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구부(21)의 상부면과 덮개(22)의 하부면 사이에는 이들의 전둘레에 걸쳐 경질의 합성수지제 슬립 링(28)이 개재되며, 그 내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 밀봉 링(24)이 개개된다. 슬립 링(28)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지점에서 오목부(28a)가 설치된다. 오목부(28a)에는 덮개(22)를 들어 올리기 위한 편심륜(25)이 배치된다. 편심륜(25)에는 회전 자재하게 덮개(22)에 부착되고 손잡이(26)를 구비하는 회전 조작축(27)이 연결된다.
편심륜(25)을 오목부(28a)의 바닥에 맞닿게 하여 그 편심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덮개(22)가 들어 올려져 슬립 링(28)과 덮개(22) 사이에 세정액 회수용 간극이 생기게 된다(도 2b에 도시된 상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덮개(22)의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접속 원통부(31)가 설치된다. 접속 원통부(31)의 상단벽에는 하단 스프레이 노즐(32)을 구비한 수직 세정 파이프(33)가 상기 상단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동시에. 접속 원통부(31)의 우측에는 수직 액체 공급 파이프(34)가, 그 좌측에는 수직 막대형 레벨하서(35)가 각각 관통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제정 파이프(33)의 상단 개구에는 액체 공급용 3 방향 절환 밸브(36)의 1 개의 통로가 접속된다. 액체 공급용 3 방향 절환 밸브(36)의 나머지 2 개외 통로중밸브(44)의 나머지 1개의 통로에는 액체 송출 펌프에 접속되고 그 일단부의 도시가 생략된 제 2 액체 송출 파이프(48)가 접속된다.
용기 이송 데이블(14)의 상부면의 내외측 중간부에는 환형의 제 2 회수 파이프(49)가 고정된다. 제 2 회수 파이프(49)의 일부분에는 수직 하향으로 배치된 J자형 접속 파이프(50)가 설치되며, 이 접속 파이프(50)는 도시 생략된 수단에 의해 회수 펌프에 접속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노즐(15)은 그 상단 개구가 탱크(13)내에 접속되도록 탱크(13)의 바닥벽에 현수된 수직 원통형 노즐 본체(61)와, 노즐본체(61)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노즐 본체(6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62a)를 가진 수직 공기 배출관(62)과, 하향 돌출부(62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수직 이동식 토출관(64)과, 공기 배출관(62)의 하단부 외면상에 공기 배출관(6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토출관(64)을 지지하는 시트 링(63)과, 토출관(64)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66)과, 노즐 본체(61)와토출관(64) 양측에 걸쳐 장착된 원통형 패킹(67)을 구비한다.
노즐 본체(61)는 상단부(7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연이어진 상부 대직경부(72) 및 상부 소직경부(73)로 구성된다. 상부 대직경부(72)의 내면 상단에는 공기 배출관 부착통(74)을 가진 스테이(Stay;75)가 설치된다. 상부 대직경부(72)의 의면 하단부에는 상부 수나사(76)가 형성된다.
상부 소직경부(73)에는 6 개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릿형 창(77)이 상부 소직경부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이들 창(77)을 통해 상부 소직경부(73)와 패깅(67) 사이에 세정액이 출입하게 된다.
공기 배출관(62) 높이의 대략 중간에는 계단부(78)가 설치되며. 계단부(78)로부터 위쪽으로 장착통(74)의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환형 홈(79)이 형성된다. 계단부(7S)가 장착통(74)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공기 배출관(62)의 계단부(78)보다 위쪽 부분을 장착통(74)을 통해 통과시키고 환형 홈(79)에 스토퍼(80)를 끼워 맞춤으로써. 노즐 본체(61)에 대해 공기 배출관(62)이 고정된다.
토출관(64)은 하단부(81)를 사이에 두고 상학로 연이어진 하부 대직경부(S2)및 하부 소직경부(83)로 구성된다. 하부 대직경부(82)는 피충전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하부 소직경부(83)는 상기 용기의 입구가장자리부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다. 하부 대직경부(82)의 상부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높이는 상부 소직경부(73)의 하부면 높이와 동일하다. 하부 대직경부(82)의 내면에는 내측을 향한 아암(85)이 설치되며. 그 선단부에는 공기 배출관안내통(84)이 설치되어 공기 배출관(62)에 끼워져 공기 배출관(62)을 둘러싼다.
아암(85)의 상부면 높이는 하부 대직경부(82)의 상부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높이보다 조금 낮으며. 아암(85)의 상부면의 기저부는 상부 소직경부(73)의 하단면에 맞닿는 접촉면(85a)으로 되며, 이 접촉면(85a)과 상부 소직경부(73)의 하단면 사이가 토출관(64)을 승강시킬 수 있는 간극(C)이 된다. 하부 대직경부(82)의 외면상단부에는 하부 수나사(86)가 형성된다.
하부 소직경부(83)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고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접촉 링(65)이 그 상부면을 하단부(81)에 맞닿도록 한 상태로 끼워져 소직경부(83)를 둘러싼다.
스프링(66)은 노즐 본체(61)와 공기 배출관(62) 사이의 간극을 지나서 스테이(75)와 아암(85) 사이에 끼워진다.
패킹(67)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에 의해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양단에 상하 플랜지(91.92)를 구비하며, 그 중간에 C자형 횡단면을 가진 환형 신축대(93)를 구비한다. 패킹(67)이 상부 소직경부(73)을 덮는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91)가 상단부(71)에 가압되도록 상부 수나사(76)에 상부 캡 너트(94)를 나사 결합하며. 하부 플랜지(92)가 하단부(81)에 가압되도록 하부 수나사(86)에 상부 캡 너트(95)를 나사 결합한다. 상하 플랜지(91,92)와 캡 너트(94,95)의 상단벽 사이에는 상하의 금속제 스러스트 와셔(96,97)가 각각 개재되며,이들 스러스트 와셔(96,97)에 의해 캡 너트(94,95)를 체결할 경우, 패킹(67)이 캡 너트(94,95)와 합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파이프 접속용 어댑터(17)는 편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상자형 액체 수납기(111)와, 액체 수납기(111)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 측방향 돌출형 도관(112)과, 일단부에서 도관(112)의 선단부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연결된 원통형 컨넥터(212)로 구성된다.
액체 수납기(111)의 상단벽에는 2 개의 충전 노즐(15)의 토출구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수납구(113)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수납구(113)의 상부면 가장자리부에는 밀봉 령(114)이 장착된다.
도관(112)의 선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둔 외면에는 플랜지(117)가 설치되며, 이 플랜지(117)로부터 앞쪽 부분에는 인입부(118)가 형성된다. 인입부(118)의 외면에는 0형 령(119)이 장착된다.
액체 수납기(111)의 측벽에는 L자형 판 형태의 현수 브래킷(115)이 고정 장착된다. 브래킷(115)의 상단부에는 버클식 자물쇠(116)가 부착된다. 버클식 자물쇠(116)는 맞물림 아암(121) 및 레버(122)를 구비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122)를 세운 상태에서는 맞물림 아암(121)이 탱크(13)의 후크(123)에 맞물리며, 레버(122)를 도시된 바와 같이 눕히면 브래킷(115)이 끌어 올려진 상태로 탱크(13)에 고정된다.
컨넥터(201)의 일단부에는 인입부(118)에 대응하는 수납부(211)가 설치된다.
컨넥터(212)의 타단부는 파이프 접속구(221)로 형성되며, 이 파이프 접속구(221)는 가요성 파이프(222)에 의해 제 2 회수 파이프(49)에 접속된다.
컨넥터(201) 길이의 대략 중간에는 한쌍의 지지 핀(213)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들출되어 설치되며, 이들 지지 핀(213)은 긔자형 브래킷(214)에 의해 탱크(13)의 바닥벽에 현수된 지지 블록(215)에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단계에서 제 2 개폐 밸브(42) 및 제 4 개폐밸브(44)를 개방하여 제 1 회수 파이프(45)와 제 1 흡입 파이프(46)가 접속되도록 회수용 3 방향 절환 밸브(41)를 절환하고 액체 숑출 펌프 및 회수 펌프를 운전하면,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액이 제 2 액체 송출 파이프(48)를 통해 기체-액체 분려 탱크(40) 및 제 1 홉입 파이프(46)내로 공급되어 제 1 회수파이프(45)를 통해 회수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단계에서 제 2 개폐 밸브(42)를 폐쇄하고 제3 개폐 밸브(43)를 개방하여 제 1 단계와 마찬가지로 기체-액체 분리 탱크(40)에 제정액을 공급하면, 이번에는 세정액이 제 2 홉입 파이프(47)내를 흐른 후 총전액탱크(13)내로 유입된다.
탱크(13)내에 유입된 세정액은 충전 노즐(15)내를 홀러 내려 그 토출구로부터 액체 수납기(111)내로 유입되고 도관(112) 및 컨넥터(212)내를 흘러 제 2 회수파이프(49)를 통해 회수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3 단계에서 제 1 액체 송출 파이프(37)와 제 1 개폐 밸브(38)가 접속되도록 액체 공급용 3 방향 절환 밸브(36)를 질환하고 제 1 체, 특히 공기 배출관(62) 내부가 세정된다.
이상 설명한 5 단계는 예컨대 온수, 알카리수 등의 여러 종류의 세정액을 교환해 가면서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상기 절차가 종료되면, 마지막으로 세정액으로서 물을 사용하여 제 5 단계에 준하여 회수 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액체 공급 파이프(34)를 통해 탱크(13)내에 물을 공급한다. 물은 탱크(13)를 범람할 때까지 계속해서 공급된다. 범람된 물은 물받이(23)에 의해 회수된다.
이상과 같이 세정 작업이 완료되면, 덮개(22)를 닫고 장착시와 반대 순서로 어댑터(17)를 층전노즐(13)로부터 때어내어 총전 작업의 준비가 완결된다.

Claims (4)

  1. 수직 원통형 노즐 본체(61)와, 노즐 본체(61)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노즐 본체(6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62a)를 가진 공기 배출관(62)과. 하향 돌출부(62a)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피충전 용기의 입구 가장자리부에 맞닿을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상부 대직경부(82) 및 상기 용기의 입구부내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하부 소직경부(83)를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부(82) 상부면에 노즐 본체(61)의 하단면에 맞닿는 접촉면(85a)이 형성된 수직 이동식 토출관(64)과. 하향 돌출부(62a)의 하단에 설치되고 노즐 본체(61)의 하단면과 접촉면(85a) 사이에 토출관(64)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소직경부(83)의 하단을 지지하는 시트 링(63)과, 토출관(64)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6)과. 노즐 본체(61)와 토출관(64)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을 구비하는 충전 노즐에 있어서, 토출관의 대직경부(82)의 상부면중 적어도 접촉면(85a)의 내측에 있는 부분이 접촉면(85a)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높이로 형성되며, 밀봉 수단이 노즐 본체(61)와 토출관(64)의 양측에 걸쳐 부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수직 원통형 패겅(6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총전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토출관(64)의 내면에 내측을 항한 아암(85)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암(85)의 선단부에 안내통(84)이 설치되며, 안내통(84)은 공기 배출관(62)에 끼워져 공기 배출관(62)을 둘러 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 본체(61)는 패킹(67)의 내부에 삽입된 소직경부(73) 및 그 상단에 이어진 대직경부(72)를 구비하며. 소직경부(73)에 그 내외를 연통하는 창(77)이 설치되며. 노즐 본체의 대직경부(72)의 외면에 상부 수나사(76)가 설치되는 동시에 토출관의 대직경부(82)의 외면에 하부 수나사(86)가 설치되며, 상부플랜지(91)가 노즐 본체의 대직경부(72)의 하부면에, 하부 플랜지(92)가 토출관의 대직경부(82)의 상부면에 각각 가압되도록 상하의 수나사(71,86)에 상하의 캡 너트(94.95)가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전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하의 플랜지(91.92)와 캡 너트(94,95) 사이에 상하의 스러스트 와셔(96,97)가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노즐.
KR1019930001376A 1992-02-03 1993-02-02 충전노즐 KR10021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23A KR100258517B1 (ko) 1992-02-03 1996-10-02 액체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516 1992-02-03
JP351692 1992-02-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23A Division KR100258517B1 (ko) 1992-02-03 1996-10-02 액체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808A KR930017808A (ko) 1993-09-20
KR100215134B1 true KR100215134B1 (ko) 1999-08-16

Family

ID=115595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76A KR100215134B1 (ko) 1992-02-03 1993-02-02 충전노즐
KR1019960043623A KR100258517B1 (ko) 1992-02-03 1996-10-02 액체 충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23A KR100258517B1 (ko) 1992-02-03 1996-10-02 액체 충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54951B1 (ko)
JP (1) JP2594657Y2 (ko)
KR (2) KR100215134B1 (ko)
DE (1) DE69301159T2 (ko)
DK (1) DK0554951T3 (ko)
TW (1) TW3085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797A (ja) * 1997-12-02 1999-06-22 Shikoku Kakoki Co Ltd 充填ノズ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US6338370B1 (en) 2000-05-31 2002-01-15 Fogg Filler Company Fill valve assembly for fille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4631146B2 (ja) * 2000-10-05 2011-02-1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充填ノズルの洗浄装置
US6786248B2 (en) 2001-10-11 2004-09-07 Fogg Filler Company Fill valve assembly for filler device
US6889482B2 (en) 2002-10-10 2005-05-10 Fogg Filler Company Filler device sub-assembly
JP4668882B2 (ja) * 2006-10-17 2011-04-13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真空充填方式のロータリー充填機
ES2342644B1 (es) * 2008-03-17 2011-04-28 Gallardo Ingenieria Del Embotellado, S.L. Equipo de limpieza para una maquina llenadora de botellas.
JP5232568B2 (ja) * 2008-08-12 2013-07-10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炭酸飲料用無菌充填装置
DE102012019161A1 (de) * 2012-09-28 2014-04-03 Khs Gmbh Füllmaschine
DE102013109965A1 (de) * 2013-09-11 2015-03-12 Krones Ag Vorrichtung zum Dosieren eines Füllprodukts in einen zu befüllenden 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5591A (en) * 1962-12-19 1965-03-30 M R M Company Inc Sanitary dispensing nozzles for filling machines
JPS4213179Y1 (ko) * 1965-04-16 1967-07-26
US3756290A (en) * 1971-12-02 1973-09-04 K Cleland Volumetric filler system for flexible resilient bottles
JPS58174499U (ja) * 1982-05-19 1983-11-21 株式会社深尾鉄工所 液体充填機の自動排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8579B (ko) 1997-06-21
KR100258517B1 (ko) 2000-06-15
DK0554951T3 (da) 1996-02-05
KR930017808A (ko) 1993-09-20
JPH0581096U (ja) 1993-11-02
JP2594657Y2 (ja) 1999-05-10
EP0554951B1 (en) 1996-01-03
EP0554951A1 (en) 1993-08-11
DE69301159T2 (de) 1996-05-30
DE69301159D1 (de) 199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532B1 (ko) 충전기의 세정장치
KR100215134B1 (ko) 충전노즐
MX2012003764A (es) Maquina de llenado proporcionado con un dispositivo de limpieza en sitio que tiene elementos de recoleccion individuales.
US3430639A (en) Cleaning means for liquid dispensers
US2746663A (en) Filling nozzle f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CN107582298A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取液装置
CN107475999A (zh) 洗衣机投放系统和洗衣机
CN217963973U (zh) 一种大容积试剂瓶清洗架
US4003710A (en) Chemical feeder for water softeners
CN217528592U (zh) 实验室容器清洗装置
CN206303741U (zh) 一种饮料桶出料口结构
US3285299A (en) Container sealing and filling means
CN215962485U (zh) 一种新型过滤机进口分配装置
CN217869228U (zh) 一种纺丝油剂槽
CN218692352U (zh) 一种试剂瓶整框批量清洗装置
CN213131971U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防倒吸装置
CN217578299U (zh) 一种灌装阀
CN218423717U (zh) 一种三元催化剂载体的涂覆装置
CN215487802U (zh) 一种沙缸转换阀
RU2104102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осудов с клапаном под наполнение пищевы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6099553U (zh) 一种用于茶杯的喷釉装置
CN211026344U (zh) 一种化工用塔釜罐
CN215324241U (zh) 一种减少电解液残液的电解液桶
CN219378290U (zh) 一种自动化的固相萃取装置
CN214699342U (zh) 一种用于吸收瓶清洗的全自动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