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53B1 -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953B1
KR100214953B1 KR1019950041269A KR19950041269A KR100214953B1 KR 100214953 B1 KR100214953 B1 KR 100214953B1 KR 1019950041269 A KR1019950041269 A KR 1019950041269A KR 19950041269 A KR19950041269 A KR 19950041269A KR 100214953 B1 KR100214953 B1 KR 10021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uxiliary mat
fixing device
vehic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358A (ko
Inventor
임문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953B1/ko
Publication of KR97002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조 매트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필요시 용이하게 매트를 분리할 수 있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사에 의해 차량의 플로어 상에 배치된 카페트 및 보조 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중앙에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플레이트 상에 끼워진 보조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편을 지닌 제 2 플레이트와, 스프링을 개재하여 제 2 플레이트에 형성된 사각홈에 삽입되는 연장부를 지닌 캡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매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매트 고정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나사 18 : 제 1 플레이트
22 : 제 2 플레이트 28 : 스프링
30 : 캡 40 : 보조 매트
본 발명은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조 매트를 견고히 고정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에는 카페트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매트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보조 매트의 고정상태를 보면, 보조 매트의 밑면에 다수의 돌기를 만든 다음, 카페트 표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밀림을 방지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조 매트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바, 이를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종래의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이것은 프론트 시트(10)를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11)에 통상 스틸로 제조된 후크(12)를 설치한 다음, 보조 매트(13)를 이 후크(12)에 걸어 맞춤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후, 카페트와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장시간 사용할 때 보조 매트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후크를 이용한 방식의 고정장치 역시, 보조 매트를 견고히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매트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에 의해 차량의 플로어 상에 배치된 카페트 및 보조 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중앙에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플레이트 상에 끼워진 보조 매트를 가압하는 가압편을 지닌 제 2 플레이트와, 스프링을 개재하여 제 2 플레이트에 형성된 사각홈에 삽입되는 연장부를 지닌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에는 첨부한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이것의 구성을 보면, 나사(16)에 의해 차량의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카페트(38)와 보조 매트(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플레이트(18)와, 중앙에는 사각홈(24)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플레이트(22)와, 스피링(28)을 개재하여 제 2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사각홈(24)에 삽입되는 연장부(32)를 구비한 캡(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 1 플레이트(18)에는 나사(16)가 체결되는 체결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시에는 보조 매트(40)에 형성된 장홈(42)에 제 1 플레이트(18)를 삽입한 다음, 90°의 각도로 회전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플레이트(22)의 중앙에는 캡(30)에 형성된 연장부(32)가 삽입되는 사각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조립시에 보조 매트(40)를 견고히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톱니 형상의 가압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레이트(22)와 캡(3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8)은 조립후에 반력을 제공하여 캡(3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캡(30)에는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32)는 제 2 플레이트(22)의 중앙 사각홈(24)에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나사(16)를 제 1 플레이트(18)의 체결구멍(20)에 삽입한 다음, 캡(30)에 형성된 연장부(32)에 스프링(28)을 끼운 후에, 이를 제 2 플레이트(22)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홈(24)에 삽입한다.
이때, 캡(30)에 형성된 연장부(32)의 끝단에는 나사(16)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30)의 연장부에 형성된 구멍(33)에 나사(16)을 끼우면, 제 1 플레이트(18)와 캡(30)이 조립됨과 동시에, 제 2 플레이트(22)는 캡(30)의 연장부(3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매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보조 매트(40)를 고정한 상태를 보면, 차량의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카페트(38)위에 보조 매트(40)를 배치한 다음, 조립된 고정장치를 보조 매트(40)의 장홈(42)위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제 1 플레이트(18)를 보조 매트(40)의 장홈(42)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프링(28)을 가압하면서 제 2 플레이트(22)를 들어올려 카페트(38)와 보조 매트(40)를 이들 2 개의 플레이트(18), (22)사이에 끼운다.
다음에, 캡(30)에 형성된 손잡이(34)를 약 90°로 회전시키면 제 1 플레이트(18)는 그의 길이방향이 보조 매트(40)에 형성된 장홈(42)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스프링(28)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보조 매트(40)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카페트(38)에 형성된 장홈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여기에도 보조 매트(40)에 형성된 장홈(42)과 동일 형상의 장홈이 형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보조 매트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손쉽게 보조 매트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나사(16)에 의해 차량의 플로어 상에 배치된 카페트(38) 및 보조 매트(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플레이트(18)와, 중앙에는 사각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플레이트(18)상에 끼워진 보조 매트(40)를 가압하는 가압편(26)을 지닌 제 2 플레이트(22)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사각홈(24)에 삽입되는 연장부(32)를 지닌 캡(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에는 손잡이(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KR1019950041269A 1995-11-14 1995-11-14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KR10021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269A KR100214953B1 (ko) 1995-11-14 1995-11-14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269A KR100214953B1 (ko) 1995-11-14 1995-11-14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58A KR970026358A (ko) 1997-06-24
KR100214953B1 true KR100214953B1 (ko) 1999-08-02

Family

ID=1943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269A KR100214953B1 (ko) 1995-11-14 1995-11-14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5291B4 (de) * 2016-03-31 2019-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festigungsanordnung zur Anbringung einer Fußm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58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233B2 (en) Insulating glass fastener
KR100214953B1 (ko)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JPH0630534Y2 (ja) 板状体開口閉成用蓋体構造
JPH0737594Y2 (ja) 便座の取付構造
KR0131168Y1 (ko) 배기파이프 행거용 고정장치
JPH0537857Y2 (ko)
KR100345861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JPH10266493A (ja) 樋支持具
JPS6214244Y2 (ko)
JPS584309Y2 (ja) シャ−シの取り付け構造
JPH0243804Y2 (ko)
JPS61192040U (ko)
KR100214989B1 (ko) 차량의 크래쉬 패드 센터 로어 커버 고정장치
JP3008704U (ja) U字溝用蓋の受枠
JPH11107478A (ja) 手 摺
JP2542063Y2 (ja) クサビ金具を用いた連結構造用連結ビス
KR200153571Y1 (ko) 차량의 리어콘솔 고정구조
JPH0725186U (ja) ドア枠構造
JPH0227581Y2 (ko)
JPH10115054A (ja) フラット屋根葺構造
KR19980045737U (ko) 카울 탑 커버 들뜸 방지장치
KR19980033213U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클립
JPH0214216Y2 (ko)
JPH034558Y2 (ko)
JPH0515996A (ja) 鋼柱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