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320B1 -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320B1
KR100214320B1 KR1019950705202A KR19950705202A KR100214320B1 KR 100214320 B1 KR100214320 B1 KR 100214320B1 KR 1019950705202 A KR1019950705202 A KR 1019950705202A KR 19950705202 A KR19950705202 A KR 19950705202A KR 100214320 B1 KR100214320 B1 KR 10021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ner
latent image
electrostatic
electrostatic la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632A (ko
Inventor
요시히로 도노모토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96070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19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 G03G2215/0822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with wall or blade between agit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Y,C,M,B)이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다. 각 유닛은 정전 잠상 담지체(48)와, 그것에 대하여 해당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54,54')과, 그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수단(60)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70)와 그 윗쪽에 위치하고 또한 그것과 연통로(82)를 통하여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76)로 이루어지는 현상제 유지 용기(66)를 구비한다. 서로 이웃한 2개의 유닛 중의 한쪽의 유닛의 청소 수단(60)이 다른쪽의 유닛의 현상 수단(54,54')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현상제 저장부(7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직렬로 배치하여 다색 기록을 행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정전 기록 장치에서는 감광체, 유전체 등의 정전 잠상 담지체(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arrier)에 정전 잠상이 기록되고, 그 정전 잠상이 현상제를 이용하여 대전 토너상으로서 정전적으로 현상되며, 그리고 나서 해당 대전 토너상이 기록지 등의 기록 매체에 정전적으로 전사된 후에 열, 압력 또는 빛 등에 의해서 해당 기록 매체 위에 정착된다.
이러한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한 다색 기록 장치로서 단드럼식의 기록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단드럼식 다색 기록 장치에서는 단일 정전 잠상 담지체, 예컨대 감광 드럼이 사용되며, 그 감광 드럼에서의 정전 잠상 기록 위치와 전사기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현상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현상기에서는 다른 색의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가 사용된다. 예컨대, 풀컬러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4개의 현상기가 설치되고, 이들 현상기의 각각은 옐로우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시안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마젠타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및 블랙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가 이용된다 감광 드럼 위에는 예컨대 옐로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전 잠상이 기록되고, 이 정전 잠상이 옐로우 토너로 현상되며, 이 옐로우 토너상이 기록지 위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이어서, 감광 드림에는 예컨대 시안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전 잠상이 기록되고, 이 정전 잠상이 시안 토너로 현상되며, 이 시안 토너상이 옐로우 토너상을 갖는 기록지 위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마젠타의 화상 데이터 및 블랙의 화상 데이터에 관해서도 동일한 공정이 행하여지며, 이로써 기록지 위에 4색의 토너상이 접쳐지고, 이것에 의해 풀컬러의 화상 기록이 달성된다. 이러한 단드럼식 다색 기록 장치에는 그 구성 전체를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그러나 단일 감광 드럼으로 각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고속기록을 얻을 수 없다.
정전 기록 기술을 이용한 다색 기록 장치의 다른 타입으로서, 다드럼식 다색기록 장치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 다드럼식 다색 기록 장치로 풀컬러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전 기록 장치를 유닛화한 4대의 정전 기록 유닛이 이용된다. 이들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지 반송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되며, 이들 정전 기록 유닛에 기록지를 통과시킬 때 각각의 색의 토너상이 해당 기록지 위에 전사되어 겹쳐짐으로써 풀컬러상이 해당 기록지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다드럼식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고속 다색 기록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지만, 그러나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이 직렬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구조가 대형화되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드럼식 다색 정전 기록 장치로 고품위의 고속 다색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정전 기록 유닛으로도 이용되는 정전 잠상 현상 장치로 정전 잠상이 고속으로 단정하게 현상될 수 있음이 보증되지 않으면 안된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직렬로 배치하여 다색기록을 행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그 전체 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다색 정전 기록 장비에 이용하는 정전 잠상 현상 장치로서 정전 잠상을 고속으로 안정하게 현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전 잠상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경로 위에 배치된 정전 암상 담지체와, 이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부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부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한다.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로 구성되는 현상제 유지 용기를 구비하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는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현상 수단은 또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된 현상제 담지체를 구비하며, 이 현상제 담지체는 정전 현상 담지체와 대면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더구나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현상 수단은 또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서 대면 영역에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한 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 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가 그 현상제 저장부보다도 위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해당 현상제 저장부의 치수 형상이 대폭적으로 축소된다. 이 때문에,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한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 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때에는, 정전 기록 유닛의 배열 피치는 현상제 저장부의 치수 형상의 축소화에 따라서 좁혀지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그 외의 목적 및 그 외의 이점에 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정전 기록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정전 기록 장치의 현상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정전 기록 장치를 유닛화한 정전 기록 유닛을 복수개 이용하여 구성한 종래의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모식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입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정전 기록 유닛의 배열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횡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현상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정전 기록 유닛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현상기를 도시한 개략 횡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현상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와 동일한 개략적인 횡단면도로서, 제8도의 현상기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는 토너 보충 용기의 측면도이다.
제12도는 토너 보충 용기의 정면도이다.
제13도는 토너 보충 용기의 보충구에 설치한 스펀지 롤러의 회전수와 그 1회전당의 토너 보충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14도는 제5도에 도시된 현상기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5도는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현상기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6도는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현상기에 대응하는 현상기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7도는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현상기에 대응하는 현상기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동일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정전 기록 장치의 일예로서,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고속 프린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 고속 프린터에는 정전 잠상 담지체로서 감광 드럼(10)이 이용된다. 기록 동작시, 감광 드럼(10)은 도면중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0)은 전대전기(12)에 의해서 똑같이 대전되고, 그 대전 영역에는 광학적 기록수단(14)에 의해서 정전 잠상이 기록된다. 또, 전대전기(12)는 예컨대 코로나 대전기, 스콜로트론 대전기, 콜로트론 대전기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그 외의 전대전기로서 도전성 롤러 대전기 또는 도전성 브러시 대전기 등도 들 수 있으며, 또한 광학적 기록 수단으로서는 레이저빔 스캐너, LED(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액정 셔터 어레이 등이 공지되어 있다. 감광 드럼(10)에 기록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16)에 의해서 대전 토너상으로서 정전적으로 현상되며, 그 대전 토너상은 전사기(18)에 의해서 기록지 등의 기록 매체 P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기록 매체 즉 기록지 P는 도시 생략한 급지부로부터 급지되고, 이 기록지 P는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0)의 장소에서 일단 정지되어 대기되며, 이어서 기록지는 감광 드럼(10)에서의 정전 잠상의 기록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감광 드럼(10)과 전사기(18)와의 사이에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0)에 의해서 보내지고, 이것에 의해 기록지 P로의 대전 토너상의 전사가 소정 장소에서 행해진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전사기(18)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기 등으로 구성되는 전사부(18a)와, AC 제전기(除電器) 등으로 구성되는 제전부(18b)를 포함하며, 전사부(18a)는 기록지 P에 대전 토너상과는 역극성의 전하를 부여하여 해당 대전 토너상을 감광 드럼(10)으로부터 기록지 P측으로 전사시키는 기능을 갖고, 제전기(18b)는 대전 토너 상의 전사 직후에 기록지 P로부터 전하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해당 기록지 P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사공정을 거친 기록지 P는 정착기(22)에 보내지고, 거기에서 전사 토너상이 기록지 P 위에 정착된다.
한편, 전사 공정을 거친 감광 드럼(10)의 표면 위에는 기록지 P에 전사되지 않은 잔류 토너가 부착되며, 이 잔류 토너는 청소기(24)에 의해서 제거된다. 고속프린터에서는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빠르고 확실하게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요망되며, 또한 방대한 양의 기록지에 기록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처리해야할 잔류 토너량도 많아진다. 이 때문에 고속 프린터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입의 청소기(24)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청소기(24)는 감광 드럼(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갖는 토너 회수 용기(24a)와, 이 토너회수 용기(24a) 내에 그 개구부에 접근하여 설치된 퍼 브러시(fur brush:24b)와, 토너 회수 용기(24a)의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토너 스크래핑 블레이드(24c)와, 토너 회수 용기(24a)의 저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류(24d)를 구비한다. 물론, 퍼 브러시(26b)는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떨어뜨리도록 기능하고, 또한 스크래핑 블레이드(24c)는 퍼 브러시(24b)로 떨어뜨릴 수 없는 잔류 토너를 긁어내도록 기능한다. 퍼 브러시(24b) 및 스크래핑 블레이드(24c)에 의해서 제거된 잔류 토너는 토너 회수 용기(24a) 내에 일단 회수되지만, 그 회수 토너는 반송 스크류(24d)에 의해서 토너 회수 용기(24a)에서 소정 장소로 운반된다. 따라서, 이러한 청소기(24)는 비교적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청소기(24)에 의해서 잔류 토너가 제거되어 청소되면, 그 청소 표면은 제전 램프(26)에 의해서 조사되어 그곳으로부터 잔류 전하가 제거된다.
전술한 현상 공정으로 이용되는 현상제로서는 토너 성분(착색 수지의 미분체입자)와 자성 성분(미세한 자성체 캐리어)으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다색 기록에서는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기는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2성분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28)와, 이 현상제 유지 용기(28) 내의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여 토너 성분과 자성체 캐리어 성분을 서로 마찰 대전시키는 교반기(30)와, 그 자성체 캐리어의 일부를 자력으로 흡착하여 자기 브러시를 형성하는 마그네트 롤러, 즉 현상 롤러(32)를 구비하며, 이 현상 롤러(32)의 일부는 현상제 유지 용기로부터 노출되어 감광 드럼(10)과 대면된다. 현상 롤러(32)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 브러시에는 토너 성분이 정전적으로 부착되고, 해당 현상 롤러의 회전에 의해 토너 성분은 자기 브러시에 수반되어 감광 드럼(10)과의 대면 영역, 즉 현상 영역에 반송되고, 그 곳에서 정전 잠상의 현상이 행해진다. 정전 잠상의 현상 농도는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토너량에 의해서도 좌우되므로, 현상 농도의 균질화를 위해 자기 브러시의 끝의 길이가 규제 블레이드(34)에 의해서 규제된다. 현상 영역을 거친 현상제, 즉 토너 성분이 저하된 현상제는 스크레이퍼 부재(36)에 의해서 현상롤러(32)로부터 긁어내어져 교반기(30)측으로 복귀된다.
현상제로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경우, 현상 공정에서 끊임없이 토너 성분이 소비되므로, 현상 토너상의 품위, 즉 기록 토너상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토너 성분의 보급이 필요하다. 또한. 기록 토너상의 품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서, 토너 성분을 자성체 캐리어와 충분히 마찰 대전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토너성분을 자성체 캐리어 중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도 들 수 있다. 또, 고속 프린터에서는 현상 공정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량도 당연히 증가하므로, 현상제를 빠르게 또한 효율적으로 교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교반기(30)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 방식의 것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교반기(30)는 한 쌍의 반송 스크류(30a,30b)와, 그 사이에 배치된 간막이 판(Partition plate:30c)으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반스크류(30a,30b)는 현상 유지 용기(28) 내에서 현상 롤러(3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반송 스크류(30a,30b)는 현상제 유지 용기(28)의 양측 벽 사이에 연장하며, 간막이 벽(30c)의 길이는 반송 스크류의 길이보다도 짧고, 그 양단의 각각은 현상제 유지 용기(28)의 해당 측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반송 스크류(30a,30b)는 현상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동되며, 이로써 현상제 순환로가 형성된다. 즉, 현상제가 예컨대 반송 스크류(30a)에 의해서 그 단부까지 운반되면, 간막이 판(30c)의 해당 단부를 돌아 반대측 반송 스크류(30b)측으로 이동되고, 그 현상제가 반송 스크류(30b)에 의해서 그 단부까지 운반되면, 간막이 판(30c)의 반대측 단부를 돌아 다시 반송 스크류(30a)측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현상제는 한 쌍의 반송 스크류(30a,30b)를 따라 순환된다. 이러한 교반기(30)를 갖는 현상기는 다량의 현상제를 고효율로 교반할 수 있지만, 그 전체적인 구성 자체는 비교적 커지게 된다.
제3도에는 풀컬러 기록을 행하는 다드럼식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서는 4대의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가 이용된다.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는 기록지 반송용 무단 벨트 수단(38) 위에 무단 벨트 수단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며, 각 정전 기록 유닛 Y, C, M, B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각 정전 기록 유닛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전 기록 장치를 유닛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제3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각 정전 기록 유닛 Y, C, M, B의 특징적인 사항으로서는 광학적 기록 수단(14)을 레이저 빔 스캐너로서 구성한 점, 또한 전사기(18)를 도전성 전사 롤러로서 구성한 점을 들 수 있다. 또, 도전성 전사 롤러(18)는 기록지 반송용 무단 벨트 수단(38)의 상측 주행부를 통하여 감광 드럼(10)에 압접된다. 프린터 Y, C, M 및 B의 각각의 현상기(16)에는 옐로우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시안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마젠타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 및 블랙 토너 성분을 갖는 현상제가 이용된다. 즉,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의 각각에서는 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에 관한 기록이 행해진다. 기록지 반송용 수단벨트 수단(38)의 일단, 즉 기록지 도입단측에는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0)가 설치된다. 기록 작동시, 급지부(40)로부터 급지된 기록지는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0)의 위치에서 일단 정지되어 대기된다.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에서는 순차적으로 각가지 색의 상 데이터(image data)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에 정전 잠상이 기록되고, 이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록지가 프린터 Y, C, M 및 B를 순차적으로 통과되고, 이로써 해당 기록지 위에는 옐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풀컬러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풀컬러상을 갖는 기록지는 기록지 반송용 무단 벨트 수단(38)의 타단측에 설치된 정착기(22)에 통과되어 해당 풀걸러상이 기록지 위에 정착되며, 그후 기록지는 배출 롤러(42)를 거쳐 다색 기록 장치의 외부에 설치한 배지(排紙) 트레이(44) 위에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다드럼 방식의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고속 다색 기록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지만, 그러나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직렬로 배치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구조가 대형화된다. 특히,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속 프린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및 청소기가 비교적 부피가 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또한 대형화된다.
다음에, 첨부 도면의 제4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색정전 기록 장치의 여러 가지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 예컨대 기록지를 반송시키기 위한 무단 벨트 반송 수단(46)을 구비한다. 무단 벨트 반송 수단(46)은 가요성 유전체 재료 예컨대 적당한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무단 벨트(46a)로 이루어지며, 이 무단 벨트(46a)는 4개의 롤러(46b,46c,46d 및 46e)의 주위에 놓여진다. 롤러(46b)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하며, 이 구동 롤러(46b)는 도시 생략한 적당한 구동기구에 의해 무단 벨트(46a)를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구동한다. 롤러(46c)는 종동(從銅) 롤러로서 기능하며, 이 종동 롤러(46c)는 무단 벨트(46c)에 전하를 부여하는 대전 롤러로서도 기능한다. 롤러(46d,46e)는 모두 가이드 롤러로서 기능하며, 구동 롤러(46b) 및 종동 롤러(46c)의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종동 롤러(46c) 및 가이드 롤러(46e)의 사이에는 텐션 롤러(46f)가 설치되며, 이 텐션 롤러(46f)에 의해 무단 벨트(46a)에는 적당한 장력이 제공된다. 무단 벨트(46a)의 상측 주행부, 즉 구동 롤러(46b)와 종동 롤러(46c)와의 사이에서 구획되는 주행부는 기록지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기록치는 종동 롤러(46c)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구동 롤러(46b)측으로부터 배출된다. 기록지가 종동 롤러(46c)측으로부터 도입될 때, 해당 기록지는 무단 벨트(46a)의 전기 전하의 작용에 의해 해당 무단벨트(46a)에 정전적으로 흡착된다. 구동 롤러(46b)측에는 AC 제전기(46g)가 설치되며, 이 AC 제전기(46g)에 의해 무단 벨트(46a)로부터 전하가 제거되고, 이 때문에 기록지가 구동 롤러(46b)측으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해당 기록지는 무단 벨트(46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4대의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를 구비하며, 이들 정전 기록 유닛은 무단 벨트(46a)의 상측 주행부를 따라 그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직렬로 배치된다.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는 서로 동일구조를 가지며, 무단 벨트(46a)의 상측 주행부를 따라 이동하는 기록지 위에 빌로우 토너상, 시안 토너상, 마젠타 토너상 및 블랙 토너상을 기록하는 점만이 다르다. 각 정전 기록 유닛은 감광 드럼(48)을 구비하며, 기록 작동시, 감광 드럼(48)은 도면중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48)의 위쪽에는 예컨대 코로나 대전기, 스콜로트론 대전기, 콜로트론 등으로서 구성된 전대전기(50)가 배치되며, 이 전대전기(50)에 의해 감광 드럼(48)의 회전 표면은 순차적으로 똑같은 전하로 대전된다. 감광 드럼(48)의 대전 영역에는 광학적 기록 수단 예컨대 레이저빔 스캐너(52)에 의해서 정전 잠상이 기록된다. 또, 레이저빔 스캐너(52)는 정전 기록 유닛의 구성 요소로서 가장 부피가 큰 구성을 갖는 것이고, 해당 정전 기록 유닛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최상부에 배치된다.
감광 드럼(48)에 기록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54)에 의해서 소정의 색토너로 대전 토너상으로서 정전적으로 현상되며, 해당 현상기(54)는 감광 드럼(48)에 대하여 기록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대전 토너상은 감광 드럼(48)의 아래쪽에 위치한 도전성 전사 롤러(56)에 의해서 기록지 등의 기록 매체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전사 롤러(56)는 무단 벨트(46a)의 상측 주행부를 통하여 감광 드럼(48)에 맞대어지고, 해당 무단 벨트(46a)에 의해서 반송되는 기록지에 대전 토너상과는 역극성의 전하를 제공하며, 이로써 대전 토너상이 감광 드럼(56)으로부터 해당 기록지 위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지가 무단 벨트 반송 수단(46)의 종동 롤러(46c)로부터 도입되어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를 순차적으로 거칠 때, 해당 기록지 위에는 4색의 토너상이 겹쳐져 풀컬러상이 형성되며, 이어서 기록지가무단 벨트 반송 수단(46)의 구동 롤러(46b)측으로부터 열정착기(58)를 향하여 보내지고, 그곳에서 풀컬러상이 해당 기록지 위에 열정착된다. 또, 열정착기(58)는 히트 롤러(58a) 및 백업 롤러(58b)로 이루어진 공지된 유형의 것이다. 한편, 각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전사 공정을 거친 감광 드럼(48)의 표면 위에는 기록지에 전사되지 않고 남은 잔류 토너가 부착되고, 이 잔류 토너는 청소기(60)에 의해서 제거되며, 이 청소기(60)는 감광 드럼(48)에 대하여 기록지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또, 제4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62는 전사 공정을 거친 감광 드럼(48)의 표면으로부터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전용 발광체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어레이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64는 현상기(54)에 토너 성분을 적당히 보충하기 위한 토너 보충 용기를 나타낸다.
제5도에는 무단 반송 벨트(46) 위에 배열된 정전 기록 유닛 B의 일부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 도면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54)는 2성분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66)를 구비하며, 이 현상제 유지 용기(66)는 제1저벽 부분(66a)과, 제1저벽 부분(66a)의 배후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된 제1후벽 부분(66b)과, 제1후벽 부분(66b)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저벽 부분(66c)과, 제2저벽 부분(66c)의 배후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제2후벽 부분(66d)과, 제2후벽 부분(66d)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수평으로 연장된 정벽(頂壁) 부분(66e)과, 정벽 부분(66e)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전벽 부분(66f)을 포함하며, 이들 벽 부분의 양단측의 각각은 측벽 부분(도시 생략)과 일체화된다.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제1저벽 부분(66a)의 전단과 전벽부분(66f)의 하단과의 사이는 개구부로 되며, 그 개구부 내에는 마그네트 롤러, 즉 현상 롤러(68)가 그 표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양태로 배치된다. 현상 롤러(68)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양측 벽부분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 샤프트(68a)와, 이 샤프트(68a) 위에 고착되고 또한 자성체 재료로 형성된 코어부(68b)와, 이 코어부(68b)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비자성체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슬리브(68c)론 이루어지고, 현상기(54)의 작동시, 슬리브(68c)는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시된 현상기(54)가 정전 기록장치 내에 설치될 때, 현상 롤러(68)의 노출 표면, 즉 슬리브(68c)는 감광 드럼 등의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된다.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제1저벽 부분(66a)은 현상제 저장부(70)를 제공하며, 이 현상제 저장부(70) 내에는 패들 롤러(72)가 설치된다. 패들 롤러(72)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양측 벽부분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현상기(54)의 작동시에는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패들 롤러(72)는 현상제 저장부(70) 내의 현상제를 현상 롤러(68)를 향하여 공급하고, 그 현상제는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같은 양태로 현상 롤러(68)에 의하여 담지되어 감광 드럼 등의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 즉 현상 영역에 반송된다. 현상 롤러(68)에 의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되는 현상제량을 소정량으로 규제하기 위해, 제1저벽 부분(66a)의 앞 테두리에는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74)가 설치된다.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제2저벽 부분(66c)은 현상제 저장부(70)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76)를 제공하며, 이 현상제 교반부(76)에는 현상제 교반기(78)가 설치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현상제 교반부(76)는 현상제 저장부(70)의 후방측에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이 돌출 부분의 아래쪽에서는 빈곳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교반기(78)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양단벽 사이에 연장된 한 쌍의 반송 스크류(78a,78b)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반송스크류(78a,78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벽 부분(66c)의 윗면에는 한 쌍의 반송 스크류(78a,78b)의 나선 날개를 받아들이도록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반송 스크류(78a,78b)의 샤프트부는 현상제 유지 용기(46)가 양측 벽부분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현상기(54)의 작동시에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스크류(78a,78b)의 나선 날개는 함께 우측 나사의 양태로 구성되며, 이 때문에 반송 스크류(78a)는 도면의 후방측(뒤쪽)으로 현상제를 반송하고, 또한 반송 스크류(78b)는 도면의 전방측(앞쪽)으로 현상제를 반송한다. 반송 스크류(78a,78b)의 사이에는 제2저벽 부분(66c)으로부터 직립한 한 쌍의 간막이 판(80a,80b)이 배치되며, 이 한 쌍의 간막이 판(80a,80b)의 길이는 반송 스크류(78a,78b)의 길이보다도 짧고, 그 양단의 각각은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해당 측벽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반송 스크류(30a,30b)의 경우와 같이, 반송 스크류(78a,78b)에 의해 현상제 순환로가 형성된다. 즉, 현상제가 반송 스크류(78a)에 의해서 그 단부까지 운반되면, 한 쌍의 간막이 판(80a,80b)의 해당단부를 돌아 반대측 반송 스크류(78b)측으로 이동되고, 그 현상제가 반송 스크류(78b)에 의해서 그 단부까지 운반되면, 한 쌍의 간막이 판(80a,80b)의 반대측 단부를 돌아 다시 반송 스크류(78a)측으로 이동되며, 이렇게 하여 현상제는 한 쌍의 반송 스크류(78a,78b)를 따라 순환된다.
한 쌍의 간막이 판(80a,80b) 사이에는 현상제 저장부(70)와 현상제 교반부(76)를 연통시키는 연통로(82)가 형성되며, 이 연통로(82)의 상측 개구부는 현상제 교반부(76) 내의 현상제에 대하여 현상제 일출구(overflow port:66h)를 형성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막이 판(80b)은 간막이 판(80a)보다 낮으며, 이 때문에 간막이 판(80b)의 윗 테두리가 현상제 일출선이 된다. 즉, 반송 스크류(78a,78b)에 의해서 순환되는 현상제의 일부는 간막이 판(80b)의 윗 테두리로부터 넘쳐 나와 연통로(82) 내로 낙하되며, 이로써 현상제 저장부(70)는 현상제 교반부(76)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다.
제5도에 도시된 자와 같이,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제2저벽 부분(66c)의 전면 벽부에는 수직 간막이벽 부분(669)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수직 간막이벽 부분(669)과 전면 부분(66f)과의 사이에는 현상제 인상 통로(84)가 형성되며, 이 현상제 인상 통로(84)는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68)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현상제 인상 통로(84) 내에는 2개의 마그네트 롤러(86,88)가 현상 롤러(68)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마그네트 롤러(86,58)는 마그네트 롤러로서 구성된 현상 롤러(68)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각 마그네트 롤러(86,88)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양측 벽부분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 샤프트(86a,88a)와, 이 샤프트 위에 고착되고 또한 자성체 재료로부터 형성된 코어부(86b,88b)와, 이 코어부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한 비자성체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슬리브(86c,88c)로 이루어지며, 현상기(54)의 작동시, 슬리브(86c,88c)는 각각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롤러(68)의 코어부(68b), 마그네트 롤러(86)의 코어부(86b)및 마그네트 롤러(88)의 코어부(88b)의 각각은 그 주위를 따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자극화(磁極化)되며, 이러한 국부측인 자극화는 각 코어부(68b,86b,88b)에 국부적으로 자계를 미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현상 롤러(68)의 코어부(68b)의 자극은 슬리브(68c)의 회전에 수반하려 현상제를 현상제 저장부(70)로부터 현상 영역으로 반송하여 마그네트 롤러(86)의 하측까지 운반하는 배열이 된다. 마그네트 롤러(86)의 코어부(86b)의 자극은 슬리브(86c)의 회전에 수반되어 현상 롤러(68)의 상측으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여(lift up) 마그네트 롤러(88)의 하측까지 운반하는 배열로 되며, 마그네트 롤러(88)의 코어부(88b)의 자극은 슬리프(88c)의 회전에 수반하여 마그네트 롤러(86)의 상측으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여 마그네트 롤러(88)의 상측까치 운반하는 배열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롤러(68)에 의해서 현상 영역까지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제 저장부(70)로 되돌려지지 않고 최정상부의 마그네트 롤러(88) 위쪽까지 인상된다.
수직 간막이 벽부(66g)의 상단에는 스트레이퍼 부재(90)가 장치되고, 이 스크레이퍼 부재(90)의 전단 테두리는 마그네트 롤러(88)에 그 꼭대기 부분으로부터 어느 정도 후방측의 위치에서 걸어 맞추어진다. 이렇게 하여, 마그네트 롤러(88)의 위쪽까지 인상된 현상제는 스크레이퍼 부재(90)에 의해서 현상제 교반부(76)의 반송 스크류(78a)측에 공급된다.
요컨대, 현상제 유지 용기(66) 내에 유지된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부(76)로부터 현상제 일출구(66h) 및 연통로(82)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70)에 공급되고, 이어서 현상제 저장부(70)로부터 현상 롤러(68)에 의해 현상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는 해당 현상 영역을 통과한 후에 마그네트 롤러(86) 및 마그네트 롤러(88)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인상되며, 스크레이퍼 부재(90)를 통하여 다시 현상제 교반부(76)로 복귀된다. 이렇게 하여, 현상기(54)의 작동시, 현상제는 현상제 유지 용기(66)내에서 끊임없이 순환되고, 이로써 현상제 저장부(70)에 항상 충분히 교반된 현상제(즉, 토너 성분과 자성 캐리어 성분이 충분히 마찰 대전시켜지고 또한 해당 자성캐리어 성분 중에 토너 성분이 균일하게 분포된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은 현상기(54)의 구조상의 특징으로서는 현상제 유지 용기(66)가 현상제 저장부(70)와 현상제 교반부(76)로 나누어지고, 비교적 부피가 큰 현상제 교반부(76)가 현상제 저장부(70)의 위쪽에 배치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저장부(70)의 치수형상이 대폭으로 축소될 수 있다. 또, 레이저빔 스캐너(52)가 정전 기록 유닛의 구성 요소로서 가장 부피가 큰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해당 정전 기록 유닛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러나, 정전 기록 유닛의 상부측에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현상제 교반부(7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남아 있으며, 이 때문에 현상제 교반부(76)를 현상제 저장부(70)의 위쪽에 배치시킴에 따라 정전기록 유닛 자체가 대형화하는 일은 없다.
청소기(60)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타입과 동일한 것이다. 즉, 청소기(60)는 감광 드럼(48)의 일부를 받아들이도록 개구부를 갖는 토너 회수 용기(60a)와, 이 토너 회수 용기(60a) 내에 그 개구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퍼 브러시(60b)와, 토너 회수 용기(60a)의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토너 소취 블레이드(60c)와, 토너 회수 용기(60a)의 저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류(60d)로 이루어진다. 감광 드럼(48) 표면의 잔류 토너가 퍼 브러시(60b)에 의해서 떨어뜨려지고, 또한 퍼 브러시(60b)로 떨어뜨려지지 않은 잔류 토너는 소취 블레이드(60c)에 의해서 긁어내 진다. 퍼 브러시(60b) 및 소취 블레이드(60c)에 의해서 제거된 잔류 토너는 토너회수 용기(60a) 내에 일단 회수되지만, 그 회수 토너는 반송 스크류(60d)에 의해서 토너 회수 용기(60a)에서 소정 장소로 운반된다.
제5도에는 정전 기록 유닛 B와 인접한 정전 기록 유닛 M의 감광 드럼(48), 전대전기(50) 및 청소기(60)도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정전 기록 유닛 M의 청소기(60)가 정전 기록 유닛 B의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현상제 저장부(70)측에 인접되며, 현상제 교반부(7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기록 유닛 B측의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현상제 교반부(76)를 현상제 저장부(70)의 후방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그 아래쪽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정전 기록 유닛 M측의 청소기(60)가 해당 빈 공간 내에 수용된다. 또, 이러한 배치 구성은 정전 기록 유닛 B와 정전 기록 유닛 M만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모두에 해당된다. 이렇게 하여,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의 각각이 기록지 이동 방향에 따르는 길이 치수로서 L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상 드럼(48)의 배열 피치 P에 관해서는 각 정전 기록 유닛의 길이 L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제5도),이 때문에 정전 기록 유닛의 배열 길이는 제3도에 도시한 종래의 것보다도 대폭적으로 단축되며, 이로써 다색 기록 장치의 전체 구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68)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여 현상제 교반부(76)로 되돌리기 위한 현상제 인상 수단으로서 2개의 마그네트 롤러(86,88)가 이용되고 있지만,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해당 현상제 인상 수단을 단일 마그네트 롤러로 구성해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의 마그네트 롤러로 구성해도 좋다.
제6도에는 제5도에 도시된 현상기(54)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 롤러(86) 대신에,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으로서 날개(86')가 이용되고, 이 날개(86')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양측 벽부분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현상기(54)의 작동시에는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수직 간막이벽 부분(66g)에는 날개(86')에 적합한 오목형 원호 벽면(92)이 형성되며, 해당 날개(86')는 오목형 원호 벽면(92)과의 공동작용에 따라서 현장 롤러(68)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여 마그네트 롤러(88)까지 이동시킨다. 또, 제6도에서는 현상제가 미세한 점의 집합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현상제의 인상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오목형 원호 벽면(92)의 하단 테두리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되어야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현상 롤러(68)의 코어부(68b)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자극화되며, 날개(86')측에 인접한 N극과 S극과의 사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자계(MF)가 형성될 때, 오목형 원호 벽면(92)의 하단 테두리가 자계(MF)의 소실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날개(86')는 자계(MF)의 영향을 받지 않고 현상제를 현상 롤러(68)로부터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다.
제8도에는 제5도에 도시된 현상기(54)와는 타른 타입의 현상기(5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현상기(54.')도 현상기(54)와 동일하게 제4도에 도시된 정전 기록유닛 Y, C, M 및 B 내에 내장할 수 있다. 또, 제8도에서는 현상기(54)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가 이용된다. 현상기(54')에서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제2저벽 부분(66c)으로부터는 연통로(82)가 제거되며, 한 쌍의 반송 스크류(78a,78b)의 사이에는 단일 간막이 판(80)이 배치된다. 한편, 수직 간막이벽 부분(66g)은 제2저벽 부분(66c)의 전면 벽부로부터 떨어져 설치되며, 스크레이퍼 부재(90)까지 연장된다. 제2저벽 부분(66c)의 전면 벽부와 수직 간막이벽 부분(669)과의 사이에는 연통로(82')가 형성되고, 이 연통로(82')는 제2저벽 부분(66c)의 전면 벽부의 윗 테두리와 스크레이퍼 부재(90)와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현상제 교반부(76) 내와 연통하며, 해당 개구부는 현상제 교반부(76) 내의 현상제에 대하여 현상제 일출구(66h')를 형성한다. 마그네트 롤러(86,88)의 코어부(86b,88b)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자극화되고, 이러한 자극의 배열에 의하면, 제8도 및 제9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현상제는 현상 롤러(68)로부터 마그네트 롤러(86,88)의 전면측을 따라 인상되어 상승된다. 한편,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부(86b,88b)의 자극화에 의하면, 현상제 일출구(66h')로부터 연통로(82')를 따라 낙하되는 현상제는 마그네트 롤러(68,88)로부터 자기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 때문에 현상제 교반부(76)로부터 현상제 저장부(70)로의 현상제의 공급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 제6도에 도시된 날개(86')는 현상제에 대하여 자기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 날개(86')를 제8도의 현상기(54')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0도에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현상기(54')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 현상기(54')도 제4도에 도시된 정전 기록 유닛 Y, C, M 및 B 내에 내장할 수 있다. 또, 제10도에서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현상기(54')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가 이용된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제2저벽 부분(66c)의 전면 벽부가 스크레이퍼 부재(90)까지 연장되며, 해당 전면 벽부에는 현상제 일출구(66h')가 슬릿형으로 형성된다. 제10도로 명백한 바와 같이, 현상제 일출구(66h')의 하측 테두리 부분은 반송 스크류(78a)의 회전 축선과 거의 같은 높이 위치로 된다. 간막이벽 부분(66g)은 스크레이퍼 부재(90)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으며, 이 때문에 연통로(82')와 현상제 인상 통로(84)가 간막이벽 부분(669)의 윗 테두리측에서 서로 연통된다. 제8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현상제일출구(66h')로부터 연통로(82')를 따라 낙하되는 현상제는 마그네트 롤러(86,88)로부터 자기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해당 현상제가 현상제 인상 통로(84)측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일출구(66h')의 폭의 크기에 따라서 해당 현상제 일출구(66h')로부터 넘치는 현상제량이 변동하며, 이 일출 현상량은 또 현상기(54') 내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총량, 즉 현상제 교반부(76)에 유지되는 현상제량에도 관계한다. 한편, 정전 잠상이 항상 소정 농도로 적정하게 현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상제 저장부(70)에 소정량의 현상제가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해당 현상제 저장부(70) 내에 유지되는 현상제가 현상 롤러(68)의 축선 방향에 따라서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는 이유는 정전 잠상의 현상 농도가 현상 롤러(68)에 의해 반송되는 현상제량에 의해서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현상 롤러(68)의 축선 방향에 따르는 현상제의 분포가 크게 치우치면, 해당 축선 방향에 따라서 현상 농도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상기(54') 내에서 유지되는 현상제 총량과 현상제 일출구(66h')의 폭과의 관계에 관해서 조사한 바, 이하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 현상제 교반부(76)에서는 스크류 피치 37mm 및 외경 27mm의 반송스크류(78a,78b)가 이용되었다.
상기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3mm일 때, 정전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서 현상제 저장부(70)에 확보되어야 할 현상제량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제 총량의 최소량으로서 1.2kg가 필요하였지만, 그러나 현상제 총량이 1.3kg를 초과하면, 현상제 교반부(76)에서 현상제가 넘치게 되었다. 즉,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3mm일 때에는 현상기(54') 내에서 유지되어야 할 현상제 총량은 1.2kg 내지 1.3kg이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는 약 2mm 정도였다.
또한,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4mm일 때, 정전 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서 현상제 저장부(70)에 확보되어야 할 현상제량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제 총량의 최소량으로서 1.1kg이 필요하였지만, 그러나 현상제 총량이 1.6kg를 초과하면, 현상제 교반부(76)에서 현상제가 넘치게 되었다. 즉, 현상제 일출부의 폭이 4mm일 때에는 현상기(54') 내에 유지되어야 할 현상제 총량은 1.1kg 내지 1.6kg이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는 약 3mm 정도였다.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5mm일 때는 정전 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서 현상제 저장부(70)에 확보되어야 할 현상제량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제 총량의 최소량으로서 1.1kg이 필요하지만, 그러나 현상제 총량이 2.0kg를 초과하면, 현상제 교반부(76)에서 현상제가 넘치게 되었다. 즉,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6mm일 때에는 현상기(54') 내에 유지되어야 할 현상제 총량은 1.1kg 내지 2.0kg이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는 약 6mm 정도였다.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6mm 및 7mm일 때는 정전 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서 현상제 저장부(70)에 확보되어야 할 현상제량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제 총량의 최소량으로서 모두 1.2kg가 필요하였지만, 그러나 현상제 총량이 2.0kg를 초과하면, 현상제 교반부(76)로 현상제가 넘치게 되었다. 즉,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6mm 및 7mm일 때에는 현상기(54') 내에서 유지되어야 할 현상제 총량은 1.2kg 내지 2.0kg이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는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6mm일 때 약 9mm 정도이고,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7mm일 때 약 15mm 정도였다.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8mm일 때는 정전 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 저장부(70)에 확보되어야 할 현상제량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제 총량의 최소량으로서 1.4kg가 필요하지만, 그러나 현상제 총량이 2.0kg를 초과하면, 현상제 교반부(76)에서 현상제가 넘치게 되었다. 즉,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8mm일 때에는 현상기(54') 내에서 유지되어야 할 현상제 총량은 1.4kg 내지 2.0kg이다. 한편,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는 약 25mm 정도였다.
현상제 일출구의 폭이 1.5mm 내지 2.5mm일 경우에는 현상기(54') 내의 현상제 총량에 관계없이 정전 잠상을 소정 농도로 현상하기 위해서 필요한 현상제량을 현상제 저장부(70)에서 얻을 수 없었다.
현상제 저장부(70)에서의 현상제의 분포차가 약 20mm을 초과하면, 현상롤러(68)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현상 농도차가 발생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반송 스크류의(78a,78b)의 외경이 27mm일 경우에는 현상제 일출구의 폭은 3mm 내지 7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상제 일출구의 폭에 관해서는 반송 스크류의(78a,78b)의 외경에 대하여 적어도 1/9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며, 7/27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색 정전 기록 장치로 고속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기록 작동 중에 각 현상기(54) 내의 현상제에 끊임없이 토너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은 각 현상기(54) 내의 현상제로부터 토너 성분이 급속히 소비되기 때문이다.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면, 토너 보충 용기(6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토너 보충 용기(64)는 토너 보충부(64a)와, 현상제 공급부(64b)로 이루어진다. 토너 보충부(64a)에는 토너 성분만 수용되고, 현상제 공급부(64b)에는 토너 성분과 자성 캐리어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토너 보충부(64a) 및 현상제 공급부(64b)에는 각각 보충구(64a') 및 공급구(64b')가 설치된다. 토너 보충 용기(64)가 현상기(54)의 현상제 유지 용기(66) 위에 탑재될 때, 보충구(64a') 및 공급구(64b')는 해당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정벽 부분(66e) 위에 설치된 접속구(66i,66j)(제5도)에 접속된다.
현상기(54) 내에 유지된 현상제가 열화하였을 때, 그 현상제는 새로운 현상제로 전부 교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현상기(54) 내의 현상제가 제2저벽부분(66c)에 설치된 현상제 배출구(66k)로부터 배출되고, 이어서 새로운 현상제가 토너 보충 용기(64)의 현상제 공급부(64b)로부터 공급구(64b')를 통하여 현상제유지 용기(66) 내에 공급된다.
한편,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기록 작동 중, 토너 보충 용기(64)의 토너 보충부(64a)로부터는 소정량의 토너 성분이 보충구(64a')를 통하여 현상제 유지 용기(66) 내에 보충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구(64a') 내에는 토너 성분 보충용 스펀지 롤러(64c)가 설치되고, 토너 보충부(64a)의 저부에는 토너 성분을 보충구(64a')로 반송하기 위한 토너 반송 스크류(646)가 설치된다. 스펀지 롤러(64c)에 의한 토너 보충량은 토너 보충부(64a) 내의 토너 성분의 수용량 및 해당 스펀지 롤러(64c)의 회전 속도에 좌우된다. 예컨대, 스펀지 롤러(64c)가 직경 16mm이고, 그 길이가 86mm일 때, 해당 스펀지 롤러(64c)의 1회전당 토너 보충량에 관해서 조사한 바, 제13도의 그래프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동일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스펀지 롤러(64c)가 100rpm 이상으로 회전되면, 토너 보충부(64a) 내의 토너 성분의 수용량에 관계없이 스펀지 롤러(64c)의 1회전당 토너 보충량은 약 1g임을 알 수 있다. 즉, 스펀지 롤러(64c)가 100rpm 이상으로 회전되면, 토너 보충부(64a) 내의 토너 성분의 잔량에 관계없이 해당 스펀지 롤러(64c)의 1회전당 토너 보충량은 거의 1g으로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보충 용기(64)에 현상제 보충부(64a)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현상제 보충부(64a)를 독립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기록 작동 중에 소비되는 토너 소비량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토너 보충량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의 기록 작동 중, 토너 보충량에 관해서는 이하의 식이 성립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토너 보충량(g/s)]≥토너 소비량(g/s)
예컨대, 감광 드럼(48)의 표면 속도가 24cm/s, 기록폭이 30cm, 현상율이 10%, 현상 토너량이 0.0007g/cm2이고, 한편 스펀지 롤러(64c)의 직경이 16mm, 그 회전수가 100rpm 이라고 한다면, 해당 스펀지 롤러(64c)의 길이는 적어도 2.6mm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스펀지 롤러(64c)의 직경이 16mm 이상이면, 그에 따라서 해당 스펀지 롤러(64c)의 길이는 짧게 될 수 있다.
현상제 교반부(76)에 보충된 토너 성분은 충분히 마찰 대전된 후에 현상제 저장부(70)에 공급되어야 한다. 제14도에는 현상기(54)가 평면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스펀지 롤러(64c) 및 토너 반송 스크류(646)의 위치가 2점 쇄선으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현상제 교반부(76)에서는 현상제가 도면중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순환되어야 한다. 즉, 스펀지 롤러(64c)의 위치에서 보충된 토너 성분은 반송 스크류(78a)측에서 교반되어 충분히 대전된 후에 반송 스크류(78b)측으로 이행되고, 이어서 현상제 일출구(66h)(제4도)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70)에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기(54')의 경우, 현상제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순환되어야 한다. 즉, 스펀지 롤러(64c)의 위치에서 보충된 토너 성분은 반송 스크류(78b)측에서 교반되어 충분히 대전된 후에 반송 스크류(78a)측으로 이행되며, 이어서 현상제 일출구(66h')(제8도 및 제10도)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70)에 공급되어야 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한쪽의 측벽에는 현상 롤러(68), 반송 스크류(78a,78b) 및 마그네트 롤러(86,88)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톱니바퀴 박스(94)가 설치되므로, 토너 보충 용기(64)는 톱니바퀴박스(94)와는 반대측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현상제 일출구(66h,66h')의 위치에 따라서 현상제 교반부(76)에서의 현상제 순환 방향을 적당히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의 현상제 교반부(76)를 현상 롤러(68)의 길이보다도 확장시키고, 그 확장부 위에 토너 보충용기(64)를 탑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상제 교반부(76)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68)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현상기(54)는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현상기(54')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스펀지 롤러(64c)가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배치되면, 그곳에서 보충된 토너 성분은 충분히 대전된 후에 현상제 일출구(66h')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70)에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현상기(54)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기(5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현상제 교반부(76)에서의 현상제의 순환 방향은 반대로 된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는 그 전체 구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하여 해당 다색 정전 기록 장치를 설치할 때 그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서는 고속 기록에 있어서도 고품위의 기록 화상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23)

  1.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 및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연통로를 통하여 해당 현상제 저장부와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데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잡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한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은 다른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분을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제 교반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적어도 1개의 마그네트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3.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연통로를 통해 해당 현상제 저장부와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하나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위쪽에 위치한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과, 이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의 위쪽에 위치한 마그네트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은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자계가 소실되는 위치에서 해당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5.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 및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연통로를 통하여 해당 현상제 저장부와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 한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 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는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상기 현상제 교반부 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해당 현상제 담지체의 반대측에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의 사이에서 해당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측에 위치한 제1간막이 판과,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의 사이에서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측에 위치한 제2간막이 판으로 이루어진 현상제 교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는 상기 현상제 교반부 내의 현상제를 순환시키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연통로의 현상제 일출구는 상기 제1 및 제2간막이 판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6.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연통로를 통해 해당 현상제 저장부와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에는 상기 현상제 교반부를 상기 해당 현상제 저장부의 후방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한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 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에 형성된 상기 빈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 위에 배열된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 및 상기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 위에 배열된 마그네트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자계가 소실되는 위치에서 해당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도록 배치된 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8. 기록 매체 이동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정전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전 기록 유닛은 기록 매체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현상 수단과,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에 대하여 기록 매체 이동 경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 수단은,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연통로를 통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와 연통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유지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에는 상기 현상제 교반부를 상기 해당 현상제 저장부의 후방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2개의 정전 기록 유닛 중의 한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청소 수단이 다른 쪽의 정전 기록 유닛의 현상 수단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제 유지 용기에 형성된 빈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는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 내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해당 현상제 담지체의 반대측에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의 사이에서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측에 위치한 제1간막이 판과, 상기 제1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와 사이에서 상기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측에 위치한 제2간막이 판으로 이루어진 현상제 교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반송 스크류는 상기 현상제 교반부 내에서 현상제를 순환시키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연통로의 현상제 일출구는 상기 제1 및 제2간막이 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정전 기록 장치.
  9. 정전 잠상을 2성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부(70)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76)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와의 사이에 연통로(84,84')가 형성되고, 이 연통로가 현상제 교반부에 대하여 개방되어 현상제 일출구(66h,66h')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와;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 내에 설치되며, 정전 잠상 담지체(48)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68)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86,88,86')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며, 교반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일출부 및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공급되는 현상제 교반 수단(78a,78b)과,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토너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토너 보충 수단(64)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보충 수단은 보충된 토너 성분이 상기 현상제 교반 수단에 의해 충분히 교반되어 마찰 대전된 후에 상기 현상제 일출구(66h)에 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 교반부(7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86,88,8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적어도 1개의 마그네트 롤러(86,88)를 포함하며, 이 마그네트 롤러의 자극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68)의 노출면을 따라 현상제를 인상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충 수단(64)은 토너 성분을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64a), 이 토너 수용부에 설치되는 보충구(64a') 및 이 보충구에 배치된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64c)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는 단위 시간당 토너 보충이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정전 잠상을 2성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와의 사이에 연통로가 형성되고, 이 연통로가 현상제 교반부에 대해 개방되어 현상제 일출구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 내에 설치되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서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며, 교반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일출구 및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공급되는 현상제 교반 수단과;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토너 성분을 보충하는 토너 보충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보충 수단은 보충된 토너 성분이 상기 현상제 교반 수단에 의해 충분히 교반되어 마찰 대전된 후에 상기 현상제 일출구에 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며,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 위에 위치된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과 이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 위에 위치된 마그네트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자계가 소실되는 위치로 해당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하도록 배치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정전 잠상을 2성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부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와의 사이에 연통로가 형성되고, 이 연통로가 현상제 교반부에 대해 개방되어 현상제 일출구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와;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 내에 설치되며, 정전 잠상 담지체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 내에서 현상제를 교반하며, 교반된 현상제의 일부를 상기 현상제 일출구 및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공급하는 현상제 교반 수단과;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토너 성분을 보충하는 토너 보충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보충 수단은 보충된 토너 성분이 상기 현상제 교반 수단에 의해 충분히 교반되어 마찰 대전된 후에 상기 현상제 일출구에 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며, 상기 연통로는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의 거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시 현상제 인상 수단은 적어도 2개의 마그네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 롤러의 자극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인상된 현상제가 S자형 경로로 인상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충 수단(64)은 토너 성분을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64a)와, 이 토너 수용부에 설치되는 보충구(64a')와, 이 보충구에 배치된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64c)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는 단위 시간당 토너 보충량이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정전 잠상을 2성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부(70)와 이 현상제 저장부의 위쪽에 위치한 현상제 교반부(76)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교반부와 상기 현상제 저장부와의 사이에 연통로(84')가 형성되고, 이 연통로가 현상제 교반부에 대해 개방되어 현상제 일출구(66h')를 형성하는 현상제 유지 용기(66)와;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저장부 내에 설치되며, 정전 잠상 담지체(48)와 대면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 위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해당 정전 잠상 담지체와의 대면 영역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68)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상기 대면 영역으로 반송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까지 인상시키는 현상제 인상 수단(86,88,86')과; 상기 현상제 유지 용기의 현상제 교반부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며, 교반된 현상제의 일부가 상기 현상제 일출구 및 상기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현상제 저장부에 공급되는 현상제 교반 수단(78a,78b)을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일출구(66h')는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86,88, 86')에 인접하고 수직면에서 개방되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일출구로서 형성되며, 상기 현상제 교반 수단은 한 쌍의 반송 스크류(78a,7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형 일출구의 폭은 상기 반송 스크류의 외경에 대하여 1/9 내지 7/27 범위의 비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교반부는 상기 현상제 교반부에 토너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토너 보충 수단(64)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토너 보충 수단은 보충된 토너성분이 상기 현상제 교반 수단에 의해 충분히 교반되어 마찰 대전된 후에 상기 현상제 일출구(66h)에 도달하도록 상기 현상제 교반부(7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적어도 1개의 마그네트 롤러(86,88)를 포함하며, 이 마그네트 롤러의 자극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68)의 노출면을 따라 현상제를 인상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68) 위에 위치된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86')과 이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 위에 위치된 마그네트 롤러(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현상제 인상 수단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자계가 소실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체 담지체(68)로부터 현상제를 인상할 수 있도록 배치된 날개(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충 수단(64)은 토너 성분을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64a)와, 상기 토너 수용부에 설치된 보충구(64a')와, 상기 보충구 내에 배치된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64c)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는 단위시간당의 토너 보충량이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보충 수단(64)은 토너 성분을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64a)와, 이 토너 수용부에 설치되는 보충구(64a')와, 이 보충구에 배치된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64c)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보충용 스펀지 롤러는 단위 시간당 토너 보충량이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KR1019950705202A 1994-03-18 1995-03-17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KR10021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9549 1994-03-18
JP4954994 1994-03-18
PCT/JP1995/000494 WO1995025988A1 (en) 1994-03-18 1995-03-17 Multicol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and static lat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use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632A KR960702632A (ko) 1996-04-27
KR100214320B1 true KR100214320B1 (ko) 1999-09-01

Family

ID=1283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202A KR100214320B1 (ko) 1994-03-18 1995-03-17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7192A (ko)
EP (2) EP0939346B1 (ko)
KR (1) KR100214320B1 (ko)
DE (2) DE69527159T2 (ko)
WO (1) WO1995025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217B2 (ja) * 1994-07-07 2005-04-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9269641A (ja) * 1996-03-29 1997-10-14 Fujitsu Ltd 現像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10239918A (ja) * 1997-02-24 1998-09-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78234B2 (ja) 1999-03-01 2010-06-09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6267722A (ja) * 2005-03-24 2006-10-05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6276490A (ja) * 2005-03-29 2006-10-1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047336B2 (ja) * 2010-07-15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7050A (en) * 1970-12-14 1972-10-10 Xerox Corp Cross-mixing baffle
US3947107A (en) * 1974-11-20 1976-03-30 Xerox Corporation Partially submerged active crossmixer
US4113371A (en) * 1977-01-12 1978-09-12 Xerox Corporation Color development system
JPS5834468A (ja) * 1981-08-26 1983-02-28 Ricoh Co Ltd 乾式現像装置
JPS5893944A (ja) * 1981-11-30 1983-06-03 Toyota Motor Corp 電子制御燃料噴射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5893944U (ja) * 1981-12-19 1983-06-2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S61167655A (ja) * 1985-01-21 1986-07-29 Kao Corp 硫酸化物の製造方法
JPS61167655U (ko) * 1985-04-05 1986-10-17
JPH0812518B2 (ja) * 1988-05-10 1996-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248965U (ko) * 1988-09-30 1990-04-05
US5223898A (en) * 1989-06-29 1993-06-2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apparatus with the following roller closer to the drum than the first roller
JPH04174474A (ja) * 1990-06-07 1992-06-22 Fujitsu Ltd トナー濃度制御装置
JPH04168457A (ja) * 1990-11-01 1992-06-16 Canon Inc 現像装置
US5384628A (en) * 1992-10-10 1995-01-2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2279A4 (en) 1996-07-24
DE69514297T2 (de) 2000-10-05
EP0702279A1 (en) 1996-03-20
WO1995025988A1 (en) 1995-09-28
DE69527159D1 (de) 2002-07-25
EP0939346A1 (en) 1999-09-01
DE69514297D1 (de) 2000-02-10
EP0939346B1 (en) 2002-06-19
DE69527159T2 (de) 2002-10-02
EP0702279B1 (en) 2000-01-05
KR960702632A (ko) 1996-04-27
US5617192A (en) 199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5104C (zh) 图像形成装置
JP200718357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031460B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16126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ing device
KR100214320B1 (ko) 다색 정전 기록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전 잠상 기록 장치
EP0699973B1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apparatus
KR1004815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H1130913A (ja) 現像装置
US5915151A (en) Rotary-type developing unit
JP2815029B2 (ja) 多色静電記録装置およびそこに用いる静電潜像記録装置
JP2011248169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346735A (ja) 現像装置
JP7073738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341649A (ja) 現像装置
JP2003287989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1154485A (ja) 現像装置における現像剤の交換方法
JP2861540B2 (ja) 現像装置
JPH11184225A (ja) 現像装置
JP3598448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30555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38233A (ja) 現像装置、現像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341648A (ja) 現像装置
JP5441513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トナー供給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3386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H05341644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