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907B1 -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907B1
KR100213907B1 KR1019960016577A KR19960016577A KR100213907B1 KR 100213907 B1 KR100213907 B1 KR 100213907B1 KR 1019960016577 A KR1019960016577 A KR 1019960016577A KR 19960016577 A KR19960016577 A KR 19960016577A KR 100213907 B1 KR100213907 B1 KR 10021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mode
carriage
printer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987A (ko
Inventor
주영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907B1/ko
Publication of KR97007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41J2/5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serial printer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은 자소 단위의 인쇄를 수행하는 시리얼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자를 수행하는 캐리지 부분에 독취부를 결합하여, 프린터 모드인 경우 인쇄 장치로 사용하고, 스캐너 모드인 경우 데이터 독취 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캐리지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에서, 원고로부터 소정량의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에 결합된 독취부와, 상기 프린터의 사용 용도를 입력받아 인쇄 및 독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인쇄를 처리하는 제1처리 단계와, 상기 사용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원고로부터 소정 단위로 독취를 수행하는 제2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가의 독취부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별도의 라인 단위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프린터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제3도는 제2도의 독취부가 결합된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캐리지에 독취부가 결합된 시리얼 방식의 인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캐리지에 독취부가 결합된 시리얼 방식의 인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메인 프레임 32 : 캐리지
33 : 캐리어 쉐프트 34 : 캐리어 모터
35 : 드라이브 풀리 36 : 타이밍 벨트
37 : 프린트 헤드 38 : 독취부
본 발명은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소 단위의 인쇄를 수행하는 시리얼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자를 수행하는 캐리지 부분에 독취부를 결합하여, 프린터 모드인 경우 인쇄 장치로 사용하고, 스태너 모드인 경우 데이터 독취 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터와 스캐너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 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사무 자동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프린터와 스캐너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식의 프린터 기능과 스캐너 기능을 지원하는 복합기에서는 고가의 라인 단위의 독취부가 결합되어 독취 속도는 빠른 반면에 고가의 독취부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라인 단위의 독취부 대신 시리얼 프린터의 캐리지부에 간단한 독취부를 결합하여 인쇄 모드인 경우 출력 장치로 사용하고, 독취 모드인 경우 독취부가 결합된 캐리지가 좌·우로 왕복하며 데이터를 독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터의 독취 장치는 캐리지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에서, 원고로부터 소정량의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에 결합된 독취부와, 상기 프린터의 사용 용도를 입력받아 인쇄 및 독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한자씩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 수단과, 상기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한 자씩 독취를 수행하기 위하 제2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제어 수단은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로 원고 이송을 제어하는 원고 이송 제어 수단과,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면서 상기 원고로부터 한 자씩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독취 제어 수단과,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원고의 한 라인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원고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터의 독취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인쇄를 처리하는 제1처리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원고로부터 소정 단위로 독취를 수행하는 제2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인쇄 방식은 시리얼 방식과, 라인 방식과 그리고 페이지 방식으로 대변할 수 있으며,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리얼 방식의 프린터는 컴퓨터로부터 자소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를 인쇄하는 방식을 말하면 대표적으로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가 이에 속한다.
라인 방식의 프린터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한 글자씩 찍지않고 한 라인을 단위로 한꺼번에 한 라인을 인쇄하는 방식을 말하며 자소 단위로 인쇄하는 시리얼 방식에 비해 인쇄 속도가 빠르다. 드럼 프린터(drum printer)와 벨트 프린터(belt printer)가 이에 속한다.
페이지 방식의 프린터는 한 페이지에 해당하는 인쇄될 모든 글자들을 인쇄하기 전에 구성한 후 인쇄 명령이 떨어지면 종이 한 페이지를 가져와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가 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시리얼 방식의 프린터 중 잉크젯 프린터를 대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프린터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캐리어 시스템을 감싸고 있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31)과, 프린트 헤드를 담고 이동시키는 캐리지(32)와,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 레일 역할을 하는 캐리어 쉐프트(Carrier shaft: 33)와,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어 모터(Carrier motor: 34)와, 캐리어 모터에 의해 제공된 동력을 타이밍 벨트에 전달하는 드라이브 풀리(Drive pully: 35)와, 드라이브 풀리(35)에 전달된 동력을 캐리지에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벨트(Timing belt: 36)와, 한 자씩의 인자를 위해 캐리지(32)안에 장착된 프린트 헤드(37)와, 용지 이송 장치인 라인 공급 메카니즘(40)과, 상기 라인 공급 메카니즘(40)을 구동하는 라인 공급 모터(39)와, 인쇄용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프린터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캐리어 시스템을 감싸고 있는 메인 프레임(31)과, 프린트 헤드를 담고 이동시키는 캐리지(32)와,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 레일 역할을 하는 캐리어 쉐프트(33)와,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어 모터(34)와, 캐리어 모터에 위해 제공된 동력을 타이밍 벨트에 전달하는 드라이브 풀리(35)와, 드라이브 풀리에 전달된 동력을 캐리지에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벨트(36)와, 인자를 위해 캐리지(32) 안에 장착된 프린트 헤드(37)와, 용지 이송 장치인 라인 공급 메카니즘(40)과, 상기 라인 공급 메카니즘(40)을 구동하는 라인 공급 모터(39)와, 인쇄 모드인 경우 인쇄용 용지를, 독취 모드인 경우 원고를 장착할 수 있는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와, 원고로부터 소정량의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해 캐리지(32)에 결합된 캐리지 유니트로 구성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캐리지(32)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로서, 헤드를 고정하기 위한 크래들 헤드(cradle head; 40)와, 헤드와 주 회로 기판(미도시)을 연결하고 독취 데이터를 전송하는 FPC 케이블(402)과, 헤드와 용지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디프렉터 가이드(deflector guide; 403)와, 헤드의 접점을 정확히 하기 위한 루벌 콘텍트(rubber contact; 404)와, 헤드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한 래치 헤드(latch head; 405) 및 스프링 래치(spring-latch; 406)와, 캐리지를 구동용 샤프트와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CR(407)과, 원고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부(38)로 구성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캐리지에 독취부가 결합된 시리얼 방식의 인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을 입력받는 작동 패널(501)과,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한 캐리지를 왕복(shuttle) 이동시키는 캐리어 모터(34) 및 용지의 공급을 위한 라인 공급 모터(39)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502)와, 프린트 헤드(37)를 구동시키는 헤드 드라이버(503)와,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장치(504)와, 독취부(510)로부터 독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독취 데이터 입력부(509)와, 잉크젯 프린트의 전력 제어 및 프린팅 작업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505) 및 RAM(506)과, 퍼스널 컴퓨터(70)와 잉크젯 프린터를 접속시켜 주는 퍼스널 컴퓨터 인터페이스(507)와, 잉크젯 프린터의 모든 프린팅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CPU : 508)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프린팅 메카니즘(60)과 독취부(510)를 구동하여 퍼스널 컴퓨터(70)가 요청한 프린팅 작업과 독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CPU(50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 드라이버(502)와 헤드 드라이버(503) 및 센싱 장치(504)의 제어 출력을 프린팅 메카니즘(60)에 전송하고, 독취부(510)에 의해 독취된 데이터는 독취 데이터 입력부(509)에 입력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에 독취부가 결합된 인쇄 기능과 독취기능을 지원하는 인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인쇄를 처리하는 제1처리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한 자씩 독취를 수행하는 제2처리 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제1처리 단계는 인쇄할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 단계와, 상기 용지 후 상기 용지에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용지를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제2처리 단계는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로 원고를 이송하는 이송 단계와,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를 왕복 운동(shuttle)하면서 상기 원고로부터 한 자씩 독취하여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송하는 독취 단계와,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원고의 한 라인을 공급하는 라인 공급 단계와, 독취할 원고가 더 존재할 경우 상기 독취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캐리지에 독취 장치가 결합된 인쇄 기능과 독취 기능을 지원하는 인쇄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의 사용 목적에 따라 작동 패널(501)을 통해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다(단계 51).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 모드 입력 값에 따라 프린터 기능을 수행하거나, 독취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모드를 판단하다(단계 52)
입력 모드 판단 결과 프린팅 모드이면 일반적인 프린터로써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S2).
먼저, 인쇄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다(71). 즉, PC로부터 인쇄될 데이터의 전송 유뮤를 판단한다.
인쇄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인쇄할 용지를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부터 캐리지(32) 방향으로 이송한다(단계 72).
인쇄할 용지를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부터 캐리지(32) 방향으로 이송한 후, 인쇄를 수행한다(단계 74).
인쇄를 수행한 후, 인쇄 종료를 판단한다(단계 74). 즉 인쇄할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인쇄 종료 판단 결과 인쇄가 종료된 경우 용지 배출을 수행한다(단계 75).
만일 인쇄 종료 판단 결과 인쇄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인쇄를 수행한다(단계 73).
또한, 상기 입력 모드 판단 결과 독취 모드이면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S3).
먼저, 독취할 원고를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부터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 방향으로 이송한다(단계 61).
독취할 원고를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부터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 방향으로 이송한 후, 잠시 동안 독취를 준비한다(단계 62). 즉, 원고 이송이 완료되면 독취부(38)는 CPU(508)의 제어에 따라 준비 상태가 된다.
독취 준비가 종료된 후,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를 이동시키며 한 문자씩 독취하여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송한다(단계 63). 즉, 캐리지(32)에 결합된 독취부(38)로 원고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하여 캐리지(32)가 구동된다. 이때 구동원으로는 캐리지 모터(34)를 사용한다.
캐리지 모터(34)가 구동되면, 캐리지(32)는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왕복이동하며 1회 이동시 한 라인의 독취 데이터를 독취한다 .이때 독취부(38)를 통해 독취된 데이터는 독취 데이터 입력부(509)를 거쳐 램(506)에 저장된다.
이어, 상기 독취된 데이터가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단계 64).
만일, 상기 독취된 데이터가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인 경우 독취할 원고를 자동 용지 공급 장치(41)로부터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 방향으로 한 라인 공급한다. 즉 CPU(508)가 모터 드라이버(502)를 제어하여 라인 공급 모터(39)를 구동시켜 라인 공급 메카니즘(40)을 회전시키므로, 기설정된 양만큼 한 라인이 이송된다.
또한, 상기 독취된 데이터가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를 이동시키면 한 문자씩 독취하여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계속 전송한다(단계 63).
이어서, 독취할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66).
독취할 원고의 잔여 존재 유무를 판단한 결과 잔여 원고가 존재한 경우 독취부(38)가 결합된 캐리지(32)를 왕복 이동시키며, 한 문자씩 독취하여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계속 전송한다(단계 63).
만일, 독취할 원고의 잔여 존재 유무를 판단한 결과 잔여 원고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독취 작업을 종료하고 초기 상태로 돌아가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다(단계 5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라인 단위의 독취부 대신 한 문자씩 독취하는 독취부를 캐리지에 결합하여 본 발명을 프린터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캐리지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며 데이터를 독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가의 독취부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별도의 라인 단위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독취된 데이터를 PC로 전송하여 독취된 원고 데이터를 PC에서 수정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므로 쉽게 원고를 수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7)

  1. 인쇄부를 장착한 캐리지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어 원고 위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독취하는 독취부; 상기 프린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프린터의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인쇄 및 독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쇄용지 및 원고를 상기 캐리지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프린터의 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부는, 상기 원고로부터 한 문자씩 데이터를 독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한 문자씩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제1제어 수단과; 상기 사용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한 문자씩 독취를 수행하기 위한 제2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수단은,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로의 원고 이송을 제어하는 원고 이송 제어 수단과;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면서 상기 원고로부터 한 문자씩 독취된 데이터를 메모리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독취 제어 수단과;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원고의 한 라인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원고 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 장치.
  5. 독취부 및 인쇄부를 함께 장착한 캐리지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데이터 독취 및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아 상기 모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 모드가 인쇄 모드인 경우 상기 캐리지를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제1처리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 모드가 독취 모드인 경우 원고로부터 데이터를 독취하는 제2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 단계는,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로 상기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 이송 단계; 상기 독취부가 장착된 캐리지를 좌우 왕복운동(shuttle)하면서 상기 원고로부터 한 문자씩 독취하는 독취 단계;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한 라인의 독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원고의 한 라인을 공급하는 라인 공급 단계; 독취될 원고가 더 존재할 경우 상기 독취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된 원고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독취된 원고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에서 수정하여 프린터로 출력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부는 상기 캐리지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독취 장치.
KR1019960016577A 1996-05-17 1996-05-17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577A KR100213907B1 (ko) 1996-05-17 1996-05-17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577A KR100213907B1 (ko) 1996-05-17 1996-05-17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987A KR970073987A (ko) 1997-12-10
KR100213907B1 true KR100213907B1 (ko) 1999-08-02

Family

ID=1945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577A KR100213907B1 (ko) 1996-05-17 1996-05-17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9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987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659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5740339A (en) Outputting method and apparatus
KR0159724B1 (ko) 용지폭에 따른 축소인자방법과 시리얼 프린터
EP0930771A2 (en) Compact multi-functional apparatus
KR100213907B1 (ko) 프린터의 독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5777617A (en) Outpu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apparatus, at controlled output size
US6196661B1 (en) Serial recording apparatus
KR100208697B1 (ko) 셔틀 원고 판독 수단을 이용한 복합기
US20220242111A1 (en) Inkjet printer having transmission antenna connected to control board provided in casing and reception antenna provided in carriage
KR19990000354A (ko) 작은용지의 퀵(Quick)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0258525B1 (ko) 셔틀(shuttle)스캐너가 장착된 캐리어의 이동량 최적화방법
JP3549304B2 (ja) 記録装置
KR100265130B1 (ko) 스캐닝기능을 가지는 프린팅 장치
JPH0662196A (ja) スキャナプリンタ
KR100238053B1 (ko) 복합기의 스캐닝/인쇄 이중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449989B1 (ko) 복합 인쇄기기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인쇄기기
JPH0865456A (ja) イメージスキャナ
JP348064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872261B2 (ja) 複写装置
KR100233664B1 (ko) 전사전압 제어방법
JP2514678B2 (ja) 画像処理方法
JP3592215B2 (ja) 複合システム、プリンタ装置、外部装置、および印刷機能起動方法
KR19990060266A (ko) 화상형성장치의 이면지 검출방법
JPS63102460A (ja) 複写装置
JP2018144238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