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715B1 -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715B1
KR100211715B1 KR1019970016523A KR19970016523A KR100211715B1 KR 100211715 B1 KR100211715 B1 KR 100211715B1 KR 1019970016523 A KR1019970016523 A KR 1019970016523A KR 19970016523 A KR19970016523 A KR 19970016523A KR 100211715 B1 KR100211715 B1 KR 10021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iron plate
anchor
epox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892A (ko
Inventor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유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권 filed Critical 유성권
Priority to KR101997001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71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화된 슬라브를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은 일측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돌기부와, 앵커볼트 및 앵커너트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과,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에 인접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서 일정높이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본 발명은 노후화된 슬라브를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건물의 슬라브나 교량의 슬라브를 보강할려면, 철판에 일정한 길이를 두고 관통구멍을 뚫은 다음, 상기 철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상부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와샤를 재치시키고, 철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하부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슬라브의 하부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볼트에 너트를 나합시켜서 슬라브를 보강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하여 슬라브를 보강할려면, 철판과 슬라브의 하부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철판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구멍상에 와샤를 올려놓고, 철판의 하부면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햄머드릴로 슬라브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구멍내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에 너트를 결합함으로써, 철판을 슬라브의 바닥에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철판고정작업이 어렵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판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구멍상에 와샤를 올려놓고, 철판의 하부면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햄머드릴로 슬라브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구멍내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와샤가 철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도 있어 상기 슬라브와 철판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슬라브의 보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과 목적은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보강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품질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은 일측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돌기부와, 앵커볼트 및 앵커너트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과,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에 인접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서 일정높이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임시고정시키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앵커볼트 삽입구멍을 천공하는 스텝과,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앵커볼트를 삽입 고정시키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을 통해서 너트를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각각 나합시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스텝과, 각각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사이의 당접면을 용접하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의 가장자리와 콘크리트 슬라브사이를 에폭시 퍼티로 밀폐시키면서 배기파이프를 적절한 거리를 두고 매설하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의 앵커용 관통구멍에 각각 인접해서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슬라브를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슬라브를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슬라브를 보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브 보강용 철판 12 : 돌기부
14 : 앵커용 관통구멍 15 : 에폭시 주입공간
16 : 콘크리트 슬라브 18a : 앵커 볼트
18b : 너트 20 : 배기파이프
22 : 에폭시 주입구멍 112 : 돌기부
114 : 에폭시 주입공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슬라브를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은 평판형상의 SS41강판(고장력 스틸 강판)으로써, 그 일측면에는 프레스가공 또는 용접에 의해 2 내지 15mm 높이의 원기둥형상의 돌기부(12)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에는 앵커볼트(18a) 및 앵커너트(18b)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16)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1m2당 적어도 5개의 앵커용 관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14)에 인접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하부면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15)에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에폭시 주입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은 일측면에 3 내지 15mm 높이의 원기둥형상의 돌기부(12)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1m2당 적어도 5개의 앵커용 관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14)을 통해서 햄머드릴로 콘크리트 슬라브(16)의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구멍에 앵커볼트(18a)를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18a)에 너트(18b)를 견고하게 나합시켜서 조이면,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바닥면사이에는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일측면에 다수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돌기부(12)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바닥면사이에는 다수개의 원기둥형상 돌기부(12)에 의해 점접촉되면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에폭시 주입공간(15)이 형성되므로, 에폭시 주입구멍(22)을 통해서 상기 에폭시 주입공간(15)에 에폭시를 주입하면, 콘크리트 슬라브(16)의 전체 면적을 균등하게 보강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가장자리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에폭시 퍼티에 의해 밀폐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에폭시 퍼티에 의해 밀폐시킬 때,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에폭시 주입공간(15)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 파이프(20)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폭시 주입공간(15)에 에폭시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철판에 비하여 보강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보강작업이 용이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브 바닥면과 슬라브 보강용 철판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보강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품질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슬라브를 보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 차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0)은 일측면에 반원형 형상의 돌기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1과 다른점이다.
이와 같이 슬라브 보강용 철판(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돌기부(112)는 상기 앵커볼트(18a)와 너트(18b)를 견고하게 나합시키면,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바닥면사이에는 다수개의 원기둥형상 돌기부(12)에 의해 점접촉되면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에폭시 주입공간(114)이 형성되므로, 상기 에폭시 주입구멍(22)을 통해서 에폭시 주입공간(114)에 에폭시를 주입하면, 콘크리트 슬라브(16)의 전체 면적을 균등하게 보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실시예 2의 설명에 있어서, 에폭시 주입구멍(22)을 앵커용 관통구멍(14)에 인접해서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14)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14) 및 에폭시 주입구멍(22)은 1m2당 적어도 5개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5개 이하 또는 5개 이상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해서 콘크리트 슬라브를 보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S는 스텝을 표시한다.
노후된 콘크리트 슬라브(16)를 보강할려면, 먼저, 스텝S1에서 콘크리트 슬라브(16)의 하부면에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을 임시고정시키고, 스텝S2로 나아가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14)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햄머드릴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에 앵커볼트 삽입구멍을 천공하고,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상기 햄머드릴에 의해 형성된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앵커볼트(18a)를 삽입고정시킨다.
다음에, 스텝S4로 나아가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14)을 통해서 너트(18b)를 각각 삽입한 다음,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고정된 앵커볼트(18a)에 견고하게 각각 나합시킴으로써,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을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하부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상부면(콘크리트 슬라브(16)쪽의 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12)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돌기부(12)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는 서로 면접촉하여 일정한 폭의 에폭시 주입공간(15)이 형성된다.
다음에, 스텝S5로 나아가서 각각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사이의 당접면을 용접하여 붙이고,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가장자리와 콘크리트 슬라브(16)사이를 에폭시 퍼티로 밀폐시키면서 배기파이프(20)를 적절한 거리를 두고 매설하고, 스텝S7로 나아가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의 앵커용 관통구멍(14)에 각각 인접해서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22)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6)의 하부면과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15)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노후된 콘크리트 슬라브(16)를 보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을 사용하여 노후된 콘크리트 슬라브를 보강하는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0)을 사용하여 노후된 콘크리트 슬라브를 보강하는 방법은 대체로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슬라브 보강용 철판(100)을 사용하여 노후된 콘크리트 슬라브를 보강하는 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은 일측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돌기부와, 앵커볼트 및 앵커너트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과,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에 인접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서 일정높이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를 보강하면, 보강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시공품질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돌기부와, 앵커볼트 및 앵커너트에 의해서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과, 상기 앵커용 관통구멍에 인접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서 일정높이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그 높이가 2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
  3.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임시고정시키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앵커볼트 삽입구멍을 천공하는 스텝과,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앵커볼트를 삽입고정시키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형성된 다수의 앵커용 관통구멍을 통해서 너트를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멍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각각 나합시켜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스텝과, 각각의 슬라브 보강용 철판사이의 당접면을 용접하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의 가장자리와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를 에폭시 퍼티로 밀폐시키면서 배기파이프를 적절한 거리를 두고 매설하는 스텝과, 상기 슬라브 보강용 철판의 앵커용 관통구멍에 각각 인접해서 형성된 에폭시 주입구멍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면과 슬라브 보강용 철판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 주입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보강용 철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슬라브 보강방법.
KR1019970016523A 1997-04-30 1997-04-30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KR10021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23A KR100211715B1 (ko) 1997-04-30 1997-04-30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23A KR100211715B1 (ko) 1997-04-30 1997-04-30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92A KR19980078892A (ko) 1998-11-25
KR100211715B1 true KR100211715B1 (ko) 1999-08-02

Family

ID=1950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523A KR100211715B1 (ko) 1997-04-30 1997-04-30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7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11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를 이용한 엘(l)형 탄소판의전단보강공법
KR20030081910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를 이용한 탄소판 부착보강공법
KR20030081912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와 탄소판 전용 플랫인장잭을 이용한 탄소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KR100455413B1 (ko) * 2002-01-14 2004-11-06 배석동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RU2528753C2 (ru) * 2012-05-23 2014-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RU2761801C1 (ru) * 2021-04-01 2021-12-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в составе перекрыт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41B1 (ko) * 2000-10-24 2004-01-31 건융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용 부재
AU1280002A (en) * 2000-10-30 2002-05-15 Maintenance Professional Co Lt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426342B1 (ko) * 2001-06-27 2004-04-08 이승영 슬래브 교량의 보강방법
KR100412049B1 (ko) * 2001-06-27 2003-12-24 정한복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0435099B1 (ko) * 2001-10-31 2004-06-09 구일건설(주) 부모멘트로 손상된 교량 상판 패널보강공법
KR100447860B1 (ko) * 2002-05-01 2004-09-08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KR100741439B1 (ko) * 2005-03-23 2007-07-25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413B1 (ko) * 2002-01-14 2004-11-06 배석동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20030081911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를 이용한 엘(l)형 탄소판의전단보강공법
KR20030081910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를 이용한 탄소판 부착보강공법
KR20030081912A (ko) * 2002-04-15 2003-10-22 (주)씨씨엘 코리아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와 탄소판 전용 플랫인장잭을 이용한 탄소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
RU2528753C2 (ru) * 2012-05-23 2014-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RU2761801C1 (ru) * 2021-04-01 2021-12-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в составе перекрыт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92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715B1 (ko) 슬라브 보강용 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JP3148923U (ja) 法面の補修・補強構造
EP112344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ound slab field and a ground slab field
KR20090061437A (ko) 조적벽체 보강공법
JPH0721722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スラブの補強方法
JPH07102528A (ja) プレキャスト高欄およびプレキャスト高欄と床版の結合方法
KR100211714B1 (ko) 슬라브 보강용 굴곡철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라브 보강방법
JP3277793B2 (ja) 壁構造物の補強工法
KR100501747B1 (ko) 앵커 볼트에 의한 강판 취부시 에폭시 누출이 방지되게 한실링공법과 그 장치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455414B1 (ko)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JP2002332645A (ja)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US6454181B1 (en) Subway rail anchor assembly
JP2007162237A (ja) 躯体補強構造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857257B2 (ja) 橋脚の段落とし部耐震補強構造
KR100455413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04478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JPH07180110A (ja) 平行に架設した桁材を有する構造物のプレストレス導入補強方法
KR102612981B1 (ko) Pc 더블월 벽체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c 더블월 벽체 시공방법
KR100698018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20020064254A (ko) 외부 강선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 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강재정착물
JP4006689B2 (ja) 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を利用した地下ピットおよび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用芯材
JP3722703B2 (ja) 橋脚縁端拡幅ブラケットの橋脚への定着構造
JPS6037975Y2 (ja) 躯体にプレ−トを固定するアンカ−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