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671B1 -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671B1
KR100211671B1 KR1019960053319A KR19960053319A KR100211671B1 KR 100211671 B1 KR100211671 B1 KR 100211671B1 KR 1019960053319 A KR1019960053319 A KR 1019960053319A KR 19960053319 A KR19960053319 A KR 19960053319A KR 100211671 B1 KR100211671 B1 KR 10021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equipment
control unit
component
equipmen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088A (ko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6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4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fault tolerance, reliability of production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02Wafer proce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34Maintenance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제조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시킨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챔버, 포트 및 이송부 등이 각 구성요소로 구비되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 및 제어하는 장비제어부 및 상기 장비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베이스의 확인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의 점검주기인 피엠(P.M)주기를 판단하여 상기 장비제어부로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장비제어부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종합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별로 이루어지는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시킨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는 수많은 제조장비들을 이용하여 공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제조장비들은 세부적으로 챔버(Chamber), 포트(Port) 및 이송부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장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장비제어기 및 종합제어기 등으로 구축되는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장비의 점검 및 유지보수와 같은 관리를 수행한다.
종래의 관리시스템은 제조장비의 점검 및 유지보수와 관리를 각 구성요소별로 수행한 것이 아니라 제조장비단위로 통합하여 수행하였다.
즉, 장비제어기에 제조장비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하여 종합제어기로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주로 제조장비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제조장비를 점검하는 주기인 피엠(Pre-Maintenance ; P.M)주기를 확인판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피엠주기를 제조장비단위로 관리하였기 때문에 제조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피엠주기는 무시되었다.
그래서 각 구성요소의 피엠주기가 되는 시점에서도 제조장비전체의 피엠주기가 아니면 계속적인 공정이 수행되었고 이로 인해 제조장비는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또한 제조장비의 피엠주기가 된 시점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피엠주기가 아니더라도 제조장비의 가동을 중단시켰기 때문에 제조장비의 가동효율을 저하시켰다.
즉, 종래의 관리시스템은 제조장비단위로 관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의 이력 및 상태의 데이터베어스 구축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각 구성요소마다 수행되는 단위공정의 진행확인은 더욱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의 제조장비 관리시스템은 각 구성요소별로 관리가 이루어지지않고 제조장비의 관리만 이루어져서 제조장비의 손상 및 가동효율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재조장비의 관리를 통하여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조장비 10 : 챔버
12 : 포트 14 : 이송부
20 : 장비제어부 22 : 종합제어부
24 :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챔버(Chamber), 포트(Port) 및 이송부 등이 각 구성요소로 구비되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관리 및 제어하는 장비제어부 및 상기 장비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베이스의 확인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의 점검주기인 피엠(P.M)주기를 판단하여 상기 장비제어부로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장비제어부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종합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엠주기를 출력하기 위하여 모니터(Monitor)를 구비하고, 또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Operator Interfaces)화면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방법은, 반도체 제조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점검주기인 피엠주기를 확인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피엠주기가 확인된 각 구성요소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백업화일(Backup File)로 저장하고 조치를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요소는 복수개의 챔버, 포트 및 이송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1은 복수개의 챔버(10), 포트(12) 그리고 이송부(14) 등을 각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는 제조장비(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조장비 피엠주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각 구성요소(10, 12, 14)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 및 제어하는 장비제어부(20) 및 장비제어부(2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각 구성요소(10, 12, 14)들의 유지보수 및 크리닝(Cleaning)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점검주기인 피엠주기를 확인판단하는 종합제어부(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장비제어부(20)는 종합제어부(22)에서 확인판단한 피엠주기를 입력받아 각 구성요소(10, 12, 14) 중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종합제어부(22)에서 확인판단되는 피엠주기를 출력하는 출력부(24)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출력부(24)는 모니터 또는 작업자가 종합제어부와의 통신(Communication)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로 구비될 수 있고, 실시예는 모니터로 구비되어 작업자는 언제든지 각 구성요소(10, 12, 14)의 이력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2는 단계 S2에서 장비제어부(20)에 제조장비(1)의 각 구성요소인 챔버(10), 포트(12) 및 이송부(14) 등의 이력 및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단계 S4에서 종합제어부(22)는 장비제어부(20)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각 구성요소(10, 12, 14)의 이력 및 상태를 조회하여, 단계 S6에서 조회가 이루어진 각 구성요소(10, 12, 14)의 이력 및 상태를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10, 12, 14)의 피엠주기를 확인 및 판단하여 장비제어부(20)에 입력시키고, 단계 S8에서 장비제어부(20)는 입력이 이루어진 피엠주기의 해당 구성요소의 이력 및 상태를 백업화일로 저장하고 동시에 해당 구성요소의 공정수행을 중단시키는 등의 제어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10, 1, 14)의 이력 및 상태는 작업자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피엠의 출력이 이루어질 때 롱 메시지도 함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2에서 제조장비(1)의 각 구성요소인 챔버(10), 포트(12), 이송부(14) 등의 이력 및 상태를 장비제어부(20)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시킨다.
그리고 단계 S4에서 종합제어부(24)는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아 제조장비(1)의 구성요소들인 챔버(10), 포트(12) 및 이송부(14) 등의 이력 및 상태 등을 조회하고, 단계 S6에서 조회한 결과로서 각 구성요소910, 12, 14)의 피엠주기를 확인 및 판단하고 장비제어부(20)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부(24)는 피엠주기가 확인되는 해당 구성요소의 점검원인을 나타내는 롱 메시지를 함께 출력하고, 또한 작업자는 출력부(24)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10, 12, 14)의 이력 및 상태를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8에서 장비제어부(20)는 입력이 이루어진 프레메이트주기의 해당 구성요소의 이력 및 상태를 백업화일로 저장하고, 또한 해당 구성요소의 공정을 중단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조장비의 관리는 제조장비의 각 구성요소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제조장비관리를 이룩할 수 있다.
즉, 제조장비(1)전체의 가동중단이 아닌 해당구성요소만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서 제조장비(1)는 계속적인 공정수행을 진행할 수 있어 제조장비(1)의 가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당 구성요소 각각으로 피엠주기를 확인 및 점검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인 제조장비(1)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별로 이루어지는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복수개의 챔버(Chamber), 포트(Port) 및 이송부 등이 각 구성요소로 구비되는 반도체 제조장비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관리 및 제어하는 장비제어부; 및
    상기 장비제어부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베이스의 확인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의 점검주기인 피엠(P.M)주기를 판단하여 상기 장비제어부로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장비제어부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종합제어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엠주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모니터(Monito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Operator Interfaces)화면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5. 반도체 제조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피엠주기를 확인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피엠주기가 확인된 각 구성요소의 이력 및 상태 등을 백업화일(Backup File)로 저장하고 조치를 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복수개의 챔버, 포트 및 이송부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방법.
KR1019960053319A 1996-11-11 1996-11-11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21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319A KR100211671B1 (ko) 1996-11-11 1996-11-11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319A KR100211671B1 (ko) 1996-11-11 1996-11-11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88A KR19980035088A (ko) 1998-08-05
KR100211671B1 true KR100211671B1 (ko) 1999-08-02

Family

ID=1948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319A KR100211671B1 (ko) 1996-11-11 1996-11-11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322B1 (ko) * 1999-05-20 2001-09-26 박종섭 반도체 라인 관리를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88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5697B2 (ja) 圧縮空気又は真空を発生する装置のための電子制御部
KR100297371B1 (ko) 반도체 공정 데이터 통합 관리 방법
CN113728588B (zh) 控制装置
US102818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nergy-efficient control of a plant
KR100211671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9740184B2 (en) Controls interface solution for energy savings
Ji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Bernoulli serial production lines with switch-on/off machine control
KR20140028163A (ko) 산업용 로봇 관리 시스템
JPH07142801A (ja) レーザ装置
JP2017116993A (ja) セル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製造セルの状態変化管理システム
CN105122163B (zh) 错误处理系统
CN110073297B (zh) 从机装置、其控制方法、主机从机控制系统以及记录媒体
CN110244639A (zh) 一种终端设备、工程机械监控设备及工程机械监控系统
JPH103312A (ja) 数値制御装置の管理方法
JP5537354B2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CN221058328U (zh) 分散控制系统
KR100483432B1 (ko) 핫백업을이용한반도체제조설비관리시스템
KR100662745B1 (ko) 온라인 그룹 변경이 가능한 공장 제어 시스템 및 상기시스템을 이용한 그룹 운전 방법
KR19980068469A (ko) 반도체 설비 통합 제어시스템
JPH07186012A (ja) 工具交換時期予測装置
KR100450129B1 (ko) 반도체설비 시스템
JPH0599708A (ja) モデルシミユレーシヨン装置
KR20100045142A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알람 처리 장치 및 알람 설정 방법
KR100275569B1 (ko) 피엘씨 핸디 로더
KR20220150526A (ko) 가공철근 생산 설비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