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877B1 -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877B1
KR100210877B1 KR1019920007575A KR920007575A KR100210877B1 KR 100210877 B1 KR100210877 B1 KR 100210877B1 KR 1019920007575 A KR1019920007575 A KR 1019920007575A KR 920007575 A KR920007575 A KR 920007575A KR 100210877 B1 KR100210877 B1 KR 10021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railing
moving
passenger convey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432A (ko
Inventor
쥬이찌 사이또
다다오 기도
고우 하다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04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59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6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656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2002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4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for balustrades 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손잡이 입구부의 안전장치와 이동손잡이와의 간격에 손가락등의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 그것을 신속하게 해방할 수가 있는 것과 동시에, 침입하기 전에 승객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과 침입하기 전에 승객에게 위험을 감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전성이 높은 승객 컨베이어를 얻기 위하여, 순환하는 이동손잡이가 침입하는 난간내부로의 입구부에 설치한 가동체를, 이동손잡이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지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의 에스컬레이터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안정장치의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선에 따른 가동체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움직임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가동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XI-XI에 따른 보호체의 종단 확대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1도의 상당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1도의 상당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1도의 상당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안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딤판 2 : 승강구
3 : 난간 4 : 이동 난간
5 : 난간패널 6 : 프레임
7 : 내부 데크 커버 8 : 외부 데크 커버
9 : 스커트 가드 10 : 안전장치
11 : 지지부재 12 : 체결부재
13 : 고정 지지체 14 : 가동 지지체
16 : 스위치 작동부 18 : 검출 스위치
19 : 가동자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전동도로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난간의 입구부에 안전장치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컨베이어는, 순환하는 이동 난간의 왕로측(往路側)은 난간의 주연을 따라 안내되고, 귀로측(歸路側)은 난간 하부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난간 하부의 이동 난간의 입구에, 예를 들면 특개소 51-42278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이 이동 난간과 그 입구와의 간격에 유아의 손가락 등이 침입한 때에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고, 침입한 손가락의 해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3,970,187호에 나타난 것 같이, 이동 난간의 입구에,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형성되고, 극히 작은 힘으로 간단히 파괴되는 장벽부재(barrier member)를 승강장 바닥과 이동 난간에 걸치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에 승객의 손가락이 이동 난간과 상기 장벽부재의 사이에 끼어들어간 경우에, 상기 장벽부재는 용이하게 파손되기 때문에, 승객은 즉시 손을 후퇴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승객의 손가락이 상기 이동 난간의 입구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 중 전자는, 안전장치의 일부를 스프링을 개재하여 지지하고, 이 스프링을 변형시켜 상기 안전장치의 일부가 침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난간과 안전장치의 간격에 유아의 손가락 등이 일단 침입하면, 상기 스프링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더욱 간격을 넓혀 침입하기 쉽도록 하는 문제가 있어, 실제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 상황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 중 후자는, 승강장 바닥 위에 상기 장벽부재가 놓이기 때문에, 유아가 발로 걷어차거나, 바닥 청소할 때에 청소도구가 가볍게 부딪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안전장치의 입구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침입한 경우, 즉시 운전을 정지하여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해방시킬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의 하나는, 안전장치의 입구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침입하기 전에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의 하나는, 안전장치의 입구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침입하기 전에 승객에게 위험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순환하는 이동 난간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이다. 또한, 외력이 가해질 때에 간격이 생기거나, 또는 파괴되는 보조구를 승강장 바닥에서 떨어지게 상기 이동 난간의 입구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안전장치의 가동체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가락 등이 끼어 압박된 경우에, 가동체를 쥐고 자기 앞(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가동체는 압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잡아뗄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간격에 침입하려고 하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이동 난간의 입구부에 설치된 보조구가 외력을 받아 간격이 생기거나 파괴되는 것에 의해, 유아가 위험을 인식하여 손가락을 후퇴하기 때문에, 그 이상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외력을 검출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승객 컨베이어,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 같이, 무단상(無端狀)으로 연결되어 회동하는 디딤판(1)과, 회동하는 디딤판(1)의 진행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승강구(2)와, 회동하는 디딤판(1)의 양측을 따라 세워설치된 난간(3)과, 이 난간(3)의 주연을 상기 디딤판(1)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이동 난간(4)과, 이것들을 지지하여 설치되는 골격체(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난간(3)은, 상기 골격체에 지지되어 세워설치된 난간패널(5)과, 이 난간 패널(5)의 주연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난간(4)을 안내하는 손잡이 프레임(6)과, 상기 난간 패널(5)의 골격체에의 지지부를 덮는 내부 데크 커버(7), 외부 데크 커버(8) 및 스커트 가드(skirt guard)(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 가드(9)의 상기 이동 난간(4)의 입구부에는 안전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장치(10)는 제1도, 제2도와 제5도∼제6도에 도시된 것 같이, 크게 나누면, 상기 내부 데크 커버(7), 외부 데크 커버(8) 및 스커트 가드(9)로 둘러싸인 내측에 설치된 고정 지지체(13)와, 이 고정 지지체(13)에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가동 지지체(14)와, 상기 고정 지지체(13)와 가동 지지체(14) 사이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18)와, 이 검출 스위치(18)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지지체(13)와 가동 지지체(14)의 사이에 설치된 제1코일스프링(20)과, 상기 가동 지지체(14)에 지지된 가동체(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체(13)는 상기 골격체에 지지된 지지부재(11)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지지체(13)는, 예를 들면 강판 등의 판재를 凸 형태로 찍어내어 형성한 것으로, 凸 형태의 돌출단부를 스위치 지지부(13A)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지지체(14)는 상부 양측에 상기 가동체(21)를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15A,15B)를 갖고, 상부 중앙부를 상기 이동 난간(4)의 이동방향과 대향하는 측으로 절곡하여 선단을 다시 상승시켜 상기 검출 스위치(18)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작동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가동 지지체(14)도 역시 강판 등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절결부(17A)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 지지체(13)의 상기 지지부재(11)에의 고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부(16)에 이르는 수평 부분에는 관통구멍(17B)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 지지체(13)의 스위치 지지부(13A)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스위치 지지부(13A)와 스위치 작동부(16)의 사이에는, 상기 제1코일 스프링(20)이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16)와 근소한 간격을 두고 상기 검출 스위치(18)의 가동자(可動子)(19)가 대향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고정 지지체(13) 및 가동 지지체(14)보다도 연하며 상기 이동 난간(4)과 동일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난간(4)과 난간패널(3)을 관통하는 관통홈(22)(제2도)을 지니며, 상기 지지부(15A,15B)에의 피지지부(23)(제6도,제7도)를 갖는다. 상기 관통홈(22)은 상기 이동 난간(4) 및 난간패널(3)과의 간격 G1,G2,G3(제2도)를 손가락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미소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피지지부(23)에는 상기 가동 지지체(14)에 대해 직각으로 후술하는 가이드핀(25) 및 제 2 코일스프링(26)을 수납하는 수납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구멍(24)의 상기 가동 지지체(14)측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핀(25)을 관통하는 작은 구멍(24H)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핀(25)은 일단에 두부(頭部)(25H)를, 타단부에는 나사부(25S)를 갖고, 이 나사부(25S)를 상기 작은 구멍(24H)과 상기 가동체 지지부(15A,15B)로 관통하여 너트(25N)로 빠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스프링(26)은 상기 가이드핀(25)의 두부(25H)와 수납구멍(24)의 저부 사이에 배치 설치되어, 그 결과,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가동체 지지부(15A,15B)에 눌려진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그러나, 제6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가이드핀(25)과 상기 제2코일스프링(26)을 상기 가동 지지체(14)보다 내측(도면 중 우측)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기능적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제1도 중의 도면부호 27은 상기 검출 스위치(18)의 가동자(19)의 선단과 상기 작동부(16)의 간격을 조정하는 스톱퍼로서, 상기 가동 지지체(14)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어 선단을 상기 고정 지지체(13)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도 중의 도면부호 21S는 상기 가동체(21)에 침입한 이물질로부터 상기 검출 스위치(18)를 보호하는 칸막이 부재로서, 상기 가동체(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안전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중에 있어서, 승강구(2)의 주위에서 놀고 있던 유아가, 만약에 잘목하여 손가락을 상기 이동 난간(4)의 하면에 대향하는 간격(G1)에 넣은 경우, 상기 가동체(21)는 제1도의 2점쇄선 A로 나타낸 것 같이, 상기 가동 지지체(14)의 축지지부(14S)를 중심으로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20)을 상기 스위치 지지부(13A)와 스위치 작동부(16)의 사이에서 압축하면서 상기 가동 지지체(14)를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스위치 작동부(16)로 상기 검출 스위치(18)의 가동자(19)를 누르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검출 스위치(18)가 동작하고, 별도로 설치된 제어장치에 검출신호를 보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축지지부(14S)를 중심으로 변위하지만, 그 변위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간격 G1은 정위치의 간격과 거의 같아, 손가락이 더 침입하는 일은 없다.
상기 동작에 의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정지하였을 때에, 끼워졌던 손가락을 끌어당기면 상기 가동체(21)는 정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시 상기 가동체(21)를 상기 가동지지부(15A,15B)에 누르고 있는 상기 제2코일스프링(26)을 압축하여 제1도의 2점쇄선(B,C)으로 도시된 것 같이, 이동 난간(4)의 진행방향과는 역으로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21)의 외단부를 하향으로 경사되도록 한다(제7도). 제1도의 2점쇄선 C 및 제7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가동체(21)가 변위하면, 상기 이동 난간(4)과의 간격 G1은 G4와 같이 넓어져, 용이하게 손가락을 꺼낼 수가 있다. 또한, 끼워진 손가락을 끌어당길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주위의 사람 또는 관계자가 상기 가동체(21)를 잡고 이동 난간(4)의 진행방향과 역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체(21)는 손잡이의 이동방향으로 용이하게 변위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손가락을 꺼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이 끼워졌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손가락을 뽑아 낼 수가 있는 것과 함께, 끼워진 손가락은 이동 난간(4) 및 가동체(21)가 상기 지지체(13,14)보다도 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그 피해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관통홈(22)과 상기 이동 난간(4) 및 난간패널(3)의 간격 G1,G2,G3, 특히, 간격G1,G2는, 이동 난간(4)의 입구부로의 침입방향이 거의 수평이면, 거의 같아도 좋으나, 침입방향이 경사진 경우에는, 상기 가동체(21)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겼을 때, 상기 관통홈(22)의 상부의 간격 G2가 이동 난간(4)에 곧바로 기대어 그 이상의 변위를 저해하여, 손가락을 뽑아내는 것을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상부의 간격 G2를 하부의 간격 G1보다도 크게 하여 두면 좋다. 상부의 간격 G2를 크게 하여도 제3도, 제4도에 도시된 것 같이, 바로 위를 내부 데크 커버(7)와 외부 데크 커버(8)로 덮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이물질이 침입할 기회는 거의 없다.
또한, 상기 가동체(21)에 형성된 관통홈(22)의 손잡이 칩입측에는, 이동 난간(4) 측으로 L치수만큼(제1도) 돌출한 돌출 모서리(21P)를 지녀, 침입할려고 하는 손가락을 저지하는 안전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가동체(21)는 제3자가 잡기 쉽도록, 제8도에 도시된 것 같이,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돌출한 손잡이부(28A,28B)를 설치하여도 좋고, 상기 가동체(21)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잡기 쉽게 하여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는,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한 후에, 상기 가동체(21)를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변위시켜, 끼워진 손가락 등을 뽑아내도록 한 것이지만, 이 이외에,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손가락 또는 이물질을 끼워넣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21)가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변위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킨 후, 그 위치에서 상기 간격 G1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21)를 변위시켜, 끼워진 손가락 등을 뽑아내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구나, 제1코일스프링(20)과 제2코일스프링(26)으로 상기 가동체(21)를 정위치로 유지하고 있으나, 1개의 지지체, 예를 들면 1개의 스프링재로 상기 가동체(21)를 정위치로 유지하고 적은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양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상기 가동체(21)를 변위시켜 손가락 등을 뽑아내도록 한 것이나, 제8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가동체(21)의 관통홈(22)의 주위에 손잡이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한 돌출벽(29)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 등이 끼어들기 전에 그 돌출벽(29)에 접촉되기 때문에, 위험을 인식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체(21)를 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제9도∼제1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표시하므로,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탄성재로 형성된 가동체(21)는, 그 전면(21F)의 관통홈(22)의 주위에, 이동 난간(4)과 간격 G1을 갖고 대향하는 위치에, 이 이동 난간(4)을 따라 돌출벽(30)을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벽(30)은 다수의 원통 형상의 보호체(30R)를 서로 접근시켜 설치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중에 있어서, 유아가 만약에 이동 난간(4)의 외부 모서리를 따라 손끝 등을 침입시키려 할 경우, 상기 다수의 보호체(30R)에 의해 손끝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고, 또한 원통체(30R)와 이동 난간(4)의 간격 G1에 손끝이 침입한 경우에도, 이 보호체(30R)를 개재하여 상기 가동체(21)를 눌러, 이 가동체(21)를 지지하는 가동지지체(14)를 변위시켜 검출 스위치(18)(제1도, 제5도)를 작동시켜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다수의 보호체(30R)는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끝이 상기 간격 G1에 침입하여도, 침입된 손끝의 압박력에 의해 인접한 보호체(30R)가 화살표 S1,S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자 사이의 간격 G4를 넓히기 때문에, 또는 승객이 상기 간격 G1에 침입한 손끝을 이동 난간(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려고 하면 인접한 보호체(30R)가 화살표 S1,S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자 사이의 간격 G4를 넓히기 때문에, 그 손끝을 강하게 압박하기 전에, 그 손끝을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벽(30)을 다수의 원통상의 보호체(30R)를 병설하여 형성한 것이지만, 상기 인접한 보호체(30R)의 간격 G4로부터 이동 난간(4)이 보이기 때문에, 유아들이 그 간격 G4로부터 이물질을 침입시키는 것이 고려되어진다. 따라서, 제12도에 도시된 것 같이, 강성을 갖는 본체부(31A)와, 그 일측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절결홈(31B)과, 그 반대측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돌출편(31C)을 갖는 보호체(31)를 형성하고, 이 보호체(31)를 상기 절결홈(31B)과 상기 돌출편(31C)이 겹치도록 하여 상기 관통홈(22)의 주위에 설치한 것으로, 기타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보호체(31)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 난간(4)은 외측으로부터 볼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유아등이 이동 난간(4)의 움직임에 흥미를 느끼지 않게 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제13도, 제14도는 보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보호체(32)를 인접한 사이에서 방향을 역으로 하여 배열한 것이고, 제14도는 단면이 평행사변형인 보호체(33)로서 인접한 사이에서 겹쳐지도록 배열한 것으로,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9도∼제14도)에 따르면, 보호체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끝 등의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에도, 손끝 등의 이물질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고, 신속하게 뽑아낼 수가 있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체를 가동체(21)와 일체로 형성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보호체를 가동체와 별개의 구성으로 하여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보호체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연동시켜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제15도, 제16도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제15도, 제16도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는 손가락 등이 끼워들기 전에 위험을 인식시키거나,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먼저,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도∼제7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의 가동체(21)의 전방에 보조구를 배치한 것으로, 이 보조구는 아주 적은 힘, 예를 들면 맨손으로 3kg/cm2전후의 힘으로 파손되는, 예를 들어 발포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구조체(34)로, 이동 난간(4)을 둘러싸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조체(34)는 손잡이 프레임(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파괴되면 간단히 신품과 교환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유아가 상기 이동 난간(4)을 잡은채로 그 손가락이 상기 구조체(34)에 이르면, 발포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상기 구조체(34)는 외력을 받아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때, 상기 구조체(34)가 상기 가동체(21)를 손잡이 이동방향으로 변위시켜져 있으면, 검출 스위치가 작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정지한다.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구조체(34)가 파괴되면, 유아는 반사적으로 손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큰 사고를 당하는 일은 없게 된다. 불운하게도 손가락이 상기 이동 난간(4)과 상기 구조체(34)의 간격에 침입한 경우에는, 손가락의 침입에 의해 상기 간격을 넓히려고 하는 힘이 상기 구조체(34)에 작용한다. 그리고, 이 힘은 발포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상기 구조체(34)를 상기 가동체(21) 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21)를 변위시키는 것과 동시에,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결과,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정지하는 것과 동시에, 손가락을 어려움없이 끌어들일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손가락이 상기 가동체(21)의 내부에까지 끌려들어가는 사고가 저감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구조체(34)의 파괴강도(W)와 상기 가동체(21)의 변위력(F)과의 관계를 WF로 하면, 상기 가동체(21)가 변위하기 전에 상기 구조체(34)가 파괴되어, 그후에 상기 가동체(21)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되고, 또한 WF로 하면 상기 구조체(34)를 상기 가동체(21)와 함께 변위시킨 후에 또는 변위와 동시에 상기 구조체(34)를 파괴할 수가 있다. 이 구조체(34)의 파괴강도(W)와 가동체(21)의 변위량(F)과의 관계에 대한 선택은 임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6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15도에 도시된 보조구와 마찬가지로, 발포 플라스틱재와 같은 파괴되기 쉬운 재료로 형성된 구조체(35)를 가동체(21)의 이동 난간 입구부에 형성한 부착시트(21H)에 직접 지지시킨 것으로, 상기 구조체(35)의 파괴강도(W)와 상기 가동체(21)의 변위력(F)과의 관계는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또한, 그 효과도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제15도, 제16도에 있어서, 구조체(34,35) 및 가동체(21)의 파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설치하여, 이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다시 에스컬레이터의 주위 및 관리인실에 운전의 정지나 이상을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더우기, 상기 구조체(34,35) 및 가동체(21)를 파괴시키지 않고, 적은 힘으로 변형하도록 구성하여 마찬가지로 운전의 정지나 이상을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더우기, 상기 구조체(34,35)는 상기 가동체(21)의 이동 난간 입구부 근방에만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승객에 의해 발로 채이거나, 바닥청소할 때에 청소도구가 접촉하여 상기 구조체(34,35)를 파괴하는 경우는 없다.
그런데, 이상의 설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난간 부분을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전동도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난간 입구부의 안전장치와 이동 난간과의 간격에 손가락 등의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 그것을 신속하게 해방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침입하기 전에 승객 컨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과 침입하기 전에 승객에게 위험을 인식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성이 높은 승객 컨베이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 내부에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2.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 내부에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정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운전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정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과 함께, 정상시에 상기 가동체를 상기 정위치에 지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3.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 내부에의 입구부에 지지체를 개재하여 지지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정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운전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체를 손잡이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시키는 것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4.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난간 내부로 침입하는 입구부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있어서, 상기 입구부에, 상기 이동 난간의 외부 모서리에 대향하여 그 진행방향과 반대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보호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5.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 내부에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체의 전체면에, 상기 이동 난간의 외부 모서리에 대향하여 그 진행방향과 반대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보호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6.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 내부에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파괴되는 구조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7.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내부에의 입구부에 설치된 가동체와, 이 가동체가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가 있을 때 승객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동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 난간을 지지하는 부재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파괴되는 구조체를 상기 이동 난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8. 순환하는 이동 난간이 침입하는 난간내부에의 입구부에 지지체를 개재하여 가동체를 설치하고, 이 가동체의 정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난간의 진행방향으로의 변위를 검출기로 검출하여 운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상기 가동체를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를 갖는 제1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를 상기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변위자재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체로 구성하고, 이들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사이에 상기 가동체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2지지체에 상기 제1지지체의 손잡이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체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손잡이 진행방향으로 변위된 상기 제1지지체를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체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가동체를 상기 제2지지체에 누르는 제2탄성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KR1019920007575A 1991-05-09 1992-05-04 승객 컨베이어 KR100210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04113 1991-05-09
JP3104113A JP2515934B2 (ja) 1991-05-09 1991-05-09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用安全装置
JP91-266894 1991-09-19
JP3266894A JP2546561B2 (ja) 1991-09-19 1991-09-19 乗客コンベア用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432A KR920021432A (ko) 1992-12-18
KR100210877B1 true KR100210877B1 (ko) 1999-07-15

Family

ID=2644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575A KR100210877B1 (ko) 1991-05-09 1992-05-04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10877B1 (ko)
GB (1) GB2255951B (ko)
HK (1) HK53296A (ko)
TW (1) TW2030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1799U1 (de) * 1993-02-09 1993-07-22 Thyssen Aufzüge GmbH, 2000 Hamburg Fahrtreppe oder Fahrsteig
FR2830526B1 (fr) 2001-10-09 2004-12-03 Mediterranee Const Ind Dispositif formant main courante pour trottoir roulant ou analogue a grande vitesse
ES2285949B1 (es) * 2006-12-29 2009-03-16 Thyssenkrupp Norte, S.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pasamanos moviles.
CN103086250A (zh) * 2011-10-28 2013-05-08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围裙板防夹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9206A (en) * 1972-04-27 1974-05-07 Rheinstahl Eggers Kehrhahn Safety arrangement for escalator handrails and the like
US3835977A (en) * 1973-06-25 1974-09-17 Goodyear Tire & Rubber Handrail guard
US4619355A (en) * 1985-08-06 1986-10-28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handrail entry safety switch actuator
DE3802983A1 (de) * 1988-02-02 1989-08-10 Thyssen Man Aufzuege Sicherheitsklappe fuer den handlaufeinlauf einer fahrtre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209826D0 (en) 1992-06-24
GB2255951A (en) 1992-11-25
GB2255951B (en) 1994-11-16
HK53296A (en) 1996-04-03
KR920021432A (ko) 1992-12-18
TW203029B (ko)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0998A (en) Escalator comb safety device
WO2014171672A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KR100210877B1 (ko) 승객 컨베이어
JP5257867B2 (ja) 乗客コンベア
JP2515934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用安全装置
JP2546561B2 (ja) 乗客コンベア用安全装置
CH714341B1 (de) Aufzugsanlage mit einer Kabine umfassend eine Auffangeinrichtung.
JP2672754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725968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H0853281A (ja) エスカレータ手摺フード
JPH04153195A (ja) マンコンベア乗降口安全装置
JP4835211B2 (ja) 乗客コンベア
JPH0117585Y2 (ko)
JP3472447B2 (ja) 乗客コンベヤーの異物検出装置
KR200180293Y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CA3185755C (en) Button cover
CN221027089U (zh) 乘客输送机的正面裙板的安装构造
JPS6246706Y2 (ko)
JPH02204295A (ja) エスカレータ安全装置
JPH0514076U (ja) 乗客コンベア用の安全装置
EP1238938B1 (de) Handlaufesüberwachung für Personenförderanlagen
JP5487408B2 (ja) 乗客コンベアインレット安全装置
JPH1087256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設備
KR940005166Y1 (ko) 안전로우프가 설치된 교량용 난간
JPH07468Y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