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810B1 -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810B1
KR100210810B1 KR1019960075248A KR19960075248A KR100210810B1 KR 100210810 B1 KR100210810 B1 KR 100210810B1 KR 1019960075248 A KR1019960075248 A KR 1019960075248A KR 19960075248 A KR19960075248 A KR 19960075248A KR 100210810 B1 KR100210810 B1 KR 10021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assword
test
guide devic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997A (ko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7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8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이상 발생시 다른 안내 장치로 안내 기능을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사용자 보안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안내 장치의 각종 테스트 기능, 상태 점검 및 관리 기능, 사용자 정의 데이터 관리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 수정 또는 삭제하여 안내 장치의 보안 유지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임의로 키를 선택하고 이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웨어적 테스트는 물론 주기적 테스트도 가능하며, 이 테스트 수행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화면으로 이상 상태를 표시하면서 다른 안내 장치로 기능을 전환하여 안내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안내 장치의 처리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이를 PC로 전송하는 전송 기능 등의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에, 이상 발생시 다른 안내 장치로 안내 기능을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사용자 보안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안내 장치의 각종 테스트(TEST) 기능, 상태 점검 및 관리 기능, 사용자 정의 데이터 관리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는 외부호 또는 내부호에 대한 각종 호 제어 서비스는 물론 착신 거부 기능, 무선 호출 기능, 안내 방송 기능, 과금 정보 처리 기능, 자리 이석 서비스, 긴급 호출 기능, 야간 절체 기능, 메시지 기능 및 번호 입력의 다양한 안내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안내 장치는 해당 기능키를 이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된 전화번호, 안내 장치의 상태 정보 등을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함으로써 각 데이터를 테스트하거나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안내 장치는 테스트 기능 수행시 단순히 하드웨어적 점검만을 수행하였고, 특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이상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뿐 이를 복구 및 조치하기 위한 해당 기능이 없었다.
또한,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즉 기능키 설정, 키 위치 선정 등의 기능이 없고, 비밀번호 입력 기능이 없어 외부의 사용자가 안내 장치를 허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테스트 및 점검한 후, 그 점검 결과에 대한 관리 기능이 없어 통계 기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내 장치의 데이터 처리중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안내 장치로 안내 기능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데이터 관리 기능이 계속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외부 사용자로부터 안내 장치의 내부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안내 장치의 각종 테스트 기능, 상태 점검 및 관리 기능, 사용자 정의 데이터 관리 기능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은, 안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 수정 또는 삭제하여 안내 장치의 보안 유지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임의로 키를 선택하고 이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웨어적으로 테스트는 물론 주기적 테스트도 가능하며, 이 테스트 수행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화면으로 이상 상태를 표시하면서 다른 안내 장치로 기능을 전환하여 안내 장치의 안내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안내 장치의 처리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이를 PC로 전송하는 전송 기능 등의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이 적용되는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입력부 20 : 제어부
30 : U-라인 접속부 40 : 오디오 접속부
50 : 메모리부 60 : 화면 표시부
70 : 전원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64개의 키로 구성되고, 안내 장치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와, 시리얼 통신 기능, 타이머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인터럽트 조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키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안내 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와, 교환기 시스템에 접속된 일반 ISDN 가입자와 전이중 방식의 U-라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B 또는 D채널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여, 플래그의 검출 및 발생, 제로 비트 삽입 및 제거, 에러검출을 위한 FSC처리 그리고 어드레스 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64Kbps의 B채널 데이터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U-라인 접속부(30)와, 이 U-라인 접속부(30)와 접속되어 U-라인 접속부(30)에서 수신한 B채널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수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접속부(40)와, 안내 장치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거나 안내 장치의 데이터 처리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액정(LCD)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처리되는 각종 호 제어 및 안내 처리 과정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화면 표시부(60)와, 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각 부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을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기능키가 입력되면(200), 안내 장치의 화면 표시부(60)에 0, 1, 2, 3, 4번호에 따른 패스워드 기능, 정의키 선택 기능, 테스트 기능, 안내 장치 상태 표시기능의 관리 기능이 항목별로 디스플레이되어 이를 선택하도록 한다(201).
이때, 이러한 관리 기능 수행시 안내 장치는 정상 기능에서 관리 기능으로 전환되며, 자신의 안내 장치의 안내 기능은 다른 안내 장치로 자동 천이되게 된다.
상기 항목 선택 단계(201)에서 0을 선택하는 경우, 이는 엑시트(EXIT) 기능으로(202) 수행중이던 모든 과정을 일단 중단하고 해당 내용을 저장하며(203), 초기화 과정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그리고, 1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패스워드(PASSWORD) 기능(204)으로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205),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할 경우라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206).
이때, 기존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비밀번호의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206)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기존의 비밀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207), 기존의 비밀번호와 동일하다면 새로운 신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208) 비밀번호 변경을 가능하도록 한다(209).
그러나, 상기 단계(205)에서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비밀번호 기능을 삭제하도록 한다(210).
이때, 비밀번호의 삭제 기능 역시 기존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이 비밀번호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두 번째 2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화면 표시부(60)에 정의키 선택 기능 수행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면(211), 정의하고자 하는 키를 누르도록 한다(212).
그리고, 기능 선택 테이블에서 해당 기능을 선택하고(213), 이 선택된 기능이 중복되었는지를 판단하여(214) 중복되지 않았다면 한 번 더 해당 키를 눌러 정의된 키에 따른 선택된 기능이 확정되도록 한다(215).
이때, 상기 기능 선택 테이블은 운영자에게 미리 제공된다.
계속해서, 세 번째 3번의 테스트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테스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216), 먼저 주기적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항목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217), 항목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항목별로 테스트를 수행하여(218) 해당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219), 주기적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안내 장치의 정상 동작중에 하드웨어적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이상 발생시 결과를 디스플레이시키고 해당 조치를 취하도록 하며, 이상이 없을시에는 보고만 하도록 한다(220).
이때, 상기 하드웨어적 테스트는 전 기능을 테스트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키테스트 키를 누르면 해당 키값을 화면에 표시하고 부저음을 발생시키며, LCD 테스트는 화살표 및 글자 등의 해당 모양을 디스플레이하고, 라인 테스트는 내부호 및 외부호까지 테스트를 실시하여 결과를 보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4번은 다이아고노스틱(Diagnostic)의 진단 가능, 즉 안내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기능으로, 안내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221).
즉, 초기 링크 설정 상태(TEI값 표시), 테스트 횟수, 호 시도 횟수, 호 전환 횟수등 통계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222), 또한 PC와 연결하여 이 디스플레이된 각종 자료를 PC에 전송하도록 한다(223).
따라서, 상기 PC를 통해 프린트가 가능하여 여러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적 리세트가 가능하여 이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시스템 리세트를 선택하면(224) 안내 장치를 리세트시켜 초기 상태부터 재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225), 데이터 리세트를 선택하면(226) 안내 장치의 데이터를 리세트시켜 기존의 데이터를 모두 지우도록 한다(227).
이때, 상기 리세트 기능을 구동시키려면 비밀번호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은 하드웨어 테스트를 수행하여 이상 발생시 이를 화면에 보여주고, 다른 안내 장치로 기능 전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며, 특히 내부 메모리가 백업전원을 이용함에 따라 전원이 나가도 이상 발생 기록 관리가 유지되고,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PC를 통해 데이터 관리 상황을 출력하여 볼 수 있어 통계 기능도 지원 가능한 다양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어 있어 다른 사용자의 사용 및 중요 데이터 관리에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가능키가 입력되는 경우 엑시트 기능, 패스워드 기능, 정의키 선택 기능, 테스트 기능, 안내 장치 상태 표시기능을 항목별로 선택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액시트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수행중이던 모든 과정을 일단 중단하고 해당 내용을 저장하며, 초기화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패스워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할 경우라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존의 비밀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다면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패스워드 기능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정의키 선택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정의하고자 하는 키를 누르고, 이 키에 해당하는 해당 기능을 기능 선택 테이블에서 선택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선택된 기능이 중복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중복되지 않았다면 한 번 더 해당 키를 눌러 정의된 키에 따른 선택된 기능이 확정되도록 하여 정의 키 선택 기능을 수행하는 제6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테스트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주기적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항목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항목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항목별로 테스트를 수행하여 해당 상태를 표시하는 제8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주기적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안내 장치의 정상 동작중에 하드웨어적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이상 발생시 결과를 디스플레이시키고 해당 조치를 취하도록 하며, 이상이 없을시에는 보고하는 제9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안내 장치 상태 표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안내 장치의 상태 및 각종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0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된 각종 자료를 PC에 전송하여 PC를 통해 자료의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 수행 후, 소프트웨어적 리세트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시스템 리스트를 선택하면 안내 장치를 리세트시켜 초기 상태부터 재시작하도록 하고, 데이터 리세트를 선택하면 안내 장치의 데이터를 리세트시켜 기존의 데이터를 모두 지우도록 하여 안내 장치의 상태 표시기능을 수행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가 부가 기능의 관리 기능을을 수행할 경우 자신의 정상적인 안내 기능을 다른 안내 장치로 자동 천이함으로써 안내 기능에서 관리 기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비밀번호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기존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동일할 경우에만 비밀번호를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의 리세트 기능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KR1019960075248A 1996-12-28 1996-12-28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KR10021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248A KR100210810B1 (ko) 1996-12-28 1996-12-28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248A KR100210810B1 (ko) 1996-12-28 1996-12-28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997A KR19980055997A (ko) 1998-09-25
KR100210810B1 true KR100210810B1 (ko) 1999-07-15

Family

ID=194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248A KR100210810B1 (ko) 1996-12-28 1996-12-28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859B1 (ko) * 1999-09-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 시스템의 기능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997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388B1 (ko) 키폰시스템에서 언어다중화 표시방법
US5987109A (en) Key telephone apparatus with call distribution function
KR100210810B1 (ko)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부가 기능 수행방법
JPH0563799A (ja) 加入者系伝送装置のアラーテイングケーダンス制御方式
KR100210811B1 (ko)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의 타이머 기능 수행방법
KR930001827B1 (ko) 전자식 교환장치에서의 시스템 및 가입자 관련정보 관리방법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McBain The GEC 420 DataPhone—a terminal for the ISDN
KR100197087B1 (ko) 회의 통화시 특정 가입자 삭제 서비스 방법
KR100506241B1 (ko) 자동호분배기능을갖는사설교환시스템에서호서비스상태실시간감시방법
KR19980051699A (ko) 사설 교환기의 안내 장치와 피씨(pc) 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JP3426868B2 (ja) 画面登録制御方式
KR100513000B1 (ko) 교환시스템에서 공통성 신호방식의 디채널 지정방법
WO19950044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duration of a telephone call
JP2000036855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56148A (ko) 자동 호 분배 기능을 갖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에이젼트 상태표시 방법
KR100279212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일반가입자의비정상상태경보장치와그방법
JPH0396148A (ja) 通信システム
JP2002271488A (ja) 電話交換装置
JPH0686346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2308642A (ja) 網制御装置
KR20040037421A (ko) 운용관리 시스템에서의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JPH066348A (ja) Isdn用通信処理装置
JPH08107575A (ja) 電話装置
JPH0591187A (ja) Isdn擬似呼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