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97B1 - 자동차의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97B1
KR100210297B1 KR1019950065095A KR19950065095A KR100210297B1 KR 100210297 B1 KR100210297 B1 KR 100210297B1 KR 1019950065095 A KR1019950065095 A KR 1019950065095A KR 19950065095 A KR19950065095 A KR 19950065095A KR 100210297 B1 KR100210297 B1 KR 10021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ght
light emitting
light sourc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294A (ko
Inventor
김문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6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297B1/ko
Publication of KR97003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하향등의 발광 영역을 확대하여 상향등의 발광 영역과 서로 어울리는 이미지를 갖도록 한다. 헤드 램프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에 의한 헤드 램프의 하향등(30)은 광원(7)과, 그 광원에서 조사되는 일부의 빛을 받아 유도하는 광섬유(29)와, 상기 광섬유에 의해 유도된 빛이 리플렉터(9)의 주변에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발광되게 상기 광섬유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니쉬(25)와 프로젝션 렌즈(11)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광섬유에서 조사된 빛을 상향등(5)과 유사한 이미지를 갖도록 발광되게 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투명 패널(27)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 램프
제1도는 종래 공지된 헤드 램프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을 절취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B-B 및 C-C 선을 절취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상향등 7 : 광원
9 : 리플렉터 11 : 프로젝션 렌즈
21 : 투명 글라스 23 : 램프 하우징
25 : 가니쉬 27 : 투명 패널
29 : 광섬유 31 : 하향등 발광 영역
33 : 고정플레이트 51 : 상향등 발광 영역
91 : 구멍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향등의 전면(全面) 발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 램프는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 그릴의 옆에 장착되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차체의 골조구조인 슈라우드(shroud) 패널에 고정된다. 또, 상기 헤드 램프는 대향 자동차의 운전자가 빛에 의해 현혹되지 않도록, 상하로 절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공지된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구조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A-A 선을 절취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 램프(1)는 차량의 주행시 주로 사용되는 전조등으로서의 하향등(3)과, 필요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보다 먼 거리를 비추게 되는 상향등(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향등(3)은 광원(7)과, 상기 광원(7)을 지지하며 그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9)와, 상기 광원(7)과 리플렉터(9)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속하여 차량의 전면으로 조사하는 프로젝션 렌즈(projection lens; 1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향등(5)은 광원(13)과, 상기 광원(13)을 지지하는 리플렉터(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향등(5)의 리플렉터(15)와 상기 하향등(3)의 프로젝션 렌즈(11)는 가니쉬(garnish; 17)에 의해 서로 지지됨과 동시에 램프 하우징(19)에 고정되며, 상기 램프 하우징(19)의 전면에는 투명 글라스(21)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하향등(3)과 상향등(5)은 각각 2개의 광원으로 별도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향등(3)은 리플렉터(9)가 타원으로 형성되어 빛을 집속하고, 상기 프로젝션 렌즈(11)를 통해 확산시킴으로써, 광도가 높고 사이즈가 작다. 또, 2중 필라멘트를 갖는 전구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하향등(3)과 별도로 상향등(5)을 서치해야만 한다.
이런 까닭으로, 상기 하향등(3)과 상향등(5)은 그 사이즈나 외관 형상 즉, 발광 영역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차량의 전방에서 보이는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향등(3)의 프로젝션 렌즈(11)는 가니쉬(17)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는 외부에서 보이는 형태가 상기 상향등(5)과 완전히 다르게 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향등의 발광 영역을 확대하여 상향등의 발광 영역과 동일한 이미지를 갖도록 구성하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지지하며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과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빛을 차량의 전면으로 확산시키는 프로젝션 렌즈와, 상기 프로젝션 렌즈를 지지하여 램프 하우징에 취부되는 가니쉬로 구성되는 하향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유도하여 발광되는 보조 발광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가니쉬와 프로젝션 렌즈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보조 발광수단에서 조사된 빛을 상향등과 유사한 이미지를 갖도록 발광되게 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투명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보조 발광수단은 상기 하향등의 리플렉터를 관통하여 광원의 빛을 받아 유도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가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으로 대략 사각형상의 둘레를 갖도록 배치되게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하향등과 상향등은 유사한 형태의 발광 영역을 갖게 되고, 이는 서로 어울리는 이미지를 표출하게 되어,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고,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B-B 및 C-C 선을 절취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헤드 램프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헤드 램프(10)는 종래 기술에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향등(30)과 상향등(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향등(5)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광원(13)과 리플렉터(15)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관 형상도 종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하향등(30)은 상기 상향등(5)과의 이미지가 달라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상향등(5)과 유사한 외관 형상을 갖도록 발광 영역(31)이 확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영역(31)은 상기 상향등(5)의 발광 영역(51)과 같은 높이로 되며, 유사한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의 둘레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영역(31)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하향등(30)은 광원(7)과, 상기 광원(7)이 지지되는 리플렉터(9)와, 상기 리플렉터(9)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전면에 설치되는 프로젝션 렌즈(11)와, 상기 프로젝션 렌즈(11)를 지지하여 램프 하우징(23)에 취부되는 가니쉬(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니쉬(25)와 프로젝션 렌즈(11)의 사이에는 투명 패널(2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리플렉터(9)의 주변에는 상기 광원(7)에서 조사되는 일부의 빛을 유도하여 상기 투명 패널(27)로 조사되게 함으로써, 상향등(5)의 발광 영역(51)과 유사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는 보조 발광수단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발광수단은 상기 리플렉터(9)에 형성된 구멍(91)을 통해 상기 광원(7)의 일부 빛을 수광하고 유도하는 광섬유(29)와, 상기 광섬유(29)가 상기 리플렉터(9)의 주변 둘레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33)로 구성되어 진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플레이트(33)는 대략 사각형상의 둘레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플레이트(33)에 의해 지지된 광섬유(29)를 통해 조사되는 빛을 상기 상향등(5)과 같은 발광영역(51)으로 발광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33)의 앞쪽에 배치된 상기 투명 패널(27)은 상기 상향등(5)의 리플렉터(15)와 같은 높이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한 헤드 램프의 작용을 살펴본다.
운전자가 헤드 램프 스위치(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상기 하향등(30)의 광원(7)이 소정의 빛을 발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발산되는 빛의 대부분은 리플렉터(9)에 의해 집속되고, 프로젝션 렌즈(11)에 의해 확산되어 차량의 전면으로 조사되어 진다. 또, 상기 광원(7)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리플렉터(9)의 구멍(91)을 통해 광섬유(29)로 유도되고, 투명 패널(27)로 조사됨으로써, 상향등(5)의 발광 영역(51)과 유사한 발광 영역(31)으로 표시되어 진다.
또, 상기 상향등(5)의 발광 영역(51)과 하향등(30)의 발광 영역(31)은 비점등시에도 동일한 이미지를 갖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향등(30)의 발광 영역(31)을 구성하는 투명 패널(27)이 상향등(5)의 발광 영역(51)을 구성하는 투명 글라스(21)와 같은 이미지를 갖는 것에 기인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 램프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향등의 발광 영역을 확대하여 상향등의 발광 영역과 서로 유사한 다각형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향등과 상향등이 점등시와 비 점등시에, 모두 유사한 이미지를 갖게 됨으로써, 차량의 전면에서 보여지는 헤드 램프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며, 종래 보다 컴펙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광원과,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전면에 설치되는 프로젝션 렌즈와, 상기 프로젝션 렌즈를 지지하여 램프 하우징에 취부되는 가니쉬로 구성되는 하향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일부의 빛을 유도하여 발광되는 보조 발광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니쉬와 프로젝션 렌즈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보조 발광수단에서 조사된 빛이 상향등과 같은 형상의 발광 영역으로 점등되게 구성되는 투명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발광수단은 리플렉터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광원의 일부 빛을 받아 유도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가 상기 리플렉터의 주변으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대략 사각형상의 둘레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투명 패널은 상향등의 리플렉터와 같은 높이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둘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1019950065095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10021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095A KR100210297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095A KR100210297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94A KR970037294A (ko) 1997-07-22
KR100210297B1 true KR100210297B1 (ko) 1999-07-15

Family

ID=1944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5095A KR100210297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33B1 (ko) 2008-10-21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33B1 (ko) 2008-10-21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29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603B1 (en) Headlamp for a vehicle
KR100858953B1 (ko) 차량용 등기구
US7419289B2 (en) Vehicular lamp
KR101410878B1 (ko) 자동차용 전조등
US5430623A (en) Headlamp for vehicles
US5113322A (en) Transit vehicle lighting fixture
JPH02162602A (ja) 自動車用前照灯装置
US5211465A (en) Projection type vehicular headlamp
CN115769021A (zh) 车辆用灯具
KR100210297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US5448453A (en) Vehicular headlamp providing near-ultraviolet radiation
US1863547A (en) Illuminating device
KR100210299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JPH09190715A (ja) 車両に用いられる前照灯・電灯ユニット
CN114251630A (zh) 车辆用灯具
WO2020232953A1 (zh) 车灯iii区照明结构、车灯聚光器、汽车照明模组和汽车
CN220355225U (zh) 一种安全性好的汽车近光灯
JP2601633Y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7273364B2 (ja) 車両用灯具
CN111219680A (zh) 自适应远光灯系统及其照明装置、车辆
JPH08249904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
KR20220132745A (ko) 차량용 램프
KR101922449B1 (ko) 상향등과 하향등 전환용 led가 설치된 전조등
KR20000069303A (ko) 자동차용 전조등
KR0122054Y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