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85B1 -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85B1
KR100210285B1 KR1019950054327A KR19950054327A KR100210285B1 KR 100210285 B1 KR100210285 B1 KR 100210285B1 KR 1019950054327 A KR1019950054327 A KR 1019950054327A KR 19950054327 A KR19950054327 A KR 19950054327A KR 100210285 B1 KR100210285 B1 KR 10021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washer
grooves
roller
groov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끼 모리모또
Original Assignee
도시아끼 모리모또
닛산 네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아끼 모리모또, 닛산 네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아끼 모리모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85B1/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산업계에서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볼트용 스프링와셔의 개량으로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튼튼하고 헐거움 방지기능의 향상을 꾀한 스프링와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스프링와셔의 상하폭면에 외부지름끝으로부터 내부지름측에 약 1/5~1/4 가량의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함과 동시에, 각종 모양의 V홈을 형성하고, 이 V홈에 의해 마찰계수를 커지게하여 스프링와셔의 헐거움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Description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통상의 이형압연(異形壓延)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이형압연장치의 중간에 압각(壓刻)유닛을 설치한 개략도.
제3도는 통상의 스프링와셔 제조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압각유닛의 개략도.
제5도는 압각롤러의 측방향 분리사시도.
제6도는 일본공업규격(JIS) B1251에서 규정하는 스프링와셔의 개략도.
제7도는 일본공업규격 B1251에서 규정하는 비틀림시험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유높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비틀어 비틀림 각도가 90도 미만에서 파손되어서는 안된다는 취지를 규정하고 있는 도면.
제8도는 볼트시트면과 피체결부재 사이의 접촉면에 헐거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V홈을 새겨만든 스프링와셔의 개략도.
제9도는 이형압연부재에 V홈을 새겨만든 개략도.
제10도는 비늘형상의 V홈을 새겨만든 스프링와셔의 개략도.
제11도는 V홈을 나타내는 이형압연부재의 단면도.
제12도는 스프링와셔에 비늘형상의 V홈을 형성하기 위한 V홈을 새겨 만든 개략도.
제13도(a)는 제8도의 V홈을 촘촘히 새겨만들어 마찰계수가 커지도록한 평면도로서, 내부지름측에도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3도(b)는 제10도(a)의 V홈을 촘촘하게 새겨만들어 마찰계수가 커지도록 한 평면도로서, 내부지름측에도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 2 : 교정롤러
3 : 이형압연유닛 4 : 드럼
5 : 둥근선부재 6 : 테이크업
7 : 압각유닛 8 : 프레임
9 : 압력조절나사 10 : 조절나사
11 : 압각롤러 12 : 압각롤러 홀더
13 : T홈 14 : T자형 돌기가 달린 나사
15 : 가이드롤러 16 : 축구멍
17 : 이형압연부재
본 발명은 산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볼트에 헐거움 방지를 위해서 조합시키는 스프링와셔[일본공업규격(JIS)B1251]의 개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와셔는 이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형상은 거의 종래의 형상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스프링와셔 자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량으로서 일본국 특허공보 소하 56-3891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하게 스프링와셔의 형상을 개량하고자 한 시도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하 56-15819호의 제6도에 도시된 것이 있다.
볼트의 시트면을 깔쭉깔쭉하게 가공하여 헐거움을 방지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스프링와셔에 깔쭈기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하 56-15189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공개공보에 기재된 고안은 스프링와셔의 상부 폭면 및 하부폭면 전체에 깔쭈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상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즉, 실제의 볼트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스프링와셔의 개구부는 단차가 엇어지게 되고, 볼트 및 피체결면에 밀착하여 평면으로 된다.
이 경우, 스프링와셔의 외주측에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외주면까지 도달해 있는 깔쭈기부가 절격되며, 큰 응력집중이 작용하고 깨짐이 발생하여 도저히 사용에 견디어 내지 못한다.
또한, 일본공업규격 B1251에서 규정하는 비틀림 시험을 행해보면 역시 깨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 와셔에 헐거움 방지를 위한 V홈을 다수 구비하여 헐거움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할 때에도 깨짐이 발생하기 않고, 일본공업규격에 규정한 비틀림 시험에도 적합하도록 강도가 우수한 스프링와셔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간단한 장치에 의해서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헐거움 방지를 위한 V 홈을 새겨만드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와셔의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에 헐거움 방지용 V홈을 다수 구비하는데, 스프링와셔의 폭면의 외주측에 소정량 V홈을 구비하지 않는 형상으로 한다.
일본공업규격 B1251에는, 볼트머리밑의 둥근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내부지름측의 각부에 모따기부를 구비하거나 둥글게 하며, 그 치수도 규정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도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의 외부지름측에 상기 모따기부 또는 둥근부분보다 조금 큰 치수의 V홈을 구비하지 않는 부분을 남겨둔다. 그 크기는, 폭면의 약 1/5~1/4 이다. 1/5~1/4로 한 것은 폭면에 구비한 V홈이, 외주측의 모따기부 또는 둥근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며, V홈을 구비하지 않은 부분의 존재에 의해, 사용할 때에 압축되어 상하면의 외주부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V홈이 절결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응력집중을 고려치 않아도 되며, 깨짐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
V홈의 깊이는 너무 깊게 할 필요는 없고, 상하 폭면의 마찰계수는 어느정도 커지게 되면 되고, 또한 일본공업규격에 규정하는 비틀림 시험에 적합하면 된다.
스프링와셔의 폭면의 내주측은, 사용할 때 스프링와셔가 압축되면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V홈이 도달해 있더라도 깨짐이 발생할 우려는 없으나, 폭면의 내주측도 마찬가지로 폭의 1/5~1/4 정도의 V홈을 구비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면 더욱 좋다.
스프링와셔의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 외주측에, 폭면의 약 1/5~1/4 가량 V홈을 새겨만들지 않는 부분을 구비하고, 그 이외의 면에, 볼트가 헐거워지는 것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V홈을 구비함으로써, 표면 마찰계수를 커지게 하며, 또한 비늘형상의 모양으로하여 마찰계수를 커지게 할 수도 있다.
비늘형상으로 한 것은, 나선형의 것과 재조방법이 유사하며,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조방법이 유사하므로, 상기한 나선형, 비늘형상 대신에 V홈을 촘촘하게 새겨만든 형상으로하여 간단하게 마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스프링와셔 상하표면의 마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스프링와셔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의 외주측에만 소정량의 V홈을 새겨만들지 않아도 되며, 내외주측 모두에 소정량의 V홈을 새겨만들지 않아도 된다.
볼트에 스프링와셔를 조합시키고 단단히 죄었을 때, 스프링와셔 상부 폭면 및 하부폭면에 V홈을 새겨만들어 두면 V홈에 접촉하는 상대편 부재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V홈내에서 근소하게 부풀어 마찰계수를 커지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V홈에 접촉하는 상대편부재에 명확한 흔적(압흔(壓痕))이 찍히는 것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특히, 피체결부재가 주물, 알루미늄등 연질부재일때는 효과가 현저하다.
스프링와셔를 제조할 때 통상의 이형압연장치를 사용하는데, 이형압연유닛 뒤에 본 발명의 스프링와셔에 V홈을 새겨만드는 압각유닛을 배치한다. 즉, 연속신장된 둥근선부재를 이형압연한 후 압각유닛에 고정시킨 너얼링(knurling)된 압각롤러에 의해 이형압연부재에 V홈을 새겨만든다.
압각우닛에 최대 4개의 압각롤러와 최대 4개의 가이드롤러를 부착시키고 그 사이에 이형압연부재를 삽입하여 통하게하여 이형압연부재를 안내하여 압압하며, 각각의 롤러에는 조절나사가 구비되어 있다.
압각롤러측의 조절나사로 이형압연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새겨만들어지는 V홈의 깊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형압연부재가 양면 모두 테이퍼로 되어 있으므로, 그 각도에 적합할 수 있도록 압각롤러는 압각롤러 홀더를 통해 경사지게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이형압연부재의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에 새겨 만들어지는 다수의 V홈의 각종 직선은, 압각롤러에 부착된 너얼링의 각도 및 너얼링의 새겨지는 눈금수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형압연부재에 직선상의 V홈을 새겨만든 후, 다음 공정에서 테이크업하면 스프링와셔의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 V홈과 함께 각종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서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를 제조할 수 있다.
스프링와셔의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 V홈을 새겨만든 것을 볼트에 조합시키고 단단히 죄면, V홈에 접촉하는 볼트시트면, 피체결부재 등 상대편부재가 볼트의 축력에 의해 소성변형을 일으켜 V홈내에서 근소하게 부풀어 마찰계수를 커지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V홈에 접촉하는 상대편 부재에 명확한 흔적(압흔)이 찍히는 것으로 부터도 분명히 알 수 있다.
현재의 스프링와셔 제조방법은, 일본국 특허공보 소하 56-3891호의 제1표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료를 (1) 패턴팅(patenting), (2) 연속적인 선의 신장, (3) 이형압연, (4) 테이크 업, (5) 절단, (6) 블루우잉(blueing)(250~350℃)과 같은 공정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블루우잉이란 상기한 저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말한다.
제1도는 통상의 이형압연장치이며, 제2도는 통상의 이형압연장치의 중간에, 본 발명인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의 V홈을 새겨만드는 압각유닛(7)을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다.
압각유닛에는, 최대로 4개의 가이드롤러(15)와 최대 4개의 너얼링된 압각롤러(11)가 부착되어 있고(각각 2개의 롤러는 제4도의 지면에서 수직방향 안측에 있고, 도시하지 않음), 너얼링된 압각롤러는, 4개의 T홈이 있는 압각롤러홀더(12)에 축(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음), 축구멍(16)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압각롤러 홀더에, T자 돌기를 가지는 압력조절나사(9)(하측 2개는 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음)로 대략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압력조절나사를 단단히 죄도록 암나사(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음)가 최대 4개 구비되어 있다.
즉, 압각롤러를 4개 설치해 두므로, 압력조절나사도 네 개 설치해 두며, 또한 4개의 가이드롤러도 압착롤러와 완전히 동일하게 가이드롤러 홀더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이드롤러 홀더에는 T홈이 구비되며, T홈 돌기를 가지는 조절나사(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조절나사는 4개 있으나, 우측 2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프레임에는 조절나사를 단단히 죄는 암나사(도면상에 나타나 있지 않음)가 최대로 4개 구비되어 있는 것도 압각롤러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일예로서 적어보자면, 스프링와셔 치수로 3-12인 것은, 이형압연 부재의 각각의 면을 4도의 테이퍼로서 제조하고 있으므로, 압연롤러홀더, 압각롤러, 압력조절나사도, 각각 4도 경사지게 한다.
이는 테이크업시 즉 제품형상으로 할 때, 이형압연부재의 두꺼운 부분이 제품의 얇은 부분으로 이형압연부재의 얇은 부분이 제품의 두꺼운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이형압연부재의 양면에 각각 테이퍼를 만들어 제조하는 것이다.
가이더롤러에는 압각롤러와 같이 4도의 경사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수평방향으로 안내하여 압연할 수 있으면 된다.
제4도의 압각유닛의 정면 2개의 압각롤러와 두 개의 가이드롤러를 사용하여 이형압연부재에 V홈을 새교 만들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나머지 각각 2개는 떼어낸다.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형압연부재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30도 경사한 V홈을 새겨 만든다. 뒷면측은 그 반대가 된다. 이형압연부재는, 양면 모두 테이퍼로된 직선모양인데, 이것을 다음 공정에서 테이크업하면 이형압연부재의 두꺼운 부분이 제품에서는 얇은 부분, 즉 외부지름(D, 제8도 참조)측이 되고, 이형압연부재의 얇은 부분이 제품에서는 두꺼운 부분, 즉 내부지름(d, 제8도 참조)측이 되기 때문에, 이형압연부재의 폭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외주측은 커다란 인장력이 작용하여 신장되며, 내주측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즉, 테이크업하면 이형압연부재의 폭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제품의 형상이 되면서 외부지름(D)측 과 내부지름(d)측의 둘레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형압연부재에 새겨만든 V홈은 완만한 나선형이 되며, 우측나사에 고정시킨 경우에, 헐거움에 대항하는 나선형 V홈이 되는 것이다(제8도(a),(c) 참조).
본 발명인 스프링와셔의 외주부에 소정량 V홈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려면, 압각유닛의 가이드롤러(15)의 위치를 조절나사(10)로 이동조절하고, 이형압연부재의 두꺼운 부분측에 소정량 V홈을 새겨두지 않으면 된다.
또한, 스프링와셔의 외주부, 내주부 양측에 소정량 V홈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려면, 이형압연부재의 두꺼운 부분, 얇은 부분에 소정량 V홈을 구비하지 않는 폭을 가지는 너얼링부분을 이용하여, 이형압연부재의 폭면 중앙부에 압각롤러를 구르게 하면 된다.
압각유닛의 4개의 압각롤러와 4개의 가이드롤러를 사용하여 V홈을 형성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의 압각유닛에 있어서, 2개의 상측 압각롤러를 이형압연부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서로 교대로 30도 기울게 하고(제12도), 이형압연부재를 보내면, 제12도와 같은 다수의 V홈이 이형압연부재 상면에 새겨 만들어지며, 2개의 하측 압각롤러도 마찬가지로 하면, 다수의 V홈이 이형압연부재 하면에 새겨만들어진다. 30도라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다.
이것을, 상기한 나선형 V홈이 있는 스프링와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이크업하면 마찰계수가 큰 비늘형상의 V홈을 새겨만든 스프링와셔를 제조할 수 있다(제10도 참조).
볼트의 헐거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나선형의 V층을 새겨만드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지만, 너얼링의 눈금을 촘촘하게 하면 제13도(a)와 같은 촘촘한 나선형 V홈을 새겨만들 수 있으며, 상기한 비늘형상의 V홈을 새겨만든 경우에도, 너얼링의 눈금을 촘촘하게 하면 제13도(b)와 같이 대단히 많은 V홈을 스프링와셔 상하면에 형성할 수 있고 마찰계수가 커져 헐거움 방지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압각롤러의 너얼링의 눈금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프링와셔 상하면에 자유롭게 변경가능한 형상으로 V홈을 만들 수가 있다.
가이드롤러 2개와 압각롤러 1개, 또 하나의 압각롤러 대신에 지지롤러를 사용하면, 스프링와셔의 한쪽면에만 헐거움에 저항하는 나선형의 V홈을 새겨만들 수 있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 가이드롤러 4개와 상측의 압각롤러 2개, 하측에 지지롤러 2개를 사용하면, 스프링와셔의 한쪽면에만 비늘형상의 V홈을 다수 새겨만들 수 있다. 지지롤러는 너얼링부분이 없는 원반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스프링와셔의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 V홈을 새겨만든 것을 볼트에 조합시켜 단단히 죄면 V홈에 접촉하는 볼트시트면, 피체결부재 등 상대편부재가 볼트의 축력에 의해 소성변형을 일으켜 V홈 내에서 근소하게 부풀어 마찰계수가 커지므로, 헐거움 방지효과는 크다.
담금질(quenching), 뜨임(tempering) 등의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는 볼트에는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에 V홈을 새겨만든 것이 큰 효과가 있으며, 열처리를 시행한 볼트에도 물론 효과가 있으나 피체결부재가 주물, 알루미늄등 비교적 연질부재일 때 더욱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와셔 자체에도 탄성작용이 있고 개구단차부의 절단면을 상대편 부재에 삽입함으로써 얻어지는 헐거움 방지효과도 있으므로, 상하면중 한쪽에만 V홈을 새겨만든 스프링와셔를 볼트에 조합시켜도 효과가 있다.
이형압연시의 두꺼운 부분이, 테이크없에 의해 제품외주의 얇은 부분이 되는데, 테이크업시 상당히 높은 인장력이 작용해도, 외주부에 폭의 약 1/5~1/4 가량 V홈을 구비하지 않게 하였으므로, 테이크업시 절결에 의한 응력집중이 없이 깨짐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
소정량 V홈을 새겨만들지 않는 부분을 외주부에 구비하였으므로, JIS 에 규정하는 비틀림 시험에도 적합하며, 제품으로서 사용할 때, 압축력에 의해 개구단차부가 닫힐 때 외주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지만, V홈이 없으므로 절결에 의한 응력집중으로 깨짐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스프링와셔의 폭면 내주측은, 스프링와셔가 압축되면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V홈이 도달해 있다 하더라도 깨질 염려는 없으나, 폭면 내주측에도 마찬가지로 소정량의 V홈을 구비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편이 훨씬 좋다.
통상의 이형압연장치 그 자체는 조금도 변경하지 않고, 압각유닛을 이형압연유닛과 드럼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간단히 이형압연부재의 상하양면, 또는, 한쪽면에, V홈을 각종 직선모양으로 새겨만들 수 있으며, 이것을 테이크업 함으로써, 스프링와셔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에 각종 V홈을 새겨 만들 수 있다.
또한, 압각유닛에는 조절나사가 부착된 가이드롤러와 압력조절나사가 부착된 압각롤러를 구비하며, 너얼링된 압각롤러를 이형압연부재의 경사각도에 따라 경사시켜, 직선모양의 너얼링부분 자체의 경사각도, 너얼링 눈금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로 함으로써, 스프링와셔 양면, 또는 한쪽면에 헐거움 방지용 각종 V홈을 새겨 만든 스프링와셔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는 외부지름(D)끝으로부터 내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이 형성됨과 동시에, 나머지의 평면부에 헐거움 방지용 V홈을 다수 새겨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홈은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중 어느 한쪽에 새겨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3.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는 외부지름(D)끝으로부터 내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이 형성됨과 동시에, 나머지의 평면부로서 볼트시트면 및 피체결물에 접촉하는 면에, 헐거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각각 나선형의 헐거움 방지용 V홈을 다수 새겨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4.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지름(d)끝으로부터 외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5. 상부폭면(W1) 및 하부폭면(W2)에는 외부지름(D)끝으로부터 내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이 형성됨과 동시에, 나머지의 평면부에 비늘형상의 헐거움 방지용 V홈을 다수 새겨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지름(d)끝으로부터 외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7. 4개의 가이드롤러와 4개의 너얼링된 압각롤러를 각 홀더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각 홀더를 프레임에 고정하며, 각 홀더의 위치는 조절나사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2종류의 각 롤러사이에 이형압연부재를 삽입하여 각 롤러로 압압하여 안내함과 동시에, 이형압연부재의 경사에 일치하도록 압각롤러홀더를 경사지게 하고, 가압용 조절나사로 압력을 주어 V홈의 깊이를 조절하며, 이형압연부재의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의 외부지름끝으로부터 내부지름측에, 또는 외부지름끝으로부터 내부지름측 및 내부지름끝으로부터 외부지름측에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하며, 나머지의 평면부에 너얼링으로 직선모양의 V홈을 다수 새겨 만들고, 테이크업에 의해 상부폭면 및 하부폭면에 다수의 헐거움 방지용 V홈을 새겨만든 스프링와셔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와 너얼링된 압각롤러가 각각 2개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1개의 너얼링된 압각롤러와 1개의 지지롤러 및 2개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이형압연부재의 한쪽면에만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하는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부측의 2개 또는 하부측의 2개의 너얼링된 압각롤러와, 각 압각롤러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롤러를 구비하고, 4개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이형압연부재의 한쪽면에만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하는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내부지름(d)끝으로부터 외부지름(D)측으로 소정량 V홈이 없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와셔.
KR1019950054327A 1995-03-22 1995-12-22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KR100210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02918A JP2847283B2 (ja) 1995-03-22 1995-03-22 緩み止めばね座金とその製造方法
JP1995-102918 1995-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0285B1 true KR100210285B1 (ko) 1999-07-15

Family

ID=1434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327A KR100210285B1 (ko) 1995-03-22 1995-12-22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47283B2 (ko)
KR (1) KR100210285B1 (ko)
TW (1) TW277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354B (zh) * 2019-08-21 2021-04-27 成都迈特航空制造有限公司 一种垫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648B2 (ja) * 1977-06-20 1985-06-19 理雄 安部 ヘリカル・コニカル・スプリング・ロツク・ワツシヤ−
AU3889789A (en) * 1988-08-01 1990-02-08 Sps Technologies, Inc. Serrated helical spring lock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61224A (ja) 1996-10-08
TW277093B (en) 1996-06-01
JP2847283B2 (ja) 199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042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nenverzahnten teilen
EP177997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festigen von Kurbelwellen
EP2722194B1 (de) Werkzeug zum Bearbeiten von Werkstücken, insbesondere Blechen
DE19845747A1 (de) Wälzlager mit einem Käfig
JPS61116145A (ja) 無端金属ベルト
US5304262A (en) Two-piece oil ring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eel wire of modified cross-section for use as material of the oil r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teel wire
CA1064388A (en) Self-adjusting punch device
KR100210285B1 (ko) 헐거움 방지용 스프링와셔 및 그 제조방법
JPH06312322A (ja) 中空可動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09820A (en) Spring wash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1125681B1 (en) Motion guide device
DE3622926C2 (de) Kontinuierliches mehrstufiges Walzwerk
KR100210286B1 (ko) 헐거움 방지용 파형 스프링 와셔 및 그 제조방법
JP2003074552A (ja) リニアガイドのレールの素材、リニアガイドのレール、リニアガイドのレールの製造方法、及びリニアガイド
DE4102147C2 (de) Schiene, insbesondere für Rollkörperlängsführ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chiene
KR19980033392A (ko) 이형 단면재의 제조방법
CA217922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isc-Shaped Blank
JP3905530B2 (ja) チェーン
US508653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fasteners and threaded connections
KR940008773A (ko) 오일링의 섹션 강철 와이어 및 그 생산 방법
DE19913091A1 (de) Mehrstufige Riemenscheib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534728Y2 (ja) 金属スリッタ用スペ−サ
EP0655295B1 (de) Metallkörp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U146685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перечно-клиновой прокатки
DE102007049866B4 (de) Verfahren, Werkstück und Vorrichtung zum formschlüssigen Einspannen und Fixieren von Werkstücken mittels Sperrsic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