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076B1 -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076B1
KR100210076B1 KR1019960033750A KR19960033750A KR100210076B1 KR 100210076 B1 KR100210076 B1 KR 100210076B1 KR 1019960033750 A KR1019960033750 A KR 1019960033750A KR 19960033750 A KR19960033750 A KR 19960033750A KR 100210076 B1 KR100210076 B1 KR 10021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path
refrigerant
air conditioner
pat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665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076B1/ko
Priority to CN97113935A priority patent/CN1173629A/zh
Priority to JP9172401A priority patent/JPH1073395A/ja
Publication of KR1998001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소정부위에 많은 풍속이 통과되는 병향류방식의 제1냉매패스군과, 그 소정부위에 적은 풍속이 통과되는 대향류방식의 제2냉매패스군이 병합되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열교환기를 증발기나 또는 응축기에 적용할 경우 싸이즈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실내기나 또는 실외기의 전체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를 줄이고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냉방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
제1도의 (a)(b)도는 종래의 병향류방식에 따른 증발기의 냉매패스라인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의 (a)(b)도는 종래의 대향류방식에 따른 증발기의 냉매패스라인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병향류와 대향류를 병합한 증발기의 냉매패스라인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열교환기 61.62.63.64.65 :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입부
61a,62a,63a,64a,65a :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출부
70,80 : 제1 및 제2냉매패스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예컨대, 증발기나 또는 응축기)에 병향류(竝向流)방식과 대향류(對向流)방식으로 각각 이루어진 냉매패스라인(Pass Line)을 동시에 공존되도록 설치하여 제품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함을 물론 냉방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병향류방식의 열교환기(10)에는 제1도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소정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입부(11)(12)(13)(14)(15)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소정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상호 일정간격으로 두고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출부(11a)(12a)(13a)(14a)(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병향류방식의 열교환기(20)에는 제1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제1내지 제4냉매패스유입부(21)(22)(23)(24)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제1 내지 제4냉매패스유출부(21a)(22a)(23a)(2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대향류방식의 열교환기(30)에는 제2도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입부(31)(32)(33)(34)(35)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서 사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5냉매패스유출부(31a)(32a)(33a)(34a)(35a)가 설치되어 있다.
또다른 대향류방식 열교환기(40)에는 제2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에서하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제1내지 제4냉매패스유입부(41)(42)(43)(44)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제1내지 제5냉매패스유출부(41a)(42a)(43a)(4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는, 제1도의 (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향류방식이거나 또는 제2도의(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류방식으로 구분되어 제조되어 왔기 때문에 증발기나 또는 응축기의 싸이즈가 크게 제조됨은 물론, 실내기나 또는 실외기의 전체부피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크게 제조되었고,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재료비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작업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냉방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나 응축기의 싸이즈를 상당히 줄여서 실내기나 또는 실외기의 전체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생산할 수 있게 함을 뭄론 재료비를 줄이고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냉방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소정부위에 많은 풍속이 통과되는 병향류방식의 제1냉매패스군과, 그 소정부위에 적은 풍속이 통과괴는 대향류방식의 제2냉매패스군이 병합되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엣 참조부호 60은 상단에 많은 풍속에 통과되는 병향류방식의 제1냉매패스군(70)과 하단에 적은 풍속에 통과되는 대향류방식의 제2냉매패스군(80)이 병합되어 배열설치되는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6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증발기를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매패스군(70)에는 많은 풍속이 통과되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상단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제1 내지 제3냉매패스유입부(61)(62)(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60)의 상단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제1 내지 제3냉매패스유출부(61a)(62a)(6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냉매패스군(80)에는 적은 풍속이 통과되는 상기 열교환기(60)의 하단에 대하여 기류유동반대방향측에 제4 및 제5냉매패스유입부(64)(6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60)의 하단에 대하여 기류유동방향측에 제4 및 제5냉매패스유출부(64a)(65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증발기 패스별 본 발명과 종래에 대한 시험측정결과는, 표 1에 나타나있다.
이 결과는 증발기로서 사용되는 열교환기(60)를 기준으로 한 것으고, 열교환기(60)의 싸이즈는 4열 20단에 길이50㎜, 폭600㎜의 동일시료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며, 측정포인트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각각 제2냉매패스유출구(12a)(22a)(32a)(42a)(62a)를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방능력은 종래와 대비하여 볼 때 2.1 내지 6%가 향상되게 나타났고, 에너지소비효율(EER)은 0.028 내지 0.113㎉/h.w가 향상되게 나타나므로, 본 발명의 병향류방식과 대향류방식을 병합한 열교환기(60)는 냉방능력 및 에너지소비효율면에서 종래의 병향류방식이나 또는 대향류방식으로 각각 구분되는 열교환기(10)(20)(30)(40)보다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 병향류방식과 대향류방식을 병합한 열교환기(60)를 증발기나 또는 응축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싸이즈를 상당히 줄일 수 있으므로, 실내기나 또는 실외기의 전체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작업성을 높힐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가 병향류방식과 대향류방식을 병합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를 증발기나 또는 응축기에 적용할 경우 싸이즈를 상당히 줄일 수 있고, 실내기나 또는 실외기의 전체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음을 물론 재료비를 줄이고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냉방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소정부위에 많은 풍속이 통과되는 병향류방식의 제1냉매패스군과, 그 소정부위에 적은 풍속이 통과되는 대향류방식의 제2냉매패스군이 병합되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패스군은, 많은 풍속이 통과되는 열교환기의 상단에 대하여 소정의 기류유동방향측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냉매패스유입부와,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에 대하여 소정의 기류유동반대방향측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냉매패스유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열교환의 냉매패스배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패스군은, 적은 풍속이 통과되는 열교환기의 하단에 대하여 소정의 기류유동반대방향측으로 설치되는 제4 및 제5냉매패스유입부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에 대하여 소정의 기류유동방향측으로 설치되는 제4 및 제5냉매패스유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의 냉매패스배열장치.
KR1019960033750A 1996-08-14 1996-08-14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KR10021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50A KR100210076B1 (ko) 1996-08-14 1996-08-14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CN97113935A CN1173629A (zh) 1996-08-14 1997-06-24 用于空气调节器的热交换器的制冷剂通道排列装置
JP9172401A JPH1073395A (ja) 1996-08-14 1997-06-27 空気調和機用熱交換機の冷媒パス配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50A KR100210076B1 (ko) 1996-08-14 1996-08-14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65A KR19980014665A (ko) 1998-05-25
KR100210076B1 true KR100210076B1 (ko) 1999-07-15

Family

ID=1946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750A KR100210076B1 (ko) 1996-08-14 1996-08-14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73395A (ko)
KR (1) KR100210076B1 (ko)
CN (1) CN11736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2310B1 (en) * 2000-08-15 2002-05-07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Stepped heat exchanger coils
BR0203675B1 (pt) * 2002-08-14 2011-03-09 evaporador para sistema de refrigeração.
KR100490722B1 (ko) * 2004-07-23 2005-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응축기
JP5985387B2 (ja) * 2012-12-28 2016-09-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複合型熱交換器
US20220397312A1 (en) * 2021-06-09 2022-12-15 LGL France S.A.S. Counter-current flow in both ac and hp modes for part load optim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629A (zh) 1998-02-18
JPH1073395A (ja) 1998-03-17
KR19980014665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833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KR100210076B1 (ko)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냉매패스배열장치
KR910003335A (ko) 공기 조화기
JP200117404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3805687B1 (en) Refrigerant distribut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9357441A (zh) 降膜式蒸发器和空调
US6139425A (en) High efficiency air mixer
CN201387182Y (zh) 热交换器及空调机
CN212962167U (zh) 一种底盘和空调器
JPH11141967A (ja) 空気調和機の風向装置
CN216868726U (zh) 洁净间送风系统
CN207365183U (zh) 一种封闭热通道节能型机房空调系统
CN206478751U (zh) 单排蒸发器和空调室内机
CN111023865B (zh) 波纹翅片管结构、换热装置和空调器外机
JP2002310584A (ja) 除湿機用熱交換器
JPH10185359A (ja) フィン付き熱交換器
CN218379885U (zh) 一种空调风柜
CN219713482U (zh) 一种空调器
CN1323267C (zh) 多级蒸发式空调器
JPH10196984A (ja) 空気調和機
CN219713699U (zh) 一种空调器
JPH073203Y2 (ja) 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CN219934254U (zh) 一种空调器
CN214779553U (zh) 一种高性能收卷变频器
CN219577485U (zh) 一种便于维修式单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