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688B1 -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688B1
KR100209688B1 KR1019970013505A KR19970013505A KR100209688B1 KR 100209688 B1 KR100209688 B1 KR 100209688B1 KR 1019970013505 A KR1019970013505 A KR 1019970013505A KR 19970013505 A KR19970013505 A KR 19970013505A KR 100209688 B1 KR100209688 B1 KR 10020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probe
tracking
l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687A (ko
Inventor
노성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1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688B1/ko
Priority to US09/057,456 priority patent/US6185178B1/en
Publication of KR1998007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4Fibre op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QSCANNING-PROBE TECHNIQUES OR APPARATUS; APPLICATIONS OF SCANNING-PROBE TECHNIQUES, e.g. SCANNING PROBE MICROSCOPY [SPM]
    • G01Q80/00Applications, other than SPM, of scanning-probe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은 기록매질에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마크의 배열방향 즉, 트랙을 따라가며 트랙킹을 할 수 있도록하여 정확한 데이터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해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제 1 탐침수단; 상기 기록매질의 트랙방향과 상기 제 1 탐침수단에 의해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스캔하는 방향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탐침수단의 트랙킹 방향을 조정하는 탐침조정수단; 상기 제 1 탐침수단에서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기 설정된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기록정보 발생수단; 상기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에서 탐침한 광량을 각각 검지하여 상기 검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광검지수단; 상기 광 검지수단에서 발생한 트랙킹 신호에 따라 트랙킹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조정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본 발명은 광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킹 제어기능이 부가된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ROM 등의 광 기록매체는 대물렌즈(미도시)를 이용하여 입사광을 집속시켜 광 스폿(Spot)을 만든다.
광 스폿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마크(data mark)에 입사하여 기록된 광정보를 읽어낸다.
이때, 상기 광 스폿의 크기는 회절현상에 의하여 입사광의 파장을 λ라고 했을 때 그 보다 작아질 수 없다.
따라서, 780nm의 파장을 갖는 입사광을 사용할 경우 기록 및 재생가능한 최소의 데이터 마크의 크기는 780nm로 제한 되기 때문에 기록밀도의 한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근접장 주사 현미경의 원리를 이용한 광 저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저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도시된 파이버 탐침의 구조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록매질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마크와 주사선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광 저장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질(6), 상기 기록매질(6)에입사되는 광원(7), 상기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의해 상기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파이버탐침(1), 상기 파이버 탐침(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탐침 구동부(5), 상기 파이버 탐침(1)을 통해 전파되는 광량을 검지하는 광검지기(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버 탐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12)의 한쪽끝을 원추형으로 가늘게 가공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원추부분은 Au 등의 금속막(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부분에는 상기 금속막(2)을 제거하여 통상 100nm이하의 직경(d1)을 갖는 개구 즉, 에퍼츄어(3)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막(2)은 상기 광원(7)에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에퍼츄어(3)만을 통과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에는 어떠한 광도 통과할 수 없도록 광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대한 광 저장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광원(7)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기록매질(6)에 입사되면, 상기 기록매질(6)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마크(8)에 의해 광량이 변조되어 기록매질(6)의 윗면에는 데이터 마크(8)에 해당하는 광량분포(11)가 형성된다.
이렇게 광량분포(11)가 형성되면, 탐침구동부(5)에 의해 파이버 탐침(1)을 기록매질(6)에 접근시킨다.
이때, 상기 파이버탐침(1)의 에퍼츄어(3)와 기록매질(6)의 거리가 에퍼츄어(3)의 크기(d1)보다 클 경우에는 광학적으로 빛은 에퍼츄어(3)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검지부(4)는 아무런 신호도 검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파이버 탐침(1)을 기록매질(6)에 더 접근시켜 에퍼츄어(3)와 기록매질(6)의 거리가 상기 에퍼츄어(3)의 크기(d1)보다 작아질 경우에는 광 터널링(tunneling)현상에 의해 기록매질(6)을 통과한 광원(7)의 일부가 에퍼츄어(3)를 통해 파이버탐침(1)에 입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입사된 광은 광검지부(4)로 입사되게 되는데, 이때 광검지부(4)는 전파된 광량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버 탐침(1)의 에퍼츄어(3)와 기록매질(6)의 거리가 유지되면, 탐침구동부(5)를 이용하여 파이버 탐침(1)이 기록매질(6)의 표면을 스캔(scan)하게 한다.
그러면, 에퍼츄어(3)의 각 위치에 따라 기록매질(6)에 기록된 데이터 마크(8)에 의하여 형성된 광량분포(11)에 해당하는 신호가 광 검지부(4)에 의해 검지되어 그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매질(6)에 기록된 데이터 마크(8)의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 상기 에퍼츄어(3)의 크기는 광원(7)의 파장보다 작게 할 수있으므로 광원(7)의 파장보다 작은 데이터 마크(8)의 정보를 읽어내는 고밀도의 광저장장치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근접장 광 저장장치가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점의 하나가 도 3에도시된 바와같은 트랙킹 문제이다.
기록매질(6)의 표면에 데이터 마크(8)들이 일정한 직선 즉, 트랙(9)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을 경우 파이버 탐침(1)이 움직이면서 기록매질(6)의 데이터 마크(8)에 기록된 정보들을 읽게 된다.
이때, 파이버 탐침(1)은 일정한 주사선(10)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주사선(10)이 트랙(9)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파이버 탐침(1)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트랙(9)에서 벗나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 마크(8)에 기록된 정보들을 읽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랙(9)과 주사선(10)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해야하는데 종래의 기술로서는 주사선(10)이 트랙(9)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최초에 기구적으로 트랙(9)과 주사선(10)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나, 이 경우 주사선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허용될 수 있는 트랙(9)과 주사선(10)의 각도차이 a는
[수학식 1]
La 〈 d1, 즉 a 〈 d1/L
이 되는데, 통상 d1은 50nm이고, L은 1mm라고 하면 a 0.003(deg)이하가 되므로 실제로 구현하기 어려운 정밀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근접장 광학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트랙킹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 저장장치는 하나의 파이버탐침을 이용하여 트랙킹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트랙의 방향과 파이버 탐침의 주사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기록된 정보의 판독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판독에러를 감소시키기위해서 최초에 기구적으로 트랙과 파이버탐침의 주사방향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각 기록매체마다 일일이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후 발생되는 에러를 보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 마크의 배열방향 즉, 트랙을 따라가며 트랙킹을 하여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광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상응하는 트랙킹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 저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도시된 파이버 탐침의 구조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록매질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마크와 주사선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제어가 가능한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파이버탐침과 트랙킹탐침의 구조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질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마크와 주사선과의 관계에 따른 트랙킹 제어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2 : 트랙킹 탐침 20a, 21a, 22a : 에퍼츄어
21 : 파이버 탐침 23, 24, 25 : 광검지기
26 : 탐침구동부 27 : 광량분포
28 : 기록매질 29 : 데이터 마크
30 : 광원 31 : 제어부
32 : 금속막 33 : 트랙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의 특징은 기록매체 및 광원을 가지며 근접장광항 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 및 트랙방향을 판독하는 복수개의 탐침수단과; 제공되는 트랙킹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탐침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탐침수단의 트랙킹방향을 조정하는 구동수단; 상기 탐침수단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트랙킹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의 다른 특징은 기록매질 및 광원을 갖는 광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해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제 1 탐침수단; 상기 기록매질의 트랙방향과 상기 제 1 탐침수단의 정보스캔방향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탐침수단의 트랙킹 방향을 조정하는 탐침조정수단; 상기 제 1 탐침수단에서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기 설정된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기록정보 발생수단; 상기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에서 탐침한 광량을 각각 검지하여 상기 검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광검지수단; 상기 광 검지수단에서 발생한 트랙킹 신호에 따라 트랙킹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탐침조정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의 특징은 광 저장장치에 트랙킹 제어방법에 있어서, 정보가 기록된 일 기록매질의 트랙방향과 상기 기록된 정보를 스캔하는 방향이 일치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단계; 상기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상기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트랙킹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트랙킹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결과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면 상기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은 기록매질, 파이버탐침 및 두 개의 트랙킹탐침을 갖는 광저장장치의 트랙킹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질상에 분포된 광량을 상기 두 개의 트랙킹탐침에 의해 탐침하는 단계; 상기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상기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트랙킹신호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 일 기록매질의 트랙방향과 상기 파이버탐침의 스캔방향이 일치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파이버탐침에 의해 재생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발생된 트랙킹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트랙킹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결과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면 상기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제어가 가능한 광 저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파이버탐침과 트랙킹탐침의 구조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에서와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데이터 마크(29)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질(28), 상기 기록매질(28)에 입사하여 상기 데이터 마크(29)에 해당하는 광량분포(21)을 발생하는 광원(30), 상기 기록매질(28)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읽기 위한 파이버탐침(21), 상기 파이버탐침(21)의 양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록매질(28)에 트랙킹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두 개의 트랙킹탐침(20, 22), 상기 파이버탐침(21)과 트랙킹탐침(20, 22)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탐침들(20, 21, 22)을 구동하는 탐침구동부(26), 상기 각 탐침(20, 21, 22)에서 전달되는 광신호를 각각 검지하여 일 신호를 발생하는 세 개의 광검지부(23, 24, 25), 상기 각 광 검지부(23,25)에서 발생한 일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탐침구동부(26)이 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3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버탐침(21) 및 트랙킹탐침(20, 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버의 안쪽끝을 원추형으로 가늘게 가공하여 제작한다.
이 원추부분은 Au 등의 금속막(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부분은 금속막(32)을 제거하여 직경 d1을 갖는 에퍼츄어(20a, 21a, 22a)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금속막(32)은 Au뿐만 아니라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떤 금속이어도 관계없다. 단지 통상적으로 상기 Au금속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탐침(20, 21, 22)은 상기 세 개의 광 검지부(23, 24, 25)에 순서대로 각각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버 탐침(21)과 트랙킹 탐침(20, 22)은 일정거리 h3의 간격을 가지고 일직선을 이루도록하여 상기 탐침구동부(26)에 부착한다.
상기 세 개의 탐침(20, 21, 22)이 이루는 직선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매질(28)에 형성된 데이터 마크(29)의 배열방향 즉, 트랙(33)방향과 일정한 각도 θ를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데이터 마크(29)의 크기를 d2라고 하고
[수학식 2]
h2 = h3 sinθ
라고 정의하면,
[수학식 3]
h2 d2/2
가 되도록 θ를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h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탐침(20, 22)의 애퍼츄어(20a, 22a)의 중심과 데이터 마크(29)의 중심과의 거리를 나타내고, h3는 트랙킹탐침(20, 22)의 중심과 파이버 탐침(21)의 중심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θ는 트랙킹탐침(20, 22)의 애퍼츄어(20a, 22a)와 데이터 마크(29)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성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광원(30)이 기록매질(28)에 입사되면, 그 광은 상기 기록매질(28)에 기록된 데이터 마크(29)에 의해 변조되어 기록매질(28)의 윗부분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광량분포(27)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탐침구동부(26)에 부착된 파이버탐침(21) 및 트랙킹 탐침(20, 22)이 기록매질(28)에 접근하여 애퍼츄어(20a, 21a, 22a)와 기록매질(28)의 거리가 d1이하가 되면, 근접장 효과에 의해 광 터널링이 발생한다.
상기 광 터널링현상에 의해 광은 각 탐침(20, 21, 22)의 애퍼츄어(20a, 21a, 22a)를 통해 광의 전파가 일어나고 전파된 광량은 각 탐침(20, 21, 22)에 해당하는 광검지부(23, 24, 25)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파이버탐침(21)의 애퍼츄어(21a)를 통해 전파된 광량은 광검지부(24)에 입사되어 미리 기록된 데이터 마크(29)에 해당하는 정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트랙킹탐침(20, 22)의 애퍼츄어(20a, 22a)를 통해 전파되는 광량은 각각 광검지부(23, 25)에 입사되어 각각 해당하는 트랙킹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1)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검지부(23)에서 발생한 트랙킹신호 A, 광검지부(25)에서 발생한 트랙킹신호를 B라하면, 상기 제어부(31)는
[수학식 4]
T = A - B
로 정의되는 트랙 제어신호 T를 발생하여 상기 탐침구동부(26)에 제공한다.
상기 탐침 구동부(26)는 상기 제어부(31)에서 제공된 트랙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파이버탐침(21) 및 트랙킹탐침(20, 22)을 제어하여 기록매질(28)의 트랙과 상기 탐침들(20, 21, 22)의 주사선이 일직선이 되도록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을 상세히 보면, 상기 탐침구동부(26)는 파이버탐침(21) 및 트랙킹탐침(20, 22)을 구동시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탐침들(20, 21, 22)의 애퍼츄어(20a, 21a, 22a)가 기록매질(28)의 트랙(33)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탐침(20, 21, 22)의 애퍼츄어(20a, 21a, 22a)의 이동방향이 기록매질(28)의 트랙(33)과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면, 파이버탐침(21)의 애퍼츄어(21a)는 항상 데이터 마크(29)들의 중심을 지나게 되어 정확한 광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트랙킹탐침(20, 22)의 애퍼츄어(20a. 22a)는 각각 데이터 마크(29)에 같은 양이 겹쳐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4에서 정의된 T값이 0가 된다.
그러나, 만약 각 애퍼츄어(20A, 21A, 22A)의 이동방향이 기록매질(28)의 트랙(33)에서 일정각도를 가지고 벗어날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츄어(21a)의 중심과 데이터 마크(29)의 중심은 dh만큼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에 애퍼츄어(20a)도 dh만큼 이동하여 데이터 마크(29)와 겹치는 영역이 커지므로 상기 수학식 4의 T는 T0 인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31)는 상기 T에 해당하는 구동신호 즉, 트랙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탐침구동부(26)를 조정하면 애퍼추어(21a)를 다시 정위치에 복원시킬 수 있게 되고 애퍼츄어(20a, 21a, 22a)의 이동방향을 항상 트랙(33)방향과 일치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록매질(28)에 기록된 정보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은 파이버탐침 이외의 기록매질의 트랙킹용 탐침을 별도로 추가하여 이 트랙킹용 탐침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검지하여 이 검지된 광신호에 따라 주사되는 방향과 트랙의 방향을 일치시켜 기록매질에 기록된 정보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트랙킹 서보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술을 적용한 장치의 상품화를 가능하게 하고, 근접장 광 주사현미경 및 근접장광학 형상을 이용한 초 고밀도 광저장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기록매체 및 광원을 가지며 근접장광항 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 및 트랙방향을 판독하는 복수개의 탐침수단과;
    제공되는 트랙킹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탐침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탐침수단의 트랙킹방향을 조정하는 구동수단;
    상기 탐침수단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트랙킹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광학 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탐침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해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제 1 탐침기;
    상기 제 1 탐침기와 일정거리의 간격을 가지고 일직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록매체의 트랙방향과 상기 제 1 탐침기의 정보 스캔 방향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복수개의 제 2 탐침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침기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기의 안쪽부분은 원추형으로 가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침기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기의 끝 부분은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에퍼츄어(aperture)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침기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기의 표면에는 광의 입사를 차단하는 금속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탐침기에서 탐침한 광량을 각각 검지하여 상기 검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복수개의 광검지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광 검지수단에서 발생하는 트랙킹신호의 차에 의해 발생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8. 기록매체 및 광원을 가지며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해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제 1 탐침수단;
    상기 기록매체의 트랙방향과 상기 제 1 탐침수단의 정보 스캔 방향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탐침수단의 트랙킹 방향을 조정하는 탐침조정수단;
    상기 제 1 탐침수단에서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기 설정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기록정보 발생수단;
    상기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에서 탐침한 광량을 각각 검지하여 상기 검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광검지수단;
    상기 광 검지수단에서 발생한 트랙킹 신호에 따라 트랙킹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조정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은 상기 제 1 탐침수단과 일정거리의 간격을 가지고 일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침수단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의 안쪽부분은 원추형으로 가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 탐침수단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의 끝 부분은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에퍼츄어(aperture)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침수단 및 복수개의 제 2 탐침수단의 표면에는 광의 입사를 차단하는 금속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광 검지수단에서 발생하는 트랙킹신호의 차에 의해 발생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
  14.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의 트랙킹 제어방법에 있어서,
    정보가 기록된 일 기록매체의 트랙방향과 상기 기록된 정보를 스캔하는 방향이 일치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는 단계;
    상기 탐침된 광량을 검지하여 상기 광량에 해당하는 트랙킹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트랙킹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트랙킹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되는 트랙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결과 스캔방향과 트랙방향이 일치되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의 트랙킹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제어신호는 상기 발생된 트랙킹신호들의 차에 의해 계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의 트랙킹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발생된 트랙킹 신호는 두 개의 트랙킹 탐침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상에 분포된 광량을 탐침하여 그 탐침된 광량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장치의 트랙킹 제어방법.
KR1019970013505A 1997-04-12 1997-04-12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KR10020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505A KR100209688B1 (ko) 1997-04-12 1997-04-12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US09/057,456 US6185178B1 (en) 1997-04-12 1998-04-09 Tracking control method for optical storage apparatus using near field optical effect and optical prob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505A KR100209688B1 (ko) 1997-04-12 1997-04-12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87A KR19980076687A (ko) 1998-11-16
KR100209688B1 true KR100209688B1 (ko) 1999-07-15

Family

ID=1950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505A KR100209688B1 (ko) 1997-04-12 1997-04-12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85178B1 (ko)
KR (1) KR100209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11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1차원 다기능/다중 탐침 열을 이용한 고속/고밀도 광정보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118B1 (en) * 1998-06-02 2002-01-22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ple channel scanning device using oversampling and image processing to increase throughput
KR100548236B1 (ko) * 1998-11-26 200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데이터기록/재생용카트리지
US6665239B1 (en) * 1998-12-10 2003-12-16 Ricoh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549445B1 (ko) * 1999-07-30 2006-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집적 고속 정보기록판독장치
JP3507881B2 (ja) * 1999-08-30 2004-03-1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プローブアレイヘッド装置
EP1512959A1 (en) * 2002-05-30 2005-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disc used for the same
KR100585670B1 (ko) * 2004-03-25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팁과 미디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탐침형정보저장기기
EP2009626A1 (en) * 2007-06-29 2008-12-31 Deutsche Thomson OHG Apparatus comprising a pickup unit providing three beams for reading data from or writing data to an optical storage medium, and respective optical storage medium
CN102620818B (zh) * 2012-03-30 2014-12-17 上海理工大学 一种光场相位探测器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797B2 (ja) * 1991-10-09 2002-03-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導入装置
JP3213436B2 (ja) * 1993-05-24 2001-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プローブ素子、光プローブ素子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プローブ素子の製造方法
JP3236423B2 (ja) * 1993-09-29 2001-12-10 株式会社リコー 光メモリ装置並びにそ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280509B2 (ja) * 1994-03-30 2002-05-13 株式会社リコー 光メモリとそ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599440B2 (ja) * 1994-12-05 2004-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探針位置制御機構および探針位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
US6011664A (en) * 1995-08-31 2000-01-04 Carnegie Mellon University Techniques for ultrahigh density writing with a probe on erasable magnetic media
US5625617A (en) * 1995-09-06 1997-04-29 Lucent Technologies Inc. Near-field optical apparatus with a laser having a non-uniform emission 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11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1차원 다기능/다중 탐침 열을 이용한 고속/고밀도 광정보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87A (ko) 1998-11-16
US6185178B1 (en) 2001-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282B1 (ko) 정보의 광학적 기록, 판독 및 삭제 방법과 그 장치
KR880000362B1 (ko) 광학식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신호 검출 방식
CA2025311C (en) Optical head
US5144604A (en)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an optical integration type pickup
KR100209688B1 (ko) 근접장 광학현상을 이용한 광 저장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랙킹 제어방법
CA1324516C (en) Optical pickup apparatus
US5231621A (en) Focus detector which serves to split off a portion of a detected light beam only when the detected light beam is not refocused at an expected refocus point
US510541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focusing and tracking errors
JPH01269240A (ja) 光記録装置
EP0581597B1 (en) A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US4807212A (en) Correcting for comatic aberration in an optical head of an optical disk apparatus
US5062094A (en) Optical head for optical disk system
EP1617423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EP1115113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5825740A (en) Device for scanning information tracks on a record carrier
US5327413A (en) Ruggedized homogeneous thin dielectric film focus sensor
EP1486959B1 (en) Optical head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249493B1 (en) Recording or replay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a focussing status
US6160774A (en) Position sensor for tracking system for optical data storage
JP3904702B2 (ja) 光プローブの位置決め装置及び記録媒体
JP3986690B2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憶装置
KR100700509B1 (ko)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시스템의 트랙킹 장치
JP2719421B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JP2695909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S6040534A (ja) トラツキング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