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534B1 -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534B1
KR100209534B1 KR1019960014920A KR19960014920A KR100209534B1 KR 100209534 B1 KR100209534 B1 KR 100209534B1 KR 1019960014920 A KR1019960014920 A KR 1019960014920A KR 19960014920 A KR19960014920 A KR 19960014920A KR 100209534 B1 KR100209534 B1 KR 10020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substituted
alkyl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754A (ko
Inventor
이영호
김경애
이현호
최종권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1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534B1/ko
Publication of KR97007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1/00Derivatives of cyanic acid
    • C07C261/04Cyan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능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하기 일반식(1)의 신규한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2는 t-부틸디메틸실릴옥시,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8-C20알킬, 또는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능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갖는 신규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능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하기 일반식(I)의 신규한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2는 t-부틸디메틸실릴옥시,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8-C20알킬, 또는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멜라닌은 색소세포내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효소의 작용에 의해 타이로신(Tyrosine)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나,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오히려 피부흑화를 유발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최근에는 멜라닌 과잉생산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과 약제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멜라닌 과잉생산 예방을 위하여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또는 알부틴(Arbutin)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피부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거나 효과가 미약한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소량을 사용하여도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우수한 저해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오랜기간에 걸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신규한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의 합성방법은 문헌에 이미 알려져 있으나 (참조:Tetrahedron Letters, 29, 3343(1988), Tetrahedron Letters, 33, 3335(1989)), 상기 논문에서 제시하는 비닐이소시아나이드의 합성방법으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터미널 비닐이소시아나이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I)의 신규한 터미널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2는 t-부틸디메틸실릴옥시,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8-C20알킬;또는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일반식(1) 화합물의 치환기에 대한 상기 정의 중에서 용어, 알킬은 메틸,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여러 가지 부틸 이성체 등과 같은 직쇄 또는 측쇄 포화탄화수소 래디칼(Radical)을 의미하고, 용어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여러 가지의 알콕시 이성체를 의미하며,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의미한다.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능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는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된 C8-C20알킬, 또는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상기 일반식(I)의 신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식 1로부터 알수 있듯이,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는 메틸, 페닐 또는 톨릴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도식 1의 방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식(II)의 화합물로부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염기로는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디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센(DBU), 디아자바이사이클로노넨(DBN) 등의 강염기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능한 용매의 종류는 사용되는 염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들어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나 포타슘 t-부톡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등의 에테르류를 사용할 수 있고, DBU, DBN등의 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염화탄화수소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은 30 내지 100부근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용매중에서 3당량의 DBU 와 50에서 4시간동안 교반시켜 원하는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수득된 일반식(I)의 화합물은 두가지 이성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주로 (E)-구조의 이성체로 수득된다.
한편, 상기 반응도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한 일반식(I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식 2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R2및 R3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도식 2의 방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물질로 사용된 일반식(III)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물질이거나 그에 상응하는 유도체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산화제 존재하에 에폭시화 반응시키면 일반식(IV)의 에폭시 화합물이 얻어진다. 이때, 산화제로는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 퍼옥시벤조산, 퍼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염화탄화수소류와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한 등의 에테르류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20 내지 70범위가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용매중에서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과 1시간 정도 반응시켜 제조한다.
한편, 일반식(IV)의 에폭시화합물에 아지도기를 도입시키면 일반식(V)의 화합물이 제조된다. 이때, 용매로는 물과 2-메톡시에탄올 또는 아세톤 등의 혼합 용매가 이용되며 80 내지 15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아지도나트륨을 물과 2-메톡시에탄올의 혼합용매(1:8, v/v)중에서 과량의 염화암모늄과 120에서 반응시켜 수득한다. 일반식(V)화합물의 제조 과정은 위치 선택적으로 진행되어, 일반식(V)화합물의 구조로부터 알 수 있듯이 치환이 많이 된 알콜을 선택적으로 수득하게 된다.
일반식(VI)의 아미노알콜 화합물은 상기 수득된 일반식(V)의 화합물을 수소첨가반응을 통해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와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기타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고, 수소 기체는 1기압 내지 5기압의 범위에서 별다른 효과상의 차이 없이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5 내지 10%의 팔라듐-카본 촉매가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1기압 하에 10%의 팔라듐-카본 촉매를 이용하여 4시간 정도 교반시킴으로서 일반식(VI)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일반식(VII)의 포메이트화합물은 일반식(VI)화합물의 아민기만 선택적으로 포밀화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름산에틸에스테르를 용매로하여 환류 상태에서 약5시간 정도 교반시켜 원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마지막으로 일반식(II)의 화합물은 일반식(VII)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치환된 설포닐클로라이드 및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아민계 염기를 사용할 수 있고 치환된 설포닐클로라이드로는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또는 4-톨루엔설포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은 -3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며,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등의 염화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등의 극성용매류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용매중에서 2 당량의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및 과량의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0부근에서 교반시켜 반응시킨다.
한편, 일반식(VII)의 화합물에 대해 1 당량의 치환된 설포닐클로라이드만을 사용하면 N-포밀기의 탈수 반응이 먼저 일어나 중간체로서 상기 일반식(VIII)의 화합물을 거치게 되며, 여기에 1당량의 치환된 설포닐클로라이드를 더 적가하면 일반식(II)의 화합물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 방법은 수율면에서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신규한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의 대표적인 예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I)의 비닐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능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이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에 대해 탁월한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노마 B-16 세포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2-(8-t-부틸디메틸실릴옥시-옥틸)-옥시란(IV-1)의 합성]
10-t-부틸디메틸실릴옥시-1-데센 4.05g을 디클로로메탄 100와 혼합하여 잘 교반하였다. 0에서 상기 혼합물에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4.4g을 천천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 100로 희석시키고 포화티오황산나트륨 용액 50로 잘 세척한 다음 50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였다. 반응액을 다시 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모아 무수망초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표제화합물 4.1g을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96%).
[제조예 2]
[(1-아지도-10-T-부틸디메틸실릴옥시-데칸)-2-올(V-1)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1g을 2-메톡시에탄 20에 가하여 혼합한 후 4의 물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고체 염화암모늄 1g을 가하고 고체 소듐아지도 1.3g을 적가한 다음 환류 상태에서 4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상태에서 증류한 후 디에틸에테르100로 희석시키고 물 20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망초로 건조시키고 감압 증류하여 표제화합물 1.1g을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97%).
[제조예 3]
[(1-아미노-10-t-부틸디메틸실릴옥시-데칸)-2-을(VI-1)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화합물 1.1g을 에탄올 50에 희석시킨 다음, 10%의 팔라듐-카본 촉매 50을 조심스럽게 적가하고 상온에서 13시간 동안 수소 기체와 반응시켰다. 팔라듐-카본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표제화합물 0.95g을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97%).
[제조예 4]
[N-(2-하이드록시-10-t-부틸디메틸실릴옥시-데실)-포름아미드(VII-1)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화합물 0.95g을 에틸포르메이트 20로 희석시킨 후 환류 상태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에틸포르메이트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참조:Flash chromatography 법, W. C., Still, M. Kahn, A. Mitra, J. Org. Chem, 43, 2923(1978);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v/v) 표제화합물을 0.93g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86%).
[제조예 5]
[(1-이소시아노메틸-9-t-부틸디메틸실릴옥시-노닐)-벤젠설포네이트(II-1)의 합성]
제조예4에서 수득한 화합물 330을 디클로로메탄 5로 희석시킨 다음, 0에서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300및 트리에틸아민 1를 차례로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100로 희석시킨 후 20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물층을 20의 디클로로메탄으로 두 번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물로 세척하고 무수망초로 건조시켜 감압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410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91%).
[실시예 1]
[ (10-t-부틸디메틸실릴옥시-데크-1-엔일-이소시아나이드(1)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205을 디클로로메탄 1로 희석시킨 다음 DBU 2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60로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용액 10로 희석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증류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110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72.1%).
[실시예 2]
[ 10-이소시아노-9-데센-1-올(2)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110을 테트라하이드로푸한 1에 희석시킨후, 0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1M 용액 1를 적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에테르 50로 희석시켰다. 반응액을 10의 물로 2회 세척한 다음, 무수망초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하여 표제화합물을 60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95%).
[실시예 3]
[10-이소시아노-9-데켄일 아세테이트(3)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을 디클로로메탄 0.55g으로 희석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0.15및 아세트산무수물 0.08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감압증류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무수망초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100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81%).
[제조예 6]
[ N-(2-하이드록시-2-(4-메톡시페닐)-에틸포름아미드(VII-2)의 합성]
2-아미노-1-(4-메톡시페닐)-에탄올 1.67g을 에틸포르메이트 10로 희석시키고 환류상태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에틸포르메이트를 감압 증류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1/57g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80%).
[제조예 7]
[2-이소시아노-1-(4-메톡시페닐)에틸 메탄설포네이트(II-2)의 합성]
제조예6에서 수득한 화합물 1.57g을 디클로로메탄 5로 희석시킨 후 0에서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1g 및 트리에틸아민 1을 차례로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0로 희석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 20로 2회 세척하였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20로 2회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물로 세척하고 무수망초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1.22g 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52%).
[실시예 4]
[2-(4-메톡시페닐)-비닐이소시아나이드(8)의 합성]
제조예 7에서 수득한 화합물 0.98g을 디클로로메탄 1로 희석시킨 후 0에서 DBU 2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60로 가열하면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용액 10로 희석시킨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증류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0:1, v/v) 표제화합물을 490수득하였다(수율:이론치의 80%).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낸 화합물들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화합물들의 물리적 성질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를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는 버섯류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L-타이로신을 1.5mM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0.05mol 농도, pH6.8)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0.3용량의 분광 광도계 큐벳(Cuvette)에 0.01를 넣고 코펙터(Cofacter)인 도파를 0.06mM 농도로 만들어 0.01씩 첨가하였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저해제 화합물을 첨가하고 인산 완충액을 0.3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를 인산 완충액에 60U/로 제조한 것을 이 반응액에 0.1씩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각각의 대조군(Blank)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용액 대신 완충액만을 0.1씩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반응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하여 37에서 진행시키며,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율을 하기 식에 의거하여 구하였다.
A : 저해제가 첨가된 것의 475nm에서의 흡광도
B : 저해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의 475nm에서 흡광도
또한, 효소활성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IC50값을 결정하였으며, 결정된IC50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타이로시네이즈 효소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다음 단계로 일반식(I)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mouse melanoma cell) B-16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시험예 2]
[쥐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생성 저해효과의 측정]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시험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문헌(Lotan R., Lotan D.,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일반식(I)의 화합물을 B-16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중인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 분리함으로써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멜라닌에 IN-수산화나트륨 용액 1를 가하고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인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106cell)당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IC50값은 멜라닌활성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에 비하여 적은 양으로도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탁월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작용으로 인해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뛰어난 미백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Claims (6)

  1. 하기 일반식(I)로 나타내는 화합물: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2는 t-부틸디메틸실릴옥시,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8-C20알킬, 또는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이고, R2는 하이드록시 또는 C1-C4아실옥시에 의해 치환된 C8-C20알킬, 또는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C1-C4아실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3.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는 메틸,페닐 또는 톨릴을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염기로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용매로 디에틸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염기로 디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센(DBU)또는 디아자바이사이클로노넨(DBN)을 사용하는 경우에 용매로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반응을 30 내지 100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방법.
KR1019960014920A 1996-05-07 1996-05-07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KR10020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920A KR100209534B1 (ko) 1996-05-07 1996-05-07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920A KR100209534B1 (ko) 1996-05-07 1996-05-07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754A KR970074754A (ko) 1997-12-10
KR100209534B1 true KR100209534B1 (ko) 1999-07-15

Family

ID=1945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920A KR100209534B1 (ko) 1996-05-07 1996-05-07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5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754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vo et al. New fluorinated chiral synthons
EP2542544A1 (fr) Derives de cetobenzofurane ainsi que leur procede de synthese et le intermediaires
FR296300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nitro-benzofurane
CA1233467A (en) Phenyl tetrahydronaphthylcarboxylate derivatives
EP0309324A1 (fr) Procédé de synthèse d'alpha amino N alkyles et de leurs esters. Application à la synthèse de carboxyalkyl dipeptides
Murakata et al. Stereoselective reactions. 30. Enantioselective alkylation of the lithium enolates of six-membered cyclic ketones using tetradentate chiral amines in the presence of lithium bromide
KR100209534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갖는신규비닐이소시아나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JP2007238540A (ja) 光学活性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法
KR100209533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신규 포화알킬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Prein et al. Diastereoselective Synthesis of 4‐Hydroperoxy‐3, 5‐cyclohexadienones in the Photooxygenation of Hydroxyethyl‐Substituted Phenols
KR0171267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신규의 이소시아노-사이클로-펜테닐 아세트산 에스테르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1266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갖는 신규 아릴이소시아나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GB2073736A (en) Process for Preparing Pyridinyloxyphenoxy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EP0251938A1 (fr) Procédé de synthèse stéréospécifique de dérivés de l'indole
Fenain et al. Indium-mediated reduction of β-aminovinyl chloro-difluoromethylated ketones in the presence of heteroaryl aldehydes: A mild entry to novel difluoromethylene enaminone derivatives
EP0685473B1 (fr) Composés benzohétérocycliques, en tant qu'antioxydants
US612754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xazoline compound
CN115925561B (zh) 一种染发剂初级中间体的合成方法
WO1995030660A1 (fr)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e pyrazines substituees
OGAWA et al. Studies on Hypolipidemic Agents. IV. Synthes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rans-and cis-2-(4-alkylcyclohexyl)-2-oxoethyl Arenesulfonates
KR20020055906A (ko) 신규 코지산 이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R2509306A1 (fr) Nouveaux derives de cyclopentene utiles comme intermediaires de synthes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KR100267596B1 (ko) 베타-아미노-알파-하이드록시산과 균등한 옥사졸린 유도체의 입체선택적 합성방법
EP1112261B1 (fr) Derive d'ester d'acide 2-ethyl-2,3-dihydrobenzofurane-carboxyliqu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pour la preparation de derives de l'efaroxan
CA2882694C (en) Processes for preparing morphin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