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127B1 -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127B1
KR100209127B1 KR1019960008722A KR19960008722A KR100209127B1 KR 100209127 B1 KR100209127 B1 KR 100209127B1 KR 1019960008722 A KR1019960008722 A KR 1019960008722A KR 19960008722 A KR19960008722 A KR 19960008722A KR 100209127 B1 KR100209127 B1 KR 10020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witch
cutting
shaft
cutting too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505A (ko
Inventor
소기송
Original Assignee
소기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기송 filed Critical 소기송
Priority to KR101996000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127B1/ko
Publication of KR97006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샤프트(shaft)를 자동으로 성형하는 자동 가공기에 장착되어, 불량품과 칩(chip)은 골라내고 양품 만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샤프트 가공기에서 샤프트를 가공하게 되면 상당한 양의 칩이 발생되어 가공품과 함께 낙하되어 가공후의 칩 분리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소재에서 최초로 가공되는 가공품은 불량품으로 가공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축대(20), 심압대(40), 절삭공구대(30), 캠부(50), 안내부(60), 구동부(70), 대기부(80)에 의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공압실린더(110)에 이동판(120)이 장착된 작동부(100)와, 솔레노이드밸브(200)와, 구동캠(53)에 작동되는 제1리미트스위치(300)와, 밀대(62)에 장착된 치기봉(62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그 내부에 타이머(510)가 구비된 콘트롤부(500)로 이루어 지는 선별장치를 장착토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이 높은 최초 가공시의 불량품과 절삭시 발생되는 칩들을 효과적으로 골라내고 치수가 정확한 정품 만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인 바,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샤프트(shaft)를 자동으로 가공하는 자동 가공기에 장착되어, 불량품과 칩(chip)은 골라내고 양품만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회전기기가 장착되는 전자제품(CD플레이어, L D P,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 오디오)에는 다양한 종류의 샤프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샤프트는 상당한 정밀성이 요구되며 대량생산으로 이루어지는 바, 주로 소재가 자동으로 주입되면 절삭과 절단을 반복토록 하는 자동선반을 사용하여 샤프트를 생산(生産)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선반에 의하여 전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샤프트의 생산공정은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한 절삭과 절단공정에는 주로 절삭유가 공급되고 상당한 양의 칩이 발생되어 가공품과 함께 낙하되는 관계로, 칩의 분리 작업과 함께 절삭유의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가공 후의 분리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특히, 가공품 중에 요홈이 다수 형성된 경우에는 칩이 절삭유와 함께 요홈에 삽착되는 바, 가공품의 요홈에서 칩을 분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세척용솔)를 가진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존하여 처리하는 관계로 생산성은 저하되고 인건비는 증대되어 전체적인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가공품을 생산하는 소재는 길게 형성된 환봉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환봉들은 주로 프레스와 같은 절단기에서 절단되면서 그 절단부위가 깨끗한 면을 갖는 수직면으로 이루어 지지않는 관계로 소재가 가공기에 진입되어 심압대에 접촉될 때, 정확한 수직면을 이루지 않으므로 진입된 소재의 최초 가공품은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불량품으로 발생된다.
특히, 전자제품의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샤프트들은 초정밀성을 요구하는 관계로 한계오차가 약 0.01㎜ 이하로 허용되는 반면, 소재가 최초로 가공될 때에는 0.1㎜정도의 범위를 갖는 오차가 발생되는 불량품이 약 10%를 상회한다.
이와 같이 0.1㎜정도의 오차를 갖는 불량품은 눈으로는 식별하기가 불가능하여 정밀한 측정자를 사용하여 불량품을 일일이 골래내야 하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생산공정(生産工程)에 비하여 선별작업은 매우 원시적인 선별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상당한 인건비의 지출을 감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가 최초로 가공될 때의 불량품과 다량의 칩들을 효과적으로 골라내야 적정치수를 갖는 양품만을 얻을 수 있는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작업대(10) 상부에 장착되어 진입된 소재(1)를 삽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주축대(20)와, 이 주축대(20) 전방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절삭구(31)가 작동되면서 회전되는 소재(1)를 절삭 및 절단하는 절삭공구대(30)와, 상기 절삭공구대(30)와 일정거리 이격하여 설치되어 수평으로 작동되며 소재(1)의 중심을 지지하는 심압대(40)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51)에 복수개의 캠(52)들이 장착되어 상기 절삭공구대(30)와 심압대(4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캠부(50)와, 상기 주축대(20) 후방에 장착되며 원형의 안내홈(61a)을 갖는 안내레일(61)에는 소재(1)가 삽지되고, 소재(1)의 후방에는 밀대(62)가 구비된 안내부(60)와,상기 밀대(62)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편(63)이 체인벨트(73) 사이에 삽착된 연결편(73a)에 고정되며, 이 체인벨트(73)는 그 양측에 축설된 스프로켓(71)과 이들 사이에 장착된 정, 역회전모터(72)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70)와, 상기 안내레일(61)의 상부에 설치되며 협지대(81) 사이에 복수개의 소재(1)들이 적재된 대기부(80)에 의하여 구성되는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 상부에 고정되며 공압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10a)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이동판(120)이 장착되어 절삭공구대(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작동부(100)와,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압실린더(110)와 호스(2)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200)와, 상기 캠부(50)의 회전축(51) 일단에 축설된 구동캠(53)에 접촉되어 작동하는 제1리미트스위치(300)와, 상기 밀대(62)의 후방에 설치되어 밀대(62)의 고정편(63)에 장착된 치기봉(63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00), 제1리미트스위치(300),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회로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타이머(510)가 구비된 콘트롤부(5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에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품 선별장치가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장치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동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리미트스위치가 구동캠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리미트스위치가 체인벨트에 장착된 치기봉에 접촉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 1a : 가공품
2 : 호스 3 : 망체용기
10 : 작업대 20 : 주축대
30 : 절삭공구대 31 : 절삭구
40 : 심압대 41 : 심봉
50 : 캠부 51 : 회전축
52 : 캠 53 : 구동캠
53a : 홈 60 : 안내부
61 : 안내레일 61a : 안내홈
62 : 밀대 63 : 고정편
63a : 치기봉 70 : 구동부
71 : 스프로켓 72 : 정, 역회전모터
73 : 체인벨트 73a : 연결편
80 : 대기부 81 : 협지대
100 : 작동부 110 : 공압실린더
110a : 피스톤로드 111 : 브라켓
120 : 이동판 121 : 걸림턱
200 : 솔레노이드밸브 300 : 제1리미트스위치
310,410 : 스위칭단자 400 : 제2리미트스위치
500 : 콘트롤부 510 : 타이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품 선별장치가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0) 상부에는 모터의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주축대(2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주축대(20)에는 안내부(60)에는 진입되는 소재(1)를 삽지한 상태에서 일정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주축대(20) 전방에는 절삭공구대(3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절삭공구대(30)에는 복수개의 절삭구(31)가 장착되어 캠부(50)의 작동을 전달 받아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주축대(20)에서 회전되는 소재(1)를 절삭 및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삭공구대(30)와 일정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심압대(4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심압대(40)의 중심에는 심봉(41)이 축설되어, 캠부(50)의 작동에 의하여 심압대(40)가 주축대(20)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면, 주축대(20)에 삽지된 소재(1)의 중심을 지지하여 절삭공구대(30)의 원할한 절삭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심압대(40) 주축대(20) 절삭공구대(30)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51)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51)에는 크기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개의 캠(52)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캠부(50)는 절삭공구대(30)와 심압대(4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주축대(20) 후방에는 원형의 안내홈(61a)을 갖는 안내레일(61)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홈(61a)에는 환봉으로 이루어진 소재(1)가 삽지되어 있으며 소재(1)의 후방에는 밀대(62)가 삽지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61)과 밀대(62)는 소재(1)를 주축대(20)로 안내하여 이송시키는 안내부(6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대(62)의 상부에는 ㄴ자 형태의 고정편(63)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편(63)은 체인벨트(73) 사이에 삽착된 연결편(73a)에 고정되어 체인벨트(73)의 구동이 밀대(6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인벨트(73)는 그 양측에 축설된 스프로켓(7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들 사이에 장착된 정, 역회전모터(72)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되어 밀대(62)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 구성은 전체적인 구동부(70)를 이룬다.
상기 안내레일(61)의 상부에는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는 협지대(81)가 구비되어 있고, 이 협지대(81)들 사이에는 복수개의 소재(1)들이 적재되어 안내레일(61)의 안내홈(61a)에 삽지된 소재(1)의 가공이 완료되면 새로운 소재(1)를 투입시켜 주는 대기부(80)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 가공기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대기부(80)에서 적층되어 있던 소재(1)가 안내레일(61)의 안내홈(61a)에 진입되면 체인벨트(73)에 치합된 정, 역회전모터(72)가 정회전을 하게되고, 동시에 체인벨트(73)와 연결편(73a) 및 고정편(63)으로 연결된 밀대(62)가 이동되는 체인벨트(73)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밀대(62)의 전방에 밀착된 소재(1)가 안내레일(61)의 안내홈(61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안내부(60)의 전방에 설치된 주축대(20)에 삽지된다.
이와 같이 소재(1)가 삽지된 주축대(20)는 모터(도시하지 않았음)의 구동을 전달 받아 회전되고, 회전되는 소재(1)는 심압대(40)에 축설된 심봉(41)에 접면되어 그 선단이 가공된다. 동시에 주축대(20) 전방에 장착된 절삭공구대(30)의 절삭구(31)들이 유기적으로 이동되어 소재(1)에 접촉되면서 절삭, 다듬질, 절단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소재(1)를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삭구(31)들은 주로 절삭용 바이트와 다듬질용 바이트 및 절단용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나열된 바이트들중 절삭용 바이트가 소재(1)에 접촉되면서 소재(1)의 외측면을 절삭하여 특정 형태를 갖는 샤프트를 형성하게 되면, 이어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다듬질용 바이트가 그 외주면을 매끄럽게 다듬질하게 되고, 이후 절단용 바이트가 작동되어 소재(1)를 절단하여 하나의 완성품을 얻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심압대(40) 주축대(20) 절삭공구대(30)의 일측에는 캠부(50)가 구비되어 모든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캠부(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51)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51)에는 크기를 서로 달리하는 복수개의 캠(52)들이 장착되어 절삭공구대(30)의 절삭구(31)와 심압대(4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켜 절삭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기술구성 및 작동과정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구성인 바, 본 발명에 의한 기술 사상이 아니므로 상세한 기술구성의 도시 및 그 상세한 설명은 피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상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장착되는 선별장치에 있으므로 그 상세한 기술구성 및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작업대(10) 상부에는 공압실린더(110)가 별도의 브라켓(11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 공압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110a)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그 전면과 양측면에는 걸림턱(121)이 절곡형성된 이동판(120)이 장착되어 절삭공구대(30)의 전방에서 소정의 각으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전체적인 작동부(100)를 이룬다.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20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솔레노이드밸브(200)는 호스(2)에 의하여 공압실린더(110)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부(50)의 회전축(51) 일단에는 구동캠(53)이 축설되어 있고,이 구동캠(53)에는 제1리미트스위치(300)가 접속되어 제1리미트스위치(300)의 스위칭단자(310)가 구동캠(53)에 형성된 홈(53a)에 위치되면 접점이 온(ON)되어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부(500)에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대(62)의 고정편(63)에는 치기봉(63a)이 장착되어 있고, 이 치기봉(63a)은 체인밸트(73)를 구동시키는 정, 역회전모터(72)가 역회전 되었을 때 그 후방에 설치된 제2리미트스위치(400)의 스위칭단자(410)를 밀게 되어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부(500)의 타이머(510)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0)의 전면에는 그 내부에는 타이머(510)가 구비된 콘트롤부(500)가 장착되어 있고,이 콘트롤부(500)는 솔레노이드밸브(200), 제1리미트스위치(300),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회로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절삭공구대(30)의 절삭구(31)들이 유기적으로 이동되어 주축대(20)에 삽지된 소재(1)에 접촉되면서 절삭작업과 다듬질작업이 완료되면, 이어서 절단용 바이트에 의하여 절단작업이 시작된다. 이때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1)에 축설된 구동캠(53)의 외주면에 제1리미트스위치(300)의 스위칭단자(310)가 접면된 상태에서 구동캠(53)이 계속 회전되어 구동캠(53)에 형성된 홈(53a) 부위가 스위칭단자(310)에 접촉된다.
따라서, 스위칭단자(310)가 구동캠(53)의 홈(53a)에 안착되면서 구동캠(53)의 외주면에 놀려진 상태로 있던 스위칭단자(310)의 눌림 상태가 해지되어 접점이 온(ON)된다.
동시에, 제1리미트스위치(300)가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부(500)에 보내게 되고, 신호를 인가 받은 콘트롤부(500)에서는 전자회로에 의하여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200)에 신호를 인가하여 이와 호스로 연결된 공압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110a)가 전진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200)를 개방하여 콤프레셔(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압송되는 압축공기를 공압실린더(110)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가 공압실린더(110)에 이송되어 피스톤로드(110a)가 전진되면, 피스톤로드(110a)의 상부에 장착된 이동판(120)도 함께 전진되어 소재(1)가 가공되어 절단될려고 하는 가공품(1a)의 직하부에 위치된다.
이어서, 가공품(1a)이 절단되면 가공품(1a)이 절삭유와 함께 자유낙하되어 이동판(120)에 떨어지게 되고,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위치된 이동판(120)에 떨어진 가공품(1a)은 이동판(120)의 후방으로 미끄러 지면서 그 하부에 놓여진 망체용기(3)에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동판(120)의 전면과 양측면에는 걸림턱(121)이 절곡형성 되어, 이동판(120)에 낙하된 가공품(1a)이 그 전면과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턱(121)이 형성되지 않은 그 후방에서 안전하게 미끄러 지면서 망체용기(3)에 보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및 다듬질 작업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칩들이 절삭공구대(30)의 하부에 낙하된 이후에 가공품(1a)이 절단될려고 하는 순간에 공압실린더(110)에 장착된 이동판(120)이 가공품(1a)이 하부로 전진되어, 완성된 가공품(1a)만 망체용기(3)로 유도하여 떨어지게 하고 절삭유는 망체용기(3)에서 자연배출되는 것인 바, 칩과 가공품(1a)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가공품(1a)만 선별하여 수거토록 함으로써 세척작업을 상당히 간편하게 실시할수 있는 것이며 칩들이 가공품(1a)의 요홈에 끼워져 별도의 분리작업을 수행하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가공품(1a)이 안전하게 망체용기(3)에 보관되면, 상기한 스위칭단자(310)가 구동캠(53)의 홈(53a)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캠(53)이 계속 회전 되어 홈(53a) 부위가 지나치면 스위칭단자(310)가 다시 구동캠(53)의 외주면에 눌려진 상태로 된다. 동시에, 제1리미트스위치(300)가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부(500)에 보내게 되고, 신호를 인가 받은 콘트롤부(500)에서는 전자회로에 의하여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200)에 신호를 인가하여 이와 호스로 연결된 공압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110a)가 후진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200)를 개방하여 피스톤로드(110a)가 후진되면 이동판(120)도 함께 후진되어 처음의 상태를 유지하는 바, 또 다시 시작되는 절삭 및 다듬질 작업에서 발생되는 칩들은 절삭공구대(30)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캠(53)은 1개의 완성품을 가공하는 동안 1회전되는 것이며, 이동판(120)도 한번의 전, 후진 동작을 실시하여 1개의 완성품을 안내토록 되어 있다.
이상의 절삭작업을 연속으로 실시하게 되면 구동캠(53)이 한번 회전할 때 마다 이동판(120)도 계속 전, 후진 작동되면서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가공품(1a)을 유도하여 망체용기(3)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내레일(61)의 안내홈에 삽지되어 소재(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밀대(62)는 안내홈(61a)에 삽지된 소재(1)의 가공이 완료될 때 까지 계속 이동되는 것이며, 가공이 완료되면 제3의 리미트스위치(공지의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았음)가 이를 감지하여, 정, 역회전모터(72)에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역회전모터(72)는 역회전하게 되고 체인벨트(73)와 연결된 밀대(62)도 후방으로 이동되어 안내레일(61)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대기부(80)에 적제되어 있던 새로운 소재(1)가 안내홈(61a)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밀대(62)가 후진되어 안내레일(61)의 안내홈(61a)에 새로운 소재(1)가 진입되면 정, 역회전모터(72)는 다시 정회전을 시작하여 밀대(62)가 소재(1)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축대(20)에 삽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정, 역회전모터(72)가 역회전 되어 밀대(62)가 안내레일(61)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62)의 고정편(63)에 장착된 치기봉(63a)이 후진되면서 그 후방에 설치된 제2리미트스위치(400)의 스위칭단자(410)를 밀게 되어 콘트롤부(500)의 타이머(510)에 소정의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2리미트스위치(400)에서 소정의 신호를 전달받은 타이머(510)가 작동되어 미리 세팅된 소정의 시간(여기서는 1개의 가공품이 가공되는 시간) 동안 구동캠(5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솔레노이드밸브(20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구동캠(53)이 회전되어 제1리미트스위치(300)의 스위칭단자(310)가 구동캠(53)의 홈(53a)에 안착되어 제1리미트스위치(300)가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부(500)에 보내더라도, 타이머(510)가 작동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솔레노이드밸브(200)로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토록 하는 바 공압실린더(110)의 작동이 정지되어 이동판(120)이 가공품(1a)을 안내하지 않고 최초 한번의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200)와 공압실린더(110)의 작동이 멈추는 시기는 밀대(62)가 후진되어 새로운 소재(1)가 진입될 때 이루어지므로 새로운 소재(1)에서 최초로 가공되는 가공품(1a)은 공압실린더(110)에 장착된 이동판(120)에 의하여 유되어 망체용기(3)에 보관되지 않고, 절삭시 발생되는 칩들과 함께 절삭공구대의 하부로 낙하 되는 것인 바, 불량발생율이 10%를 상회하는 최초의 가공품(1a)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품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0.1㎜정도의 오차를 갖는 불량품을 눈으로는 식별하기가 불가능하여 정밀한 측정자를 사용하여 불량품을 일일이 골라내야 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축대(20), 심압대(40), 절삭공구대(30), 캠부(50), 안내부(60), 구동부(70), 대기부(80)에 의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공압실린더(110)에 이동판(120)이 장착된 작동부(100)와, 솔레노이드밸브(200)와, 구동캠(53)에 작동되는 제1리미트스위치(300)와, 밀대(62)에 장착된 치기봉(63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그 내부에 타이머(510)가 구비된 콘트롤부(500)로 이루어 지는 선별장치를 장착토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율의 빈도가 높은 최초 가공시 불량품과 절삭시 발생되는 칩들을 효과적으로 골라내고 치수가 정확한 정품 만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선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칩들의 세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그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작업대(10) 상부에 장착되어 진입된 소재(1)를 삽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축대(20)와, 이 주축대(20) 전방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절삭구(31)가 작동되면서 회전되는 소재(1)를 절삭 및 절단하는 절삭공구대(30)와, 상기 절삭공구대(30)와 일정거리 이격하여 설치되어 수평으로 작동되며 소재(1)의 중심을 지지하는 심압대(40)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51)에 복수개의 캠(52)들이 장착되어 상기 절삭공구대(30)와 심압대(4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캠부(50)와, 상기 주축대(20) 후방에 장착되며 원형의 안내홈(61a)을 갖는 안내레일(61)에는 소재(1)가 삽지되고, 소재(1)의 후방에는 밀대(62)가 구비된 안내부(60)와, 상기 밀대(62)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편(63)이 체인벨트(73) 사이에 삽착된 연결편(73a)에 고정되며,이 체인벨트(73)는 그 양측에 축설된 스프로켓(71)과 이들 사이에 장착된 정, 역회전모터(72)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70)와, 상기 안내레일(61)의 상부에 설치되며 협지대(81) 사이에 복수개의 소재(1)들이 적재된 대기부(80)에 의하여 구성되는 샤프트 자동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 상부에 고정되며 공압실린더(110)의 피스톤로드(110a)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이동판(120)이 장착되어 절삭공구대(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작동부(100)와,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압실린더(110)와 호스(2)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200)와, 상기 캠부(50)의 회전축(51) 일단에 축설된 구동캠(53)에 접촉되어 작동되는 제1리미트스위치(300)와, 상기 밀대(62)의 후방에 설치되어 밀대(62)의 고정편(63)에 장착된 치기봉(63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00), 제1리미트스위치(300), 제2리미트스위치(400)와 회로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타이머(510)가 구비된 콘트롤부(5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KR1019960008722A 1996-03-28 1996-03-28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KR10020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722A KR100209127B1 (ko) 1996-03-28 1996-03-28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722A KR100209127B1 (ko) 1996-03-28 1996-03-28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505A KR970066505A (ko) 1997-10-13
KR100209127B1 true KR100209127B1 (ko) 1999-07-15

Family

ID=1945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722A KR100209127B1 (ko) 1996-03-28 1996-03-28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1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50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815A (en) Hollow-spindle method of machining a short-length workpiece
CN111975286A (zh) 一种用于多批量金属棒手柄的高效滚花加工设备
JP7268197B2 (ja) 多主軸の全自動立形マシニングセンタ
CN212265106U (zh) 一种上下料设备
CN111890103A (zh) 一种具有导料道的数控机床
CN111055117B (zh) 钻夹头半自动组装机
US5465471A (en) Apparatus for machining bars
CA1053887A (en) Machine tool automation
KR100209127B1 (ko) 샤프트 자동 가공기의 가공품 선별장치
CN116890126A (zh) 一种梯级链条套筒内孔加工装置及加工方法
US4805498A (en) Apparatus for cutting adhesive tape roll stocks
JPS60196272A (ja) モ−タのステ−タコア自動溶接機
CN220806234U (zh) 用于首饰行业的双五轴cnc车铣复合加工设备
JPH074683B2 (ja) 工作機械の表裏加工システム
US4207657A (en) Separating device for bar and pipe-shaped workpieces
JPH0542402A (ja) バー材加工旋盤
JPH09295290A (ja) ロボットによるワークの自動加工装置
CN220372928U (zh) 一种压铸件生产过程中使用的打磨系统
CN217860208U (zh) 自动加工壳体卡槽设备
CN116652600B (zh) 一种管类零件生产线及其工艺
JPH0796432A (ja) シャルピー試験片加工用マシニングセンタ及び加工装置
JPH09141535A (ja) 旋盤のローディング・アンロ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7495786B2 (ja) 治具を追跡するロボットテーブルを用いた連続加工
US3044090A (en) Work load and unload device
KR940008420Y1 (ko) 삼중바닥의 알루미늄베이스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