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624B1 - 드럼이송기 - Google Patents

드럼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624B1
KR100208624B1 KR1019940012983A KR19940012983A KR100208624B1 KR 100208624 B1 KR100208624 B1 KR 100208624B1 KR 1019940012983 A KR1019940012983 A KR 1019940012983A KR 19940012983 A KR19940012983 A KR 19940012983A KR 100208624 B1 KR100208624 B1 KR 10020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ase
pitch
rail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243A (ko
Inventor
이마하시 나오끼
꾸사노 나오요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95000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목적]
전자사신복사기에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을 제조시, 반송장치등의 설치 공간을 줄이고, 각 공정에 있어서 최적 피치를 가능하게 하고, 품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럼이송기를 제공한다.
[구성]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일베이스 14상에 레일 13이 고정되고, 레일 13에 따라 베이스 9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9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드럼보지 장치 지지부 5가 취부되며, 그 지지부 5에 의해 드럼 보지장치 4가 지지되어 있다.
각 드럼 보지장치 4는 드럼 1을 보지하는 것으로써 그 보지장치 4 사이의 피치는 피치 가변수단 6,16,7,8에 의해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럼이송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드럼 이송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드럼이송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4 : 드럼보지(保持)장치
5 : 드럼보지 장치 지지부 6 : 모터
7 : 피니언 기어 8 : 래크(rack)
9 : 베이스(base) 10 : 볼 나사(ball thread)
11 : 도공조(塗工槽) 12 : 실린더
13 : 레일 14 : 레일베이스
본 발명은 전자사진 복사기에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의 제조시 사용되는 드럼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복사기에 사용되는 감광체 드럼을 제조시 복수의 드럼은 반송 장치상의 반송 팔렛트에 의해 세정이나 감광체 도포등의 각 공정부로 반송된다.
각 공정부에 반송된 드럼은 이송기에 구비되어 있는 보지(保持)장치에 의해 보지된 후, 예를들어 도공(塗工) 공정부에 있으면 도공조상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연직하방으로 이동하여 도공조내의 도포액중에 침적한 후 다시 반송장치상이 반송팔렛트로 이송된다.
이같이 드럼을 이송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성 3-48851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각 공정에 있어서의 드럼간의 간격을 고려할 때 각 공정에 적당한 드럼 피치(drum pitch)라는 것이 있다.
예를들어 도공공정에 있으면, 도공조는 각 드럼마다에 독립하여 있어 그 내경과 드럼과의 사이에는 10㎜ 이상의 공차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도공공정의 피치는 본래 드럼을 반송하는데 필요로 하는 피치보다 크게 된다.
이는 다른 공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이송기에 있어서는 보지장치의 피치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반송 팔렛트에 있어서의 드럼사이의 피치는 각 공정작업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전공정내의 최대피치에 맞추엇다.
따라서, 반송용 팔렛트상의 드럼간의 피치는 본래 드럼을 반송하는데 필요로 하는 피치보다도 크게 되었으며, 또한 각 공정 각각에 대하여도 가장 적당한 피치로 설정된 것이 아니었다.
그 결과 발송 팔렛트 본체의 크기가 크게 되고 반송 팔렛트를 반송하는 반송장치등이 차지하는 공간이 아주 크게 되어, 장치의 유리관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었다.
또한 각 공정에 있어서의 장치에 관해서도 드럼간의 피치가 최적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 공간등에 무리가 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이며, 그 목적은 반송장치등의 설치공간을 적게하면서도 각 공정에 있어서 최적 피치를 가능하게 하고 품질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럼 이송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드럼반송장치에서 반송되는 복수의 드럼을 보지하는 각각의 드럼보지수단으로 이루어진 드럼 이송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에 가이드부재와 래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지지수단을 지지하며, 상기 래크는 상기 드럼보지수단의 피치를 가변시키는 모터와 연동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드럼제조용 드럼이송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드럼 이송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제2도는 그 드럼이송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부호1은 실시예의 드럼이송기의 이송대상으로 되는 3개의 드렴이며, 반송팔렛트 2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공지의 반송수단 3에 의해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드럼 보지장치 4는 3개의 각각의 드럼 1에 대응하여 3개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 드럼보지 장치 4는 대응하는 각 드럼 보지장치 지지부 5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드럼 보지장치 4의 드럼보지기구는 공지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의 면을 갖는 레일베이스 14는 볼나사 10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베이스 14상에는 레일 13이 고정되어 있다.
레일 13상에는 베이스 9가 활주자유롭게 설해져 있으며, 베이스 9는 실린더 12의 전진, 후퇴동작에 의해 레일 13에 따라 수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9상에는 래크(rack) 8과 가이드 부재 1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서 명확한 바와같이, 각 드럼 보지장치 지지부 5에는 모터 6이 취부되며, 그 모터 6의 구동축은 16인 피니언 기어 7에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 7과 베이스 9상의 래크 8가 치합(齒合)하고, 모터6의 회전에 의해 각 드럼 보지장치 지지부 5의 수평방향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래크 단부와 드럼 보지 장치 지지부와의 사이 및 드럼 보지장치 지지부 사이에는 신축가능한 부재 15에 의해 덮여 있다.
미설명부호 11은 도공조, 17은 베어링이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 1은 반송용 팔렛트 2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송수단 3에 의해 반송된다. 드럼 1이 도공공정부가지 반송되면, 본 실시예의 이송기의 베이스 9는 실린더 12에 의해 레일 13을 따라 초기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드럼 보지장치 4가 대웅하는 각 드럼 1상에 도달한 때에 베이스 9의 이동은 정지한다.
또한 드럼보지장치 4 사이의 피치는 미리 반송용 팔렛트 2상에 설치된 드럼 1 사이의 피치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둔다.
다음에 레일 베이스 14가 연직으로 하강함으로써 드럼 보지장치 4가 드럼 1을 보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드럼 보지 장치 4가 드럼 1을 보지한 후 , 레일 베이스 14가 소정위치까지 상승하고, 동시에 베이스 9, 드럼 보지장치 4도 소정위치까지 상승한다.
다음에 베이스 9는 실린더 12에 의해 레일 13에 따라 도공조 11상부 부근으로 이동한다.
베이스 9의 이동이 완료한후, 드럼 1간의 피치, 즉 보지장치 4사이의 피치를 도공상태의 피치로 변경하기 위해 모터 6의 구동에 의해 각 드럼 보지장치4를 대응하는 각 도공조 11상으로 이동시킨다.
그후 레일 베이스 14의 하강에 의해 베이스 9, 드럼 보지장치 4도 하강하여 각 드럼 1을 각 도공조 11내의 도공액중에 침지시켜 드럼 1상에 감광체 막을 형성시킨다.
드럼 1상에 감광체막이 형성된 후 베이스 9, 드럼보지장치 4는 연직방향으로의 이동,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행하고, 드럼보지장치 4 사이의 피치를 반송상태의 피치로 되돌린 후, 도공이 종료한 드럼 1을 반송용 팔렛트 2로 이송한다.
상기에서는 이송의 대상이 되는 드럼 1, 드럼보지장치 4, 드럼보지장치 지지부 5, 도공조 11을 각각 3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도공공정부에 있어서의 이송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시킬 필요는 없으며, 기타 공정부에 있어서의 이송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한 상기에는 피치의 변경을 1방향(X축 방향)만으로 행하였으나 2방향(X-Y방향)으로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보지수단 사이의 피치를 가변시키는 수단을 설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송기에 비하여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피도포체 사이의 피치를 충분히 적게 할 수 있으며, 반송장치등이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각 공정의 최적피치를 이용함으로써 품질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9)와, 상기 베이스(9)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수단(5)과, 상기 지지수단(5)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드럼반송장치에서 반송되는 복수의 드럼(2)을 보지하는 각각의 드럼보지수단(44)으로 이루어진 드럼 이송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9)상에 가이드부재(18)와 래크(8)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8)는 상기 지지수단(5)을 지지하며, 상기 래크(8)는 상기 드럼보지수단(4)사이의 피치를 가변시키는 모터(6)와 연동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드럼제조용 드럼이송기.
KR1019940012983A 1993-06-15 1994-06-09 드럼이송기 KR100208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8524 1993-06-15
JP5168524A JPH072353A (ja) 1993-06-15 1993-06-15 ドラム移載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43A KR950000243A (ko) 1995-01-03
KR100208624B1 true KR100208624B1 (ko) 1999-07-15

Family

ID=1586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983A KR100208624B1 (ko) 1993-06-15 1994-06-09 드럼이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353A (ko)
KR (1) KR1002086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353A (ja) 1995-01-06
KR950000243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647B2 (en) Transfer for tray feeder
KR100280947B1 (ko) 판 형상체 반송장치
GB2126174A (en) Automatic system for assembly and welding of sheet metal structures e.g. motor vehicle bodies
US20100068014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conveying apparatus for use in the same
US20020031421A1 (en) Substrate arranging apparatus and method
US7237449B2 (en) Drive mechanism and movable table unit provided with the same
KR940022784A (ko) 옮겨싣기 장치
US20020144881A1 (en) Magnetic carrying device
KR960006516B1 (ko) 피처리물 반송장치
KR100208624B1 (ko) 드럼이송기
JP2015158016A (ja) 表面処理装置
KR940018072A (ko) 정제의 젤라틴 피복 장치용 건조 시스템
EP3473375B1 (en) Pallet changing apparatus
JPH07106402A (ja) 板状体搬送装置
JP2534431Y2 (ja) 基板搬送装置
KR101379269B1 (ko) 표면처리장치
CN212981591U (zh) 一种滚筒式移载输送机
CN107416513A (zh) 一种圆柱形产品的端部抱紧式移载装置
KR100505729B1 (ko) 용융아연 도금욕 십자형 교환을 위한 케이블 이중이송장치
KR100371985B1 (ko) 기판 카세트 장치
KR20100028264A (ko) 도금랙의 자동 투입 및 인출장치
KR101372272B1 (ko) Pcb 기판의 제조 공정 중 인쇄 회로 기판에 동을 전기 도금하는 동 도금라인의 도금 조에 설치된 기판 가이드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KR101121199B1 (ko) 기판 이송 장치
JPH0696797B2 (ja) メッキ処理装置の被処理物移送装置
JPH07107913B2 (ja) 真空装置内の基板搬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