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611B1 -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611B1
KR100207611B1 KR1019920026423A KR920026423A KR100207611B1 KR 100207611 B1 KR100207611 B1 KR 100207611B1 KR 1019920026423 A KR1019920026423 A KR 1019920026423A KR 920026423 A KR920026423 A KR 920026423A KR 100207611 B1 KR100207611 B1 KR 10020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me automation
home
automation system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39A (ko
Inventor
황유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611B1/ko
Publication of KR94001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일반적인 콘센트에 제어부를 구비시켜 통신을 가능케하여 콘센트 연결기기에 따라 기기와 가정내 위치 및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와 위치 파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콘센트에 전원차단 기능을 부여하고 플러그 연결시 방번호가 실린 방코드를 전송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었을 경우 방번호에 의해 가정기기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게 하여 가정내의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웍을 구성함으로써 각종 전력관련 기기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의 구성도.
제2도는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에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 (a)는 콘센트 전송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b)는 넌 리턴 투 제로(NRZ)펄스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인식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전반 10 : 콘센트 제어부
20 : 신호송수신부 PO1 : 전력선
SW0 : 전원제어 스위치 SW1,SW2 :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
MC :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 CON :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이 발명은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제어부를 두어 통신을 가능케 하여 콘센트 연결기기에 따라 기기의 가정내 위치 및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가정내의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서는 그 위치를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가정자동화 시스템은 기기의 구분을 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련의 번호를 주어 주소값을 사용자가 정하게 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각 기기의 주소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할 기기가 많은 경우 기억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어를 할 때에도 그 기기의 위치를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주소값으로 그 기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없다. 그리고 새로운 기기의 추가 설치시에도 기기의 주소값을 정하려면 기존의 일련번호를 따라야 하므로 기기에 사용되지 않은 번호를 찾으려면 마지막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가전기기의 전원코드를 연결시 콘센트가 방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는 물론 지능화된 가전기기는 집안에서의 자기의 방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에 전원코드 연결시 방코드를 전송하여 가전기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가전기기의 원격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선에 연결되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로부터의 전원제어 데이터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 스위치와, 플러그의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와, 상기 전원제어 스위치 및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콘센트에 기억된 방코드를 전송하는 콘센트 제어부와, 상기 콘센트 제어부 및 전력선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로부터의 방코드를 변조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가정 자동화 메인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신호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가정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플러그 연결시 방코드를 송신하며 건축시공시 붙박이 형으로 각 방에 설치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에서 플러그의 연결에 따라 방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와 전력선을 통하여 연결된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에서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 콘센트에서 전송되는 방코드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전력선(PO1)에 연결되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부터의 전원제어 데이터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 스위치(SW0)와 플러그의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에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콘센트에 기억된 방코드를 전송하는 콘센트 제어부(1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10) 및 전력선(PO1)에 상기 콘센트 제어부(10)로부터의 방코드를 변조하여 전력선(PO1)을 통하여 상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 전송하는 신호송수신부(20)를 연결시킨다.
제2도는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에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분전반(1)에 연결되어 각 가전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PO1)에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플러그 연결시 방코드를 송신하는 다수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가 연결되며, 이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는 건축시공시 붙박이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에는 이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로 부터 송신되는 방코드를 수신하여 각 가전기기의 방 위치를 알려주는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를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서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는 콘센트에 플러그 연결시 온되어 가전기기의 전원연결을 감지한다.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가 온됨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10)는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의 접점을 감지하여 콘센트에 기억된 방코드를 신호송수신부(2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송수신부(20)는 상기 방코드를 변조하여 전력선(PO1)을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신호송수신부(20)는 방코드를 제3도 (b)와 같은 넌 리턴 투 제로(Non Return To Zero:이하, NRZ라 칭함)형식의 펄스신호로 펄스 폭 앤코딩(Pulse Width Encoding)방식으로 변조하여 전력선(PO1)에 신호를 싣는다. 그리고 콘센트 전송프레임은 제3도(a)와 같이 4 바이트(Byte)로 되며, 각 필드의 구분을 위해서 인자 구분신호인 앤드 오브 파일(End of File : 이하, EOF라 칭함.)을 삽입한다. 또한, 콘센트 전송 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에는 앤드 오브 패킷(End of Packet:이하 EOP라 칭함.)을 삽입한다.
상기 콘센트 전송프레임의 처음 1 바이트에 실리는 프리앰블 (Preamble)은 전력선(PO1)에 동시에 2개의 콘센트로부터 데이터 송신이 있을 경우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2번째 바이트에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이하, FRT라 칭함)제어코드가 실리며, 3번째 바이트에는 방번호가 실리고, 4번째 바이트에는 에러 체크 바이트인 프레임 체크 사퀸스(Frame Check Sequence:이하, FCS라 칭함)가 실리게 된다.
상기 FCS는 수신측에서의 에러 체크를 위해서 전송하는 것으로 방번호와 FRT제어코드를 가산하고 그 2의 보수를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에서는 방번호와 FRT제어코드, FCS를 가산하여 제로가 되면 전송중에 에러가 없었음을 알게 된다.
상기에서 제3도 (b)의 1은 1UST, 0은 2UST,EOF는 3UST,EOP는 4UST이며, 상기 UST는 Unit Symbol Time의 약어이다.
한편,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는 붙박이 형으로 건축 시공시 설치하여 각 방의 번호를 셋팅할 수 있고, 기존주택에 대하여도 붙박이 콘센트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 번호는 콘센트 제어부(10)에서 방법호 요구 프레임을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에 전송하여 방번호를 받아 기억한다.
따라서 설치시 딥스위치에 의하지 않고 콘센트 제어부(10)에서 방번호 요구 프레임을 전송 후 , 수신한 방번호를 메모리하여 방번호를 다이나믹하게 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단전현상이 있은 후 단전이 복구되면 방번호 요구 프레임을 전송 후, 방번호를 다시 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UST의 길이, 재전송의 표시, 방번호 요구에 대한 프레임의 구성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10)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각 방의 콘센트는 1개를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2개이상 설치시에는 그 방에 있는 콘센트들의 방번호는 같아야 한다.
한편, 이 발명에 의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에는 콘센트 자체에 전원차단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 부터 전원제어 데이터를 받으면 전원제어 스위치(SW0) 로 콘센트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콘센트 제어부(10)는 전원제어 데이터를 수신후 전원제어를 행하고 수행결과를 제4도와 같은 인식 프레임(Acknowledge Frame:이하, ACK라 칭함)으로 송신측에 응답한다. 상기 ACK프레임은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항상 송신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에서 방코드인 콘센트 전송 프레임을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는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에 ACK프레임을 전송하여 방코드를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를 알려준다.
상기 ACK프레임은 제4도에서와 같이 최초 1 바이트에는 프리앰블이 실리고, 2번째 바이트에는 ACK데이타가 실리고, 3번째 바이트에는 FCS가 실리며, 상기 ACK데이타는 수신성공의 경우는 0가 되고, 수신실패의 경우는 E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은 콘센트에 전원차단 기능을 부여하고 플러그 연결시 방번호가 실린 방코드를 전송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가전기기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었을 경우 방번호에 의한 기기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는 기존 콘센트에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플러그 연결시 방에 대한 코드만을 전송하므로 기존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이 발명은 콘센트에 방번호 전송기능을 부가하여 플러그 연결시 방번호를 전송하여 이 방번호에 의해 가전기기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원격제어시 보다 편리하도록 하고, 가정내의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웍을 구성함으로써 각종 전력관련 기기의 제어가 보다 편리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선(PO1)에 연결되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부터의 전원제어 데이터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 스위치(SW0)와, 플러그의 연결상태를 감지하는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와, 상기 전원제어 스위치(SW0) 및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 감지 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콘센트에 기억된 방코드를 전송하는 콘센트 제어부(10)와, 상기 콘센트 제어부(10) 및 전력선(PO1)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10)로부터의 방코드를 변조하여 전력선(PO1)을 통하여 상기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로 전송하는 신호송수신부(20)로 구성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2. 가정자동화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플러그 연결시 방코드를 송신하며 건축시공시 붙박이 형으로 각 방에 설치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에서 플러그의 연결에 따라 방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CON)와 전력선(PO1)을 통하여 연결된 가정자동화 메인 콘트롤러(MC)에서 상기 가정자동화 시스템 콘센트(CON)에서 전송되는 방코드를 수신하여 가전기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KR1019920026423A 1992-12-30 1992-12-30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KR10020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23A KR100207611B1 (ko) 1992-12-30 1992-12-30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23A KR100207611B1 (ko) 1992-12-30 1992-12-30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39A KR940017639A (ko) 1994-07-27
KR100207611B1 true KR100207611B1 (ko) 1999-07-15

Family

ID=1934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423A KR100207611B1 (ko) 1992-12-30 1992-12-30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31A (ko) * 2000-06-17 2001-12-28 남궁석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KR20040023309A (ko) * 2002-09-11 2004-03-18 김재홍 비동기식 고유 주파수방식을 이용한 전력선통신 방법 및 그장치
KR101048904B1 (ko) * 2009-12-16 2011-07-12 (주) 동영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561A (ko) * 1997-12-13 1999-07-05 구자홍 페이저기술을 이용한 자동 전원 제어장치
KR20030062696A (ko) *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소비 전력량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31A (ko) * 2000-06-17 2001-12-28 남궁석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KR20040023309A (ko) * 2002-09-11 2004-03-18 김재홍 비동기식 고유 주파수방식을 이용한 전력선통신 방법 및 그장치
KR101048904B1 (ko) * 2009-12-16 2011-07-12 (주) 동영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39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94B1 (ko) 전력선 및 무선 주파수를 통해 통신하는 지능형 장치의메쉬 네트워크
US6750781B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utiliz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s
EP0156557A2 (en) Transceiver for multi-drop local area networks
US7174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device requiring power
US5089809A (en) Remote indication of appliance status
EA024037B1 (ru) Способ подсоединения переключателей питания переменным током, датчиков 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 управл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двусторонней ик-связ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и световодных кабелей и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их содержащая
GB2178930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transformer bridge
EP1036995B1 (en) Indoor-outdoor communication device for use in an air conditioner
CA2225362C (en) Repeater apparatus having isolation circuit
KR100207611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용 콘센트 및 그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위치 파악방법
KR100341706B1 (ko) 단일채널통신버스시스템
JPH08223092A (ja) ロードサーベイシステム
JP2004134920A (ja) 電力線接続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接続装置
JP2002044752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0350271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US20040066272A1 (en) House code assigning device for assigning house code to electronic equipment
US8417358B2 (en) System for binding controller to controlled substations
KR102068229B1 (ko) 전자제품 메인기판 자동 호환 방법
JPH01295597A (ja) 電子機器制御装置
JPH02222237A (ja) 信号伝送方式
US20190204795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Power Outlet Control Devices
KR100662281B1 (ko) 다중 제어시스템의 신호 전송 방법
KR100651967B1 (ko) 홈 자동화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Telkamp A low cost powerline node for domestic application
JPH06233353A (ja) コードレスリモコン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