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570B1 -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 Google Patents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570B1
KR100207570B1 KR1019960013903A KR19960013903A KR100207570B1 KR 100207570 B1 KR100207570 B1 KR 100207570B1 KR 1019960013903 A KR1019960013903 A KR 1019960013903A KR 19960013903 A KR19960013903 A KR 19960013903A KR 100207570 B1 KR100207570 B1 KR 10020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element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524A (ko
Inventor
김강재
최수석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1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570B1/ko
Priority to JP8279108A priority patent/JPH09298050A/ja
Priority to US08/753,088 priority patent/US5795676A/en
Publication of KR97007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구조가 개선된 전지에 관한 것이다.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 이양극판과 음극판을 상호 절연시키는 격리판이 룰상으로 적층된 전지요소가 장착되는 케이스는 내부 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로의 높이에 따라 그 내부 단면적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내측벽이 경사지게 되어 있고, 외경이 일정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전지요소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전지요소를 게이스에 삽입하는 조립불량을 저감시키고, 전지의 관리 및 전자제품에의 사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케이스 구조가 개선된 전지
제1도는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분해 사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양극판 2, 22 : 격리판
3, 13 : 음극판 4, 14 : 캡
5, 15 : 케이스
본 발명은 케이스의 구조가 개선된 전지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제품 등에 원통이나 사각통 등과 같은 통형의 케이스를 갖는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도에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는 원통형 케이스(5)와 케이스(5)의 내부에 장착된 전지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지요소(1, 2, 3)는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3)과, 음극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1) 및 이 양극판(3)과 음극판(1)을 상호 절연시키는 격리판(2)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양극판(3)과 격리판(2) 및 음극판 (1)은, 차례로 적층된 후, 룰상으로 감겨 케이스(11)내에 장착된다. 전지요소가 장착된 상태에서, 캡(4)에 의해 케이스(11)의 개구가 밀봉된다.
이오 같이, 구성된 전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지요소의 충전용량을 고려하여, 통상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대한 전지요소의 체적율이 95%정도 되도록 권취하여 전지요소를 케이스(5)에 삽입한다. 종래에는 케이스(5)의 내부공간의 내경이 일정하여 전지요소를 케이스(5)에 삽입하기가 어렵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끼워 밀어놓을 경우 극판(1, 3)이 찢어지거나, 활물질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전지의 제작공정중 전지요소를 케이스(5)에 삽입하는 조립단계에서 발생되는 불량율이 전체공정의 불량율을 좌우하게 되고, 또한 삽입의 어려움 때문에 공정시간 또한 많이 걸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전지요소가 원할하게 케이스(5)에 삽입되도록 롤상으로 적층된 전지요소의 외곽둘레보다 케이스 공간부의 내경을 휠씬 크게하면 된다. 하지만 적층된 전지요소의 체적에 비례하여 전지의 충전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케이스(5)공간부의 체적만을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보다 소형으로 제작되면서도 성능을 개선시키는 제품의 기능향상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지요소의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롤상으로 감긴 전지요소와, 상기 전지요소의 충전을 위한 내부공간부 및 개구를 갖는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시키기 위한 캡을 구비한 전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높이에 따라 그 내부 단면적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내측벽이 경사지게 되어 있고, 외경이 일정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형전지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전지요소와, 이 전지요소가 충전되는 케이스(15) 및 전지요소를 케이스(5)에 밀폐시키는 캡(14)으로 되어 있다.
전지요소는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13)과, 음극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11), 이 양극판(13)과 음극판(11)을 상호 절연시키는 격리판(12)이 롤상으로 적층되어 있다.
케이스(15)는 전지요소가 충전되는 내부공간부가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그 바닥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내경이 차이가 있고, 이 내경은 바닥면에서부터 일정비율로 증가하여 개구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또한, 전지요소의 케이스(15)에 대한 체적율이 저감되지 않도록, 케이스(15)의 바닥면의 내경(c)은 권취된 전지요소의 외경(d)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케이스(15)의 중간위치부근의 내경(b)은 바닥면의 내경(c)보다 1내지 2% 크고, 개구위치부근의 내경(a)은 바닥면의 내경(c)보다 4 내지 5% 크게 되는게 바람직하다.
도시된 케이스는 원형의 외형구조에서 설명되었으나, 케이스가 사각형의 외형구조를 갖는 전지에서 있어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부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로의 높이에 따라 그 내부 단면적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내측벽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전지요소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15)에 전지요소를 삽입시에는, 종래에 일정내경으로 형성되어, 삽입초기시의 삽입의 곤란함과 활물질 등의 이탈을 피할 수 있다.
케이스(15)의 외형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형상이 가능하지만, 전지의 관리 및 전지가 채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를 고려하여 그 외형은 동일한 외경을 갖는게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설명 내용은 케이스의 구조가 개선된 전지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특징이 있는 케이스는 전지에만 국한하여 적용되기 보다는, 두 개의 극판과 그 사이에 전해액, 집전체등의 물질이 도포 또는 삽입되어 적층 권치된 요소를 포함하는 캐패시터에도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조가 개선된 케이스가 제공됨으로써, 케이스(15)내부의 체적에 대한 전지요소의 체적율을 감소하지 않으면서도 전지요소의 삽입이 용이하여 조립불량율이 저감된다.

Claims (1)

  1. 롤상으로 감긴 전지요소와, 상기 전지요소의 충전을 위한 내부공간부 및 개구를 갖는 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밀폐시키기 위한 캡을 구비한 전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내부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높이에 따라 그 내부 단면적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내측벽이 경사지게 되어 있고, 외경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KR1019960013903A 1996-04-30 1996-04-30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KR10020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903A KR100207570B1 (ko) 1996-04-30 1996-04-30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JP8279108A JPH09298050A (ja) 1996-04-30 1996-10-22 電 池
US08/753,088 US5795676A (en) 1996-04-30 1996-11-20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903A KR100207570B1 (ko) 1996-04-30 1996-04-30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524A KR970072524A (ko) 1997-11-07
KR100207570B1 true KR100207570B1 (ko) 1999-07-15

Family

ID=1945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903A KR100207570B1 (ko) 1996-04-30 1996-04-30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95676A (ko)
JP (1) JPH09298050A (ko)
KR (1) KR100207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1021B2 (en) 2009-12-14 2014-09-2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3285B (en) * 1996-07-31 1999-07-01 Hival Ltd Cylindrical battery
KR100467698B1 (ko) * 2002-09-05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이차전지와 이의 제조방법
KR102156557B1 (ko) * 2016-02-05 202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77A (en) * 1886-11-16 Galvanic battery
US2458878A (en) * 1945-06-26 1949-01-11 Ruben Samuel Alkaline primary cell
US4288843A (en) * 1979-08-30 1981-09-08 Sprague Electric Company Capacitor construction with self-locking closure
US4340653A (en) * 1981-03-30 1982-07-20 Union Carbide Corporation Galvanic dry cell employing a tapered cathode bobbin
US4732826A (en) * 1986-12-19 1988-03-22 Hardigg Industries. Inc. Thick-thin battery j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1021B2 (en) 2009-12-14 2014-09-2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524A (ko) 1997-11-07
JPH09298050A (ja) 1997-11-18
US5795676A (en) 199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119B1 (ko) 이차전지의 전극군
TW529192B (en) Square battery
KR20010051958A (ko) 밀폐형 전지
US4302517A (en) Unitary seal and cover support gasket for miniature button cells
US6081992A (en) Electrochemical cell formed with big mouth open end can
KR100846579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극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전지
KR100207570B1 (ko)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GB2080999A (en) Dry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0537607B1 (ko) 폴딩형 전극군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H09283111A (ja) 電 池
US3514342A (en) Method of making a battery
KR101320581B1 (ko) 이차 전지
KR19980051248U (ko) 전지용 격리판
JPH06223868A (ja) 密閉式アルカリ蓄電池
JP2773208B2 (ja) 薄形蓄電池の製造方法
JPH0446376Y2 (ko)
KR19980060786A (ko) 전지
KR20030053600A (ko) 보강용 비이드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라운드형 2 차 전지
JPS6337725Y2 (ko)
JP2000235848A (ja) 密閉型電池
JPH0637572Y2 (ja) リチウム電池
JPH11339840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31006Y2 (ko)
JPH043403Y2 (ko)
JPH01260758A (ja) リチウム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