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786A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0786A KR19980060786A KR1019960080153A KR19960080153A KR19980060786A KR 19980060786 A KR19980060786 A KR 19980060786A KR 1019960080153 A KR1019960080153 A KR 1019960080153A KR 19960080153 A KR19960080153 A KR 19960080153A KR 19980060786 A KR19980060786 A KR 199800607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attery
- electrode plate
- plate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전요소가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지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부 및 개구를 갖는 통형 케이스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극판이 상호 나란하게 적층되어 롤상으로 감겨져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충전요소와, 충전요소가 장착된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을 구비하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높이에 따라 폭이 다르게 형성됨으로서 충전요소를 케이스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총전요소가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지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제품에 원통형이나 사각통형의 케이스를 갖는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지는 원통형 케이스(2)와 케이스(2)의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요소(1) 및 캡(3)을 구비한다. 충전요소(1)는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1c)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1a) 및 양극판(1c)과 음극판(1a)을 상호 절연시키는 격리판(1b)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양극판(1c)과 격리판(1b) 및 음극판 (1a)은, 높이에 따른 폭이 일정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차례로 적층된 후, 롤상으로 감겨 내경이 일정한 케이스(2) 내에 장착된다. 충전요소(1)가 장착된 상태에서, 캡(3)에 의해 케이스(2)의 개구가 밀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충전요소(1)의 충전용량을 고려하여, 통상 케이스(2)의 내부공간에 대한 충전요소(1)의 체적율은 95%정도이다. 그러나, 종래의 롤상으로권취된 충전요소의 외경이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내경이 일정한 케이스(2)에 삽입하기가 어렵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충전요소(1)를 과도하게 끼워 밀어넣을 경우 극판(1a,1c)이 찢어지거나, 활물질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전지의 제작공정중 충전요소(1)를 케이스(2)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발생되는 불량율이 전체 제작공정의 불량율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또한 삽입의 어려움 때문에 공정시간 역시 많이 걸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요소(1)가 원활하게 케이스(2)에 삽입되도록 롤상으로 적층된 충전요소(1)의 외곽 둘레보다 케이스의 내경을 훨씬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된 충전요소(1)의 체적에 비례하여 전지의 충전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케이스(2) 공간부의 체적만을 늘리는 것은 소형으로 제작되면서도 충전용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제품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로 충전요소의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충전요소의 구조가 개선된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제2도의 전지의 충전요소의 적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위 설명
1,11: 충전요소 1a,11a: 음극판
1b,11b: 격리판 1c,11c: 양극판
2, 12: 캡 3, 13: 케이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내부 공간부 및 개구를 갖는 통형 케이스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극판이 상호 나란하게 적층되어 롤상으로 감겨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충전요소와, 상기 충전요소가 장착된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을 구비하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높이에 따라 폭이 다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충전요소(11), 충전요소(11)가 충전되는 케이스(13) 및 충전요소(11)를 케이스(13)내에 밀폐시키는 캡(12)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케이스(13)는 종래와 같이 충전요소(11)가 충전되는 내부공간부의 직경이 케이스(13)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충전요소(11)는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11c), 음극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11a) 및 양극판(11c)과 음극판(11a)을 상호 절연시키는 격리판(11b)을 구비한다. 상호 나란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롤 상으로 감겨있는 각 판(11a,11b,11c)은 높이에 따라 그 폭이 다르기 때문에 롤상의 외경 또한 높이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도 3을 통해 각 판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각 판(11a,11b,11c)의 폭이 케이스(13)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밑변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판(11a,11b,11c)은 그 한측면이 상, 하변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이 밑변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일정기울기로 증가하여 상변에서 최대가 된다. 또한 동일 높이위치에서의 각 판의 폭에도 차이가 있는게 바람직하다.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롤 상으로 감길 때 최 외곽에 위치되는 양극판(11c)의 폭, 최 내곽에 위치되는 음극판(11a)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격리판(11b)중에서 최외곽에 위치되는 양극판(11c), 중간에 개재되는 격리판(11b) 및 최 내곽에 위치되는 음극판(11a)의 폭이 동일 높이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작도록 형상된다. 이와 같이 형상됨으로서, 적층후 롤상으로 감겼을 때, 그 최외곽 단부가 각 판(11a,11b,11c)의 상호 대향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남이 없이 나란하게 상호 대향됨으로써, 충전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충전요소(11)의 케이스(13)에 대한 체적율이 저감되지 않도록, 각 판(11a,11b,11c)이 롤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케이스(13) 내에 충전시 개구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요소(11)의 외경이 개구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각 판의 상변길이가 선택되고, 케이스(13)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충전요소(11)의 외경이 개구의 직경보다 삽입에 장애가 없을 정도의 범위내에서 작게 각 판(11a,11b,11c)의 하변길이가 선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상된 각 판(11a,11b,11c)이 상호 적층된 후, 롤 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그 외경이 개구의 직경보다 작은 하변쪽을 먼저 케이스(13)의 개구에 밀어넣게 되면, 걸림이 없이 쉽게 삽입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충전요소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체적에 대한 충전요소의 체적율이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케이스내로의 충전요소의 삽입이 용이하여 조립불량률이 저감된다.
Claims (4)
- 내부 공간부 및 개구를 갖는 통형 케이스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극판이 상호 나란하게 적층되어 롤상으로 감겨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 충전요소와, 상기 충전요소가 장착된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을 구비하는 전지에 있어서,상기 극판은 높이에 따라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극판은 그 한측면이 상변과 밑변에 수직하고, 타 측면은 밑변으로부터 높이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충전요소는양극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음극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 및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절연시키는 격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양극판, 음극판 및 격리판은 하변으로부터 동일 높이에서 그 폭이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80153A KR19980060786A (ko) | 1996-12-31 | 1996-12-31 | 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80153A KR19980060786A (ko) | 1996-12-31 | 1996-12-31 | 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0786A true KR19980060786A (ko) | 1998-10-07 |
Family
ID=6642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80153A KR19980060786A (ko) | 1996-12-31 | 1996-12-31 | 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60786A (ko) |
-
1996
- 1996-12-31 KR KR1019960080153A patent/KR199800607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3241E1 (en) |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20060008702A1 (en) | Secondary battery | |
US6485859B1 (en) | Resilient mandrel for battery electrode assembly | |
KR100313119B1 (ko) | 이차전지의 전극군 | |
JPH0888019A (ja) | 密閉型蓄電池 | |
KR20020067648A (ko) | 각형 전지 | |
KR20240023075A (ko) | 음극판,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46579B1 (ko) | 리튬 이온 전지의 극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온전지 | |
WO2002027820A3 (en) | Impregnate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 |
RU2260879C2 (ru) | Батарея, содержащая множество соединенны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 |
KR101712449B1 (ko) |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 |
KR19980060786A (ko) | 전지 | |
KR100207570B1 (ko) | 케이스구조가 개선된 전지 | |
JPS62165875A (ja) | 蓄電池 | |
JP2024512005A (ja) | 電池組立体の製造方法、電池組立体、およ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 |
KR100529098B1 (ko) | 이차 전지 | |
WO2021040044A1 (ja) | 全固体電池 | |
KR100858793B1 (ko) | 보강용 비이드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라운드형 2 차 전지 | |
JPH06188024A (ja) | 角型二次電池 | |
KR19980022276A (ko) | 전지의 극판 및 그 제조방법 | |
JPS639104Y2 (ko) | ||
JP7484071B2 (ja) | 電極の積層特性を改善した負極シート及び負極を含む電極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446376Y2 (ko) | ||
JPH03129678A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JP2000348688A (ja) | 蓄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