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544B1 -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544B1
KR100207544B1 KR1019970001301A KR19970001301A KR100207544B1 KR 100207544 B1 KR100207544 B1 KR 100207544B1 KR 1019970001301 A KR1019970001301 A KR 1019970001301A KR 19970001301 A KR19970001301 A KR 19970001301A KR 100207544 B1 KR100207544 B1 KR 10020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capacitor
charge
value
triangular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000A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5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4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 H03K4/5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voltage is produced across a capacitor
    • H03K4/501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voltage is produced across a capacitor the starting point of the flyback period being determined by the ampl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e.g. by a comparator
    • H03K4/50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voltage is produced across a capacitor the starting point of the flyback period being determined by the ampl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e.g. by a comparator the capacitor being charged from a constant-current sour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4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 H03K4/5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voltage is produced across a capacitor
    • H03K4/5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voltage is produced across a capacitor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negative feedback through a capacitor, e.g. Miller integ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삼각파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는 삼각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 장치는 제1충전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1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는 시점부터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1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삼각파 발생기, 상기 제1삼각파를 상기 제1기준치와 상기 제2기준치사이의 값으로 결정되는 위상 조정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1삼각파의 크기가 상기 위상 조정치보다 크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높은 전위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2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면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2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삼각파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기는 출력되는 삼각파의 위상 및 상승/하강 시간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본 발명은 삼각파 발생기(sawtooth signal genera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삼각파 신호의 위상 및 상승/하강 시간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각파 신호 발생기는 음극선관(CRT) 등의 편향 회로에서 소인 신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삼각파 발생기는 위상을 조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CRT 등의 왜곡을 보상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삼각파 발생기에 있어서 발생되는 삼각파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는 삼각파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삼각파 발생기의 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 장치는 제1충전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1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는 시점부터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1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삼각파 발생기, 상기 제1삼각파를 상기 제1기준치와 상기 제2기준치사이의 값으로 결정되는 위상 조정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1삼각파의 크기가 상기 위상 조정치보다 크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높은 전위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2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면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2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삼각파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삼각파 발생기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충전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1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는 시점부터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삼각파로서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제1충전 콘덴서이고, 12는 제1충전 콘덴서(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정전류원이고, 14는 제1충전 콘덴서(10)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정전류원이고, 16은 제1충전 콘덴서(10)의 충전 전압과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REF1)를 비교하는 제1비교기이고, 18은 제1충전 콘덴서(10)의 방전 전압과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REF2)를 비교하는 제2비교기이며, 그리고 20은 제1비교기(16) 및 제2비교기(18)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치(22)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RS플립플롭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출력되는 삼각파의 주파수
Figure kpo00001
는 다음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Figure kpo00003
은 삼각파의 상승 시간이고,
Figure kpo00004
은 삼각파의 상승 시간이며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Figure kpo00006
는 충전 콘덴서(10)의 정전 용량이고,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는 각각 제1정전류원(12)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 및 제2정전류원(14)에서 제공되는 방전 전류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의 전류비를 조정하여 출력되는 삼각파의 주파수
Figure kpo00011
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 전류비는 제1정전류원(12) 및 제2정전류원(14)을 제어하는 제어 전압
Figure kpo00012
에 의해 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이득(gain)이 변동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이득 조정 회로(AGC) 및 AGC용 콘덴서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기의 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종래의 삼각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제1삼각파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제2삼각파의 위상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참조부호 30은 제2충전 콘덴서이고, 32는 제2충전 콘덴서(3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3정전류원이고, 34는 제2충전 콘덴서(30)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4정전류원이고, 36은 제2충전 콘덴서(30)의 충전 전압과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REF1)를 비교하는 제3비교기이고, 38은 제1충전 콘덴서(10)의 방전 전압과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REF2)를 비교하는 제4비교기이며, 그리고 40은 제3비교기(36) 및 제4비교기(38)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치(42)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2RS플립플롭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44는 제5비교기이고, 46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참조부호 10 내지 22에 의해 구성된 종래의 삼각파 발생기(이하 제1삼각파 발생기라 함)에 의해 발생된 삼각파(이하 제1삼각파 SAW1이라 함)는 제5비교기(44)에서 위상 조정치 VP와 비교된다.
여기서, VP는 제1삼각파 SAW1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전압으로서 제2충전 콘덴서(30)의 충방전 전압으로서 결정되는 제2삼각파 SAW2의 위상을 결정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제2삼각파 SAW2의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제2삼각파 SAW2의 상승 기간에서의 동작
제2삼각파 SAW2의 상승 기간에서 제5비교기(44)에 입력되는 제1삼각파 SAW1의 크기가 위상 조정치 VP보다 크면 하강 기간이 시작되고, 이 때의 값이 제2삼각파 SAW2의 최대치가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삼각파 SW1과 VP는 제5비교기(44)에서 비교되고, 제5비교기(44)의 비교 결과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6)를 통하여 제2RS플립플롭(40)의 SET단자(SET)에 인가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6)는 제5비교기(44)의 비교 결과가 하이 레벨이 되는 시점으로부터 충분히 짧은 기간을 가지는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6)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펄스폭은 제2플립플롭(40)을 충분히 세트시킬 수 있는 기간으로 결정된다.
제2RS플립플롭(40)은 그의 SET단자에 하이 레벨의 전위가 인가되면 그의 출력 단자(Q)에서 하이 레벨의 전위가 출력되고 이는 제2스위치(42)에 인가된다. 제2스위치(42)는 제2RS플립플롭(40)에서 제공되는 하이 레벨의 신호에 의해 도통된다. 이에 따라 제4정전류원(34)로부터 발생된 방전 전류
Figure kpo00013
가 제2충전 콘덴서(30)에 인가되고 제2충전 콘덴서(20)의 방전 전위가 하강한다. 즉, 제2삼각파 SAW2의 전위가 하강한다.
1) 제2삼각파 SAW2의 하강 기간에서의 동작
제2삼각파 SAW2의 하강 기간에서 제4비교기(38)의 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제2삼각파 SAW2의 크기가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제2기준치 REF2보다 작으면 상승 기간이 시작되고, 이 때의 값이 제2삼각파 SAW2의 최소치가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2삼각파 SAW2의 출력 레벨이 제4비교기(34)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고 있는 제2기준치(REF2)보다 적어지면 제4비교기(34)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된다.
제4비교기(34)의 출력은 제2RS플립플롭(40)의 리세트단자(RESET)에 인가된다. 제2RS플립플롭(40)은 그의 리세트 단자(RESET)에 하이 레벨이 인가되면 그의 출력 단자(Q)에서 로우 레벨의 출력을 발생한다. 제2스위치(42)는 제2RS플립플롭(40)에서 제공되는 로우 레벨의 신호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제3정전류원(32)로부터 발생된 충전 전류
Figure kpo00014
가 제2충전 콘덴서(30)에 인가되고 제2충전 콘덴서(20)의 충전 전위가 상승한다. 즉, 제2삼각파 SAW2의 전위가 상승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최상단에 도시된 것은 제1삼각파 SAW1의 파형을 보이는 것이고, 두 번째 도시된 것은 제5비교기(44)의 출력 파형을 보이는 것이고, 세 번째 도시된 것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6)의 출력 파형을 보이는 것이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시된 것은 제2삼각파 SAW2의 파형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제1삼각파 SAW1이 위상 조정치 VP보다 커지는 시점이 제2삼각파 SAW2의 하강 시점이 됨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위상 조정치를 제1삼각파 SAW1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사이에서 가변함으로써 출력되는 제2삼각파 SAW2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후단의 삼각파 발생기에서 제2삼각파 SAW2가 전단의 삼각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제1삼각파를 추종하는 형태이므로 제1삼각파 SAW1의 주파수가 변동하더라도 출력되는 제2삼각파 SAW2의 게인이 안정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충전 전류
Figure kpo00015
및 방전 전류
Figure kpo00016
의 비율을 조정함에 의해 상승 기간과 하강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각파 발생기는 출력되는 삼각파의 위상 및 상승/하강 시간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제1충전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1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는 시점부터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1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삼각파 발생기, 상기 제1삼각파를 상기 제1기준치와 상기 제2기준치사이의 값으로 결정되는 위상 조정치와 비교하며, 상기 제1삼각파의 크기가 상기 위상 조정치보다 크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높은 전위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삼각파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제1기준치보다 커지는 시점부터 제2충전 콘덴서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방전 전압이 삼각파의 최소값을 결정하는 제2기준치보다 적어지면 상기 충전 콘덴서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2충전 콘덴서의 충방전 전압을 제2삼각파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삼각파 발생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위상 조정치를 상기 제1기준치 REF1과 제2기준치 REF2의 사이에서 가변하여 출력되는 제2삼각파의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파 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삼각파 발생기는 상기 제2콘덴서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의 비율을 조정함에 의해 출력되는 삼각파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의 비율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파 발생기.
KR1019970001301A 1997-01-17 1997-01-17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KR10020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01A KR100207544B1 (ko) 1997-01-17 1997-01-17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01A KR100207544B1 (ko) 1997-01-17 1997-01-17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00A KR19980066000A (ko) 1998-10-15
KR100207544B1 true KR100207544B1 (ko) 1999-07-15

Family

ID=1949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01A KR100207544B1 (ko) 1997-01-17 1997-01-17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845B2 (en) 2011-07-25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iangular wave generator and method generating triangular wav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845B2 (en) 2011-07-25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iangular wave generator and method generating triangular wav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0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909B1 (ko) 전압램프신호제공회로및제공방법
US5606296A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circuit
GB1492582A (en) Camera tube circuit
KR100207544B1 (ko) 위상 조정이 가능한 삼각파 신호 발생기
JP3554062B2 (ja) フォーカス補正用パラボラ波整形回路
GB2182221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5120984A (en) Sawtooth generator with two-step discharge
US5146224A (en) Ac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voltage and current standard
US5283476A (en) Waveform generator
JPH01302967A (ja) 高電圧安定化回路
EP0265986B1 (en) Field deflection circuit in a picture display device
JP3882955B2 (ja) 偏向装置用の妨害信号除去を備えた鋸波発生器
US6118830A (en) Digital DC restoration device
EP0398598A2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s
JP3089021B2 (ja) 垂直偏向用鋸歯状波発生回路
JP2826509B2 (ja) 垂直鋸波発生回路
KR920007915B1 (ko) 수직 편향용 톱니파 발생회로
KR0110705Y1 (ko) 파형 발생 장치
KR100950073B1 (ko) 듀티 조절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진기
KR200221123Y1 (ko) 캐패시터를 이용한 s-보정 회로
JP3421560B2 (ja) 三角波信号発生回路
JP3357783B2 (ja)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2865145B2 (ja) 陰極線管のバックラスタ制御装置
JPH10112810A (ja) 画面補正回路
KR930000672B1 (ko) 수직 동기신호 홀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