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177B1 -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 Google Patents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177B1
KR100207177B1 KR1019960044464A KR19960044464A KR100207177B1 KR 100207177 B1 KR100207177 B1 KR 100207177B1 KR 1019960044464 A KR1019960044464 A KR 1019960044464A KR 19960044464 A KR19960044464 A KR 19960044464A KR 100207177 B1 KR100207177 B1 KR 10020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radle
present
vehicle
crash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135A (ko
Inventor
윤종덕
Original Assignee
윤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덕 filed Critical 윤종덕
Priority to KR101996004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1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크래쉬 보드 일측에 휴대폰 수납실을 마련하여 별도의 설치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크래쉬 보드에 관한 것이 다.
본 발명은 크래쉬 보드의 일측에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에 거치대를 결합하며, 기구적 또는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거치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이 몰입되거나 노출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하여 차량의 원형을 훼손시킬 필요가 전혀 없게 되고, 비사용시에는 전혀 노출되지 않아 차실내가 단정하게 되며, 교통사고 발생시에도 비사용시에는 휴대폰이 수납실에 몰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휴대폰에 의한 가격으로 탑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고, 휴대폰의 교체시에도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다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휴대폰이 몰입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3도는 휴대폰이 노출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4도는 휴대폰이 완전 노출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5도는 휴대폰이 몰입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6도는 휴대폰이 노출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7도는 기구적 수단에 의한 출몰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몰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노출된 상태를 보인 것임.
제8도는 전기적 수단에 의한 출몰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몰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노출된 상태를 보인 것임.
제9도는 크래쉬 보드의 탄성을 이용한 출몰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몰입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노출된 상태를 보인 것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훨 2 : 각종 계기
3 : 크래쉬 보드 4 : 수납실
5 : 거치대 6 : 회전축
7 : 걸림부 8 : 표면
9 : 접속단자 10 : 패드
11 : 스파이럴 스프링 12 : 경사면
13 : 스프링 14 : 조작노브
15 : 버튼 16 : 제어회로
17 : 스텝모우터 18 : 회동기어
19 : 돌기 20 : 요홈
본 발명은 휴대폰 수납함을 부설하여서 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사용시에만 노출되게 한 차량 용 크래쉬 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조수석 전방의 차량용크래쉬 보드에 구멍을 내고 이에 거치대를 장착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차량의 원형 훼손이 불가피한 것이며, 운전자에 따라서는 차량의 원형 훼손을 기피하는 경향이 빈번하므로 거치대의 설치에 제한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치대의 일측에 진공 흡착판을 고정시키고 진공흡착판이 윈드 쉴드 그라스 저면에 흡착되도록 하여 거치대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윈드 쉴드 그라스가 일광에 의하여 가열되는 등의 이유로 진공흡착판의 흡착력이 저하되어 진공 흡착판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들은 모두 잡다한 배선이나 설치구조가 그대로 노출되어외관이 단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노출된 휴대폰은 절도 범행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방식들에 의하면 차량 사고의 발싱시에 거치대에 놓여진 휴대폰이 이탈되거나, 진공흡착판이 이탈되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 점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들은 모두 1 가지 모델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휴대폰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거치대를 폐기하고, 새로운 것으로 장착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한 것이며, 크래쉬 보드에 추가로 고정공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휴대폰의 차량 내부 설치를 위하여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하지 않는 시간 동안 휴대폰의 설치상태가 외부로 노출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차량사고 발생시에 가하여 지는 충격에 의하여 휴대폰이나 거치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핸드폰의 교체시에도 일부분만을 교체함에 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쉬 보드의 일측에 수납실을형성하여서 된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를 제안한다.
상술한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쉬 보드 일측의 수납실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몰입되고 노출되도록 한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를 제안한다.
상술한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 수납실에 장착된 거치대가 상하 중심봉과 걸림턱으로 구성된 안정적 지지 구조를 구비하여서 된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를 제안한다.
상술한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 수납실에 장착된 거치대를 비사용시 커버의 기능을 담당하는 표면과, 휴대폰과의 접속단자를 구비하여서 된 패 드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의 이면으로 구성된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설치하기 위하여 크래쉬 보드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보존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사용하지 않는 동안 휴대폰이 몰입되고 사용시에만 노출되는 것이어서, 외관이 단정하게 되며, 교통사고 발생시에도 비사용시에는 휴대폰이 수납실에 몰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휴대폰에 의한 가격으로 탑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교체시에도 나사를 풀어 거치대의 패드를 떼어 내고 새로이 교체되는 휴대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패드를 다시 장착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어서 휴대폰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요부를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래쉬 보드(3)의 일측에 요입부와, 전면 상하에 형성된 축수공으로 구성된 수납실(4)과, 수납실(4)의 축수공에 결합되는 상하의 회전축(6)과 비사용시 노출되는 표면(8)과 거치대(5)를 부착하기 위한 이면(21)를 갖는 회동판(22)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을 제2도 내지 제4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거 치대(5)의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며, 후술되는 안정적 지지구조에 의하여 현재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를 걸거나 받기 위하여 후술되는 기구적 수단이나 전기적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거치대(5)가 회전하여 제3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거쳐 제4도로 보인 바와 같이 패드(10)가 완전 노출되어 이에 장착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 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휴대폰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하여 크래쉬보드(3)에 고정공을 뚫을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어서 차량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제4도 및 제6도로 보인 바와 같이 노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제2도 및 제5도로 보인 바와 같이 몰입되고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단정하게 되고, 교통사고 발생시에도 비사용시에는 핸드폰이 몰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탈되어 탑승자에게 위해를 가하게 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으로 거치대(5)를 회동시켜 몰입되거나 노출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한 회동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7도로 보인 바와 같이 기구적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서는 거치대(5)의 회전축(6)에 스파이럴 스프링(11)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스프링의 타단은 크래쉬 보드(3)의 고정부에 고정하며, 거치대(5)의 상면에는 경사면(12)을 갖는 걸림부(7)를 형성하고 크래쉬 보드(3)의 고정부에 스프링(13)으로 탄설된 조작노브(1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비사용시에는 제7도 (a)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5)의 표면(8)이 외측으로 되도록 한 상태로 하며, 사용시에는 조작노브(14)를 조작하여 줌 에 따라 스프링(13)이 압축되면서 경사노브의 일측이 들려지므로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탄력에 의하여 거치대(5)가 회전하면서 패드(10)가 노출되어 제7도(b)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패드(10)에 끼워진 핸드폰을 조작하여 전화를 받거나 걸 수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이 끝나면 패드(10)를 손가락으로 눌러 스파이럴 스프링(11)의 탄력을 이기고 제7도 (a)로 보인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거치대(5)의 걸림부(7) 경사면(12)이 조작노브(14)의 일면을 들어 올리고 걸림부(7)가 조작노브 (14) 내측에 맞닿아 안정된 체결상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8도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5)의 회전을 위하여 전기적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버튼(15)과 연결된 제어회로(16)와,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좌우로 설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하는 스텝모우터(17)와, 스텝모우터(7)에 연동되는 회동기어(18)에 의하여 회전축(6)이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본 발명은 버튼(15)을 누르면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스텝모우터(17)에 공급되는 전원이 일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제8도 (a)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텝모우터(17)의 회전동력으로 거치대(5)가 회전하여 제8도 (b)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전화를 사용한 후 다시 버튼(15)을 누르면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스텝모우터(17)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방향이 반전되어 타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스텝모우터(17)의 회전 방향이 반전되면서 거치대(5)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드(10)가 수납실(4)로 몰입되는 것이므로 제8도 (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크래쉬 보드(3)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씩의 돌기(19) 및 요홈(20)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밀어 거치대(5)를 회전시킴으로써 제9 도 (a)로 보인 바와 같이 수납실(4)에 몰입되거나 제9도 (b)로 보인 바와 같이 노출되 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로 보인 바와 같이 회동판(22)에 부착된 거치대(5)가 체결나사에 의하여 장착되며, 탈거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핸드폰을 교체하는 경우에 이에 적합한 거치대(5)만을 준비하면 본 발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므로 휴대폰 교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기구적 수단에 의한 출몰구조를 조작노브(14)와 스파이럴 스프링(11) 그리고 걸림턱에 의하여 구현하는 대신에 거치대(5)를 양측부에서 파지하는 크램프를 설치하고 크램프가 하나의 버튼(15)에 의하여 연동되도록 하여 거치대(5)의 설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변형과 응용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동일성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모든 것은 다음 청구범위에 규정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5)

  1. 스티어링 휠(1)과 각종 계기(2)가 설치되고, 스티어링 휠(1) 일측의 크래쉬 보드(3)에 수납실(4)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수납실(4)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몰입되고 노즐되도록 한 거치대(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측(6)이 구비되어 수납실(4)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회동가능하며 비사용시 노출되는 표면(8)과, 거치대(5)를 부착하기 위한 이면(21)을 갖는 회동판(2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거치대(5)의 회전축(6)에 스파이럴 스프링(11)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스프링의 타단은 크래쉬 보드(3)의 고정부에 고정하여, 거치대(5)의 상면에는 경사면(12)을 갖는 걸림부(7)를 형성하고 크래쉬 보드(3)의 고정부에 스프링(13)으르 탄설된 조작노브(14)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버튼(15)과 연결된 제어회로(16)와, 제어회로(16)에 의하여 좌우로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는 스텝모우터(17)와, 스텝모우터(17)에 연동되는 회동기어(18)에 의하여 회전죽(6)이 회전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수납실이부설된 크래쉬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거치대(5)의 상부와 하부에 각 2개씩의 돌기(19)를 형성하고이에 접하는 크래쉬보드(3)의 해당 위치에는 요흠(20)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수납실이 부설된 크래쉬 보드.
KR1019960044464A 1996-10-08 1996-10-08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KR10020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464A KR100207177B1 (ko) 1996-10-08 1996-10-08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464A KR100207177B1 (ko) 1996-10-08 1996-10-08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35A KR19980026135A (ko) 1998-07-15
KR100207177B1 true KR100207177B1 (ko) 1999-07-15

Family

ID=1947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464A KR100207177B1 (ko) 1996-10-08 1996-10-08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46B1 (ko) 2014-11-19 2015-12-30 한일이화 주식회사 거치공간을 가지는 크래쉬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46B1 (ko) 2014-11-19 2015-12-30 한일이화 주식회사 거치공간을 가지는 크래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3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923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on a support surface
JP3333387B2 (ja) スイッチの取付構造
US5381684A (en) Detachable apparatus for automotive audio equipment
JPS60117797A (ja) ネジ止め無しで、前部適用部材により自動車前面パネルに自動車ラジオを装着するための装置
US5048089A (en) Portable, removably attached speaker assembly
KR100207177B1 (ko) 휴대폰 수납함이 부설된 차량용 크래쉬 보드
JPH08175466A (ja) 電動自転車
JP2001062399A (ja) 振動発生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KR200353977Y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20080000283U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CN212473314U (zh) 移动终端支架
CN114074549A (zh) 仪表板总成及车辆
US4242799A (en) Car shaver and holder therefor
JP3670545B2 (ja)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支持装置
JP3028591U (ja) 携帯電話ホルダ
KR100257015B1 (ko) 배터리 장착장치
CN211909473U (zh) 一种汽车无钥匙进入系统用报警装置
KR200148195Y1 (ko) 배터리의와이어고정용클립
CN218295132U (zh) 一种用于电装控制器的便捷安装结构
JPS622861Y2 (ko)
JP3870788B2 (ja) ケーブル余長吸収構造
JPS597780Y2 (ja) 接続機構
JPH063717Y2 (ja) 車載用電話収納装置
JPH0630992U (ja) 操作部着脱装置
KR200146756Y1 (ko) 배터리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