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96B1 -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96B1
KR100206096B1 KR1019960008034A KR19960008034A KR100206096B1 KR 100206096 B1 KR100206096 B1 KR 100206096B1 KR 1019960008034 A KR1019960008034 A KR 1019960008034A KR 19960008034 A KR19960008034 A KR 19960008034A KR 100206096 B1 KR100206096 B1 KR 10020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yelet
fine
wires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736A (ko
Inventor
히로시 타카쿠라
타카시 코오노
미치히데 시바타
야스히코오 노나카
Original Assignee
야스나가 히데아키
히다 찌일렉트로닉디바이시즈 가부시기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554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641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061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63458A/ja
Application filed by 야스나가 히데아키, 히다 찌일렉트로닉디바이시즈 가부시기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야스나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6003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20Cathodes heated in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Cathodes heated by electron or ion bombardment
    • H01J1/28Dispenser-type cathodes, e.g. L-cathode

Landscapes

  • Solid Thermionic Cathode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컵, 현가용금속세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금속아일릿에의 용접시에, 현가용금속세선의 변형을 저지하는 동시에,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또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용접가능한 함침형캐소우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공융점다공질 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금속아일릿의 한쪽끝면에 건너뻗쳐지고,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에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한다. 금속컵의 바닥면과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 사이에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끝부분이 금속아일릿의 한쪽끝면에 형성된 금속플랜지에 용접고정되어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했다.
금속컵의 바닥면과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 사이에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시켜서 전자빔용접에 의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음극구조체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음극구조체에 사용되는 링형상금속부재의 상세를 표시한 사시도.
제3a도∼제3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음극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각 공정도.
제4도는 제2도에 표시한 링형상금속부재의 개량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표시한 아일릿(eyelet)의 변형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함침형캐소우드(impregnated cathode)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전자빔용접이 행해질때의 상황을 표시한 단면구성도.
1 : (실린더형상의)지지체 2 : 결정화유리
3 : 아일릿 4 : 슬리브
5 : 컵 6 : 금속세선
7 : 히터 8 : 캐소우드기체
9 : 링 10 : 핀부재
11 : 홈 20 : 용접부
21 : 전자빔
본 발명은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특히 소위 함침형캐소우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함침형 캐소우드를 구비한 음극선관은, 고전류밀도의 전자빔에 의해 휘도가 매우 높은 고화질화상을 장기에 걸쳐서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는, 통상, 다공질의 고융점금속, 예를들면, 분말텅스텐(W)을 프레스성형한 것에, 전자방사물질,예를들면,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알루미나(Al2O3)의 혼합체를 함침한 펠릿형상캐소우드기체(基體)를 내부에 격납하는 고융점금속, 예를들면, 몰리브덴(Mo)제의 금속컵과 히터를 내포하는 고융점금속, 예를들면, 몰리브덴(Mo)제의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와, 금속제 아릴릿(eyelet)(원통형상유지부재)의 단부면에 장착하는 고융점금속, 예를들면, 텅스텐(W)제의 복수개의 현가(suspend)용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금속컵의 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을, 그 사이에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을 개재시킨 상태로 대향배치하고, 금속컵의 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을 용접하여, 금속컵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를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과 함께 일체결합시켜, 금속슬리브와 금속컵은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아일릿에 동축(同軸)으로 지지된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경우, 종래,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에 있어서의 금속컵의 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과의 용접에는, 금속컵의 내부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내부바닥면에 각각 전극을 배치하고, 이들 2개의 전극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이들 2개의 전극사이에 고전류를 흐르게해서 용접부를 용융시키므로서, 금속컵의 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을 복수개의 현가용금속세선과 함께 용접고정을 행하는 저항용접(resistance welding)이 사용되고 있다.
또, 금속세선을 개재한 컵과 슬리브와의 고정 및 금속세선과 아일릿의 고정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들면,일본국 특개평 2-121235호 공보, 동특개평 3-40331호 공보참조).
금속컵과 복수개의 현가용금속세선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와의 용접에 저항용접을 사용하였을 경우는, 금속컵, 현가용 금속세선, 밑바닥있는 원통형 금속슬리브의 어느것이나 고융점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용접시에 용접부를 고온상태로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고온상태가 되면, 용접부에 있어서 의구성부품의 변형이 커지고, 특히, 용접부에 있어서는, 텅스텐(W)제의 금속세선이 몰리브덴(Mo)제의 금속컵의 바닥면 및/또는 몰리브덴(Mo)제의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을 파고든 상태가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부품의 변형을 피하기 위해서, 용접부의 온도를 저하시키면, 용접부에 있어서의 금속용융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 금속컵과 금속슬리브와의 고정을 저항용접에 의해 행하였을 경우, 각부재가 고융점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항용접용 전극의 수명이 짧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 아일릿, 슬리브, 컵등의 각각은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조립되나, 그들의 위치결정이 곤란하다는 것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금속컵, 현가용 금속세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 슬리브의 금속아일릿에의 용접시에, 현가용 금속세선의 변형을 저지하는 동시에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또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용접하는 일이 가능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를 구비한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호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음극선관은,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基體)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속아일릿의 한쪽끝면에 건네뻗쳐지고,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으로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사이에 상기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금속세선의 끝부분이 상기 금속아일릿의 상기 한쪽표면에 형성된 금속플랜지에 용접고정되어서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했다.
본 발명의 호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음극선관은,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에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시켜서 전자빔용접에 의해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음극구조를 구비한 음극선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음극구조체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먼저, 실린더형상의 지지체(1)에 결정화유리(2)를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아일릿(3)이 있다. 여기서, 지지체(1)는 예를 들어 Fe-Ni로 이루어진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아일릿(3)은 예를 들면 Fe-Ni-Co로 이루어진 재료에 의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정화유리(2)에는 핀부재(10)도 매립되어 있다.
아일릿(3)내에는, 그것과 동축으로 슬리브(4)와 컵(5)이 배치되고, 그들은 예를 들면 Re-W로 이루어진 현가용 금속세선(6)을 개재해서 각각의 폐쇄단부면끼리를 서로 대향시켜서 용접되어 있다.
슬리브(4)는 예를들면 Mo로 이루어진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쪽끝부분이 폐쇄되고, 히터(7)를 내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컵(5)은 예를 들면 Mo로 이루어진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캐소우드기체(8)를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용접된 슬리브(4)와 컵(5)은, 상기 금속세선(6)에 의해서 아일릿(3)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세선(6)에 의해서 현가하므로서, 히터(7)로부터의 열이, 아일릿(3)쪽으로 전도되는 것을 극력회피해서 캐소우드기체(8)를 격납하는 컵(5)쪽에서 유효하게 이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캐소우드기체(8)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기체에 알칼리토류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전자방사물질을 함침시킨 펠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입자직경 6㎛의 W분말을 외경약 1.0mm, 두께약 0.55mm의 원주형상으로 프레스가공한 후, 진공속에서 1900℃이상의 고온으로 소결해서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기체를 형성한다. 이 경우의 기체의 빈구멍율(porosity)은 20%이다. 그리고, 이 기체에 전자방사물질인 BaO, CaO, Al2O3을 몰비로 4 : 1 : 1의 조성비로 혼합한 것을 용융함침시켜, 기체로부터 불거져나온 여분의 전자방사물질을 순수속에서 씻어내려 제거해서 상기 펠릿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세선(6)의 아일릿(3)에 대한 고정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아일릿(3)의 개구끝부분에 있어서의 외주에 있어서 그 외주와 당접해서 배치되는 링(9)이 있으며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링(9)의 면에 의해 상기 금속세선(6)이 매립된 상태로 레이저용접되어 있다.
즉, 금속세선(6)은 링(9)을 개재해서 아일릿(3)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아일릿(3)의 개구끝부분에는 각각 둘레면끼리가 당접된 링(9)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링(9)면에 의해 상기 금속세선(6)이 매립된 상태로 레이저용접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링(9)을 설치하므로서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링(9)에 대한 금속세선(6)과의 당접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당접부분에 있어서 레이저용접을 행하므로서, 충분한 용접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금속세선(6)은 링에 대해서 매립된 상태로 레이저용접되어 있으므로, 그 용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항용접을 사용하는 일 없이, 또한 각 부재의 조립을 신뢰성좋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링(9)에 대한 금속세선(6)의 배치관계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링(9)에 대해서 2개의 금속세선(6)이 상기 링(9)의 중심에 있어서 각각 직교하도록 해서 배치되고, 각각의 끝부분은 링(9)의 면에 있어서 레이저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극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제3a도~제3c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공정 1(제3a도)
예를 들면 퍼어말로이(permalloy)로 이루어진 링(9)의 윗면에 2개의 금속세선(6)을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시켜서 배치시키는 동시에, 이들 금속세선(6)을 각각 세선의 축방향으로 잡아당겨서 그 자체에 큰 장력을 가지게 한다.
이와 같이 금속세선(6)의 장력을 가지게하는 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링(9)에 대해서 레이저용접을 하였을 경우에, 그 용접의 신뢰성의 향상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력을 가지게 한 상태에서 금속세선(6)을 링(9)에 대해서 가압하고, 그 가압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므로서 링(9)에 대한 용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금속세선(6)을 링(9)에 대해서 가압한 상태에서 레이저용접하므로서 그 용접의 신뢰성이 향상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이루어진 레이저용접은, 금속세선을 링면에 의해 매립한다.
또한, 링(9)에 대한 금속세선(6)의 가압은 도시하지 않은 지그등으로 이루어지나, 이 경우, 용접개소에 있어서 각 용접때마다 가압을 행하여도 되고, 또, 한번에 각 용접개소에 있어서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공정 2(제3b도)
링(9)에 펼쳐진(stretch)금속세선(6)의 한쪽편에는 컵(5)을, 또 다른쪽편에는 슬리브(4)를 각각의 폐쇄단부면을 서로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이들의 경계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컵(5)과 슬리브(4)는 금속세선(6)을 개재해서 용접되게 된다.
이 경우, 미리, 컵(5)과 슬리브(4)와의 사이에 예를 들면 Ru-Mo로 이루어진 경(硬)땜납재(brazins solder)를 도포해두므로서, 레이저용접의 신뢰성이 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컵(5)과 슬리브(4)의 고정은, 반드시 상기한 레이저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경땜납재를 사용하지 않은 이온빔(EB)용접이라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공정 3(제3c도)
링(9)에 아일릿(3)을 끼워맞추고, 그 끼워맞춤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므로서 그들을 용접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금속세선(6)의 고정은, 대략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링(9)에 대한 용접뿐이기 때문에, 링(9)에 대한 금속세선(6)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금속세선(6)이 펼쳐진 링(9)을 형성하고 그후, 이 링(9)에 아일릿(3)을 끼워맞추어서 용접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치맞춤은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링(9)에 대한 금속세선(6)의 레이저용접은 상기 금속세선(6)을 금속세선의 축방향으로 장력을 가지게 한 상태에서 행하므로서, 신뢰성을 향상시킨 용접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금속세선(6)의 느슨해짐등에 의해, 음극과 그것에 대향하는 빔제어전극과의 사이의 틈새변화에 의한 빔커트오프전압의 변동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링(9)을 아일릿(3)의 외주쪽에 위치하게 한 것이나, 내주쪽에 위치하게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링(9)의 면에, 금속세선(6)이 수납되는 홈(11)을 형성하면, 금속세선(6)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링(9)에 충분히 매립되므로 금속세선(6)의 용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랜지부를, 아일릿(3)과 별체의 링(9)을 아일릿(3)에 끼워넣어서 형성하고 있으나,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3a)를 아일릿(3)과 일체적으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금속세선(6)과의 당접면적을 크게 잡을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용접을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에 실장되는 음극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도와의 공통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속컵(5)에는, 컵내부에 캐소우드기체(8)가 격납되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에는, 슬리브내부에 히터(7)가 내포된다. 금속아일릿(3)은, 그 한쪽끝면쪽에, 직경방향으로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이 교락(bridging)결합되어 있다. 금속컵(5)와 원통형금속슬리브(4)는,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을 사이에 두고 바닥면끼리가 접합하도록 대향배치되고, 그 접합면의 일부가 전자빔용접에 의해서 용접된다. 금속컵(5)과 원통형금속슬리브(4)는,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금속컵(5)내에 캐소우드기체(8)가 격납되고, 또한, 원통형금속슬리브(4)내에 히터(7)가 내포된 상태로, 금속아일릿(3)내에 현가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과 함께 일체적으로 조립된 금속컵(5)과 원통형 금속슬리브(4)는, 금속아일릿(3)내에 현가되고, 그 원통형금속슬리브내에 히터(7)가 실장된다.
상기 구성에 관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는, 다른 구성부품과 함께 음극선관내에 짜넣어지고, 음극선관에 대한 소정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음극선관이 완성된다.
이 완성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의 히터(7)에 전력을 공급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음극선관내의 각종 전극에 각각소정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면, 히터(7)에 의해서 가열된 캐소우드기체(8)로부터 전자빔이 방사되고, 방사된 전자빔은 패널부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막에 투사되어, 형광막상에 소요의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음극선관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화상표시동작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지고 있는 일이므로, 이 이상의 상세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는, 금속컵(5)의 바닥면과 원통형금속슬리브(4)의 바닥면을,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과 함께 일체적으로 접합할 경우에, 이미 알고 있는 함침형 캐소우드구조체와 같이 저항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빔용접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전자빔용접을 사용하면, 용접부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강도의 조정이나 죔(narrow)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부에 있어서의 금속용융온도의 미세한 제어를 행하여, 용접시의 현가용 금속세선(6)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일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용접부의크기를 적당히 조정하는 일도 가능해지고, 용접부에 대해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용접시에 현가용 금속세선(6)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는 함침형 캐소우드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6도는, 전자빔용접이 행해질 때의 상황을 표시한 단면구성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20)은 용접부, (21)은 전자빔이고, 그밖에, 제1도에 표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여기서, 제6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평균입자직경이 6㎛정도의 분말텅스텐(W)을 프레스성형해서 외경이 약 1.0mm, 두께가 약 0.55mm의 원주형상체를 형성하고, 이 원주형상체를 진공속에서 1900℃이상의 온도로 소결해서, 빈구멍율이 약 20%의 다공질금속펠릿을 제조한다. 다음에,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알루미나(Al2O3)를 4 : 1 : 1의 몰비로 혼합한 전자방사물질을, 다공질금속펠릿에 용융함침시켜, 다공질금속펠릿으로부터 불거져나온 여분의 전자방사물질을 순수로 씻어내고 캐소우드 기체(8)를 형성한다.
이어서, 판두께가 30㎛의 올리브덴(Mo)제의 판을 프레스성형하고, 내경이 약 1.0mm, 높이가 약 0.5mm의 금속컵(5)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금속컵(5)의 컵내부에 캐소우드기체(8)를 수납하여, 고정한다. 또, 판두께가 0.1mm의 몰리브덴(Mo)제의 판을 프레스성형하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를 제조하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에 대해서 흑화처리를 행한다. 또,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3)을 형성하고, 이 금속아일릿(3)의 한쪽표면에 선직경이 30㎛의 텅스텐(W)의 현가용 금속세선(6)을 직경방향으로 복수개 용접한다.
다음에, 전자빔용접기를 준비하고, 그후, 제6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소우드기체(8)를 수납한 금속컵(5)의 바닥면과 흑화처리를 행한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교차한 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계속해서 전자빔용접기를 사용하고,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의 개구쪽으로부터 슬리브바닥면의 용접부(20)를 향해서 전자빔(21)을 조사시키고, 금속컵(5)의 바닥면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의 바닥면을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과 함께 용접하고, 금속 아일릿(3)내에 일체화된 금속컵(5)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가 현가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일체화된 밑바닥있는 금속컵(5)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4)를 현가한 금속 아일릿(3)을, 실린더부재(1)가 핀부재(10)가 장착된 결정화유리유지부(2)의 중앙부에 끼워넣고(제1도참조), 계속해서, 밑바닥있는 원통형 금속슬리브(4)내에 히터(7)를 내포해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를 완성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의 제조방법은, 금속컵(5)과 밑바닥있는 원통형 금속슬리브(4)를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6)과 함께 용접할 경우에, 전자빔용접을 행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전자빔용접을 행할 경우에,용접부에 조사되는 전자빔(21)은, 강도의 조정이나 죔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부(20)에 있어서의 금속용융온도의 미세한 제어를 행해서, 용접시의 현가용 금속세선(6)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일이 가능하게 될뿐만 아니라, 용접부(20)의 크기를 적당히 조정하는 일도 가능해지고, 용접부(20)에 대해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용접시에 현가용 금속세선(6)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함침형캐소우드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금속슬리브(4)의 치수의 일예를 표시하면, 제6도에 있어서, 내경D는 1mm, 길이 L은 2.3mm이다.
금속컵의 바닥면과, 복수개의 현가용 금속세선과, 밑바닥있는 원통형금속슬리브의 바닥면을 용접할때에, 전자빔용접에 의한 용접을 사용하고 있고, 전자빔용접의 경우, 전자빔의 초점심도가 깊으므로, 이러한 전자빔용접시에, 전자빔의 빔직경이나 빔강도를 조정하므로서, 금속슬리브바닥의 용접해야할 범위를 정확히 특정하거나, 용접부에 있어서의 금속용융의 정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용접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용접시에 현가용 금속세선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는 함침형 캐소우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고, 전자빔용 접은 염가로 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염가의 함침형 캐소우드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5)

  1.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쇠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 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소아일릿의 한쪽끝면에 건너뻗쳐지고,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으로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금속세선의 끝부분이 상하기 금속아이릿의 상기 한쪽끝면에 형성된 금속플랜지에 용접고정되어서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랜지가 상기 아일릿의 단부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랜지가 상기 금속아일릿의 단부면에 끼워넣어진 별체의 링형상금속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랜지의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이 용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이 수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은 상기 금속아일릿의 단부면에 형성된 상기 금속플랜지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사이에 개재시킨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이 전자빔용접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개재시킨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과의 고정은 전자빔용접에 의하고, 상기 금속아일릿의 단부면의 상기 금속플랜지에의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의 고정은 레이저용접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속아일릿의 한쪽끝면에 건너뻗쳐지고,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으로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이 폐쇄된 단부면은 그들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금속세선의 끝부분이 상기 금속아일릿의 상기 한쪽끝면에 형성된 금속플랜에 용접고정되어서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에 장력을 가지게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금속세선의 끝부분을 상기 금속플랜지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은 상기 플랜지에 레이저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제조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사이에 개재시킨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과의 고정은 전자빔용접에 의해, 상기 금속아일릿의 단부면의 플랜지에의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의 고정은 레이저용접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1.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속아일릿의 한쪽끝면에 건너뻗쳐지고,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으로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한쪽끝면은 그들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해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금속세선의 끝부분이 상기 금속아일릿의 상기 한쪽끝면에 끼워넣어진 금속플랜지부재에 용접고정되어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금속아일릿의 상기 한쪽끝면에 끼워넣어지기 전의 상기 금속플랜지부재에,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에 장력을 가지게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금속세선의 끝부분을 용접으로하는 공정과, 이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을 상기 금속플랜지부재에 동축으로 용접하는 공정과, 이어서 상기 금속아일릿의 상기 한쪽끝면에 상기 금속플랜지부재를 끼워넣어 용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상기 플랜지부재에 용접하는 공정이 레이저용접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사이에 개재시킨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과의 고정은 전자빔용접에 의하고, 상기 금속플랜지부재에의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의 고정은 레이저 용접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4. 고용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와,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과, 상기 금속컵 및 금속슬리브를 상기 원통형상의 금속아일릿내에 동축으로 현가하는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컵의 바닥면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과는, 그들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금속세선을 개재시켜서 전자빔용접에 의해서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음극구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고융점다공질금속에 전자방사물질을 함침한 캐소우드기체를 내부에 상기 캐소우드기체를 격납하는 금속컵과,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한쪽끝면이 폐쇄된 금속슬리브와, 한쪽끝면에 복수의 금속세선이 건너뻗쳐진 금속아일릿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슬리브의 폐쇄된 단부면과 상기 금속컵이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을 사이에 두고 맞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금속슬리브와 상기 금속컵이 상기 금속아일릿과 동축이되도록 상기 금속아일릿내에 위치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결정된 상기 금속슬리브의 개구끝부분쪽으로부터 그 폐쇄된 단부면쪽을 향해서,전자빔을 조사해서 상기 금속슬리브, 상기 복수의 금속세선 및 상기 금속컵을 전자빔용접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19960008034A 1995-03-24 1996-03-23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206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554895A JPH08264103A (ja) 1995-03-24 1995-03-24 陰極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5-65548 1995-03-24
JP22061195A JPH0963458A (ja) 1995-08-29 1995-08-29 含浸形カソード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95-220611 199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736A KR960035736A (ko) 1996-10-24
KR100206096B1 true KR100206096B1 (ko) 1999-07-01

Family

ID=2640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034A KR100206096B1 (ko) 1995-03-24 1996-03-23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93157A (ko)
KR (1) KR100206096B1 (ko)
TW (1) TW4308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757A (ja) * 1997-05-12 1998-11-24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US6771014B2 (en) * 2001-09-07 2004-08-03 The Boeing Company Cathode design
TW200606524A (en) * 2004-05-10 2006-02-16 Toshiba Kk Cold-cathode tube-use sintered electrode, cold-cathode tube provided with this cold-cathode tube-use sintered electrod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8311186B2 (en) * 2007-12-14 2012-11-1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Bi-directional dispenser cathode
JP5119396B2 (ja) * 2008-08-18 2013-01-16 日新イオン機器株式会社 熱陰極およびそれを備えるイオン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2344A (nl) * 1988-09-22 1990-04-17 Philips Nv Elektronenkanon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lektronenkanon.
JP3061813B2 (ja) * 1989-07-05 2000-07-1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含浸型陰極構体
KR0117988Y1 (en) * 1990-12-24 1998-04-24 Lg Electronics Inc Cathode of structure for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93157A (en) 1998-08-11
KR960035736A (ko) 1996-10-24
TW430840B (en) 200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096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24511A (ko) 큰 스템핀써클을 지닌 가는 넥부를 구비한 음극선관
US5526396A (en) Electron tube with adjustable cathode structure
JPS6258104B2 (ko)
US6437509B1 (en) Electrode for discharge lamps
JP4188480B2 (ja) コイル体を備えた電極および該電極を製造する方法
US5028838A (en) Grid assemblies for use in cathode ray tubes
JPS59111222A (ja) 含浸型陰極構体
KR100195167B1 (ko) 직열형 음극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42042B1 (ko) 직열형 음극구조체
JPH0963458A (ja) 含浸形カソード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0147609B1 (ko) 직열형 음극구조체
KR200160132Y1 (ko) 일체형 캐소드 구조체
JP3631009B2 (ja) 電子銃
JPH02244533A (ja) 電子管用含浸形陰極構体
KR0147615B1 (ko) 직열형 음극구조체
JPH03250528A (ja) 含浸形陰極構体の製造方法
JPH0279320A (ja) 含浸形陰極構体
JP3460308B2 (ja) 含浸型陰極構体の製造方法
JPH08264103A (ja) 陰極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84933A (ja) X線管用陰極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53280A (ja) 陰極構体の製造方法、および陰極構体
KR100195172B1 (ko) 음극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993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히이터
JPH01225033A (ja) 含浸形カソード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