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921B1 -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921B1
KR100204921B1 KR1019970016512A KR19970016512A KR100204921B1 KR 100204921 B1 KR100204921 B1 KR 100204921B1 KR 1019970016512 A KR1019970016512 A KR 1019970016512A KR 19970016512 A KR19970016512 A KR 19970016512A KR 100204921 B1 KR100204921 B1 KR 10020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heating
cooling
fue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881A (ko
Inventor
강대현
Original Assignee
강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현 filed Critical 강대현
Priority to KR101997001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9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3/00Generation of smoke or mist (chemical part)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그 연기발생방법은, 연료를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동관(24)으로 압송시키기 위한 연료공급단계(S1); 그 압송되는 연료를 상기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시켜 연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기발생단계(S2); 그리고 그 연기발생단계(S2)에 발생되는 연기를 가열동관(24)으로부터 분출시키고 그 분출되는 연기를 냉각시켜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배출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연기발생장치는, 상기 연료가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실(20)내의 코일형 가열동관(24)으로 압송되고 외부의 가열수단(21,22)에 의해 그 압송되는 연료가 상기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되어 연기를 형성, 분출시키는 연기발생수단(12 내지 26); 그 연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냉각실(30)내의 냉각기(32)에 의해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32,34,36,38); 그리고 상기 냉각기(32)에 의한 연기의 냉각을 촉진시키면서 송풍팬(40)에 의해 냉각실(30)로부터 배출구(42)를 통해 냉각된 연기를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40,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연료 내지 스모그 액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가 저변으로 확대되어 배출될 수 있고,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의 실현이 가능하고 연기의 대량 배출과 중단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본 발명은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함이 없이 간단한 방법과 구조로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 연소시켜 연기를 발생시키고 냉각시켜 저변으로 깔리도록 배출시킬 수 있는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기 내지 안개 발생방법은 드라이 아이스에 고온의 물을 투입시켜 기화시킴으로써 안개 내지는 연기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안개가 필요한 때에 미리 가열된 물을 드라이 아이스를 채운 통에 유입시킴으로써 드라이아이스를 기화시켜 연기(안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 연소시켜 연기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단순히 가열, 연소시켜 배출하는 정도에 불과하고 또, 이중관으로 구성된 가열실에서 내측관에 히터를 투입하고 외측관과 내측관 사이의 환형관부분에 상기 연료를 유입시켜 연소시켰다.
그러나, 상기 드라이 아이스에 의한 연기발생방법은 냉각된 기화 연기가 배출되게 되어 쉽게 저변에 깔리게 되어 상당한 시간동안은 안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나, 드라이 아이스의 관리가 용이하지 아니하고, 많은 양의 연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드라이아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또, 필요한 동안만 연기를 배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내지 스모그액의 연소의 경우에는 이중관의 환형관부분에 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낮으며, 또 대량의 연기의 발생과 중단 내지는 연속적인 연기의 발생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연기가 고온이기 때문에 발생 직후 상승하게 되고 더욱 연소로 인하여 악취가 심하게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가 저변으로 확대되어 배출될 수 있고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의 실현이 가능하고 연기의 대량 배출과 중단이 가능한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기발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연기발생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제3도는 제1도의 연기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기발생장치 12 : 연료탱크(스모그액 탱크)
14 : 모터펌프 20 : 가열실
21 : 전기히터 22 : 열판
24 : 가열동관 30 : 냉각실
30' : 연기충전실 30 : 배출실
32 : 냉각기 34 : 압축기
36 : 방열라디에이터 38, 40 : 송풍팬
42 : 배출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기발생방법은,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시켜 연기(안개)를 형성시키는 연기발생방법에 있어서 : 상기 연료를 연료탱크로부터 모터펌프에 의해 가열동관으로 압송시키기 위한 연료공급단계 : 그 압송되는 연료를 상기 가열동관 내에서 가열시켜 연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기발생단계 : 그리고 그 연기발생단계에 발생되는 연기를 가열동관으로부터 분출시키고 그 분출되는 연기를 냉각시켜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시켜 연기(안개)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기발생장치에 있어서 : 상기 연료가 연료탱크로부터 모터펌프에 의해 가열실내의 코일형 가열동관으로 압송되고 외부의 가열수단에 의해 그 압송되는 연료가 상기 가열동관 내에서 가열되어 연기를 형성, 분출시키는 연기발생수단; 그 연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냉각실 내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그리고 상기 냉각기에 의한 연기의 냉각을 촉진시키면서 송풍팬에 의해 냉각실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냉각된 연기를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가열동관에 접촉하여 열전달을 일으키기 위한 열판과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의 증발 흡수열을 이용하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송풍팬 및 방열라디에이터와, 그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각실내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라디에이터 코일형 열교환기인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열동관으로부터 연기가 배출노즐을 개재하여 상기 냉각실의 전방에서 연기를 충전하도록 하는 연기충전실과,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후 냉각된 연기를 일시적으로 균일화시켜 배출시키는 배출실과, 상기 냉각실, 연기충전실 및 배출실의 어느 하나에 냉각가스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냉각가스주입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기의 공급이 필요할 때 즉시 냉각된 연기가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되고 그 배출을 중단시키기 위해 미리 가열수단의 가열온도와 냉각실의 냉각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각각 제어되고, 연기의 공급이 필요한 때 모터펌프와 송풍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기발생장치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3에서 본 발명의 연기발생장치는 기본적으로 연기발생수단(12 내지 26), 냉각수단(32,34,36,38), 및 배출수단(40,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기발생수단(12 내지 26)은, 연료가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실(20)내의 코일형 가열동관(24)으로 압송되고 외부의 가열수단(21,22)에 의해 그 압송되는 연료가 상기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되어 연기가 형성되고 냉각실(30)의 일측으로 배출노즐(26)을 통해 분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32,34,36,38)은 냉각실(30내의 냉각기(32)에 의해 연기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며, 배출수단(40,42)은 상기 냉각기(32)에 의한 연기의 냉각을 촉진시키면서 송풍팬(40)에 의해 냉각실(30)로부터 배출구(42)를 통해 냉각된 연기를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수단(21,22)은 도 1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동관(24)에 접촉하여 열전달을 일으키기 위한 열판(22)과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히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수단(32,34,36,38)은 냉매의 증발 흡수열을 이용하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송풍팬(38) 및 방열라디에이터(36)와, 그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각실(30)내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라디에이터 코일형 열교환기인 냉각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동관(24)으로부터 연기가 배출노즐(26)을 개재하여 배출되는 연기가 상기 냉각실(30)의 전방에서 충전되도록 연기충전실(30')이 냉각실(3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상기 냉각기(32)를 통과한 후 냉각된 연기를 일시적으로 균일화시키고 축적시켜 확대,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실(30)이 냉각실(3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30), 연기충전실(30') 및 배출실(30)의 어느 하나에 냉각가스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냉각가스주입구(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기의 공급이 필요할 때 즉시 냉각된 연기가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되고 그 배출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미리 가열수단(21,22)의 가열온도와 냉각실(30)의 냉각온도가 소정의 온도 즉 연기발생에 필요한 가열온도와 저변으로의 확대를 위한 냉각온도로 각각 제어되고 연기의 공급이 필요한 때 모터펌프(14)와 송풍팬(4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온도와 냉각온도의 제어를 위한 온도센서와 그 온도센서에 의한 전기히터(21) 및 압축기(34)의 작동 제어의 구체적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며, 이에 따라 구체적 도시와 설명은 생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발생장치의 작동과 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연기발생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기발생방법은, 연료공급단계(S1), 연기발생단계(S2) 및 냉각배출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미리 전기히터(21)에 의해 가열실(20)내의 가열온도를 소정의 연기발생온도로 유지시키고 압축기(34)를 작동시켜 냉각실(30)의 냉각온도도 소정의 냉각온도로 각각 제어 유지시킨다.
그 뒤, 상기 연기의 공급이 필요할 때 모터펌프(14)와 송풍팬(40)의 구동에 의해 즉시 냉각된 연기가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되게 되는데 그 작동은 상술한 연기발생방법의 각 단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공급단계(S1)인 펌핑단계에서 연소에 필요한 소정의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동관(24)으로 압송시키게 되며, 연료발생단계(S2)에서는 그 압송되는 연료가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 연소되어 연기를 형성시키게 된다.
냉각배출단계(S3)에서는 그 연료발생단계(S2)에 발생된 연기가 가열동관(24)의 단부 내지는 그 단부에 설치된 배출노즐(26)을 통해 냉각실(3)로 분출되게 되고 분출된 연기가 냉각기(32)에 의해 냉각되어 송풍팬(4)에 의해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연기는 냉각되어 있어 상부로 상승하지 아니하고 하부 즉 저변으로 깔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당한 시간동안 안개 연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가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실(2)내의 코일형 가열동관(24)을 통과하면서 연소되게 되어 보다 확실하고도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완전히 연소되게 되어 악취가 발생함이 없게 되고 연속적이고도 고밀도의 연기배출이 보장될 수 있게 되며, 또, 열용량이 큰 열판(22)을 개재하여 가열되는 경우 연속적인 연기배출이 더욱 보장되게 된다.
또한, 더욱 콤팩트한 구조로 일련의 연속적인 단계로 발생되는 연기가 연기충전실(30')을 거쳐 송풍팬(40)에 의해 냉각실(30)의 냉각기(32)를 통과함으로써 더욱 냉각되고 배출실(30)에서 균일하게 유지된 후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저변으로 깔리면서도 넓게 퍼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냉각실(30), 연기충전실(30') 및 배출실(30)의 어느 하나에 냉각가스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냉각가스주입구(130)를 통해 추가로 냉각가스를 주입시킬 수도 있어 냉각기(32)의 운전불가시 내지는 냉각기(32)만의 냉각능력인 정격 이상의 연속적인 대량의 연기의 냉각화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콤팩트한 구성으로 악취를 발생함이 없이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가 저변으로 확대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연기의 대량 배출과 중단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정신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구성요소의 추가 내지 생략이나 여러가지로의 변경 내지 응용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이러한 추가, 생략, 변경, 응용 등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는 것도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4)

  1.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시켜 연기(안개)를 형성시키는 연기발생방법에 있어서 : 상기 연료를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동관(24)으로 압송시키기 위한 연료공급단계(S1) : 그 압송되는 연료를 상기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시켜 연기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료발생단계(S2) : 그리고 그 연기발생단계(S2)에 발생되는 연기를 가열동관(24)으로부터 분출시키고 그 분출되는 연기를 냉각시켜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배출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방법.
  2. 연료 내지 스모그액을 가열시켜 연기(안개)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기발생장치에 있어서 : 상기 연료가 연료탱크(12)로부터 모터펌프(14)에 의해 가열실(20)내의 코일형 가열동관(24)으로 압송되고 외부의 가열수단(21,22)에 의해 그 압송되는 연료가 상기 가열동관(24)내에서 가열되어 연기를 형성, 분출시키는 연기발생수단(12 내지 26); 그 연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냉각실(30)내의 냉각기(32)에 의해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32,34,36,38); 그리고 상기 냉각기(32)에 의한 연기의 냉각을 촉진시키면서 송풍팬(40)에 의해 냉각실(30)로부터 배출구(42)를 통해 냉각된 연기를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40,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21,22)은 상기 가열동관(24)에 접촉하여 열전달을 일으키기 위한 열판(22)과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히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냉각수단(32,34,36,38)은 냉매의 증발 흡수열을 이용하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송풍팬(38) 및 방열라디에이터(36)와, 그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각실(30)내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흡열라디에이터형 열교환기인 냉각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동관(24)으로부터 연기가 배출노즐(26)을 개재하여 상기 냉각실(30)의 전방에서 연기를 충전하도록 하는 연기충전실(30')과, 상기 냉각기(32)를 통과한 후 냉각된 연기를 일시적으로 균일화시켜 배출시키는 배출실(30)과, 상기 냉각실(30), 연기충전실(30') 및 배출실(30)의 어느 하나에 냉각가스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냉각가스주입구(1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의 공급이 필요할 때 모터펌프(14)의 구동과 송풍팬(40)의 구동에 의해 즉시 냉각된 연기가 외부의 저변으로 확대, 배출되도록 미리 가열실(20)내의 가열온도와 냉각실(30)의 냉각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각각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발생장치.
KR1019970016512A 1997-04-30 1997-04-30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KR10020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12A KR100204921B1 (ko) 1997-04-30 1997-04-30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12A KR100204921B1 (ko) 1997-04-30 1997-04-30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81A KR19980078881A (ko) 1998-11-25
KR100204921B1 true KR100204921B1 (ko) 1999-06-15

Family

ID=1950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512A KR100204921B1 (ko) 1997-04-30 1997-04-30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7478A (zh) * 2019-06-04 2019-09-17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465A (ko) * 2002-10-10 2004-04-17 박병언 순간 연기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845466B1 (ko) * 2006-12-13 2008-07-10 김정제 공동주택의 가스배관용 방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7478A (zh) * 2019-06-04 2019-09-17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CN110237478B (zh) * 2019-06-04 2021-03-26 岭澳核电有限公司 核电站火灾探测器远程控制测试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81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23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heat energy from engine housing to expansion fluid employed in continuous combustion, pinned vane type, integrated rotary compressor-expander engine system
US6272873B1 (en) Self powered motor vehicle air conditioner
CA2349090A1 (en) Apparatus for warming-up fuel cell
KR100204921B1 (ko) 연기발생방법과 그 장치
CN101826578B (zh) 大功率led相变冷却装置
US6708497B2 (en) Gas turbine installation and an associated operating method
JPH05332164A (ja) 再生式ガスタービン
KR200379764Y1 (ko) 냉,난방을 겸한 실외기 없는 공기조화기
CN209399667U (zh) 节能环保烘干箱
WO2005093347A1 (ja) 冷却庫およびスターリング冷却庫ならびにドレン水処理システム
JP2010284834A (ja) 印刷機における廃熱利用の印刷システム
CN219867824U (zh) 一种蒸汽发生器
JPS5914671Y2 (ja) 乾燥用熱気発生装置
CN101672229A (zh) 热电联产系统
KR100533878B1 (ko) 열풍기 겸용 온수 보일러
JP2858670B2 (ja) 石油燃焼装置
KR940004951Y1 (ko) 연소장치
KR200376303Y1 (ko) 이중관구조의 응축기를 구비한 온풍기
JPS6015055Y2 (ja) ガンタイプバ−ナ−を内蔵する瞬間温風暖房装置
RU2069432C1 (ru) Газодинамический лазер
KR0129530Y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연소용 공기예열장치
CN102135291B (zh) 壁挂式加热装置
KR19980083036A (ko) 온장실이 구비된 냉장고
JPH0566481U (ja) 吸収冷凍機の再生器
JPH04110514A (ja) 石油気化式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