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394B1 -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394B1
KR100203394B1 KR1019950008483A KR19950008483A KR100203394B1 KR 100203394 B1 KR100203394 B1 KR 100203394B1 KR 1019950008483 A KR1019950008483 A KR 1019950008483A KR 19950008483 A KR19950008483 A KR 19950008483A KR 100203394 B1 KR100203394 B1 KR 10020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organic waste
drying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621A (ko
Inventor
가즈오 데라마치
Original Assignee
가즈오 데라마치
도요 다이나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데라마치, 도요 다이나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즈오 데라마치
Priority to KR101995000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394B1/ko
Publication of KR96003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작업환경을 클린화함과 동시에, 에너지 절약을 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또 발효처리와 건조처리를 원활히 하고, 게다가 지상의 설치 스페이스를 감소시킨다.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9), 동수단을 구비한 건조조로 이루어지고, 발효조(9)와 건저조는 셔터를 장착한 개구부에 의하여 연통하고, 해당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돌출둑을 형성하거나, 또 발효장치를 지하식으로 하고, 정역회전 가능한 스크루식의 교반 부재의 이송방향에 인접하여 건조조를 설치하여, 발효조(9)와 건조조의 사이에 연통구멍을 설치한 지중격벽을 개재시켜 발효장치를 구성하고, 해당발효장치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된 순환배관로,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가 개장된 배기배관로를 접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의 모식도이다.
제2도는 본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4도는 본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건조조의 개략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발효조의 개구부로 부터 발효품을 건조조에 공급한 상태의 모식도이다.
제6도는 본발명에 관한 발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7도는 발효장치, 펠릿 제조장치, 펠릿 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의 모식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발효조의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효장치 4 : 발효조체()
9 : 발효조 10 : 순환배관로
11 : 공기송풍기 13 : 공기취입구
15 : 제습기 16 : 배기배관로
18 : 제 2탈취조 21 : 셔터
22 : 개구부 23 : 돌출둑
27 : 건조조 31 : 교반부재
35 : 지중격벽 36 : 연통구멍
[상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꼴풀, 부엌쓰레기, 동식물성 잔재등의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예를들면 골프장의 잔디 베기와 같이 대량으로 생기는 꼴풀, 가정에서 폐기되는 부엌쓰레기, 축산업자로 부터 폐기되는 분뇨, 식품관련업으로 부터 폐기되는 생선이 찌꺼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건조소각하거나 폐기 혹은 매설하여 처리하여 왔지만, 그러나 건조 소각에는 시간이 걸리고 악취가 발생하고, 폐기, 매설 혹은 야적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시간과 함께 폐기, 매설 혹은 야적을 위한 장소의 확보나 악취도 문제로 되고, 더욱 야적 발효의 경우에는 장기간이 필요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료투입구(a), 처리물 취출구(b)를 설치한 발효조(c) 내에 모터(d)에 의하여 회전 제어되는 교반날개(e)를 설치함과 동시에, 발효조(c)의 외주에는 면상 발열체(f)가 설치되고, 또 발효조(c)에는 블로우어(blower)(g)가 개재하는 배기경로(h)와, 밸브(j)를 구비한 공기취입구(k)를 설치한 발효장치(n)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발효장치(n)에 있어서는 원료투입구(a)로 부터 발효조(c) 내에 유기성 폐기물의 원료를 투입하고, 더욱 발효균을 첨가하여 40∼60℃에서 가열하면서 저속교반하고, 상기 원료를 호기적으로 발효시켜 비료로 하고, 상기 발효과정의 종료후 발효조(c) 내에 공기 취입구(k)로 부터 열풍을 불어 들어오게하여 80℃ 정도로 승온하여 비료의 건조를 행하고, 또 상기 발효과정에서 발효조(c)내의 가스는 블로우어(g)에 의하여 배기경로(h)로 부터 배출되고, 공기는 밸브(j)를 열어 공기취입구(k)로 부터 보급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발효장치(n)에 있어서는 발효조(c)내의 가스는 배기경로(h)로 부터 외부에 방출되기 때문에, 그 악취에 의한 환경오염 및 열효율의 낮은 결점을 갖고, 또 발효조(c) 내에서 발효와 건조의 2가지 공정이 행해지지만, 상기 2가지 공정은 교반조건 및 가열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양방의 공정에 적합하도록 구조,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곤란하며, 게다가 발효장치(n)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용량이 되면 그만큼 장소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발명은 발효조, 건조조로 부터 발생하는 취기가스 중의 취기 성분을 제거하여 작업환경을 깨끗하게함과 동시에, 가열공기를 순환시켜 에너지를 절약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또 발효시에 있어서 발효균의 재사용을 가능하게함과 동시에, 발효처리와 건조처리를 원활히 하고, 게다가 지상의 설치 스페이스를 저감하도록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의거한 저열효율, 악취에 의한 작업환경 오염, 구조선택, 설치스페이스 등의 과제에 비추어, 발효조 및 건조조에 탈취기능을 구비시킨 배기배관로, 순환배관로를 설치하여 악취의 제거를 도모함과 동시에, 순환배관로에 의하여 열손실을 저감하고, 또 발효처리와 건조처리의 원활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설치 스페이스를 저감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결점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또, 본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장치에 의하여 발효시킨 후, 펠릿 제조장치에 의하여 발효처리물을 펠릿화하고, 그후 펠릿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한다.
발효장치는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로 이루어진 것과, 해당 발효조에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건조조를 연결한 것이 있고, 이와 같은 발효조, 건조조에 탈취기능을 구비한 순환배관로, 배기배관로를 접속하고 있다.
또, 발효조와 건조조를 연결한 발효장치로서는 발효조를 상단에 배치하고, 더욱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건조조를 하단에 배치하고, 발효조와 건조조를 셔터를 장착한 개구부에 의하여 연통하고, 해당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돌출 둑을 형성한 것, 또 지하에 설치한 발효조내에 가로방향으로 정역회전 가능한 스크루식의 교반부재를 장치한 발효조와 해당 발효조의 교반부재의 이송방향에 인접하여 지하에 설치된 건조조로 이루어지고, 해당 발효조와 건조조 사이에 연통구멍을 설치한 지중격벽을 개재시킨 것이다.
또, 순환배관로는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고, 또 배기배관로는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가 개장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은 본발명에 관한 유기성 폐기물(M)을 발효처리하여 펠릿비료(C)로 하는 발효장치이고, 해당 발효장치(1)는 상부에 뚜껑이 달린 원료투입구(2) 및 하부에 두껑이 달린 처리물 취출구(3)를 갖는 발효조체(4)로 이루어지고, 해당 발효조체(4)에 가로 방향으로 장치된 모터(5)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효교반날개(6)를 설치함과 동시에, 발효조체(4)의 외주에 면상발열체(7) 및 단열재(8)를 설치하여 발효조(9)로 하고 있다.
또, 발효조(9)에 순환배관로(10)가 접속해 있고, 이와같은 순환배관로(10)의 경로중에 공기송풍기(11), 관로를 횡단하는 밸브(12)를 구비한 공기취입구(13) 및 제습수 회수기(14)를 구비한 제습기(15)를 개장하여 발효장치(1)로 하고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의 발효장치(1a)에 대하여는, 발효조(9)에 접속하고 있는 순환 배관로(10) 대신에 배기배관로(16)를 접속하고, 해당 배기배관로(16)의 경로중에, 상류측에서 물을 수용한 제 1탈취조(17),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18) 및 활성탄을 수용한 제 3탈취조(19)를 개장하여, 더욱 배기관로(16)의 경로중에 진공펌프(20)를 개장하여, 해당 진공펌프(20)에 의하여 발효조(9)내의 취기가스를 제 1탈취조(17), 제 2탈취조(18), 제 3탈취조(19)를 사이에 두고 외부로 배기시키고 있다.
또 제 1탈취조(17) 및 제 2탈취조(18)에 있어서 배기배관로(16)의 단부에는 기포노즐(17a, 18a)을 설치하여 폭기시키고 있고, 또 진공펌프(20)의 흡인측은 제 2탈취조(18)의 상부에, 배기측은 제 3탈취조(19)의 하방입구측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제 2탈취조(18)의 2산화염소수는 통상 물 100cc에 대하여 2산화염소를 10cc 정도 용해한 것이고, 2산화염소이 급격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넣은 안정화 2산화염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의 발효장치(1b)에 대하여는 상기 발효조(9)에 있어서 처리물 취출구(3) 대신에, 발효조체(4) 저부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셔터(21)를 장착한 개구부(22)를 설치하고, 해당 개구부(2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돌출둑(23)을 상방 설치하여 발효조(9)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효조(9)를 상단에 배치하고, 상방 개구하는 건조조체(24)를 하단에 배치하여 연결하고, 개구부(22)에 의하여 상하연통시키고 있다.
또, 건조조체(24)에는 가로방향으로 장치된 모터(25)에 의하여 구동되는 건조교반날개(26)를 설치함과 동시에, 건조조체(24)의 외주에 면상발열체(7) 및 단열재(8)를 설치하고, 더욱 저부에는 뚜껑이 달린 처리물 취출구(3)가 설치됨과 동시에, 밸브(12)를 구비한 공기취입구(13)를 설치하여 건조조(27)로 하고 있다.
또, 발효장치(1)에 있어서 공기송풍기(11), 밸브(12), 공기취입구(13), 제습수회수기(14), 제습기(15)등을 구비한 순환배관로(10)를 상단의 발효조(9)에 접속하여도 좋고, 또 발효장치(1a)에 있어서 제 1탈취조(17), 제2 탈취조(18), 제 3탈취조(19), 진공펌프(20)등을 구비한 배기배관로(16)를 접속하여도 좋다.
더욱, 동일하게 하단의 건조조(27)에 대하여도 순환배관로(10) 또는 배기배관로(16)나, 이들을 조합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의 발효장치(1c)에 대하여는 이와같은 발효장치(1c)의 발효조(9)는 저하에 설치하는 것으로, 지표(GL)에는 뚜껑이 달린 원료투입구(2)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중주벽(28)을 글라스 섬유 강화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으로 화성하여 발효조체(4)로 하고, 해당 발효조체(4)에는 지상에 설치되는 모터(5)와 풀리(29, 29a), 벨트(30)를 사이에 두고 구동되는 스크루식의 교반부재(31)를 설치하고 있다.
또, 교반부재(31)의 회전축(32)은 중공으로하고, 동시에 다수의 분사구(33, 33a)를 형성하고, 지상의 온풍송풍기(34)와 접속하고 있다.
또, 건조조(27)는 발효조(9)와 꼭같이 지하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지표(GL)에 뚜껑달린 처리물 취출구(3)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중주벽(28)을 글라스 섬유 강화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으로 화성하는 것으로, 발효조(9)에 있어서 교반부재(31)의 이송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또, 발효조(9)와 건조조(27)와의 사이의 지중격벽(35)에는 연통구멍(36)이 형성되고, 또 건조조(27)에 있어서 처리물 취출구(3)의 바로 아래에는 스크루컨베이어(37)를 배설하고 있다.
또, 발효장치(1)에 있어서 공기송풍기(11), 밸브(12), 공기취입구(13), 제습수회수기(14), 제습기(15)등을 구비한 순환배관로(10)를 발효조(9)에 접속하여도 좋고, 또 발효장치(1b)에 있어서 제 1탈취조(17), 제 2탈취조(18), 제 3탈취조(19), 진공펌프(20)등을 구비한 배기배관로(16)를 접속하여도 좋다.
더욱, 꼭같이 건조조(27)에 대하여도, 상기 순환배관로(10) 또는 배기배관로(16)나, 이들을 조합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38은 펠릿 제조장치이고, 해당 펠릿 제조장치(38)는 발효장치(1, 1a...)에 의하여 얻어진 발효처리물(A)이 투입되는 호퍼(39)를 구비한 스크루 압출기(40)로 이루어지고, 해당 스크루 압출기(40) 선단의 토출측에 설치된 다수의 토출구멍(41, 41a...)을 뚫어 설치한 토출플레이트(42)의 직후에, 해당 토출 플레이트(42)의 토출구멍(41, 41a...)으로 부터 압출된 원주상의 압출물을 일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43)를 배설하고 있다.
더욱, 도면중 44는 발효장치(1, 1a...)와 펠릿 제조장치(38)와의 사이에 설치된 처리물 이송관이다.
45는 펠릿 건조장치이고, 해당 펠릿 건조장치(45)는 펠릿 제조장치(38)에 의하여 제조된 펠릿 비료(C)의 투입구(46)와 취출구(47)를 갖는 수용체(48)에, 온풍송풍기(49)를 접속함과 동시에 배기관(50)을 접속하고 있다.
더욱, 펠릿 제조장치(38), 펠릿 건조장치(45)에도 취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술의 순환배관로(10) 또는 배기배관로(16),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접속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발명에 관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꼴풀, 부엌쓰레기, 분뇨, 생선찌꺼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M)과 호기성 발효균을 원료투입구(2)로 부터 발효장치(1, 1a...)에 있어서 발효조(9) 내에 투입하고, 모터(5)에 의하여 발효교반날개(6), 교반부재(31)를 작동시켜 교반하면서, 면상 발열체(7) 및 온풍송풍기(34)에 의하여 통상 40∼60℃에서 24시간 정도 가열하여 발효시켜 발효처리물(A)로 한다.
또, 순환배관로(10)를 구비하는 발효장치(1, 1a...)는 공기송풍기(11)에 의하여 발효조(9) 내의 취기가스를 순환배관로(10)에 흡인하고, 이와같은 취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분은 취기성분과 함께 제습기(15)에 의하여 응축되어 제습수회수기(14)내에 회수되어, 그후 탈취처리한 후 폐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발효에 필요한 공기를 안에 넣기 위하여, 밸브(12)를 열어 공기취입구(13)로 부터 공기를 보급한다.
또, 배기배관로(16)을 구비하는 발효장치(1, 1a...)는 진공펌프(20)에 의하여 발효조(9)내의 취기가스를 배기배관로(16)에 흡인하여, 제 1탈취조(17)내의 수중에 기포노즐(17a)로 부터 분사되어 폭기되는 것으로 인하여, 제 1탈취조(17)에서 주로 암모니아 등의 수용성 취기성분이 제거되고, 계속하여 다른 취기성분이 포함되는 취기가스는 제 2탈취조(18)내의 2산화염소수중에 기포노즐(18a)로 부터 분사되어 폭기되는 것으로 인하여, 다른 취기성분은 2산화염소에 의하여 산화분해되고, 더욱 나머지 취기성분의 포함되는 취기가스는 제 3탈취조(19)내에 도입되고, 잔존하는 취기성분은 거의 완전히 활성탄에 의하여 흡착 제거된다.
다음에, 발효장치(1)에 의하여 얻어진 발효처리물(A)은, 호퍼(39)내에 필요에 따라 물이나 바인더와 함께 투입되면, 스크루 압출기(40)내에서 혼련되면서 토출 플레이트(42)의 토출구멍(41, 41a)으로 부터 끈모양으로 압출되어, 이와같이 압출된 것을 커터(43)에 의하여 절단하여 펠릿비료(C)로 한다.
더욱, 펠릿비료(C)의 사이즈는 통상 직경 2∼5mm, 길이 3∼7mm 정도로 하고 있다.
그후, 펠릿비료(C)는 투입구(46)로 부터 펠릿 건조장치(45)내에 투입되고, 온풍송풍기(49)로 부터 송급되는 온풍에 의하여 통상 50∼60℃로 건조되어, 수기(受器)(51)로 취출되고,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펠릿 비료(C)는 골프장의 잔디, 밭, 기타의 식물의 비료로서 다시 산포시비된다.
다음에, 발효장치에 대하여는 발효조(9)에 의하여 원료를 발효시킨 후, 셔터(21)를 아래로 양쪽에서 개방하여 개구부(22)로 부터 발효처리물(A)를 건조조(27)내에 낙하시킨다.
이와같이 발효처리물(A)를 낙하시키더라도 발효조(9)의 개구부(22)의 주위에는 돌출둑(2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의 발효처리물(A)은 발효조(9) 내에 잔존하고, 이와같이 잔존한 발효처리물(A)은 다음회의 발효공정의 씨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처리물(A)이 수용된 건조조(27)에 있어서는 모터(25)에 의하여 건조교반날개(26)을 작동시켜 교반하면서 면상 발열체(7)에 의하여 가열하고 건조시키고 있다.
또, 이와같은 공정에 있어서 밸브(12)를 열어 공기취입구(13)로 부터 열풍을 불어넣어, 통상 70∼8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또, 발효 및 건조공정에 있어서 탈취에 대하여는 상기와 꼭같기 때문에 생략함과 동시에 펠릿비료(C)의 제조공정에 대하여도 생략한다.
더욱, 발효장치(1b)에 있어서는 건조공정과 동시에 발효공정도 행할 수 있으므로, 각 공정의 열을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발효장치에 대하여는 발효조(9) 내에 유기성 폐기물(M)을 호기성 발효균과 함께 투입하고, 교반부재(31)를 모터(5)에 의하여 정역회전시켜 교반하면서, 회전축(32)의 분사구(33, 33a)로 부터 온풍송풍기(34)에 의하여 열풍을 송급하여 가열시켜 발효시킨다.
이와같은 발효공정에 있어서는 교반부재(31)를 정역회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발효처리물(A)은 회전축(32)의 축방향으로 진퇴하면서 교반되는 것 뿐이므로, 건조조(27)내에는 진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발효공정이 종료하여 얻어진 발효처리물(A)은 모터(5)에 의하여 교반부재(31)를 정회전시킴으로서, 지중격벽(35)의 연통구멍(36)을 사이에 두고 건조조(27)로 이송되고, 이와같은 건조조(27)로 자연건조 또는 온풍등에 의하여 통상 80℃ 이하로 가열건조되고 그후 스크루컨베이어(37)에 의하여 처리물 취출구(3)로 부터 꺼내어진다.
또, 발효 및 건조공정에 있어서 탈취 및 펠릿 제조공정에 대하여는 상기와 꼭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발명의 효과]
요컨데 본발명은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9)에 공기송풍기(11), 공기취입구(13), 제습기(15)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10)를 접속한 발효장치(1)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M)를 발효시켰으므로, 발효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취기가스는 공기송풍기(11)에 의하여 흡인되어 제습기(15)에 공급되는 것으로 인하여, 가열된 공기는 외부에 배기되는 일없이 발효조(9)내로 되돌려짐과 동시에, 취기성분을 포함한 수분은 분리되기 때문에, 클로즈드(closed) 시스템으로 되어 열에너지 로스를 감소시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탈취하여 작업환경의 클린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유기성 폐기물(M)을 발효시킨 후 펠릿화하고, 그후 건조시켜 펠릿비료(C)로 함으로, 악취를 발생시키는 일없이 단시간에 처리하여 비료로서 유효 이용이 가능하고, 건조소각이나 폐기매설의 노동이나 장소가 전혀 필요없고,예를들면 꼴풀이면 골프장등에서는 비료로서 자가사용이 가능하다.
또,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9)를 상단에 배치하고, 더욱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건조조(27)를 하단에 배치하고, 해당 발효조(9)와 건조조(27)를 셔터(21)를 장착한 개구부(22)에 의하여 연통하고, 해당 개구부(22) 둘레 가장자리에 돌출둑(23)을 형성하였으므로, 발효조(9)에 의하여 원료를 발효시킨 후 셔터(21)를 아래로 양쪽으로 개방시켜 개구부(22)로 부터 발효처리물(A)을 건조조(27)내에 낙하시키더라도 발효조(9)의 개구부(22)의 주위에는 돌출둑(23)에 의하여 일부의 발효처리물(A)이 발효조(9)내에 잔존함으로서, 이와같은 발효처리물(A)을 다음회 발효공정의 씨로서 유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9)의 배기배관로(16)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18)를 개장시켰으므로, 발효처리에 있어서 발생하는 취기가스의 취기성분을 제거하여 작업환경의 클린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지하에 설치한 발효조체(4) 내에 가로방향으로 정역회전 가능한 스크루식의 교반부재(31)를 장치한 발효조(9)와, 해당 발효조(9)의 교반부재(31)의 이송방향으로 인접하여 지하에 설치된 건조조(27)로 이루어지고, 해당발효조(9)와 건조조(27)의 사이에 연통구멍(36)을 설치한 지중격벽(35)을 개재시켰으므로, 발효공정에 있어서는 교반부재(31)를 정역회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발효처리물(A)은 회전축(32)의 축방향으로 진퇴하면서 교반되는 것 뿐이므로, 건조조(27)내에 진행시키지 않고 발효처리할 수가 있고, 또 발효공정이 종료하여 얻어진 발효처리물(A)은 모터(5)에 의하여 교반부재(31)를 정회전시키므로서, 지중격벽(35)의 연통구멍(36)을 사이에 두고 건조조(27)로 이송할 수가 있고, 발효처리와 건조처리를 극히 원활히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효조(9) 및 건조조(27)도 지하에 설치할 수가 있어 대용량인 것일지라도 지상에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등 그 실용적 효과는 심히 큰 것이다.

Claims (16)

  1.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후에 펠릿으로 성형하고,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2.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를 상단에 배치하고, 더욱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건조조를 하단에 배치하고, 해당 발효조와 건조조를 셔터를 장착한 개구부에 의하여 연통하고, 해당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돌출둑을 형성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후에 펠릿으로 설형하고,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뒤에 펠릿으로 성형하고,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4.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의 배기배관로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시킨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뒤에 펠릿으로 성형하고,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한 배기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뒤에 펠릿으로 성형하고,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6. 지하에 설치한 발효조체내에, 가로방향으로 정역회전 가능한 스크루식의 교반부재를 장치한 발효조와 해당 발효조의 교반부재의 이송방향으로 인접하여 지하에 설치된 건조조로 이루어지고, 해당 발효조와 건조조이 사이에 연통구멍을 설치한 지중격벽이 개재하는 발효장치에 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후에 펠릿으로 성형하여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뒤에 펠릿으로 성형하여, 해당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한 배기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에 의하여 탈취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킨 뒤에 펠릿으로 성형하고, 그 펠릿을 건조시켜 펠릿 비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9.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발효장치와 발효처리물을 펠릿화하는 펠릿 제조장치와 펠릿 비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0.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를 상단에 배치하고, 더욱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건조조를 하단에 배치하고, 해당 발효조와 건조조를 셔터 달린 개구부에 의하여 연통하고, 해당 개구부 둘레 가장차리에 돌출둑을 형성한 발효장치와 발효처리물을 펠릿화 하는 펠릿 제조장치와, 펠릿 비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2. 가열수단과 교반수단을 구비한 발효조의 배기배관로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시킨 발효장치와 발효처리물을 펠릿화 하는 펠릿제조장치와 펠릿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한 배기배관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14. 지하에 설치한 발효조내에 가로방향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크루식의 교반부재를 장치한 발효조와, 해당 발효조의 교반부재의 이송방향으로 인접하여 지하에 설치된 건조조로 이루어지고, 해당 발효조와 건조조의 사이에 연통구멍을 설치한 지중격벽이 개재하는 발효장치와, 발효처리물을 펠릿화하는 펠릿 제조장치와 펠릿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발효조에 공기송풍기, 공기취입구, 제습기가 개장되는 순환배관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잇어서, 발효조에 2산화염소수를 수용한 제 2탈취조를 개장한 배기배관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19950008483A 1995-04-12 1995-04-12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20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483A KR100203394B1 (ko) 1995-04-12 1995-04-12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483A KR100203394B1 (ko) 1995-04-12 1995-04-12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21A KR960037621A (ko) 1996-11-19
KR100203394B1 true KR100203394B1 (ko) 1999-06-15

Family

ID=1941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483A KR100203394B1 (ko) 1995-04-12 1995-04-12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67B1 (ko) 2006-11-27 2007-06-08 주식회사 다우테크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형 액체비료의 생산 방법.
KR101330589B1 (ko) * 2010-12-24 2013-11-18 김선희 이동형 고속 진공 발효 교반기
KR101350238B1 (ko) 2013-11-19 2014-01-13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67B1 (ko) 2006-11-27 2007-06-08 주식회사 다우테크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형 액체비료의 생산 방법.
KR101330589B1 (ko) * 2010-12-24 2013-11-18 김선희 이동형 고속 진공 발효 교반기
KR101350238B1 (ko) 2013-11-19 2014-01-13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21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57386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456044B1 (ko) 유기물질의생물학적처리방법및그의수행장치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EP0733029B1 (en) A composting plant for organic waste and method for composting such waste
KR102284180B1 (ko) 유기성 슬러지 교반장치
KR100224502B1 (ko) 하수 및 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KR102243073B1 (ko) 가축분뇨 처리장치
KR100852873B1 (ko)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을 자원화 하는 방법과장치
KR101170602B1 (ko) 축분 발효장치
KR10020339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634977B1 (ko) 축분 연료화 시스템
KR20000059968A (ko)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시스템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JP2992506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03212562A (zh) 具备空气供应系统的有机废物处理装置
KR970010844B1 (ko)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JPH07308656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0182839B1 (ko) 가축분뇨의 밀폐형 층상 반응조 퇴비화 시스템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KR100589712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CN217817910U (zh) 基于农作物秸秆微生物分解残膜分离装置
KR102588331B1 (ko)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JP2955559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203924B1 (ko) 하수.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KR960003912B1 (ko) 유기성폐기물의고속발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