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568B1 - 기구용 주축 장치 - Google Patents

기구용 주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568B1
KR100201568B1 KR1019970003121A KR19970003121A KR100201568B1 KR 100201568 B1 KR100201568 B1 KR 100201568B1 KR 1019970003121 A KR1019970003121 A KR 1019970003121A KR 19970003121 A KR19970003121 A KR 19970003121A KR 100201568 B1 KR100201568 B1 KR 100201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spindle
circumferential surface
instrument hol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436A (ko
Inventor
큐이치 사또
슈지 후지따
Original Assignee
무라마츠 요시히로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마츠 요시히로, 니이가타 텟코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마츠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7006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6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 B23B31/261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clamping the end of the toolholder shank
    • B23B31/265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clamping the end of the toolholder shank by means of co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20Internally located features, machining or gripping of internal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76Milling with means to control temperature or lubricate
    • Y10T409/304032Cutter o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10T409/309408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 Y10T409/309464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and draw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내부 원주 표면 상에 정착 모서리를 갖고 주축(1)의 부착 구멍으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T)가 있는 기구용 주축 장치는, 외부 원주면 상에 정착 부분을 갖는 콜레트(12)를 확장시켜 정착 부분이 정착 모서리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에 의해 주축(1)에 정착된다.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수용 표면(12b, 12c)이 콜레트(12)의 내부 원주면 상에 형성된다. 주축(1)에는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압력 적용 표면(2d, 2e)에 의하여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밀대(2)가 구비되어, 밀대(2)가 전방 이동되어 기구 홀더(T)로 접근할 때 콜레트(12)의 압력 수용 표면(12b, 12c)을 누르게 된다.

Description

기구용 주축 장치
본 발명은 기구용 축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기구용 주축 장치로서는 도 8에서 보여 주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축 장치는 주축 31에 삽입되고, 이동 수단에 의해 도 8에서 우측 및 좌측으로 움직이는 파이프형 견인 막대 32, 견인 막대 32의 끝에 고정된 튜브 부재 33, 및 튜브 부재 33의 외부 원주상으로 맞추어진 확장 가능한 직경을 갖는 콜레트 34를 포함한다. 끝에 다가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압력 적용 표면 33a 및 33b가 튜브 부재 33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끝에 다가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압력 수용 표면 34a 및 34b가 콜레트 34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정착 부분 34c가 콜레트 34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주축 장치에 기구를 부착할 때 기구 홀더 T는 먼저 주축 31 내에서 부착 구멍 31a로 삽입되고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가 튜브 부재 33 상에서 맞추어진다(도 8의 상반부 참조). 다음에 견인 막대 32를 도 8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압력 수용 표면 34a 및 34b가 압력 적용 표면 33a 및 33b에 대하여 압력을 받아 콜레트 34의 직경이 확대된다. 결과적으로, 도 8의 하반부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정지 부분 34c는 기구 홀더 T의 정지 말단 Tb와 맞물리게 되어 기구 홀더 T를 주축 31에 정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통상적인 주축 장치는, 기구 홀더 T가 주축 31의 부착 구멍 31a로 삽입될 때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가 튜브 부재 33 상에서 맞추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기구 T는 주축 31(튜브 부재 33)의 중심 축과 직선으로 정확히 일직선이 되도록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곡선 경로를 따라 주축 31의 부착 구멍 31a로 삽입되는 자동 기구 교환 장치를 사용할 때,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튜브 부재 33 사이의 간격은 확대되어야 하고, 이에 의해 냉각제를 밀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통상적인 주축 장치에서 견인 막대 32의 수축은 콜레트 34가 확장되고 기구 홀더 T가 주축 31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견인 막대 32의 최대 수축량은 콜레트 34의 수축량 및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의 튜브 부재 33에 대한 최종 삽입량에 의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압력 적용 표면 33a 및 33b와 압력 수용 표면 34a 및 34b 사이에서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확대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어렵게 된다. 더욱이 압력 적용 표면 33a 및 33b와 압력 수용 표면 34a 및 34b 사이에서 클램프의 허용도는 간격 A 와 B의 넓이에 의해결정되기 때문에, 도 8에서 굵은 선의 위치가 일직선이 되지 않으면 간격 A 와 B는 사라지고 클램핑은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양호한 작업 정밀성은 엄중한 요구이다.
게다가, 견인 막대 32의 수축을 증가시킴으로써 기구 홀더 T 상에서 콜레트 34의 정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디스크 스프링이 사용되지만, 디스크 스프링 35는 비-연속적 요소이기 때문에 기구의 고속 회전 동안 진동이 더욱 발생하기 쉽도록 만든다. 또한, 콜레트 34를 수축시켜 기구를 주축 31로부터 제거할 때,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는 큰 회복력이 필요하도록 만들고 작업량이 증가된다. 더욱이 디스크 스프링 35는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가지므로 이들의 유지에 주의를 요한다.
한편, 자동 기구 교환 장치의 안내 정밀도는 비교적 낮고, 주축 31에 관한 기구 삽입 경로가 튜브 부재 33의 중심축과 일직선이 되지 않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튜브 부재 33의 내부 원주 표면과 여기에 부착된 밀봉 부재 36은, 곡선 삽입 경로를 그리는 상기 기구 교환 장치의 경우 뿐 아니라 직선 삽입경로를 갖는 기구 교환 장치의 경우에도 빨리 노화되는 경향이 있어, 이들 역시 유지에 주의를 요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용 주축 장치의 한 태양의 종단면도.
도 2는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과 이동 가능 부재 사이의 관련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콜레트의 단면도.
도 4는 콜레트, 정지 다리, 및 맞물림 돌기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1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클램프 부분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부재를 보여주는, 도 1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용 주축 장치의 제 2 태양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링 부분과 트렁크 엽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통상적인 기구용 주축 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본 발명은, 정착 부분이 주축의 부착 구멍으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의 내부 원주 표면과 맞물리도록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기구 홀더를 주축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부분을 외부 원주 표면 상에 갖는 콜레트를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로서, 여기에서,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수용 표면이 콜레트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주축에는 기구 홀더 쪽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밀대가 구비되고; 그리고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적용 표면이 밀대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콜레트의 압력 수용 표면을 가압하여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주축 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밀대의 전진에 의해 기구 홀더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을 맞추기 위한 튜브형 맞춤 부분이 밀대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콜레트는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밀대가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전진할 때 콜레트를 수축시키기 위한 콜레트 수축 수단이 밀대와 콜레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구용 주축 장치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는, 맞춤 부분을 닫기 위한 미는 스프링에 의하여 끝 쪽을 향하여 편향되고,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에 맞추면서 바닥 쪽을 향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맞춤 부분을 여는 밸브가 맞춤 부분에 구비된다.
이 경우 콜레트 수축 수단은, 밀대와 함께 전진하는 수축 감소 표면; 주축의 전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부착되는 정지 부재; 밀대의 전진으로 수축 감소 표면에 의해 밀릴 때 밀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지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이동 가능 부재; 콜레트에 의해 밀릴 때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밀대의 전진에 의한 이동 가능 부재의 방사상 외부 운동과 함께 콜레트를 수축시키는 수축 부재; 및 전진 방향으로 수축 부재를 편향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한다.
또는, 콜레트 수축 수단은,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밀대가 이 안으로 기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콜레트에 부착된 원통형 수축 부재; 전진을 정지시키도록 주축에 부착되고 밀대가 이 안으로 기밀 방식으로 삽입되고, 기밀 방식으로 수축 부재로 삽입되고 수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정지 부재; 정지 부재와 수축 부재 사이에 형성된, 이 안으로 액체가 밀봉되는 원통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기구 홀더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밀대가 주축에 구비되고, 이 밀대는 튜브형 막대 주몸체 및 그의 끝으로 나사 고정되는 튜브 부재를, 막대 주몸체와 튜브 부재 사이에 위치한 조정 스페이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는데, 밀대의 전 길이는 막대 주몸체와 튜브 부재 사이에서 나사 고정 폭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한 태양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밀대 2는 주축 1의 중심 구멍에 동심원상으로 삽입된다. 밀대 2는 파이프-형 막대 주몸체 2a 끝의 외부 원주 표면으로 나사 고정된 튜브 부재 2b를 포함하고 이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1에서 우측 및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정 스페이서 3은 막대 주몸체 2a와 튜브 부재 2b 사이에 구비되고 밀대 2의 길이는 막대 주몸체 2a와 튜브 부재 2b 사이에서 나사 고정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막대 주몸체 2a와 튜브 부재 2b 사이의 접합 부분은 밀봉 부재 4에 의하여 밀봉된다.
막대 주몸체 2a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수축 감소 표면 2c는 막대 주몸체 2a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튜브 부재 2b의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적용 표면 2d, 2e는 튜브 부재 2b 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튜브 부재 2b의 개방 말단 부분은, 주축 1의 부착 구멍 1b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 T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맞는 맞춤 부분 2f를 형성한다.
이동 가능 튜브 5 및 복귀 스프링 6이 튜브 부재 2b 내부에 구비되고, 밀봉 부재 7은 맞춤 부분 2f 말단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구비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가능 튜브 5가 미는 스프링 9에 의하여 밸브 시트 5a 에 대하여 밀릴 때 이동 가능 튜브 5를 폐쇄하는 밸브 10이 이동 가능 튜브 5에 구비된다. 밀대 2가 맞춤 부분을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맞추기 위하여 전방 이동될 때, 이 밸브 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부분 Ta에 의하여 밀려 밸브 시트 5a로부터 분리되어, 냉각제 연결 부분 Ta에 형성된 구멍 H를 통하여 냉각제가 자유롭게 흐르게 허용된다.
이 경우, 맞춤 부분 2f 및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가 밀대 2의 전방 운동에 의하여 함께 맞추어 질 때 복귀 스프링 6은 이동 가능 튜브 5에 대하여 밀리고 압축된다. 또한, 튜브 부재 2b와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 사이의 맞춤 부분은, 튜브 부분 Ta의 외부 원주 표면에 접촉하는 밀봉 부재 7에 의하여 밀봉된다.
콜레트 12는 밀대 2의 튜브 부재 상에서 맞추어 진다. 콜레트 12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2 개의 번들 링 13에 의하여 튜브 형태로 묶여지는 8 개의 콜레트 부분 12a를 포함한다. 콜레트 12의 끝에 다가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수용 표면 12b, 12c가 콜레트 12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밀대 2가 도 1에서 좌측으로 전진할 때, 압력 수용 표면 12b, 12c는 튜브 부재 2b의 압력 적용 표면 2d, 2e에 의하여 가압되고, 콜레트 12는 도 1, 3 및 4의 하반부에서 보여주듯이 확대된다. 한편, 밀대 2가 물러날 때, 콜레트 12는 도 1, 3 및 4의 상반부에서 보여주듯이 수축한다.
콜레트 12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정착 부분 12d 및 맞물리는 홈 12e가 형성된다. 정착 부분 12d는 주축 1의 부착 구멍 1b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 T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서 정착 모서리 Tb와 맞물리고, 그 결과 기구 홀더 T는 주축 1에 정착된다.
정지 부재 15 및 수축 부재 16은 15a, 16a를 통과하는 밀대 2의 막대 주몸체 2a와 함께 주축 1의 중심 구멍 1a로 삽입된다. 4 개의 정지 다리 15b가 부착 구멍 쪽에 정지 부재 15의 한쪽 말단 상에 구비되고, 6 개의 지지 부분 15c는 각각 도 4 및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표준 간격을 가지고 다른 말단 상에 구비된다. 각각의 정지 다리 15b는 주축 1의 계단 부분 1c와 접촉하고, 그 결과 정지 부재 15는 도 1에서 좌측으로 더 이상의 진행이 정지된다.
강철 구로 구성되는 이동 가능 부재 17은 각 지지 부분 15c 상에서 지지된다. 이동 가능 부재 17은 밀대 2의 방사상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밀대 2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수축 감소 표면 2c에 의해 밀리는 것에 의하여 밀대 2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수축 부재 16은 정지 부재 15의 정지 다리 15b, 15b 사이에 위치하는 4 개의 트렁크 부분 16c로 구성되고, 콜레트 12의 맞물림 홈 12e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 16b는 트렁크 부분 16c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수축 부재 16 상에는, 이동 가능 부재 17에 대향하는 표면이, 콜레트 12에 접근할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수축 경사 표면 16d로 형성되고, 수축 부재 16은 이 수축 경사 표면 16d에서 이동 가능 부재 17과 접촉한다. 또한, 수축 부재 16은 코일-형 편향 스프링(편향 수단) 18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편향된다.
즉, 밀대 2가 전진할 때, 수축 경사 표면 2c에 대하여 밀리는 이동 가능 부재 17은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축 경사 표면 16d에 대하여 밀려서, 그 결과 콜레트 12는 수축 부재 16과 함께 수축(복귀)한다.
다음에는 본 구조에 따른 기구용 주축 장치의 기능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의 상반부는 이완된 상태의 기구 홀더 T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밀대 2가 좌측으로 전진할 때 콜레트 12의 압력 수용 표면 12b, 12c는 압력 적용 표면 2d, 2e에 의하여 밀려서 콜레트 12는 화대되고 정착 부분 12d는 기구 홀더 T의 정착 말단 Tb와 맞물리는 한편, 튜브 부재 2b는 기구 홀더 T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맞추어진다.
다른 말단에서, 이동 가능 부재 17은 밀대 2의 수축 경사 표면 2c에 의해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밀려서, 수축 부재 16의 수축 경사 표면 16d를 우측으로 밀게된다. 이동 가능 부재 17에 의하여 밀린 수축 부재 16은 콜레트 12와 함께 우측으로 수축하고 기구 홀더 T를 주축 1 쪽으로 끌어, 도 1의 하반부에서 보듯이 기구 홀더 T를 주축 1에 단단히 정착시킨다.
밀대 2의 튜브 부재 2b 가 기구 홀더 T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맞추어질 때, 밸브 10은 튜브 부분 Ta에 의하여 밀려서 밸브 시트 65a 로부터 분리되고, 냉각제를 기구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밀대 2가 수축될 때 번들 링 13의 탄성은 콜레트 12가 수축되도록 하고, 정착 부분 12d는 기구 홀더 T의 정착 모서리 Tb로부터 분리되며, 수축 부재 16은 편향 스프링 18의 힘에 의해 전진되어 콜레트 12가 기구 홀더 쪽으로 돌출되도록 만든다. 결과적으로, 기구 홀더 T는 정착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된다. 이동 가능 튜브 5가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로부터 분리될 때, 미는 스프링 9의 작용은 밸브 10이 밸브 시트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고, 이동 가능 튜브 5는 폐쇄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두 번째 태양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태양에서, 강철 콜레트 12A의 각 콜레트 부분 12a는 링 부재 12f와 단위적으로 제공되고 자신의 탄성으로 인하여 확장(또는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듯이, 콜레트 12A는 링 부재 12f에서 수축 부재 16A의 4 개의 트렁크 부분 상에서 나사 고정되고, 링 부재 12f는 스크류 21에 의하여 수축 부재 16A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콜레트 12A에 대한 수축 부재 16A의 위치는 트렁크 부분 12f와 링 부재 12f 사이에서 스크류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수축 부재 16A는 원통형으로, 밀대 2A의 막대 주몸체 2a의 큰 직경 부분 2g는 그의 통과 구멍 16a를 통하여 삽입되고, 밀대 2A의 막대 주몸체 2a의 작은 직경 부분 2h는 정지 부재 15A의 통과 구멍 15a를 통과한다. 이들 통과 구멍 15a, 16a와 막대 주몸체 2a 사이의 연결 부분은 밀봉 부재 22, 23에 의하여 밀봉된다. 또한, 정지 부재 15A는 수축 부재 16A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정지 부재 15A와 수축 부재 16A 사이의 연결 부분은 밀봉 부재 24에 의하여 밀봉된다. 결과적으로, 오일 등과 같은 액체를 담는 원통실 S가 정지 부재 15A와 수축 부재 16A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본 태양의 주축 장치의 다른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고, 따라서 이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지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6의 주축 장치에서, 밀대 2A가 도 6의 상반부에서 보여 주듯이 정착 상태에서 기구 홀더 T와 함께 전진할 때 압력 적용 표면 2d는 압력 수용 표면 12b 상을 가압하여, 도 1의 주축 장치에서와 같이 콜레트 12A를 확장시킨다. 밀대 2A의 전방 운동은 또한 큰 직경 부분 2g가 원통실 S로 들어가도록 하여 원통실 S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수축 부재 16A가 물러 나서 원통실 S의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콜레트 12A는 도 6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기구 홀더 T는 도 6의 하반부에서 보여 주듯이 주축 쪽으로 끌려서 기구 홀더 T가 주축 1로 단단히 정착된다.
한편, 밀대 2A가 정착된 상태에서 기구 홀더 T와 함께 수축될 때, 콜레트 12A는 수축하고 정착 위치 12d는 정착 모서리 Tb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수축 부재 16A는 바이어스 스프링 18에 의해서 밀려 콜레트 12A를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
도 1의 주축 장치에서, 수축 감소 표면 2c, 이동 부재 17, 수축 부재 16 및 바이어스 스프링 18은 콜레트 수축 수단을 형성한다. 한편, 도 6의 주축 장치에서콜레트 수축 수단은 수축 부재 16A, 정지 부재 15A, 원통실 S 및 바이어스 스프링 18로 구성된다.
콜레트 12, 12A에서 콜레트 부분 12a의 수, 정지 부재 15, 15A상의 정지 다리 15b의 수, 수축 부재 16, 16A상의 트렁크 부분의 수, 및 대응하는 요소의 평태는 도면에 나타낸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고안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용 주축 장치에서, 밀대 2의 정착된 (전방) 이동량은 다른 요소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적용 표면 2d, 2e 및 압력 수용 표면 12b, 12c의 확장 기능은 충분히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통상적인 장치의 확장 능력은 약 3 배이나, 본 발명은 이것을 7 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스프링 에너지는 감소될 수 있고 비연속적 디스크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유지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전진을 위한 스프링 에너지는 작고, 따라서 수축을 위하여 요구되는 에너지(정수압) 역시 작아질 수 있어 본 발명을 경제적으로 만든다.
게다가, 확장 기능과 부착 기능은 별도의 작업에 의하여 수행되어, 콜레트 12와 기구 홀더 T는 콜레트 12와 기구 홀더 T의 위치가 다소 일직선이 되지 않더라도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클램프 허용도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장치보다 제조가 쉽고 압력 적용 표면 및 압력 수용 표면이 낡아도 고정이 가능하여, 경제성 및 유지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콜레트 12를 확장시키기 위한 밀대 2의 전방 운동과 함께 기구 홀더 T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 Ta와 맞추기 위한 튜브 맞춤 부분 2f가 밀대 2의 끝 부분 상에 형성될 때, 튜브 부분 2b는 수축하고 기구 홀더 T의 주축 1이 부착 구멍 1b로 삽입될 때 방해되지 않는다. 게다가, 기구 홀더 T의 삽입 부분은 튜브 부재 2b의 중심축과 정확히 일직선으로 되어야 할 필요가 없어, 가이드 정확도가 낮고 기구 홀더 T의 삽입 경로가 비정형인 자동 기구 교환 장치의 경우에나, 또는 삽입중 곡선 경로를 따르는 고속 자동 기구 교환 장치의 경우에 항상 주축 1의 부착 구멍 1b로 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게다가, 수축 감소 표면 2c, 이동 부재 17, 수축 부재 16 및 바이어스 스프링 18에 의하여 콜레트 수축 수단을 형성할 때, 콜레트 12의 확장 및 수축을 위한 시간은 수축 감소 표면 2c의 위치 조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수축 부재 16A, 정지 부재 15A, 원통실 S 및 바이어스 스프링 18에 의하여 콜레트 수축 수단을 형성할 때, 바이어스 스프링 18의 바이어스력은 원통실 S 내 함유된 액체의 양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Claims (7)

  1. 정착 부분이 주축의 부착 구멍으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의 내부 원주 표면과 맞물리도록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기구 홀더를 주축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부분을 외부 원주 표면 상에 갖는 콜레트를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로서, 여기에서,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수용 표면이 상기 콜레트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주축에는 기구 홀더 쪽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밀대가 구비되고; 그리고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적용 표면이 상기 밀대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콜레트의 압력 수용 표면을 가압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
  2. 정착 부분이 주축의 부착 구멍으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의 내부 원주 표면과 맞물리도록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기구 홀더를 주축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부분을 외부 원주 표면 상에 갖는 콜레트를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로서, 여기에서,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수용 표면이 상기 콜레트의 내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주축에는 기구 홀더 쪽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밀대가 구비되고; 끝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압력 적용 표면이 상기 밀대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되고,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콜레트의 압력 수용 표면을 가압하고; 그리고 상기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상기 밀대의 전진에 의해여 상기 기구 홀더의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을 맞추기 위한 튜브형 맞춤 부분이 상기 밀대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기구용 주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트는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밀대가 상기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전진할 때 상기 콜레트를 수축시키기 위한 콜레트 수축 수단이 밀대와 콜레트 사이에 구비되는 기구용 주축장치.
  4.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부분을 닫기 위한 미는 스프링에 의하여 끝 쪽을 향하여 편향되고, 상기 냉각제 연결 튜브 부분에 맞추면서 바닥 쪽을 향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맞춤 부분을 여는 밸브가 상기 맞춤 부분에 구비되는 기구용 주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트 수축 수단은, 상기 밀대와 함께 전진하는 수축 감소 표면; 상기 주축의 전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부착되는 정지 부재; 상기 밀대의 전진으로 상기 수축 감소 표면에 의해 밀릴 때 상기 밀대의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정지 부재에 의해 고정된 이동 가능 부재; 상기 콜레트에 의해 밀릴 때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밀대의 전진에 의한 상기 이동 가능 부재의 방사상 외부 운동과 함께 상기 콜레트를 수축시키는 수축 부재; 및 전진 방향으로 상기 수축 부재를 편향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트 수축 수단은,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밀대가 이 안으로 기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콜레트에 부착된 원통형 수축 부재; 전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주축에 부착되고 상기 밀대가 이 안으로 기밀 방식으로 삽입되고, 기밀 방식으로 상기 수축 부재로 삽입되고 상기 수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정지 부재; 및 상기 정지 부재와 상기 수축 부재 사이에 형성된, 이 안으로 액체가 밀봉되는 원통실을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장치.
  7. 정착 부분이 주축의 부착 구멍으로 삽입되는 기구 홀더의 내부 원주 표면과 맞물리도록 콜레트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기구 홀더를 주축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부분을 외부 원주 표면 상에 갖는 콜레트를 포함하는 기구용 주축 장치로서, 여기에서, 상기 주축에는 상기 콜레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구 홀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밀대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밀대는 튜브형 막대 주몸체 및 그의 끝으로 나사 고정되는 튜브 부재를, 상기 막대 주몸체와 상기 튜브 부재 사이에 위치한 조정 스페이서와 함께 포함하고, 상기 밀대의 전 길이는 상기 막대 주몸체와 상기 튜브 부재 사이에서 나사 고정 폭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되는 기구용 주축장치.
KR1019970003121A 1996-02-01 1997-01-31 기구용 주축 장치 KR100201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689296A JP3785544B2 (ja) 1996-02-01 1996-02-01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P08-016892 1996-02-01
JP8-016892 1996-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436A KR970061436A (ko) 1997-09-12
KR100201568B1 true KR100201568B1 (ko) 1999-06-15

Family

ID=119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121A KR100201568B1 (ko) 1996-02-01 1997-01-31 기구용 주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60776A (ko)
EP (1) EP0787549B1 (ko)
JP (1) JP3785544B2 (ko)
KR (1) KR100201568B1 (ko)
CN (1) CN1074338C (ko)
DE (1) DE69711737T2 (ko)
TW (1) TW357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9353A (en) * 1998-04-03 2000-05-09 Radloc Enterprises, Llc Apparatus for releasably securing a vehicle component
US6089674A (en) * 1998-04-03 2000-07-18 Radloc Enterprises, Llc Lockable wheel spindle assembly
JP3118512B2 (ja) * 1999-04-13 2000-12-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具クランプ機構及びプルスタッド
JP3268495B2 (ja) * 1999-07-09 2002-03-25 ホーコス株式会社 工作機械の主軸装置
DE29922642U1 (de) * 1999-12-24 2000-02-24 Roe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031027B4 (de) * 2000-06-26 2004-03-04 Chiron-Werke Gmbh & Co Kg Spannmechanismus für eine Spindel in einer Werkzeugmaschine
JP4761648B2 (ja) * 2001-04-27 2011-08-31 ユキワ精工株式会社 工具ホルダー挟持装置
JP4782312B2 (ja) * 2001-05-30 2011-09-28 黒田精工株式会社 工具保持具装着装置
US20030206780A1 (en) * 2002-01-02 2003-11-06 Hsi-Kuan Chen Spindl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DE10241613A1 (de) * 2002-09-07 2004-03-18 Rö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316244B3 (de) * 2003-04-09 2004-07-29 Siemens Ag Bearbeitungsspindel mit Ausstoßfunktion
US7144207B2 (en) * 2003-07-29 2006-12-05 The Boeing Company Fluid chuck device and method
DE10338610B4 (de) * 2003-08-22 2015-05-07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Schnittstelle
DE10342951B3 (de) * 2003-09-17 2005-04-28 Ott Jakob Spanntech Gmbh & Co Spannvorrichtung
KR100970558B1 (ko) * 2003-12-27 2010-07-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공형 공구의 스핀들 콜렛장치
JP4730939B2 (ja) * 2004-03-31 2011-07-20 コマツNtc株式会社 主軸装置
DE102005008892A1 (de) * 2005-02-26 2006-09-07 Ott-Jakob Gmbh & Co. Spanntechnik Kg Spannvorrichtung
DE102005016870A1 (de) * 2005-04-07 2006-10-12 Kaltenbach & Voigt Gmbh Medizinisches, insbesondere dentalmedizinisches, Handstück mit einer lösbaren Kupplung für einen Werkzeughalter
GB0609180D0 (en) * 2006-05-09 2006-06-21 Gsi Group Ltd Tool holder spindles
DE102007002559B4 (de) * 2007-01-17 2008-11-20 Witzig & Frank Gmbh Werkzeugspanner mit Selbsthaltefunktion
DE102007009578A1 (de) * 2007-02-26 2008-08-28 Röhm Gmbh Spannvorrichtung
JP2008272885A (ja) * 2007-04-27 2008-11-13 Riken Seiki Kk ワーク保持装置
DE102008022826A1 (de) * 2008-05-07 2009-11-12 Röhm Gmbh Spannkopf
DE102009043270A1 (de) * 2009-09-29 2011-03-31 ORTLIEB Präzisions-Spannzeuge GmbH & Co Werkzeugspannvorrichtung für einen Werkzeughalter mit zentralem Verstellbolzen
JP5337009B2 (ja) * 2009-11-30 2013-11-06 理研精機株式会社 工具ホルダー保持体
KR101131456B1 (ko) * 2010-06-09 2012-04-12 박성원 툴 클램핑 장치
WO2013132974A1 (ja) * 2012-03-08 2013-09-1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イドブッシュ調節装置
DE102017105934B4 (de) 2017-03-20 2018-11-22 Gebr. Heller Maschinenfabrik Gmbh Maschinenspindelanordn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CN106903341A (zh) * 2017-05-01 2017-06-30 桐乡市百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棒材侧销孔的加工装置
US11033971B2 (en) 2017-05-09 2021-06-15 Schaublin Sa Clamping device for holding a collet
IT201900011742A1 (it) * 2019-07-15 2021-01-15 Algra S P A Dispositivo per il cambio rapido di adattatori di portautensili
CN212823945U (zh) * 2020-06-17 2021-03-30 南京卓迈机械有限公司 一种刀座夹持机构
JP2022131340A (ja) * 2021-02-26 2022-09-07 Dgshape株式会社 スピンド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切削加工装置
CN113601432B (zh) * 2021-07-21 2022-09-13 丹阳市剑庐工具有限公司 一种附属工具快速夹持装置及工作方法
CN113681321B (zh) * 2021-08-31 2022-09-06 河北力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刀柄回转平浮夹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7803B (it) * 1975-05-02 1979-11-20 Benatti Edmo Dispositivo di bloccaggio automatico dei portautensili nel mandrino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di macchine fresatrici
US4068559A (en) * 1976-07-30 1978-01-17 Schmid Jr Herbert Tool fastening device
CN85101126A (zh) * 1985-04-01 1987-01-17 胡勒·希勒有限公司 在加工设备中更换刀夹加工工件的方法和布局
DE8816743U1 (ko) * 1987-05-11 1990-06-07 Gottlieb Guehring Kg, 7470 Albstadt, De
DE8805690U1 (ko) * 1988-04-29 1989-08-31 A. Ott Gmbh, 8960 Kempten, De
DE3939227A1 (de) * 1989-04-05 1990-10-11 Hertel Ag Werkzeuge Hartstoff Spannvorrichtung zum axialen spannen eines werkzeugkopfes an einer werkzeugmaschinenspin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85544B2 (ja) 2006-06-14
EP0787549B1 (en) 2002-04-10
DE69711737T2 (de) 2002-11-21
JPH09207010A (ja) 1997-08-12
US5860776A (en) 1999-01-19
TW357110B (en) 1999-05-01
KR970061436A (ko) 1997-09-12
CN1074338C (zh) 2001-11-07
CN1162515A (zh) 1997-10-22
DE69711737D1 (de) 2002-05-16
EP0787549A1 (en) 199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568B1 (ko) 기구용 주축 장치
US4345748A (en) Fluid damped unit, particularly for use as shock absorber or telescopic strut
US4347753A (en) Mechanism for operating a collet chuck
US6077003A (en) Tool holder
AU618846B2 (en) Clamping device for connecting a tool head to a tool holder of a machine tool
US4712720A (en) Device for mutually centering and clamping two pipe bodies to be welded to one another
US3389621A (en) Boring tools
KR970073856A (ko) 워크 서포트
US6370995B1 (en) Holder including a hydraulic piston for the detachable assembly of cutting tools
US5284348A (en) Apparatus for cutting ocular lens materials
US5746552A (en) Adjustable drill bushing
RU2272725C2 (ru) Главный тормозной цилиндр с канавками для прохода тормозной жидкости
US4580796A (en) Hydraulic clamping nut
CN101321968B (zh) 筒夹控制的松紧调节器
BG61172B1 (bg) Свързващо устройство за тръбопроводи за работни флуиди
US6056328A (en) Coupler for connecting tubular member without deformation of tubular member due to concentration of stress
SK110397A3 (en) Expanding tool for cold-forming
US5967528A (en) Workpiece chucking device
SU148430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й труб, имеющих утолщенные концы, внутренним давлением рабочей среды на прессе
US2491093A (en) Lens mount
SU1691578A1 (ru) Гидроцилиндр с демпф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EP0826451A1 (en) Self-centring device for supporting rotatable bar stocks
JPH07178480A (ja) 管端膨出部形成装置
SU10960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ма заготовок
SU1399041A1 (ru)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