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307B1 -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307B1
KR100201307B1 KR1019950033518A KR19950033518A KR100201307B1 KR 100201307 B1 KR100201307 B1 KR 100201307B1 KR 1019950033518 A KR1019950033518 A KR 1019950033518A KR 19950033518 A KR19950033518 A KR 19950033518A KR 100201307 B1 KR100201307 B1 KR 10020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recorded
audio signal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455A (ko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307B1/ko
Publication of KR97001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하나의 영상신호에 그 종류가 상이한 복수개의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함으로써, 일반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음성다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디오트랙을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N개로 분할하고; 오디오트랙에 기록된 메인 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며; 별도로 기록하고자 하는 서브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고; 각각 1/N배로 압축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N개로 분할된 오디오트랙에 번갈아 기록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발명은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와 함께 기록된 메인 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여 기록하고 , 음성신호가 기록되는 오디오트랙의 잔여섹터에는 서브음성신호(별도의 음성신호)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등과 같은 기록매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비디오 트랙(video track)의 상측에 음성신호가 기록되는 오디오 트랙(audio track)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섹터와 오디오섹터에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동기시켜 기록함으로써 , 재생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동기되어 출력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에는 초기에 제작된 국가별로 해당 국가의 국어를 사용하여 기록함에 따라 이러한 기록매체를 타국가에서 재생할 경우, 메인 음성신호로 뜻을 이해하기 난해하여, 결국, '더빙' 이라는 별도의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국가의 국어로 번역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 더빙' 이라 함은 메인 음성신호가 기록된 오디오트랙에 새로운 서브음성신호등을 중복 기록하도록 한 것으로서, 메인 음성신호의 뜻을 분석하여 해당 국가의 국어로 번역한 후, '성우' 등과 같은 전문직업인이 해당 영상신호를 시청하면서 해당 영상신호와 인위적으로 동기시켜 번역된 새로운 음성신호를 기록하도록 한 방식을 말한다.
그러나, '더빙' 기능을 사용한 기록매체에는 서브음성신호로 인하여 메인음성신호가 삭제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동시에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음성 다중방식)이 도입되어 있지만, 이 음성 다중방식은 매우 복잡한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통상 텔레비전 방송국과 같은 전문방송기관에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음성다중방식은 매우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동시에 기록시키고,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 음성신호 또는 서브음성신호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메인 음성신호 또는 서브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매체에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각각 1/N배로 압축시켜 기록하여 기록매체의 기록밀도를 향상시킨 기록매체의 음성 다중신호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각각 압축되어 기록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의 시작부분에 각각의 인식부호를 삽입 함으로써, 재생시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음성신호가 용이하게 선택 될 수 있도록 한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기록매체에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기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인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 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음성다중신호가 기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성신호 압축방식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피치검출기 21 : 메모리
22 : 음성신호 변조부 23 : 음성신호 합성부
24 : 코드 발생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각각 비디오 트랙 및 오디오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트랙을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N개로 분할하고;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 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며; 별도로 기록하고자 하는 서브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고; 각각 1/N배로 압축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N개로분할된 오디오 트랙에 번갈아 기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1/N배로 압축된 각각의 음성신호는, 시작부분에 해당 음성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인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 인 블록도이다 .
도시된 바와 같이 , 입력되는 메인 음성신호 또는 서브음성신호로부터 무성음 및 유성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피치 검출기(20)와, 상기 피치 검출기(20)에서 분리된 무성음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21)와, 상기 피치 검출기(20)에서 분리된 유성음을 삭제 또는 부가시켜 변조시키는 음성신호 변조부(22)와, 상기 메모리(21)에 저장된 무성음을 읽어들이고, 음성신호 변조부(22)에서출력되는 변조된 유성음을 합성시키고, 합성된 음성신호의 전단에 코드를 부가시켜 메인 음성신호 또는 서브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합성부(23)와, 상기 음성신호 합성부(23)에 합성된 음성신호가 메인 음성신호인지 , 또는 서브음성신호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 발생부(24)로 구성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에 음성다중신호가 기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트랙을 복수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오디오 섹터에 메인 음성신호 서브음성신호를 번갈아 기록한다. 이때, 메인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번갈아 기록하는 주기는 한 프레임을 주기로 설정하거나, 시청자가 임의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동일한 용량의 오디오 트랙에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동시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각각 1/2배의 크기를 갖도록 압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압축방식은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음성신호 변속재생장치 (특허출원 제 92-24514 호, 출원일자: 1994년 9월 28일)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록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성신호(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가 입력되면, 피치검출기(20)를 이용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분리한다. 이후, 무성음은 메모리(21)에 일시 저장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 변조부(22)는 유성음의 각 주기별 파형을 하나씩 걸러 기록한다. 이때, 유성음은 일정한 주기를 갖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유성음을 주기 단위로 각각 분할한 후, 분할된 각각의 파형을 하나씩 걸러 검출한다. 이후, 변조된 유성음파형을 메모리(21)에 저장된 무성음파형과 결합으로써, 음성신호는 1/2의 크기를 갖도록 압축된 새로운 변조 음성신호 파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압축 변조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는 기록매체의 오디오 트랙에 각각 번갈아 기록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변조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에는 해당 오디오 섹터에 기록된 각각의 음성신호가 메인 음성신호인지 또는 서브음성신호인지를 나타내는 분류코드가 코드 발생부(24)에 의해 발생되어 음성신호와 함께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메인 음성신호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 음성신호가 기록된 오디오 섹터로부터 일정간격을 주기로 하여 하나씩 걸러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시청자가 서브음성신호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음성신호가 기록된 오디오 섹터로부터 일정간격을 주기로 하여 하나씩 걸러 음성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음성압축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기록매체에 음성다중신호를 용이하게 기록할 있고, 기록된 각각의 음성신호에 대한 정보가 분류코드로 기록되므로 시청자가 선택한 음성신호만을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록매체에 하나의 메인 음성신호와 하나의 서브음성신호가 기록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압축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오디오 섹터에 기록된 음성신호를 3 또는 그 이상으로 압축 기록할 수 있으므로, 메인 음성 신호와 복수개의 서브음성신호를 번갈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학학습용 테이프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의하면, 음성신호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메인 음성신호와 복수개의 서브음성신호를 각각 1/N배로 압축시켜 기록매체에 메인 음성신호와 복수개의 서브음성신호를 번갈아 기록함으로써, 시청자가 메인 음성신호 또는 복수개의 서브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음성다중방송을 용이하게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 메인 음성신호와 복수개의 서브음성신호를 번갈아 기록함으로써 , 기록매체의 기록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압축기록방식에 의해 각각 압축되어 기록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의 시작부분에 각각의 인식부호를 삽입함으로써, 재생시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음성신호가 용이하게 선택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성신호가 각각 비디오 트랙 및 오디오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트랙을 소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1/N배로 분할하고;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 메인 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며; 별도로 기록하고자 하는 서브음성신호를 1/N배로 압축하고; 각각 1/N배로 압축된 메인 음성신호와 서브음성신호를 N개로 분할된 오디오 트랙에 번갈아 기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N배로 압축된 각각의 음성신호는, 시작부분에 해당음성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분류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KR1019950033518A 1995-09-30 1995-09-30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KR10020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518A KR100201307B1 (ko) 1995-09-30 1995-09-30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518A KR100201307B1 (ko) 1995-09-30 1995-09-30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55A KR970017455A (ko) 1997-04-30
KR100201307B1 true KR100201307B1 (ko) 1999-06-15

Family

ID=1942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518A KR100201307B1 (ko) 1995-09-30 1995-09-30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3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55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7199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record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information record medium
EP1235221B1 (en) Information record medium
CN100375531C (zh) 信息记录介质、以及用于上述的记录装置和重放装置
KR100297206B1 (ko) 자막 엠피 3 정보 구조 및 이를 재생하는 플레이어
US6577589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6571055B1 (en)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1307B1 (ko) 기록매체의 음성다중신호 기록방법
JPH05297867A (ja) 同期演奏装置
JPS58225784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GB2305757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ple sounds
KR100552605B1 (ko) 멀티 트랙 오디오 포맷 변환/재생 방법 및 시스템
JPH04225700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H0676473A (ja) ディスク装置
JPH0316077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0122631Y1 (ko) 멀티 트랙 기록 재생 장치
JPH11134814A (ja) 音声記録媒体および音声再生装置
JP2678063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0144784B1 (ko) 오디오 더빙데이타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S60214490A (ja) デイ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の編集方法
JPH0314379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2735290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2635768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信号処理装置
JPH0314378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H09139058A (ja) 情報記録装置
JPH0242497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