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963B1 -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963B1
KR100200963B1 KR1019950067788A KR19950067788A KR100200963B1 KR 100200963 B1 KR100200963 B1 KR 100200963B1 KR 1019950067788 A KR1019950067788 A KR 1019950067788A KR 19950067788 A KR19950067788 A KR 19950067788A KR 100200963 B1 KR100200963 B1 KR 10020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message
pager
alar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756A (ko
Inventor
전선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6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963B1/ko
Publication of KR97005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48Auto-dialling or Auto-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74Redialing, e.g. after failure to make a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9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according to the calle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 telephone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정보 입력 수단과, 전화번호 디지트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이얼링하는 다이얼 수단 및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가지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수신을 전달받기 위한 페이저번호와,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와, 전화번호와 멜로디와, 음성 메세지 정보를 알람 메세지로서 설정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정보 입력 과정과, 착신에 자동으로 응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화상 데이터의 수신 완료되었는지 검사하는 수신완료 검사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전화번호 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호출과정과, 상기 호출 과정 후에 전화라인이 비지상태이면 재발신 횟수를 독출하여 상기 재발신 횟수에 따라 상기 호출 과정을 수행하는 재발신 과정과, 전화라인이 비지상태가 아니면 상기 호출된 상대방의 응답에 의해 상기 설정된 멜로디 또는 음성 메시지를 자동 송출하는 메세지 수신 알람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알람 과정에서 상대방이 응답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재발신 과정으로 진행하는 타임아웃 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페이저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페이저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를 송출하는 페이저알람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하드 웨어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메시지의 수신을 연락 받기 위해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시에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을 위한 수신 완료 비트를 세트하는 수신 동작 모드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수신 완료 비트가 세트되어 있을 때 미리 설정된 장소로 메세지 수신을 알람하는 제어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으로서,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연락 받기 위한 내선 전화번호, 국선 전화번호, 페이저 호출번호, 리트라이 카운터, 리트라이 인터벌 타이머 및 모드 플레그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 맵으로서, 이는 제5도에 도시된 모드 플레그의 비트 맵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 완료 시에 미리 설정된 장소로 상기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자동으로 알람하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화상 데이터 송수신장치, 예를들면, 팩시밀리(Facsimile)등의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상대방의 팩시밀리 등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등은 PSTN 혹은 구내 교환 시스템의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신호를 송수신 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무실 혹은 한 가정마다 한 대씩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아직까지는 가격이 고가격이고, 전화라인의 운용의 어려움도 수반하기 때문이다.
현재,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팩시밀리는 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메시지를 수신 완료시에는 표시장치에 수신상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스피커 등과 같은 발음체를 통하여 벨 혹은 부저음을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의 표시 상태 혹은 벨, 부저음 등을 청취하여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팩시밀리에서의 메시지 수신 알람 기능은, 현재 사용자 자신의 위치와 소정 거리에 떨어진 위치 혹은 다른층에 놓여진 팩시밀리에 자신의 앞으로 팩시밀 리가 전송되어 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팩시밀리가 놓여진 장소까지 가지 않고서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팩시밀리를 통해 수신된 원고의 내용을 긴급하게 처리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 자신은 수시로 팩시밀리의 주변으로 가서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 완료시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 단말 장치를 호출하여 전화라인의 상태에 따라 메시지의 수신을 자동으로 알람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지 수신 완료시에 응답하여 페이저를 통해 원고의 수신 상태를 알람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입력 수단과, 전화번호 디지트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이얼링하는 다이얼수단 및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가지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수신을 전달받기 위한 페이저번호와,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와, 전화번호와 멜로디와, 음성 메시지 정보를 알람 메시지로서 설정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정보 입력 과정과, 착신에 자동으로 응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화상 데이터의 수신 완료되었는지 검사하는 수신완료 검사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전화번호 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호출과정과, 상기 호출 과정 후에 전화라인이 비지상태이면 재발신 횟수를 독출하여 상기 재발신 횟수에 따라 상기 호출 과정을 수행하는 재발신 과정과, 전화라인이 비지상태가 아니면 상기 호출된 상대방의 응답에 의해 상기 설정된 멜로디 또는 음성 메시지를 자동 송출하는 메세지 수신 알람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알람 과정에서 상대방이 응답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재발신 과정으로 진행하는 상대방이 응답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재발신 과정으로 진행하는 타임아웃 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페이저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페이저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를 송출하는 페이저알람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하드 웨어 블록도로서, 이는 범용적인 팩시밀리의 구성 관계를 나타낸다. 제1도의 도면중, 참조번호 1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이벤트의 발생을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이다. 참조번호 2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의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이다. 참조번호 30은 다수의 키, 예를 들면,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들과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텐키 등을 가지고 상기 키들의 선택에 따른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35를 구비하는 OPE이다. 40은 스캐닝부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의 제어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스캔하여 이치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5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나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아나로그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으로 공급하는 모뎀이다 상기 모뎀 50에 접속된 NCU 6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과 모뎀 50 혹은 후술하는 전화응답장치 100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90은 스피커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으로부터 출력되는 멜로디음을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10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의 제어에 의해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NCU 6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팩시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의 블록구성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흐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로하는 구성의 동작만이 설명될 것임에 유의 바란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메시지의 수신을 연락 받기 위해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 시에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을 위한 수신 완료 비트를 세트하는 수신 동작 모드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흐름도의 일부분으로서, 이는 수신 완료 비트가 세트되어 있을 때 미리 설정된 장소로 메시지의 수신을 알람하는 제어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맵으로서,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연락 받기 위한 내선 전화번호, 국선 전화번호, 페이저 호출번호, 리트라이 카운터, 리트라이 인터벌 타이머 및 모드 플레그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자국 전화번호가 30바이트, 수신확인 전화번호가 30바이트, 페이저 호출번호, 즉, 페이저를 호출한 후 연락받을 메시지의 수신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번호가 30바이트이다. 그리고, RC(Retry Counter)는 수신을 완료하고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후 상대방이 비지인 경우에 재 다이얼링의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로서 1바이트로 설정되어있다. Rl(Retry lnterval)은 재다이얼하기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1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MF(Mode Flag) 동작모드의 상태가 세트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 맵으로서, 이는 제5도에 도시된 모드 플레그의 비트 맵의 상세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하위 4비트의 비트 구성에 따른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예로서, 최하위 비트 b0은 선택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논리 1로 세트 시에는 전화모드, 0으로 세트시에는 페이저 모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제어 과정을 상기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 리가 동작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대기모드에서 각 이벤트의 상태에 따라 제2도, 제3도, 제4도와 같은 입력 모드 루틴, 수신 모드 루틴, 동작 모드 루틴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대기모드에서 사용자가 OPE 30상의 키를 이용하여 메세지 수신 알람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발생 시키면, 중앙처리장치10은 제2도의 루틴으로 점프하여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팩시밀리의 원고를 수신 완료 후, 자신이 위치한 곳에 놓여진 전화 혹은 음성 메시지, 멜로디 등의 소리로 알람을 설정하기 위해서 OPE 30상에 설치된 키를 조작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2도의 200과정에서 입력되는 키의 정보가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모드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제2도 200과정의 검색결과 메시지 수신 알람 모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2도 202과정에서 OPE 30상의 표시장치 35로 전화 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팩시밀리의 원고가 수신 완료되었음을 연락받기 위한 전화번호를 OPE 30을 이용하여 입력시키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제5도와 같은 메모리 영역 중 수신확인 전화번호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10은 OPE 3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메세지 알람모드가 멜로디 모드인가를 제2도 204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제2도 204과정에서 멜로디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6도와 같은 MF중 비트 b2를 1로 설정하여 멜로디 모드를 세트한다. 상기 204과정에서 멜로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은 208, 214과정을 통해 알람 모드가 음성녹음 혹은 페이저 호출모드인가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알람모드의 검색은 중앙처리장치 10이 OPE 30상의 표시장치 35에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보고 키(예로서, 예 혹은 아니오를 선택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검색과정을 통해 알람 모드가 음성녹음으로 설정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210과정에서 제6도에 도시된 비트 b2를 0으로 설정하여 음성녹음 모드를 세트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녹음모드로 세트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212과정에서 전화응답장치 100을 제어하여 송수화기(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을 녹음시키지 않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생산 당시 디펄트 값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녹음 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팩시밀리 원고가 수신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기록한다.
만약 상기와 같은 검색 과정에 의해 현재의 알람 모드가 페이저 호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216과정에서 자국번호를 메시지 수신 번호로 사용할 것인가를 검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국번호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218과정에서 자신의 팩시밀리 번호 송신한다는 의미의 정보를 세트한다. 즉, 중앙처리장치 10은 제6도의 비트 b1을 논리 1로 세트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의 번호를 송출하기 위한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220과정에서 OPE 30으로부터 입력되는 번호를 제5도와 같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중 페이저 호출 번호 영역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번호는 일반 전호번호와 구별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팩시밀리 원고의 수신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번호이면 족하다. 상기 220과정을 수행한 중앙처리장치 10은 222과정에서 제6도의 비트 b0를 논리 0으로 세트하여 페이저 모드를 세트한다.
상기 제2도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해 팩시밀리 원고 수신 완료 시 이를 연락받기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며, 제6도와 같이 설정된 모드 플레그들의 세트가 완료된다.
입력 모드가 완료된 상태에서, 수신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3도 302과정에서 링 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302과정에서 링신호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304과정에서 수신모드가 자동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검색과정에서 수신모드가 수동수신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신을 해야 하므로 312과정을 통해 수신을 하며, 수신 완료 시에는 수신 완료 플레그를 클리어한다. 즉, 제6도의 비트 b3를 0으로 세트한다.
그러나, 수신모드가 자동이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306과정에서 NCU 60를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자동수신 과정은 이미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있다. 상기 406과정을 수행한 중앙처리장치 10은 308과정에서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검색하여 정상적인 경우에는 310과정에서 제6도의 비트 b3을 1로 세트하여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세트한다.
상기 제3도의 과정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 완료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4도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메시지 수신을 자동적으로 알람하는데, 알람은 음성, 멜로디 혹은 미리 설정된 번호 등의 메시지를 송출하여 알람한다. 이의 제어과정은 하기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 수신완료 비트가 1로 세트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4도 404과정에서 제6도의 비트 b0의 상태를 읽어 선택 모드가 전화모드 혹은 페이저 모드 인가를 검색한다. 전화모드로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406과정에서 NCU 60를 제어하여 제5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수신확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10은 408과정에서 상대방이 비지 상태인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408과정의 검색에서 상대방이 비지 상태로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제4도의 410∼414과정을 통하여 제5도의 RC를 이용하여 지정된 횟수 만큼 재다이얼을 실시한다.
상기 408과정에서 상대방이 비지 상태가 아닌 경우, 즉, 링백톤이 교환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416과정 및 418과정을 통하여 상대방이 일정시간내에 응답하는가를 검색한다. 상기의 검색과정에서 상대방이 일정시간 내에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410과정으로 진행한다.
만약, 상대방이 일정시간 내에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420과정에서 제6도의 비트 b2의 상태를 검색하여 현재의 알람모드가 멜로디모드 혹은 음성송출모드인지를 검색하여 녹음된 음성을 송출하거나(422과정), 멜로디를 송출(424)하여 상대방에게 팩시밀리의 원고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팩시밀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더라고 팩시밀리 원고의 수신을 즉시 인식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도의 404과정에서 선택모드가 전화 선택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 10은 426과정에서 제5도와 같은 메모리 영역중 페이저 호출기 번호를 읽어 다이얼링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 10은 428과정에서 제6도의 비트 b1을 읽어 자국번호 송출모드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428과정의 검색결과 자국번호 즉, 팩시밀리 자신의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자국번호 송출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10은 430과정에서 자국번호를 제5도와 같은 메모리로부터 읽고, 434과정에서 이를 송출한다. 만약, 상기 428과정에서 자국번호 송출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 10은 432과정에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읽어 434과정에서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가 메세지 수신 알람을 페이저로 연락 받기 위해 페이저 번호를 등록한 경우, 자신의 페이저로 메시지의 수신 알람정보가 수신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원고가 수신 완료되었을 때 전화라인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화번호로 메시지의 수신을 알람하고 페이저를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람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알람 메시지를 다양한 형태로 송출함으로서 팩시밀리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화라인의 상태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정보 입력 수단과, 전화번호 디지트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이얼링하는 다이얼수단 및 상기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가지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수신을 전달받기 위한 페이저번호와,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와, 전화번호와 멜로디와, 음성 메세지 정보를 알람 메시지로서 설정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정보 입력 과정과, 착신에 자동으로 응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화상 데이터의 수신 완료되었는지 검사하는 수신완료 검사 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전화번호 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호출 과정과, 상기 호출 과정 후에 전화라인이 비지상태이면 재발신 횟수를 독출하여 상기 재발신 횟수에 따라 상기 호출 과정을 수행하는 재발신 과정과, 전화라인이 비지상태가 아니면 상기 호출된 상대방의 응답에 의해 상기 설정된 멜로디 또는 음성 메시지를 자동 송출하는 메세지 수신 알람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 알람 과정에서 상대방이 응답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재발신 과정으로 진행하는 타임아웃 과정과, 상기 수신완료 검사과정에서 수신이 완료되었고 페이저모드이면 상기 저장된 페이저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기 페이저를 호출한 후에 알람하기 위한 번호를 송출하는 페이저알람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KR1019950067788A 1995-12-30 1995-12-30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KR10020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88A KR100200963B1 (ko) 1995-12-30 1995-12-30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88A KR100200963B1 (ko) 1995-12-30 1995-12-30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56A KR970056756A (ko) 1997-07-31
KR100200963B1 true KR100200963B1 (ko) 1999-06-15

Family

ID=1944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788A KR100200963B1 (ko) 1995-12-30 1995-12-30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91B1 (ko) * 2002-06-01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스 데이타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91B1 (ko) * 2002-06-01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스 데이타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56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5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cally communicating to a caller at a remote telephone station synthesized speech of stored special service information
US5517557A (en) Facsimile apparatus with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function
US5444771A (en) Facsimile machine having answering function
GB2308783A (en) Announcing CLI
JP2743863B2 (ja) 通信装置
US5291192A (en) Pag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with repeated transmission
US5909647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with telephone answering device
KR100200963B1 (ko) 화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세지 수신 자동 알람 방법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US5894507A (en) Telephone with function for adding and removing regional numbers from telephone numbers to be dialed
JP3305441B2 (ja) 緊急通報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JP2993569B2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6122074A (en) Method for reporting message transmission in facsimile
JP2891471B2 (ja) 通信装置
JP268326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14512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画像受信通知方式
JP2751843B2 (ja) 留守番電話機能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3223922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15151B2 (ko)
KR950006175B1 (ko) 팩시밀리와 응답전화기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무음시간 검출선택방법
JPH0837563A (ja) 電話機
KR20020036290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용 전화기 및 그 전화기에서의 호처리 방법
JPH116905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0132458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10313354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