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246B1 -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246B1
KR100200246B1 KR1019970001339A KR19970001339A KR100200246B1 KR 100200246 B1 KR100200246 B1 KR 100200246B1 KR 1019970001339 A KR1019970001339 A KR 1019970001339A KR 19970001339 A KR19970001339 A KR 19970001339A KR 100200246 B1 KR100200246 B1 KR 10020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ole
compound
preparation
hours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033A (ko
Inventor
송태홍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이병언
주식회사중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언, 주식회사중외제약 filed Critical 이병언
Priority to KR101997000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24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36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4-트리아졸을 1-[2-(2,4-디 플루오르페닐)-2,3-에폭시프로필J-lH-1,2,4-트리 아졸과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일반식 (Rl)3R2N+X-의 화합물 존재하에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켜 플루코나졸을 얻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항진균작용을 가지며 진균감염증의 치료에 유용한 하기 화합물(1)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1982년 1월 27일 공보된 유럽특허원 제O044605(ICI 社)에는 하기일반식의 화합물 및 그의 염 또는 금속 착화합물,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식중, Rl은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기이며, Yl과 Y2는 탄소 또는 질소원자이다.)
이 특허원의 특허청구범위 제7항 및 실시예1에서 하기 화합물(2)의 1,3-비스(1,2,4-트리아졸-1-일)-2-(2,4-디클로로페닐)-프로판-2-올이 개시 되어 있다.
Figure kpo00003
그러나, ICI 특허원에는 2,4-디플루오로페닐 화합물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상기 화합물(1)은 일반명 플루코나졸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제조방법으로서 여러 가지가 특허출원되어 있는데(유럽특허 0096569, 카나다특허 l191076, 카나다 특허 l182822, 카나다특허 l170263, 영국특허 2099818, 미국특허 4404216, 스페인특허 9502961, 스페인특허 9002961, 스페인특허 549020, 스페인특허 949684, 스페인특허 549022, 스페인특어 549021, 스페인특허 83-303244) 그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국특허원 2099818(화이자 社), 카나다특허원 l182822 와 l180076 에 기술된 방법으로서, 하기 도식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브로모-2,4-디플루오로벤젠을 그리냐드 도는 1-리튬화 중간체 형태로 전환시키고 1,3-디틀로로아세톤과 반응시켜 화합물(2a)와 1,2,4-트리아졸을 반응시켜서 화합물(1)의 플루코나졸을 합성하거나 또는 화합물(2b)의1 ,3-디트리아졸 아세톤과 반응시켜 화합물(1)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Figure kpo00004
그러나 1-브로모-2,4-디플루오로벤젠을 리튬화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상기의 방법에서 n-부틸리튬은 습기와 공기에 매우 민감하고 인화성이 매우 높으며 부식성이 크다. 또한 리튬화 반응이나 그리냐드 반응에서 사용하는용매는 디에틸에테르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인데, 이들 용매는 인화성이 매우 크고, 폭발성이 있어 위험하다 .
따라서 상기의 시약이나 용매는 많은 양을 취급하기에는 위험하므로, 상업적 규모의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영국특허원 2099818(화이자 社)에 기술된 방법은 하기 도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3-디플루오로벤젠으로부터 화합물(3)의 에폭사이드, 즉 1-[2-(2,4-디플루오로페닐)-2,3-에폭시프로필]-lH-1,2,4-트리아졸을 제조하고, 염기인 K2C03존재하에 1,2,4-트리아졸과 디메틸포름 아마이드 용매를 사용하여 90℃에서 4.5시간 반응시켜 목적화합물(1)을 합성하는 방법이다.
Figure kpo00005
이 방법은 각 단계별 합성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최종 단계의 반응수율이 44%로서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카나다 특허원 2051281은 하기 도식3과 같이 화합물(4a)의 할로히드린 중간체와 4-아미노 1,2,4-트리아졸을 반응시켜 화합물(4b)을 77.8%의 수율로 얻고, 이것을 NaNO2/HCl로 처리하여 탈아미노화하여 화합물(1)의 플루코나졸을 고수율(85.4%)로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06
그러나 이 방법도 마지막 단계 반응의 총 수율이 66.44%로서 그다지 양호한 방법은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한 결과, 중간체 화합물(3)로부터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기 도식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4-트리아졸을 화합물(3)과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일반식 (Rl)3R2N+X-의 화합물 존재하에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1)을 얻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7
(식중, Rl은 탄소수 1-20개의 알킬이고, R2는 탄소수 1-20개의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며 , X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다. )
일반식 (Rl)3R2N+X-의 화합물 첨가량은 0.05∼2.0 당량, 바람직하게는 0.5∼1.0당량이다.
반응은도의 범위는 60∼130℃, 바람직하게는 70∼100℃가 좋다.
반응시간은 1시간 ∼ 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 6시간이다.
일반식 (Rl)3R2N+X-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벤질트리메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니움메톡사이드, 테트라메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니움하이 드록사이드, 테트라에 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 등을 예로 볼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아르알킬트리알킬 사급 암모니움의 하이드록사이드나 메톡사이드의 염형태, 또는 테트라알킬 사급암모니움의 하이드록사이드나 메톡사이드의 염형태를 갖고 있는 시약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되는 적당한 용매로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톡시에탄, 1-부틸알콜, n-부틸알콜, 이소부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알콜, 메틸알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80-90%의 높은 수율로 목적화합물인 플루코나졸을 얻을 수 있고, 폭발성이나 인화성이 적은 용매를 사응함으로써 대량생산에도 유리하다.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2-(2,4-디플루오페닐)1,3-비스(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의 제조
1-[2-(2,4-디플루오로페 닐)-2,3-에폭시프로필] -lH-1,2,4-트리아졸(Ig, 4.2mM), 1,2,4-트리아졸(0.6g, 8 4mM)과 벤질 트리메틸암모니움 하이드록사이드(40% 메틸알콜용액, 1.76㎖, 4.2mM)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 중에서 2시간동안 80℃에서 반응시킨다.
반응혼합액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 80㎖와 20%식염수 20㎖을 가하여 5분간 교반한 다음, 층분리 하여 수층을 제거하고, 다시 20%식염수 20㎖을 가하여 2회 더 세척 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무수 MgS04로 탈수하여 여과하고, 여액에 활성탄 0.25g을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잔사에 이소프로필 알콜 60㎖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5㎖로 농축하여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면 결정이 생성된다. 이 결정을 여과하여 건조하면 표제 화합물(1.149g, 89.3%)이 얻어진다.
녹는점(M P) = 139 5℃ (문헌상 M.P. = 138∼140℃)
IH-NMR : (CDCl3, δppm)
4.46∼4.75(4H, ABq), 5.48(IH, S), 6.80(2H, m),
7.43(IH, m), 7.86(2H, S), 8.06(2H, S)
실시예2 : 2-(2,4-디플루오로 페닐)-1,3-비스(IH-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에 1-[2-(2,4-디플루오로페닐)-2,3-에폭시프로필]-lH-1,2,4-트리아졸(Ig, 4.2mM), 벤질트리메틸 암모니움 메톡사이드(40% 메틸알콜용액, 1.9㎖, 4.2mM)과 1,2,4-트리아졸(0.6g, 8.4mM)을 가하여 90℃에서 6시간 반응 시키고, 반응혼합액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실시예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면 표제화합물 (1.028g, 80%)이 얻어진다.
녹는점은 문헌상의 값과 일치하였으며,IH-NMR 분석결과는 실시예1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실시예3 : 2-(2,4-디프루오로페닐)-1,3-비스(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의 제조 1-[2-(2,4-디 플루오로페닐페닐)-2,3-에 폭시 프로필]-lH-1,2,4-트리아졸(Ig, 4.2mM), 1,2,4-트리아졸(0.6g, 8.4mM)과 테트라부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40% 메틸알콜용액, 2.74㎖, 4.2mM)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중에서 6시간동안 90℃에서 반응시키고, 반응혼합액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면 표제화합물(1.123g, 87.3%)이 얻어진다.
녹는점은 문헌상의 값과 일치하였으며,IH-NMR 분석결과는 실시예1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실시예4 : 4.2mM), 1,2,4-트리아졸(0.6g, 8.4mM)과 테트라메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25% 메틸알콜용액, 1.53㎖, 4.2mM)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중에서 8시간 동안 90℃에서 교반시키고, 반응혼합용액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실시예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면 표제화합물(1.078g, 83.8%)이 얻어진다.
녹는점은 문헌상의 값과 일치하였으며,IH-NMR 분석결과는 실시예1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실시예5 : 4.2mM), 1,2,4-트리아졸(0.6g, 8.4mM)과 테트라에틸 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35% 수용액, 1.77㎖. 4.2mM)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중에서 8시간 동안 90℃ 에서 교반시키고, 반응혼합용액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실시예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면 표제 화합물 (1.093g, 85%)이 얻어진다.
녹는점은 문헌상의 값과 일치하였으며,IH-NMR 분석결과는 실시예1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Claims (2)

1,2,4-트리아졸을 화합물(3)과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일반식 (Rl)3R2N+X-의 화합물 존재하에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1)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8
(Rl은 탄소수 1∼20개의 알킬이고, R2는 탄소수 1∼20개의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며, X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다.)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Rl)3R2N+X-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0.5∼1.0 당량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70001339A 1997-01-17 1997-01-17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0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39A KR100200246B1 (ko) 1997-01-17 1997-01-17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39A KR100200246B1 (ko) 1997-01-17 1997-01-17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33A KR19980066033A (ko) 1998-10-15
KR100200246B1 true KR100200246B1 (ko) 1999-06-15

Family

ID=1949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39A KR100200246B1 (ko) 1997-01-17 1997-01-17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46B1 (ko) * 2001-10-17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누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33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180596A3 (en) Tetrahydrofuran fungic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JPH0458474B2 (ko)
EP3915981B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efinaconazole in ionic liquid medium
US5710280A (en) Preparation of fluconazole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EP0162265B1 (en)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gamma butyrolactones useful as intermediates for making fungicidal imidazoles and triazoles
KR100200246B1 (ko)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2006191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2,3,9-tetrahydro-9-methyl-3-{(2-methyl-1h-imidazol-1-yl)methyl}-4h-carbazol-4-one
KR100196652B1 (ko)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09245B1 (ko)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DE69628597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biologisch aktiver derivate des 1,2,4-triazols und in diesem verfahren nuetzliche zwischenprodukte
EP0415320A2 (en) Selective production of threo-epoxy compounds
KR100209246B1 (ko)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194636A (en) Preparation of benzyl ketones and an oxirane
KR102395842B1 (ko) 에폭시트리아졸 유도체의 신규 제조방법
JPS62286977A (ja) アゾ−ル誘導体類の製造方法
US624888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razosin hydrochloride dihydrate
KR100283991B1 (ko) 비스-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04096B1 (ko) 비스-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3196569A (ja) 光学活性2−ヒドロキシエチル−ア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EP139557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azolymethyloxiranen
JP2539261B2 (ja) イミダゾ―ル誘導体
WO1996004256A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ntifungal azole with hydrazino and amidrazone intermediates
KR900007628B1 (ko) 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528708B2 (ko)
KR830000634B1 (ko) N-트리틸 이미다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