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101B1 -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101B1
KR100200101B1 KR1019940016303A KR19940016303A KR100200101B1 KR 100200101 B1 KR100200101 B1 KR 100200101B1 KR 1019940016303 A KR1019940016303 A KR 1019940016303A KR 19940016303 A KR19940016303 A KR 19940016303A KR 100200101 B1 KR100200101 B1 KR 10020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ever
shift lever
shif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041A (ko
Inventor
김유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101B1/ko
Publication of KR96000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37Smoothing ratio shift by using electrica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로부터 변속기가 원거리에 위치한 차량에서 공압을 이용하여 정확한 기어변속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속레버의 작동시 센서에 의해 이중 감지되도록 하므로서 출발과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변속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기용 변속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장치에 설치된 쉬프트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센서아암 상에 설치된 센서로드 등의 연동수단과; 상기 센서로드에 의해 일정 각도 안에서 연동하도록 하는 자성체레버 등의 회동수단과; 상기 자성체레버의 회동시 자력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센서기판에 복수개 장착된 자력센서부 등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적용되는 변속레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센서장치에 설치되는 자성체레버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로부터 변속기가 원거리에 위치한 차량에서 공압을 이용하여 정확한 기어변속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엔진이 차체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리어엔진-후륜구동차량의 경우 변속기는 운전자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변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까지 충실히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변속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기어 변속장치에는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직접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장치에 공압시스템을 적용한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와 유압을 이용한 자동변속기가 있다.
상기한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에서, 운전자가 전기 스위치 그룹으로 된 변속레버 장치를 조작하면 통전된 전기신호가 콘트롤 유닛에 전달되고, 여기에서 비교 판단된 명령이 해당 전자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직교상으로 배치된 2개의 공압실린더가 작동되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런 변속장치에서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충실히 전달할 수 있는 변속레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기용 변속레버장치로는 89년 11월 10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공고공보 제 92-2336호가 있다.
상기한 특허공보에 게시된 장치는 변속 안내홈이 천공된 상판이 상부로 결합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변속 안내홈으로 관통되는 변속렙의 하단을, 하단의 하부측에 고착되어 좌우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구의 상부와 함께 힌지축에 고착되어져 전후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축과 힌지축의 일단부에는 이들이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X축 스위치부와 Y축 스위치부가 형성되며, 힌지축의 타단측에는 변속레버의 변속시 변속레버의 완료동작을 행하여 주는 피이드백 장치로 구성된 전기 공압조정식 변속기용 변속레버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변속레버 조작시 운전자가 변속감각 및 절도감을 감지하는 것이 힘들며 접접식 스위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부에 대한 작동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변속레버장치 전체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접점식 스위치 이외에 무접점식 광센서는 빛을 차단판이 차단해야만 전압이 인가되기때문에 센싱속도가 느리고 신뢰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로부터 변속기가 원거리에 위치한 차량에서 공압을 이용하여 정확한 기어변속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속레버의 작동시 센선에 의해 이중 감지되도록 하므로서 출발과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변속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기용 변속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장치에 설치된 쉬프트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센서아암 상에 설치된 센서로드 등의 연동수단과; 상기 센서로드에 의해 일정 각도 안에서 연동하도록 하는 자성체레버 등의 회동수단과; 상기 자성체레버의 회동시 자력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센서기판에 복수개 장착된 자력센서부 등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자성체레버는 변속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쉬프트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환테부와, 이 환테부로부터 연장되면서 회동시 복수개의 자력센서부 양측에 위치하므로서 자력이 동시에 감지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장치에 설치된 센서장치내에 장착되어 회동하는 자성체레버의 헤드부를 소정의 크기로 함으로서 N1 혹은 N3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자력센서부의 센서 A 또는 센서 C가 센서 B와 동시에 자력이 이중 감지되는 이유로 인해 감지속도가 종래 광센서보다 단축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가 적용되는 변속레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센서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변속레버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변속레버장치(1)의 변속레버(2)는 중립상태를 나타내며, 변속레버 하우징(3)은 상측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장치가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변속레버 하우징(3)은 양측에 횡으로 걸쳐 설치되는 쉬프트축(4)의 중앙에 셀렉트 로드(5)가 핀(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셀렉트 로드(5)의 상부에는 변속레버(2)가 끼워져 있고, 셀렉트 로드(5)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7)에는 탄성부재(8)을 삽입하여 후진단 변속시 변속레버(2)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7)내에는 변속레버(2)를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멍(7)내에는 셀렉트 로드(5)와 구멍벽면 사이에 키이(9)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변속시 변속레버(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셀렉트 로드(5)의 하부에는 중공부(10)를 형성하여 스프링(11)을 삽입한 후 볼(12)을 내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볼(12)은 변속레버(2)가 단별로 변속될 때, 하우징(3)의 하측에 형성된 홈(13)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볼(12)을 내장한 이유는 운전자가 변속레버(2)의 변속감 및 절도감을 기계식과 마찬가지로 느낄 수 있게 하여 본 발명의 변속레버장치(1)에 대한 이질감을 없애기 위함이다.
상기한 변속레버장치(1)에 설치된 쉬프트축(4)이 결합된 셀렉트 로드(5)의 중앙에는 수직 장방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변속레버(2)의 변속시 쉬프트축(4)이 각 변속단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쉬프트축(4)의 일단에는 캠(14)이 고정되어 공압실린더(15)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롤러가이드(16)상의 롤러(17)의 접촉면을 따라 구름접촉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캠(14)이 고정된 쉬프트축(4)의 타단에는 커버(17C)속에 내장된 센서장치(1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변속레버 장치(1)에 설치된 쉬프트축(4)의 일단에 고정되는 센서아암(19)상에 설치된 센서로드(20)와, 상기 센서로드(20)에 의해 일정각도 안에서 연동하도록 하는 자성체레버(21)와, 상기 자성체레버의 회동시 자력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22)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센서기판(23)에 복수개의 자력센서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자성체레버(21)는 변속레버(2)에 의해 작동하는 쉬프트축(4)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환테부(211)와, 이 환테부로부터 연장되면서 회동시 복수개의 자력센서부(24)상 양측에 위치하므로서 자력이 동시에 감지되도록 헤두부(2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변속레버(2)에 의해 작동하는 쉬프트축(4)에 고정된 센서아암(19)상에 설치된 센서로드(20)는 자성체레버(21)와 연동되며, 이때 발생되는 전기신호는 커버(17C)에 부착된 센서기판(23)상의 복수개 자력센서부(24)중 동시에 센서(24A)와 센서(24B)가 자력을 감지하거나, 센서(24C)와 센서(24B)가 동시에 자력을 감지하거나 하여 전자제어장치(22)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자성체레버(21)는 센서아암(19)에 의해 쉬프트축(4)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변속레버(2)를 N1(또는 N2) 위치로 변속하면, 셀렉트 로드(5) 하부에 연결된 센서아암(19)과 센서로드(20)는 셀렉트축(도시생략)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센서로드(20)와 접촉된 자성체레버(21)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자성체레버(21)가 회동하면 연장되어 형성된 헤드부(212)는 자력센서부(24)의 소정 센서에 머물러 있다가 N1(또는 N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212)가 이동시 머물러 있던 센서(24B)는 전기적인 신호를 계속인가하면서 단속되지 않은 상태로 소정의 센서(24A, 또는 24C)중 하나로 이동하여 동시에 2센서의 자력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장치(22)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한 전자제어장치(22)에 새로운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게 됨에 따라 다음 변속이 이루어질 공압 실린더의 작동밸브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 후 헤드부(212)가 자력센서부(24) 중 센서(24A)나 센서(24C)의 어느 한쪽 센서에 완전히 위치하게 되면 공압 실린더의 작동밸브가 개폐되어 변속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운전자는 변속 감각 및 절도감을 느낄 수 있으며, 무접점식 자력센서장치를 사용함으로서 변속레버의 작동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변속레버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켜 변속할때 자력센서부에 자성체레버가 이중으로 걸쳐 있게 되어 이중감지가 이루어짐으로서 센싱속도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전체적인 변속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기용 변속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장치에 설치된 쉬프트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센서아암 상에 설치된 센서로드 등의 연동수단과; 상기 센서로드에 의해 일정 각도 안에서 연동하도록 하는 자성체레버 등의 회동수단과; 상기 자성체레버의 회동시 자력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센서기판에 복수개 장착된 자력센서부 등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성체레버는 변속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쉬프트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환테부와, 이 환테부로부터 연장되면서 회동시 복수개의 자력센서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자력이 동시에 감지되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KR1019940016303A 1994-07-07 1994-07-07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KR10020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03A KR100200101B1 (ko) 1994-07-07 1994-07-07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03A KR100200101B1 (ko) 1994-07-07 1994-07-07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41A KR960004041A (ko) 1996-02-23
KR100200101B1 true KR100200101B1 (ko) 1999-06-15

Family

ID=1938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303A KR100200101B1 (ko) 1994-07-07 1994-07-07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35B1 (ko) 2006-05-10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고정구조
KR101341128B1 (ko)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35B1 (ko) 2006-05-10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고정구조
KR101341128B1 (ko)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41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121B1 (ko)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JP4031830B2 (ja) 自動車の外部操作式調節駆動装置の制御の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CN109307061B (zh) 电子变速器系统
JPH0821521A (ja) 空圧作動式変速機用変速レバー装置
JP4327849B2 (ja) 左右対称ギヤシフトのための装置
KR2019007643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0200101B1 (ko)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레버의 센서장치
JP200124695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5660080A (en) Electrically noncontacting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KR20090090554A (ko)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US5214977A (en) Remote control system
US6657541B2 (en) Reversing alarm apparatus for a work vehicle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JPH0732903A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0200100B1 (ko)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의 피스톤 센서장치
JPH0647767U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520192B1 (ko) 변속제어모듈
KR100656936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KR950002738Y1 (ko) 변속기 조작장치
JP3616980B2 (ja) 自動変速機用制御ユニット
KR920002336B1 (ko) 공압 조정식 변속기를 위한 변속레버 장치
KR200153623Y1 (ko) 4륜구동 부변속기 제어장치의 절환액츄에이터
KR20190076443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0259648B1 (ko) 자동변속기용변속제어구조
KR0181425B1 (ko) 카오디오의 로터리스위치 내구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