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278B1 - 홍채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홍채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278B1
KR100199278B1 KR1019960058347A KR19960058347A KR100199278B1 KR 100199278 B1 KR100199278 B1 KR 100199278B1 KR 1019960058347 A KR1019960058347 A KR 1019960058347A KR 19960058347 A KR19960058347 A KR 19960058347A KR 100199278 B1 KR100199278 B1 KR 10019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light
image
reflect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335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최좌진
주식회사서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좌진, 주식회사서통 filed Critical 최좌진
Priority to KR101996005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27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 A61B3/15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of corneal refl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홍채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구멍을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홍채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가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을 형성시킨 지지대와, 상기 렌즈를 통하여 집광된 홍채의 반사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반사광을 이용하여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허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홍채 촬영 장치
본 발명은 인체의 안구에서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구의 홍채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집광하여 홍채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된 홍채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강 진단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홍채학은 신체 전반에 걸친 이상 부분 및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홍채의 패턴과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으로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영상화하고 홍채 챠트를 통해 홍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신체 각부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한편, 홍채학에 의한 건강 진단법의 정확되는 홍채의 영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촬영하고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홍채학을 이용하여 정확한 건강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고 정확하게 홍채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홍채 촬영 장치는 안구를 향해 평행하게 입사되는 자연광이나 안구의 일측 방향에 설치된 광원을 이용하여 안구를 조사하고, 이때 홍채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카메라 렌즈로 집광하여 홍채의 영상을 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안구로 입사되는 입사광은 각막, 수정체, 홍채 등에 의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굴절되는데, 카메라 렌즈 측에서 볼 때 볼록거울에 해당하는 홍채의 영상은 입사광에 의해 홍채 표면에서의 난반사로 인해 생기는 산란광과 볼록거울 면에 의해 생기는 입사광원, 주변 반사체 등의 허상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더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홍채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조도가 높은 강한 백색광을 조사하여야 하며, 입사광원, 주변 반사체 등에 의한 허상을 제거하거나 허상이 동공 영역 내에만 맺히도록 입사광을 조사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홍채 촬영 장치에 사용되는 조명은 자연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주변 반사체에도 조사가 이루어져 허상을 배제하기 어려우며, 안구 일측에 편중된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홍채 전반에 규일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촬영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채 표면에 집중적으로 입사광을 조사하여 홍채 영역에 허상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홍채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a) 및 제1도(b)는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a)는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고,
제1도(b)는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촬영 장치의 일부 도면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촬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광원
14 : 입구 16 : 광섬유
18 : 지지대 20 : 삽입 구멍
22 : 관통구멍 24 : 카메라
E : 안구 I : 홍채
P : 동공 V : 허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채 촬영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을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내측에는 홍채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가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을 형성시킨 지지대와, 상기 렌즈를 통하여 집광된 홍채의 반사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a)는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홍채 촬영 장치는 밀봉된 케이스(10) 내에 위치한 광원(12)과, 상기 케이스(10)의 입구(14)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1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을 분기시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16)와,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16)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대(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8)의 내측에는 홍채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이 통과하는 관통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20) 내에는 광학 렌즈가 장착되어 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18)의 원주 둘레 영역에는 광섬유(16)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이 삽입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8)의 원주 둘레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 구멍(22)은, 제1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의 중심축(0) 상에 위치한 한 지점에 각각의 광섬유(16)에서 조사되는 광선(R)들이 집중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16)의 말단부(17)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22)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써 각각의 말단부(17)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선들은 지지대(18)의 중심축(0) 상의 한 지점에 집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촬영 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인 지지대(18)의 삽입 구멍(22) 내에 삽입된 광섬유(16)의 말단부(17)로부터 출사되는 광선들이 집중되는 지지대(18)의 중심선(0) 상에 동공(P)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홍채(I)를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 홍채(I)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이한 허상(V)은 동공(P)의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홍채 촬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복수개의 광섬유(16)의 말단부(17)로부터 안구(E) 내의 동공(P)을 향하여 광선이 조사되는데, 이때 각각의 광선은 홍채(I)의 전체 영역을 조사할 수 있도록 대칭으로 분산되어 홍채(I)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홍채(I)의 표면에 거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광선의 조사가 이루어진다.
조사된 광선이 안구(E)에 도달하면 광선의 일부는 홍채(I)의 표면에서 난반사되고 일부는 굴절되며 다른 일부는 정반사되어 블록 거울면을 이루는 홍채(I)의 중심부의 동공(P)의 영역(30)에 허상(V)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홍채(I)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선은 지지대(18)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0)을 통해 카메라(C)의 렌즈(L)로 입사되고, 렌즈(L)를 통해 입사된 광선은 카메라(C)의 촬상 소자에 의해 영상화되어 홍채(I)의 영상이 촬영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입사광이 홍채(I)의 표면에 거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입사되고 동공(P)의 영역에만 허상(V)이 형성되기 때문에 홍채(I)의 영상은 허상(V)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I)의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홍채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C)의 초점 거리를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8)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0) 내에는 광학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광학 렌즈는 색수차, 비점수차, 구면수차 등을 보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오목렌즈 및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반사광을 이용하여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허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안구의 홍채를 촬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을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내측에는 홍채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가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을 형성시킨 지지대와, 상기 렌즈를 통하여 집광된 홍채의 반사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 장치.
  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 구멍은 광섬유의 말단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지지대의 중심선에 위치된 홍채에 집중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 장치.
KR1019960058347A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KR10019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335A KR19980039335A (ko) 1998-08-17
KR100199278B1 true KR100199278B1 (ko) 1999-06-15

Family

ID=1948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36B1 (ko) * 2000-03-28 2003-01-09 신경식 자궁경부 촬영기 조명장치
KR100362484B1 (ko) * 2000-10-24 2002-11-2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고정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이미지 획득방법 및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33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5137A1 (en) Ring light fundus camera
JP2565421B2 (ja) 照明用光学装置とこれを用いた眼底カメラ
US6572229B2 (en) Back projection visual field tester
JPH1099268A (ja) 電子内視鏡の光学系装置
JPH067819B2 (ja) 検眼鏡
KR100199278B1 (ko) 홍채 촬영 장치
US1548780A (en) Reflectionless ophthalmo illuminator
JP3586039B2 (ja) 眼科装置
JP4063469B2 (ja) 超微小空隙から内部を観察するための装置
KR100341740B1 (ko) 시력측정장치용 광학계
JP3338522B2 (ja) 眼科装置
KR101778129B1 (ko) 산동 무산동 겸용 휴대용 안저카메라
CN111035361B (zh) 一种眼底相机成像和照明系统
JPH10341373A (ja) 撮像装置
WO2020226082A1 (ja) 眼科装置
US4575208A (en) Lens mounted light system
JP2008027062A (ja) 認証装置
JPH11299735A (ja) 検眼装置
JP3721342B2 (ja) 落射照明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る光学装置
JPH1080400A (ja) 眼底カメラ用照明装置
JP2022112181A (ja) 眼撮影装置
CN114403800A (zh) 一种多功能眼科检查设备
JPS62179430A (ja) 眼底走査光学装置
JP2000093389A (ja) 内視鏡装置
JPS61268226A (ja) 瞳孔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