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335A - 홍채 촬영 방법 및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홍채 촬영 방법 및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335A
KR19980039335A KR1019960058347A KR19960058347A KR19980039335A KR 19980039335 A KR19980039335 A KR 19980039335A KR 1019960058347 A KR1019960058347 A KR 1019960058347A KR 19960058347 A KR19960058347 A KR 19960058347A KR 19980039335 A KR19980039335 A KR 1998003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light
center
image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9278B1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최좌진
주식회사 서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좌진, 주식회사 서통 filed Critical 최좌진
Priority to KR101996005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27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 A61B3/15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of corneal refl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홍채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둘레 영역에는 전방의 일정 지점에서 각각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정 지점에 광축이 모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으로 이루어진 홍채 조명 장치 및 상기 홍채 조명 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 관통 구멍을 통과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영상화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사광이 홍채 표면에 거의 수직하게 입사되고 동공 영역에만 허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홍채의 영상은 허상의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촬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홍채 촬영 방법 및 촬영 시스템
본 발명은 인체의 안구에서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구의 홍채로부터 반사광을 얻기 위한 입사광의 조명방법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강 진단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는 홍채학은 신체 전반에 걸친 이상 부위 및 상태를 표시하는 홍채의 패턴 및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으로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영상화하고 홍채 차트를 통해 홍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신체 각부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한편, 홍채학에 의한 건강 진단법의 정확도는 홍채의 영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촬영하여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얻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홍채학을 이용하여 정확한 건강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홍채 촬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홍채 촬영 시스템은 안구를 향해 평행하게 입사되는 자연광이나 안구의 일측 방향에 설치된 광원을 이용하여 안구를 조사하고 이때 홍채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카메라 렌즈로 집광하여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구로 입사되는 입사광은 각막, 수정체, 홍채 등에 의해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굴절되는데, 카메라 렌즈 측에서 볼 때 볼록거울에 해당하는 홍채의 영상은 입사광에 의해 홍채 표면에서의 난반사로 인해 생기는 산란광과, 볼록거울면에 의해 생기는 입사광원, 주변 반사체 등의 허상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더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홍채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조도가 높은 강한 백색광을 조사하여야 하며 입사광원, 주변 반사체 등에 의한 허상을 제거하거나 허상이 동공 영역 내에만 맺히도록 입사광을 조사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홍채 촬영 시스템에 사용되는 조명 수단은 자연광의 경우 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주변 반사체에도 조사가 이루어져 허상을 배제하기 어려우며, 안구 일측에 편중된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홍채 전반에 균일한 조사를 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홍채 촬영 시스템으로는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채 영상 촬영시에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홍채 조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채 표면에 집중적으로 입사광을 조사할 수 있는 홍채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채 표면에 집중적으로 입사광을 조사하고 홍채 영역에 허상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홍채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채 조명 방법은,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입사광을 조사하는 홍채 조명 방법에 있어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카메라 렌즈의 중심과 동공의 중심을 지나는 광축으로부터 방사선 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된 복수의 광원 위치에서 적어도 홍채의 전체 영역에 조사될 수 있도록 분산되는 광을 동공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홍채 조명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동공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광원, 동공의 중심 및 지지대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는 홍채의 볼록거울면에 의한 광원의 허상이 동공의 내부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는,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입사광을 조사하는 홍채 조명 장치에 있어서, 중심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둘레 영역에는 전방의 일정 지점에서 각각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정 지점에 광축이 모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은 상기 지지대로부터 이격 배치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분기된 복수개의 광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영역의 관통 구멍에는 비점수차, 구면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포지티브 옵티칼 파워의 광학 렌즈 시스템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홍채 촬영 시스템은, 조사된 입사광에 대응하여 홍채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집광하여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홍채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중심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둘레 영역에는 전방의 일정 지점에서 각각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정 지점에 광축이 모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으로 이루어진 홍채 조명 장치; 및 상기 홍채 조명 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 관통 구멍을 통과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영상화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홍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홍채를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12 : 광원
14 : 케이스 입구 16 : 광섬유
18 : 지지대 20,22 : 관통구멍
24 : 카메라 시스템 26 : 카메라 렌즈
28 : 홍채 30 : 동공
32 : 허상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는 밀봉된 케이스(10) 내에 위치한 광원(12)과, 상기 케이스(10)의 입구(14)에 삽입되어 상기 광원(1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을 분기시켜 전달하는 복수개의 광섬유(16)와,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16)의 말단부를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지지대(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8)의 중심부에는 홍채로부터 출사되는 반사광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 구멍(20)은 광학 렌즈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8)의 원주 둘레 영역에는 광섬유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8)의 원주 둘레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22)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의 중심축 상에 위치한 일 지점에 각각의 중심선을 지나는 연장선이 모이도록 상기 일 지점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광섬유(16)의 말단부(17)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22)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써 복수개의 광섬유 말단부(17)로부터 조사되는 광선들은 지지대(18) 중심축 상의 일 지점에 집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상기 도 1 의 본 발명의 홍채 조명 장치와 카메라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홍채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홍채를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홍채 촬영은 지지대(18)에 삽입된 광섬유(16)의 말단부(17)로부터 출사되는 광선들이 집중되는 위치에 안구의 동공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진행되는데, 이때 홍채(28)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의한 허상(32)은 동공 영역(30)에만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홍채 촬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복수개의 광섬유 말단부(17)로부터 안구의 동공(30)을 향하여 광선이 조사되는데, 이때 각각의 광선은 홍채(28)의 전체 영역을 조사할 수 있도록 대칭으로 분산되어 홍채(28)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홍채 표면에 거의 수직되게 광선 조사가 이루어진다.
조사된 광선이 안구에 도달하면 광선의 일부는 홍채(28) 표면에서 난반사되고 일부는 굴절되며 다른 일부는 정반사되어 볼록거울면을 이루는 홍채(28) 중심부의 동공 영역(30)에 광섬유 말단부, 주변 반사체 등의 허상(32)이 형성된다.
상기 과정에서 반사된 광선은 지지대(18)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0)을 통해 카메라의 렌즈(26)로 입사되고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선은 카메라 시스템(24)의 촬상 소자에 의해 영상화되어 홍채의 영상이 촬영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입사광이 홍채(28) 표면에 거의 수직하게 입사되고 동공 영역(30)에만 허상(32)이 형성되기 때문에 홍채의 영상은 허상을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촬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홍채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8)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0)에 광학 렌즈 시스템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광학 렌즈 시스템은 색수차, 비점수차, 구면수차 등을 보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오목렌즈 및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선명한 홍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입사광을 조사하는 홍채 조명 방법에 있어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카메라 렌즈의 중심과 동공의 중심을 지나는 광축으로부터 방사선 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된 복수의 광원 위치에서 적어도 홍채의 전체 영역에 조사될 수 있도록 분산되는 광을 동공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조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동공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광원, 동공의 중심 및 지지대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를 홍채의 볼록거울면에 의한 광원의 허상이 동공의 내부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조명 방법.
  3.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입사광을 조사하는 홍채 조명 장치에 있어서, 중심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둘레 영역에는 전방의 일정 지점에서 각각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정 지점에 광축이 모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은 상기 지지대로부터 이격 배치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분기된 복수개의 광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조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의 관통 구멍에 장착된 광학 렌즈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조명 장치.
  6. 조사된 입사광에 대응하여 홍채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집광하여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홍채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중심 영역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둘레 영역에는 전방의 일정 지점에서 각각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정 지점에 광축이 모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광조사수단으로 이루어진 홍채 조명 장치; 및 상기 홍채 조명 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중심 관통 구멍을 통과한 홍채로부터의 반사광을 집광하여 영상화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촬영 시스템.
KR1019960058347A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KR10019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335A true KR19980039335A (ko) 1998-08-17
KR100199278B1 KR100199278B1 (ko) 1999-06-15

Family

ID=1948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347A KR100199278B1 (ko) 1996-11-27 1996-11-27 홍채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84B1 (ko) * 2000-10-24 2002-11-2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고정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이미지 획득방법 및 획득장치
KR100366336B1 (ko) * 2000-03-28 2003-01-09 신경식 자궁경부 촬영기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36B1 (ko) * 2000-03-28 2003-01-09 신경식 자궁경부 촬영기 조명장치
KR100362484B1 (ko) * 2000-10-24 2002-11-2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고정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이미지 획득방법 및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278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973A (en) Photokeratometric device
JP2565421B2 (ja) 照明用光学装置とこれを用いた眼底カメラ
US6572229B2 (en) Back projection visual field tester
CN109381158A (zh) 适配器、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及其使用方法
EP0222793A1 (en) Variable spot size illuminator with constant convergence angle
JP2002505132A (ja) 眼底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H06205744A (ja) 眼科用検査および/または処置装置
US7690787B2 (en) Arrangement for improving the image field in ophthalmological appliances
WO2005122874A1 (en) Opthalmic camera and opthalmic camera adaptor
JPS6290153A (ja) レ−ザ光凝固装置
JPH067819B2 (ja) 検眼鏡
GB2125576A (en) Optical system for illuminated viewing instruments
KR19980039335A (ko) 홍채 촬영 방법 및 촬영 시스템
CN108567409B (zh) 一种离轴反射镜视网膜成像系统
JP7409610B2 (ja) 眼科装置
JP3586039B2 (ja) 眼科装置
US5412442A (e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corneal endothelium
KR101778129B1 (ko) 산동 무산동 겸용 휴대용 안저카메라
KR100341740B1 (ko) 시력측정장치용 광학계
WO2020226082A1 (ja) 眼科装置
JP2008027062A (ja) 認証装置
JPH11299735A (ja) 検眼装置
JPH10341373A (ja) 撮像装置
JPH066111B2 (ja) 瞳孔照明装置
JPH09276224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