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969B1 - 접착하도제 - Google Patents

접착하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69B1
KR100198969B1 KR1019910005772A KR910005772A KR100198969B1 KR 100198969 B1 KR100198969 B1 KR 100198969B1 KR 1019910005772 A KR1019910005772 A KR 1019910005772A KR 910005772 A KR910005772 A KR 910005772A KR 100198969 B1 KR100198969 B1 KR 10019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substrate
primer
plastic
adhesiv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539A (ko
Inventor
그리브스 리차드
죠오지 몬터규 프래틀리 킴리
Original Assignee
킴리 죠오지 몬터규 프래튤리
프래튤리 인베스트먼트 (프러프라이어테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리 죠오지 몬터규 프래튤리, 프래튤리 인베스트먼트 (프러프라이어테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킴리 죠오지 몬터규 프래튤리
Publication of KR92000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접합이 곤란한 플라스틱 기재이거나 또는 접합이 곤란치 않은 플라스틱 기재이거나를 불문하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하도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CH2)n-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기이고, p,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이며,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CH3또는-OH이 다.

Description

접착하도제
본 발명은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하도제(Primer), 상기 하도제 및 이를 위한 용매를 함유하는 하도제 조성물(primer composition), 접착제 및 상기 하도제를 포함하는 2성분 접착계(two-component adhesive system) 및 상기 하도제를 사용하여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분야에 있어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이용해서는 접합이 극히 곤란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플라스틱기재가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접합이 곤란한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저표면 에너지(low surface energy) 플라스틱과, 폴리아세탈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고결정성(highly crystalline) 재료 등이 있다. 이들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기재를 접착제로 접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때문에, 그와 같은 재료가 접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표면처리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표면처리의 예로서는, 기재 표면의 코로나 방전노출(corona discharge exposure), 산부식(acid etching), 플라즈마 처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일반적으로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가정에서의 플라스틱 기재 접합에는 적용될 수 없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전에 접합될 플라스틱 기재에 도포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하도제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아일랜드 록타이트사(Loctite Limited)의 유럽특허 EP295013호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1차 지방족 아민을 포함하는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R-NH2
여기서, R은 적어도 6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지방족기이고, R기는 측쇄 또는 직쇄이다. 바람직한 하도제로는 n-옥틸아민이 있다. 상기 하도제는 용매에 용해된 후, 접합될 기재에 도포될 수도 있다.
아일랜드 록타이트사(Loctite Limited)의 유럽특허 EP295930호에는,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5-엔,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칸-7-엔 또는 1,5,7-트리아자이시클로[4,4,0]데칸-5-엔을 포함하는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하도제 역시 적당한 용매에 용해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록타이트사(Loctite Limited)의 유럽특허 EP333448호에는, 하기식의 4차 암모늄화합물을 포함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표면을 접합하기 위한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고 알킬, 히드록시알킬, 아릴, 알카릴, 아랄킬 및 알케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종원자(heteroatoms)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이고, 4θ는 탈양성자 평형반응(deprotonation equilibrium reaction)에서의 pKA값이 0보다 큰 음이온(anion)이다. 바람직한 4차 암모늄 염으로는 테느라-n-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가 있다.
토아 고세이 화학산업사(Toa Gosei Chemical Industry Company Limited)의 일본특허 0245572호에는 이미다졸(imidazoles)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플라스틱을 접합하기 위한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MeCCl3용액에 용해된 2-메틸-이미다졸을 들 수 있다.
코아쮸 가스공업주식회사(Koatsu Gas Kogyo Co Ltd)의 일본특허 02120378호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비극성 및 고결정성 수지용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PR3
여기서, R3는 알킬이다. 바람직한 하도제는 톨루엔에 용해된 PBu3이다.
토아 고세이 화학산업사의 일본 특허 02117967호에는,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특히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Zr(C6H7O2)4로 된 하도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모든 하도제는 고결정성이거나 또는 저표면에너지(즉, 비극성)를 보유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접합 곤란 플라스틱 기재(difficult-to-bond plastic substrates)를 접합하는데 어느 정도 유용하긴 하나, 이들 하도제들은,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기재를 프라이밍(priming)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유용하지 못하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 기재를 접합하는데 사용가능한 하도제 그리고 하도제와 접착제를 함유하는 2성분 접착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하도제가 제공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CH2)n-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기이고;
p,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이며;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CH3또는 -OH이다.
제1플라스틱 기재는 제3플라스틱 기재와 동일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의 원료인 플라스틱 재료는, ABS,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등과 같이 종래 접합하기가 곤란치 않았던 플라스틱 재료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아민폴리메틸렌(EPDM) 고무 및 폴리올레핀 기재의 열가소성 고무 등과 같이 표면에너지가 낮은 특징을 보유하여 종래에는 접합이 곤란하였던 플라스틱 재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도제로는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CH2)n-는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하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하도제의 예로는 다음의 것들을 들 수 있다.
Figure kpo00005
N,N,N',N'-테트라메틸-1,3-부탄 디아민
Figure kpo00006
N,N-디메틸-N',N'-디(2-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 디아민
Figure kpo00007
N,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Figure kpo00008
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 디아민
Figure kpo00009
N,N,N',N'-테트라메틸에탄 디아민 또는 N,N,N',N'-테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
Figure kpo00010
N,N,N',N'-테트라메틸메탄 디아민
Figure kpo00011
N,N,N,N',N'-테트라메틸-1,3-프로판 디아민
Figure kpo00012
N,N,N',N'-테트라메틸-1,4-부탄 디아민
Figure kpo00013
N,N,N',N'-테트라메틸-1,6-헥산 디아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하도제 조성물(primer composition)이 제공되는데, 상기 하도제 조성물은 (a)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과 제1플라스틱 기재의 제2플라스틱 기재에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른 하도제와의 혼합물 및 (b)상기 하도제 등을 위한 용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도제와 결합될 수 있는 다른 하도제로는 n-옥틸아민 및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하도제를 용해시키는 유기용매가 하도제용 용매로서 적당하다. 적당한 용매로는, 아세톤과 1,1,2-트리클로로-1,2,2-트리플루오로에탄의 공비(azeotrope)인 Freon TA(E I Du Pont de Nemours Co Inc사 제품의 상표명)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c)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과 제1플라스틱 기재의 제2플라스틱 기재에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른 하도제와의 혼합물, 및 (d)적당한 접착제, 바람직하기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이루어진 2성분 접착계(two-component adhesive system)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ⅰ)접착제로 2개의 플라스틱 기재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과 제1플라스틱 기재의 제2플라스틱 기재에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른 하도제와의 혼합물인 하도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를 처리하는 단계; (ⅱ)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를 처리하는 단계; (ii)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제1플라스틱 기재의 제2플라스틱 기재에의 접합을 촉진하기 위한 하도제에 있는데,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종래 접합이 곤란하였던 플라스틱 재료 또는 접합이 곤란치 않았던 플라스틱 재료 어느 것으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도제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하여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판매 및 사용되는 2성분 접착계의 생산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하도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데, 상기 화합물은 탄소가 결합된 2중 3급 아민 단위체(carbon-linked double tertiary amine unit)를 함유하는 선상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도제로는, 2개의 질소원자가 단순히 메틸기로 치환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제로서 특히 바람직란 것은 화학식 3 내지 7 및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도제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유기용매인 적절한 하도제용 용매에 용해된 하도제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도제 및 하도제 조실물은, 2개의 플라스틱 기재가 통상적으로 접합이 곤란한 소위 저표면 에너지 플라스틱 재료나 또는 고결정성 플라스틱 재료의 어느 것이든지 또는 접합이 곤란하지 않은 다른 플라스틱 재료이든지 혹은 이들 두가지의 조합이든지 상관없이 2개의 플라스틱 기재 서로의 접합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어떤 종류의 하도제는 접합이 곤란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에 보다 유용한 반면, 어떤 다른 종류의 하도제는 통상적으로 접합이 곤란치 않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에 보다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하도제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기재를 금속재 또는 목재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도제는, 제1플라스틱 기재의 제2플라스틱 기재에의 접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른 종류의 하도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옥틸아민을 조합하거나(유럽특허 EP295013호),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조합하여(일본특허02120378호)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c)본 발명의 하도제 및 (d)바람직하게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2성분 접착계이다.
본 발명의 하도제와 같이 사용되는 적당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kpo00014
여기서, R1은 알킬, 알케닐, 시클로알킬, 아릴, 알콕시알킬, 아랄킬, 할로알킬 또는 다른 적당한 기이다.
저급 알킬 α-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한데, 특히 에틸 α-시아노아크릴레이가 바람직하다.
여러 가지 α-시아노아클레이트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1성분 순간접착제로 시판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Pratley Super Glue(Pratley Polymers Limited에 의해 공급되는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접착성분 이외에도 안정제(stabilizer), 증점제(thickner), 접착촉진제(adhesion promoter), 가소제(plasticizer), 염료(dye), 내열성 첨가제(heat-resistant additive), 내충격조절제(impact resistance modifier)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내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의 희석액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ⅰ)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를 본 발명의 하도제로 처리하는 단계; (ⅱ)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에 접착제, 바람직하기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도제는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에 도포된다. 그러나, 한쪽 플라스틱 기재가 접합이 곤란치 않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것이고, 다른쪽 플라스틱 기재가 접합이 곤란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것인 경우에는, 하도제를 접합이 곤란한 재료로 구성된 플라스틱 기재에만 도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한쪽에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통상적으로는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하도제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코팅된 다음, 플라스틱 기재는 서로 접합된다. 그 결과 제1플라스틱 기재와 제2플라스틱 기재 사이의 접합이 촉진 가속화되어서 본 발명의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는 접합 이상으로 둘 사이의 접합이 강화된다.
종래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하도제에 대하여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접합 시험은 영국 규격(BS 5350, Part C5)에 의거하여, J. J. Lioyd 인장계(T3OK)를 사용하여 10mm/min의 인장속도로 단일랩 전단(single lap shear)으로 수행되었다. 시험관의 크기는 100mmx25mmx5mm였다.
모든 하도제는, 아세톤/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의 공비인 Freon TA(E I Du Pont de Nemours Co Inc사 제품)에 용해되었고, 상기 하도제의 농도는 0.1%였다. 상기 시험편에 하도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공기 중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그 시험편을 Pratley Super Glue(Pratley Polymers Limited사에 의해 공급되는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총 면적은 125mm2이었으며, 모든 랩전단접착강도는 MPa로 측정하였다.
표 1은 접착제를 10분간 경화시켰을 때의 결과를,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와 대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사용된 하도제는; N,N,N',N'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화합물 7), N,N,N',N' 테트라메틸-1,3-부탄 디아민(화합물 3), N,N-디메틸-N',N'-디(2-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 디아민(화합물 4)이다.
Figure kpo00015
* 산토프렌은 폴리프로필렌과 EDPM고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몬산토사(Monsanto Inc.) 제품인 열가소성 고무이다.
강도는 접착제 전에 기재가 파손됨을 나타낸다.
표 2는 접착제를 24시간동안 경화시켰을 때의 결과를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와 대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Figure kpo00016
표 1 및 표 2는 화합물 3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경우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10분간 경화후가 우수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화합물 4는 저표면에너지 기재, 특히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우수하다.
표 3은 Freon TA에 용해된 하기 하도제의 0.1%용액을,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와 대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비스(디메틸아미노)메탄 또는 N,N,N',N'-테트라메틸메탄 디아민(화합물 8)
비스(디메틸아미노)에탄 또는 N,N,N',N'-테트라메틸에탄 디아민(화합물 7)
1,3-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판 또는 N,N,N',N'-테트라메틸-1,3-프로판 디아민(화합물 9)
1,3-비스(디메힐아미노)부탄 또는 N,N,N',N'-테트라메틸-1,3-부탄 디아민(화합물 3)
1,4-비스(디메틸아미노)부탄 또는 N,N,N',N'-테트라메틸-1,4-부탄 디아민(화합물 10)
1,6-비스(디메틸아미노)헥산 또는 N,N,N',N'-테트라메틸-1,6-헥산 디아민(화합물11)
접착제는 24시간 경화되었으며 랩전단강도는 MPa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7
표 4는 저밀도폴리에틸렌에 하도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 4의 여러 가지 다른 농도를 비교한다.
경화시간은 24시간이었고, 랩전단강도는 MPa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8
표 4는 0.1%농도가 바람직함을 나타내지만, 농도는 특별히 중요치는 않다.
표 5는 하기 3가지 하도제의 0.1%용액을 사용한 결과를,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고Pratley Super Glue를 사용한 비교예와 대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화합물 4, 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에틸)에틸렌 디아민 또는 2,2',2,2'에틸레디니트릴로 테트라에탄올(화합물 5)
N,N,N',N'-테트라키스(2-히도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화합물 6)
접착제는 24시간 경화되었으며, 랩전단강도는 MPa로 표시한다.
Figure kpo00019
이들 결과로부터, 화합물 4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대해 매우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및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PPHP)에 대해서는 중간정도의 강도를 보유함을 알 수 있다. 화합물 5 및 화합물 6은 저표면에너지 기재와 통상의 플라스틱에 대하여 중간정도의 강도를 보유한다.
표 6은 유럽특허 EP295930호에 개시되어 있는 하도제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칸-7-엔(DBU)로 여러 종류의 표면을 프라이밍(Priming)한 결과를 화합물 3으로 표면을 프라이밍한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양 하도제는 0.1%로 Freon TA에 용해되어 양쪽 기재의 표면에 프라임 처리된다. 비교예는 하도제를 사용치 않고 Pratley Super Glue 접착제를 사용한 결과이다.
Figure kpo00020
*산토프렌은 폴리프로필렌과 EPDM 고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몬산토사(Monsanto Inc.) 제품인 열가소성 고무이다.
강도는 접착제 앞에서 기재가 파손함을 나타낸다.
이 결과는, DBU와 화합물 3은 저표면에너지 기재에 대한 결과가 유사하지만, 화합물 3은 10분간 경화된 통상의 모든 플라스틱기재와, 24시간 경화된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에 대해서는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표 7은 모두 Freon TA에 용해된 화합물 4(0.04%)와 화합물 3(0.01%)의 혼합물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는 하도제를 사용하지 않고, Pratley Super Glue를 사용한 결과이다.
Figure kpo00021
강도는 접착제 전에 기재가 파손됨을 나타낸다.
이 결과는, 화합물 4 및 화합물 3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화합물 3만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8은 여러 가지 다른 기재에 대하여 다양한 하도제들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reon TA에 용해된 1%의 n-옥틸아민(OA)(유럽특허 EP0295013호에 개시), 트리클로로에탄에 용해된 0,25%의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유럽특허 EP0333448호에 개시), Freon TA에 용해된 0,1%의 2-메틸-이미다졸(2MI)(일본특허 JP0245572호에 개시), Freon TA에 용해된 0.1%의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ZAA)(일본특허 JP02117967호에 개시)을, 하도제를 사용치 않고 Pratley Super Glue만을 사용한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모든 접착제를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Figure kpo00022
이 결과는, 2MI는 저표면에너지 기재에 대해서는 양호한 반면 통상의 플라스틱에 대해서는 불량하고, 한편 ZAA는 그와 반대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화합물 3은 저표면에너지 기재와 통상의 플라스틱 모두에 대하여 양호하다. OA와 TBAF는 모든 플라스틱에 대해 중간정도이다.
표 9는 하도제만을 사용한 여러 가지 하도제 혼합물과 하도제를 사용치 않고Pratley Super Glue만을 사용한 비교예와의 비교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kpo00023
이 표 9는, 저표면에너지 플라스틱에 대해서만 양호한 하도제에 ZAA를 혼합함으로써 통상의 플라스틱에 대해서도 보다 양호하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그 반면 전체적인 성능에 있어서는 여전히 화합물 3만큼 양호하지는 못하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2)

  1.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도제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이루어진 2성분 접착계에 있어서,
    Figure kpo00024
    N,N,N',N'-테트라메틸-1,3-부탄 디아민
    Figure kpo00025
    N,N-디메틸-N',N'-디(2-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 디아민
    Figure kpo00026
    N,N,N',N/-테트라메틸-1,3-프로판 디아민
    Figure kpo00027
    N,N,N',N'-테트라메틸-1,4-부탄 디아민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에틸-α-시아노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접착계.
  2. (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도제로 상기 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를 처리하는 단계; (ⅱ) 상기 제1플라스틱 기재 또는 제2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하나 혹은 제1 및 제2플라스틱 기재 모두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제1플라스틱 기재를 제2플라스틱 기재에 접합하는 방법.
KR1019910005772A 1990-08-27 1991-04-11 접착하도제 KR100198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906778 1990-08-27
ZA90/6778 1990-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539A KR920004539A (ko) 1992-03-27
KR100198969B1 true KR100198969B1 (ko) 1999-06-15

Family

ID=2558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72A KR100198969B1 (ko) 1990-08-27 1991-04-11 접착하도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37092A (ko)
EP (1) EP0476203B1 (ko)
JP (1) JP2533692B2 (ko)
KR (1) KR100198969B1 (ko)
AT (1) ATE137780T1 (ko)
AU (1) AU628690B2 (ko)
CA (1) CA2031103C (ko)
DE (1) DE69026939T2 (ko)
ES (1) ES2086382T3 (ko)
IL (1) IL96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9835B1 (en) 1990-11-29 1998-06-17 Loctite Corporation Consumer polyolefin primer
US5314562A (en) * 1990-11-29 1994-05-24 Loctite Corporation Consumer polyolefin primer
US5674908A (en) 1993-12-20 1997-10-07 Life Technologies, Inc. Highly packed polycationic ammonium, sulfonium and phosphonium lipids
DE19620266A1 (de) * 1996-05-20 1997-11-27 Henkel Kgaa Polyolefinmassen mit verbesserter Verklebbarkeit
US6673192B1 (en) 1997-09-25 2004-01-06 Loctite Corporation Multi-amine compound primers for bonding of polyolefins with cyanoacrylate adhesives
ATE383331T1 (de) * 1998-11-12 2008-01-15 Invitrogen Corp Transportreagentien
US6673440B2 (en) * 2000-11-06 2004-01-06 Sterling Medivations, Inc. Subcutaneous injection set tubing with solvent bonding
US20100249698A1 (en) * 2009-03-31 2010-09-30 Bordoloi Binoy K Controlled exotherm of cyanoacrylate formulations
US8871864B2 (en) 2010-09-09 2014-10-28 Teknor Apex Company Adhesive system, method of assembly of distinct components therewith
CN102701999B (zh) * 2012-07-02 2014-01-01 四川达威科技股份有限公司 阳离子水性聚氨酯皮革涂饰剂及其制备方法
EP3169310A1 (en) 2014-07-15 2017-05-24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ositions with lipid aggregates and methods for efficient delivery of molecules to cel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6134A (en) * 1950-04-19 1955-08-23 Eastman Kodak Co N, n, n', n'-tetrasubstituted diamines
US2944030A (en) * 1957-05-31 1960-07-05 Wyandotte Chemicals Corp Binary emulsifiers
US3260637A (en) * 1960-10-19 1966-07-12 Eastman Kodak Co Method of bonding using amine solutions as catalysts with alpha-cyanoacrylate adhesives
US3236835A (en) * 1961-11-24 1966-02-22 Dow Chemical Co Preparation of ethylidenediamines
US3812003A (en) * 1970-02-11 1974-05-21 Goodyear Tire & Rubber Polyurethane composition and laminates made therewith
US3647513A (en) * 1970-10-26 1972-03-07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for improving the adhesion of polyester compositions
IE60217B1 (en) * 1987-06-05 1994-06-15 Loctite Ireland Ltd "Pri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bonding non-polar substrates"
IE60275B1 (en) * 1987-06-19 1994-06-29 Loctite Ireland Ltd Diazabicyclo and triazabicyclo primer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bonding non-polar substrates
CA1332658C (en) * 1988-03-16 1994-10-25 Ju Chao Liu Primer for bonding low surface energy plastics with cyanoacrylate adhe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8690B2 (en) 1992-09-17
CA2031103A1 (en) 1992-02-28
JP2533692B2 (ja) 1996-09-11
DE69026939T2 (de) 1996-09-19
US5837092A (en) 1998-11-17
ES2086382T3 (es) 1996-07-01
JPH04139224A (ja) 1992-05-13
IL96552A (en) 1994-10-21
KR920004539A (ko) 1992-03-27
ATE137780T1 (de) 1996-05-15
AU6707190A (en) 1992-04-30
EP0476203B1 (en) 1996-05-08
CA2031103C (en) 2002-10-29
EP0476203A1 (en) 1992-03-25
DE69026939D1 (de) 199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969B1 (ko) 접착하도제
KR920002991B1 (ko) 디아자비시클로 및 트리아자비시클로 프라이머 조성물 및 비극성기질 결합에의 그의 이용
AU723854B2 (en) Non-ozone depleting co-solvent compositions and adhesive promoter compositions based thereon
US5314562A (en) Consumer polyolefin primer
US5792303A (en) Methods for forming non-volatile adhesive promoter composition for curling adhesives
EP0740685B1 (en) Non-ozone depleting co-solvent compositions
AU732754B2 (en) Non-ozone depleting co-solvent compositions
EP0559835B1 (en) Consumer polyolefin primer
CA1332658C (en) Primer for bonding low surface energy plastics with cyanoacrylate adhesives
IE60217B1 (en) "Pri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bonding non-polar substrates"
JPH0245572A (ja) プライマー
US5133823A (en) Primer for cyanoacrylate adhesives and use thereof in a bonding method
JPS6351489A (ja) プライマ−
AU618741B2 (en) Diazabicyclo + triazabicyclo primer compositions + use thereof in bonding non-polar substrates
JPH10231456A (ja) 難接着材料の接着方法
JPS6218476A (ja) プライマ−組成物
JPS6218433A (ja) プライマ−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