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320B1 - 파일 - Google Patents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320B1
KR100198320B1 KR1019960702279A KR19960702279A KR100198320B1 KR 100198320 B1 KR100198320 B1 KR 100198320B1 KR 1019960702279 A KR1019960702279 A KR 1019960702279A KR 19960702279 A KR19960702279 A KR 19960702279A KR 100198320 B1 KR100198320 B1 KR 10019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wall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691A (ko
Inventor
다키오 기요미
Original Assignee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다 아키히로,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다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96070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S 철한 파일을 E 수납함에 있어서, 옆으로 넘어지거나 변형하는 일이 없도록 강성을 높인 파일로서, 앞뒤 한쌍의 개폐표지(4, 5)와 그들 개폐표지(4, 5) 기단 사이에 설치한 등표지(6)와, 그 등표지(6)의 내면 또는 개폐표지(4, 5)의 기단 근방부 내면에 고착한 철구(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표지(4) 상단 및 선단 따라 형성되고, 다른쪽 표지(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벽(8) 및 선단벽(9)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파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파일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동실시예 파일을 E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동실시예 파일을 S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동실시예의 파일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동실시예의 파일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동실시예를 나타내는 제8도 상당의 작용 설명도.
제10도는 동실시예를 나타내는 제8도 상당의 작용 설명도.
제11도는 주요부 확대표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일 2 : 파일 본체
3 : 철구(綴具) 4,5 : 개폐표지(開閉表紙)
6 : 등표지(背表紙) 7 : 힌지부
8 : 상벽(上壁) 9 : 선단벽
11 : 걸어맞춤벽 15 : 손잡이부
16 : 걸어맞춤 볼록부 17,18 : 턱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물실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파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앞 뒤 (表裏) 한쌍의 개폐표지와, 이들 개폐표지의 기단간에 설치되어 이들 각 기단에 힌지부를 통하여 힌지 결합된 등표지를 가령 합성수지나 두꺼운 종이 등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그 등표지 내면에 철구를 접착, 용착, 리베트 접합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파일이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이 종류의 파일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령, 각 개폐표지를 세로로 길게해 두고, 세로로 긴 용지의 한쪽의 긴 변을 철구에 의해 철하게 (이하, 이 태양 (態樣)을 「S철」이라 약칭한다)한 것이 알려져 잇다. 이와 같은 파일은 통상, 철구가 부착되어 있는 등표지가 기립자세로 보관고나 서가 등에 수납(이하, 이 태양을 「S수납」이라 약칭한다)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근년 수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같은 파일을 철해진 용지류가 철구에 의해 현수되는 자세, 즉, 등표지가 최상위치에 있어서 수평이 되는 자세로 수납(이하, 이 태양을 「E수납」이라 약칭한다)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S철판 파일을 E수납할 경우, 가로나 경사로 부터의 하중에 약하고, 용지무게가 시간경과에 따라 파일을 평행 4변형으로 눌러 구부러지게 가해지면, 넘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파일의 개폐표지 주위에 벽을 형성하여, 닫았을 때에 파일을 상자형이 되게 하여, 파일에 강성을 갖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일을 상자형으로 하면, 파일을 열고서 안에 철한 용지를 넘길 때, 주위의 벽에 방해가 되어 용지에 손대기가 어려워진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르 채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파일은 앞 뒤 한쌍의 개폐표지와, 그들 개폐표지의 기단간에 설치된 등표지와, 그 등표지의 내면 또는 개폐표지의 기단 근방부 내면에 고착하나 철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일로서, 한쪽 표지의 상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의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상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구성의 것이면, 한쪽의 개폐표지 상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의 개폐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상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일을 닫으면, 한쪽의 개폐표지에 형성된 상벽 및 선단벽이 다른쪽 개폐표지에 걸어맞춤되어 파일은 상자형이 된다. 따라서, 강성이 높아지고, 파일을 통해 4변형으로 변형시키려 하는 하중에 대하여 높은 저항력을 발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E수납하더라도 변형하는 일은 없다.
더구나, 한쪽의 개패표지 하단은 벽을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일을 열고 철해져 있는 용지를 넘길 때는 그 하단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용지에 손가락을 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파일은 앞 뒤 한쌍의 개폐표지와, 그들 개폐표지의 기단간에 설치된 등표지와, 그 등표지의 내면 또는 개폐표지 기단부 근방 내면에 고착한 철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쪽이 표지의 상, 하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상, 하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열어서 사용할 때에 앞쪽에 위치하는 하벽에, 한쪽 표지의 내면 부근까지 도달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으로 할 수 도 있다.
이같은 구성의 것이면, 한쪽의 개폐표지의 상, 하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개폐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상벽, 하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것에 비해 더욱 강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한쪽의 개폐표지 주위 모두에 벽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어 사용할 때에 앞쪽에 위치한 하벽에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일과 같이, 철해져 있는 용지를 넘기기 쉽게 되어 있다.
닫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에 더하여, 열림조작도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상과 같은 구성의 파일에 있어서, 개폐표지를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선단벽에 양 개폐표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노치부를 형성해 두고, 그들 양 개폐표지 간에 그 개폐표지의 열림 동작을 이용하여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양 개폐표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이탈하는 탄성 걸림부를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특히 적합한 태양으로는 한쪽의 개폐표지에 설치한 선단벽이 그 상하단에 다른쪽 개폐표지에 맞닿는 상, 하 맞닿기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들 상맞닿기부 아래가장자리와, 하맞닿기부 위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노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탄성걸림부가, 상맞닿기부 아래가장자리 보다 상방, 및 하맞닿기부 위가장자리 보다 하방에 위치시켜서 한쪽의 개페표지측에 설치한 삽입부와, 다른쪽 개폐표지측에 설치되어 개폐표지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넣어지는 수입부(受入部)와, 이들 삽입부의 수입부로 부터의 빼내어짐에 일정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요소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을 들 수 있다.
E 수납과 S 수납중 어느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라벨접착부를 설치해 두는 것이 좋고, 또한, 파일을 수납 스페이스에서 꺼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해 두는 것이좋다.
또,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라벨접착부를 설치해 두면, 파일을 E 수납할 때나, S 수납할 때나 , 어느 하나의 라벨 접착부가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라벨은 보이는 부분에 항상 표출되게 된다.
또한, 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해 두면, 파일을 E 수납할 때나, S 수납할 때나, 꺼낼때에 손잡이부가 앞쪽에 온다. 따라서, E 수납 및 S 수납중 어느쪽의 수납형태에 있어서도, 파일은 꺼내기가 쉽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파일(1)은 파일본체(2)와, 그 파일본체(2) 내면에 고정부착된 철구(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파일본체(2)는 앞 뒤 한쌍의 세로로 긴 개폐표지(4,5)와 이들 개폐표지(4,5) 기단부에 힌지부(7)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등표지(6)와, 한쪽이 개폐표지(4)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개폐표지(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상벽(8)과, 한쪽의 개폐표지(4)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개폐표지(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선단벽(9)과, 다른쪽 개폐표지(5)의 상단 근방 중앙부에서 선단 근방의 중앙부에 걸쳐 형성된 걸어맞춤벽(11)을 합성수지로 일체 형성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벽(8)은 한쪽의 개폐표지(4)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워설치된 것으로, 등표지(6) 폭과 대략 동일 높이를 가지며, 한쪽의 개폐표지(4)와 대략 동일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벽(8)의 좌단과 선단벽(9)의 상단은 대략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속되어 있다. 걸어맞춤벽(11)은 다른쪽의 개폐표지(5)의 상단에서 상벽(8)의 두께 만큼 후퇴한 위치에, 다른쪽의 개폐표지(5)의 가로폭의 대략 중앙부에서 선단에 걸쳐 완만한 커브를 그리면서 상승하고, 또, 다른쪽 개폐표지(5) 선단에서 선단벽(9) 두께만큼 후퇴한 위치에 다른쪽 개폐표지(5)의 세로의 대략 중앙부에서 완만한 상단에 걸쳐 커브를 그리면서 상승하여, 쌍방이 우측 상부 모서리에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 등표지(6) 및 상벽(8)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벨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라벨장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라벨장착부(14)는 파일본체(2) 두께의 약 절반 두께의 오목부가 4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파일(1)을 수납했을 때,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표지(6) 및 상벽(8)에는 손잡이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15)는 수납된 파일(1)을 꺼낼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 노치형상을 하고 있다. 이들 손잡이부(15)는 파일(1)을 수납했을 때에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등표지(6) 내면에 높이방향의 중앙에는 철구(3)가 리베트 부착되어 있다.
또, 파일본체(2)를 닫았을 때에는 철구(3)의 선단가장자리가 맞닿는 개폐표지(4,5) 내측에는 걸어맞춤 볼록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16)는 세로로 긴 ㄷ자형 돌조로 이루어지고, 세로방향의 안쪽 치수를 철구(3)의 외형길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여도 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볼록부(16)는 등표지(6)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철구(3)의 턱부(17,18)에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파일본체(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철구(3)는 파일본체(2)에 리베트 부착되는 철구 베이스(19)와, 철구베이스(19)에 착할 가능하게 부착되는 누름판(20)으로 이루어지고, 철구 베이스(19)에 설치한 철관(24)과 누름판(20)의 협동에 의해 용지를 철하는 타입의 것이다. 철구 베이스(19)는 판금제이며, 부착부(21)와, 부착부(21)의 일단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기립벽(22)과, 부착부(2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축착되는 회동벽(2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회동벽(23)에 쌍을 이루는 철관(24)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철판(24)에 누름판(20)의 축프레임(25)을 착탈가능하게 삽입한 다음, 회동벽(23)을 기립시킴으로써 그 누름판(20)이 기립벽(22) 내면측에 걸리도록되어 있다. 누름판(20)을 기립벽(20)에 걸기 위한 위한 걸림수단(26)은 종래,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라도 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기립벽(22) 및 회동벽(23)의 자유단은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턱부(17,18)를 형성하고 있다.
이같은 구성에 있어서, 파일본체(2)를 닫으면, 한쪽의 개폐표지(4)에 형성된 상벽(8) 및 선단벽(9)의 내면이 다른쪽 개폐표지(5)에 형성된 걸어맞춤벽(11)의 외면과 걸어맞춤하여 상자형이 된다. 따라서, 강성이 높아지고, 파일본체(2)를 평행 4변형으로 변형시키고자 하는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항력을 발휘한다. 게다가, 한쪽의 개폐표지(4) 하단은 벽을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일본체(2)를 열고 철해져 있는 용지를 넘길 때는 그 하단에서 직접 손가락을 용지에 댈 수 있다.
또, 등표지(6) 및 상벽(8)에 각각 라벨장착부(1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파일(1)을 E수납할 때나, 어느 하나의 라벨장착부(14)가 반드시 앞쪽으로 온다. 따라서, 라벨은 보이는 부분에 항상 표출되어 있게 된다.
또한, 등표지(6) 및 상벽(8)에 각각 손잡이부(15)를 설치해 있으므로, 파일(1)을 E수납할때나, S수납할 때나 꺼낼때에 손잡이부(15)가 앞쪽으로 온다. 따라서, E수납 및 S수납의 어느 수납형태에 있어서나 파일(1)은 꺼내기 쉬워 사용 편의가 향상된다.
덧붙여, 파일본체(2)를 닫으면, 철구(3)의 턱부(17,18)가 걸어맞춤 볼록부(16) 내측에 맞닿는다. 이 상태로, 이 파일(1)을 선반에 E수납, 즉, 등표지(6)를 위로하여 수납하면, 철해진 용지가 철구(3)에 의해 매달린다. 이때, 철구(3)의 턱부(17,18)는 걸어맞춤 볼록부(16)에 걸어맞춤하여 지지되게 되며, 철구(3)에 작용하고 있는 용지의 하중은 걸어맞춤 볼록부(16)가 설치되어 지지되어 있는 개폐표지(4,5)에 의해 지지되게 되고, 등표지(6)에 작용하는 하중이 거의 소멸된다. 따라서, 개폐표지(4,5)와 등표지(6)의 경계에 존재하는 힌지부(7)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그 부분의 변형이 저지되어 내구성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철한 파일(1)을 수납하는 선반과 선반의 이간 거리는 S수납할 경우, 파일본체(2)의 긴변의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었으나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면 결함없이 E수납이 가능하므로 이간거리를 파일본체(2)의 짧은변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하면 좋아진다. 따라서, 수납부에 있어서의 선반의 단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파일(1)의 수납효율은 가령, 20% 정도 높일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볼록부(16)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볼록부(16)는 파일(1)을 S수납할 경우에도 턱부(17,18)의 하면 및 기립벽(22) 및 회동벽(23)의 하면과 걸어맞춤하여 맞닿아 지지한다. 따라서, 철구(3)에 작용하고 있는 용지의 하중은 개폐표지(4,5)의 양면 전체와 등표지(6)로 받아진다. 따라서, 하중은 분산되어 E수납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파일(101)은 파일본체(102)와 그 파일본체(102) 내면에 고착된 철구(3)를 구비하고 있다.
파일본체(102)는 앞 뒤 한쌍의 세로로 긴 개폐표지(104,105)와, 그들 개폐표지(104,105)의 기단 사이에 힌지부(107)를 통하여 힌지 결합된 등표지(106)와,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고 다른쪽 개폐표지(10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상벽(108)과, 한쪽에 개폐표지(104)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개폐표지(10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하벽(110)과, 한쪽의 개폐표지(104)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 개폐표지(10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선단벽(109)과, 다른쪽 개폐표지(105)의 상단, 선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걸어맞춤하는 선단벽(111)을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열어 사용할 때에 앞쪽에 위치하는 하벽(110) 및 선단벽(109)에 한쪽의 개폐표지(104) 내면 부근에 까지 도달하는 노치부(130,131)를 설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벽(108)은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워설치된 것이다. 상벽(108)은 높이는 등표지(106)의 폭에서 다른쪽 개폐표지(105)의 후기하는 걸어맞춤벽(111)의 베이스부(112) 높이를 뺀 값과 대략 동일하고, 두께는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선단벽(109)은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선단에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워설치된 것으로, 상벽(108)과 동일한 높이 및 두께를 가지고, 상벽(108)의 좌단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벽(110)은 한쪽의 개폐표지(104) 하단에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워설치된 것으로, 상벽(108) 및 선단벽(109)과 동일 높이 및 두께를 가지고, 선단벽(109)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벽(109)에는 양단에서 각각 적절히 떨어진 위치에서 완만하게 오목상으로 커브를 그리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서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내면부근까지 도달하는 노치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하벽(110)에는 좌단에서 적절히 떨어진 위치에서 완만하게 커브를 그리면서 가로폭의 대략 2/3 부근에서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내면부근까지 도달하여, 그 후, 수평으로 절결되어 있는 노치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의 걸어맞춤벽(111)은 베이스부(112)와 걸어맞춤부(113)로 이루어지고, 다른쪽의 개폐표지(105) 둘레가장자리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12)는 높이가 개폐표지(104,105) 두께와 대략 동일하고, 두께가 개폐표지(104,105) 두께의 대략 2배이다. 두께가 베이스부(112)의 두께의 대략 1/2인 걸어맞춤부(113)는 베이스부(112)위에 베이스부(112)와 내면을 하나의 면으로 형성하고 있어,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의 상단의 중앙부분, 선단의 중앙부분, 하단의 중앙부분에서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의 선단, 상단, 하단을 향하여 각각 완만하게 상승하는 커브를 그리면서 상승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113)의 가장 높은 부분, 즉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의 모서리 부분에는 가령, 상벽(108)의 높이의 약 1/3정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타 구성은 제1도 내지 제4도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것이라도 좋다.
이같은 구성의 것이면, 파일본체(102)를 닫으면,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상벽(108)과, 선단벽(109)과 하벽(110)의 내면이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어맞춤벽(111)의 걸어맞춤부(113)의 외면과 결합한다. 이와 같이, 파일본체(102)는 6면에 벽을 갖는 상자형이기 때문에 청구항1에 관한 실시예에 비해 더욱 강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한쪽의 개폐표지(104)의 주위에 상벽(108), 선단벽(109), 하벽(110)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어사용시에 앞쪽에 위치하는 하벽(110) 및 좌측에 위치하는 선단벽(109)에 노치부(130,13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노치부(130,131) 부분에서 철해져 있는 용지에 손가락을 댈 수 있고,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의 것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제7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파일(201)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파일(101)에 준한 구성으로 되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파일(201)의 개폐표지(104,105)는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선단벽(109)에 양 개폐표지(104,105)가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노치부(13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양 개폐표지(104,105) 사이에 그 개폐표지(104,105)의 닫힘 동작을 이용하여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양 개폐표지(104,105)가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서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이탈하는 탄성걸기부(202)를 설치하고 있다.
상술하면, 이 파일(201)이 한쪽의 개폐표지(104)에 설치한 선단벽(109)은 그 상하단에 다른쪽의 개폐표지(105)에 맞닿는 상, 하 맞닿기부(203,204)를 가짐과 동시에, 그들 상맞닿기부(203) 아래가장자리(203a)와 하맞닿기부(204) 위가장자리(204a) 사이에 상기 노치부(130)를 구비한 것이다. 탄성걸림부(202)는 상맞닿기부9203)의 아래가장자리(203a)보다 상방, 및 하맞닿기부(204) 위가장자리(204a) 보다 하방에 위치시켜서 한쪽의 개폐표지(104) 측에 설치한 삽입부(205,206)와, 다른쪽 개폐표지(105) 측에 설치되어 개폐표지(104,105)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205,206)가 끼워넣어지는 수입부(207,208)와, 이들 삽입부(205,206)의 수입부(207,208)로 부터의 빼내어지는 것에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요소(209,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삽입부(205)는 상벽(108)의 내면 및 선단벽(109) 내면에 각각 연속되는 직각으로 굴곡한 박벽(薄壁) 형사의 것으로, 상기 상벽(108) 및 선단벽(109)의 대략 절반정도 두께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206)는 선단벽(109)의 내면 및 하벽(110) 내면에 각각 연속하는 직각으로 굴곡한 박벽현상의 것으로, 상기 선단벽(109) 및 하벽(110)의 대략 절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수입부(207)는 다른쪽의 개폐표지(105) 내면에 있어서의 선단 및 상단의 모서리부에 형성한 직각으로 굴곡하는 오목홈 형상의 것이며, 파일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205)가 끼워넣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입부(208)는 상기 개폐표지(105) 내면에 있어서의 선단 및 하단의 모서리부에 형성한 직각으로 굴곡하는 오목홈현상의 것이며, 파일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206)가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저항부여요소(209)는 삽입부(205)의 선단벽측 외면에 돌출설치한 걸어맞춤돌기(209a)와, 수입부(207)의 상기 걸어맞춤돌기(209a)에 대응하는 부위에 뚫어설치한 결어맞춤구멍(209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205)를 수입부(207)에 압입할 때에 부재의 일시적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걸어맞춤돌기(209a)가 상기 걸어맞춤구멍(209b)에 걸엄자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엄자춤돌기(209a)는 둥근 모양을 띈 상태로 뻗어나온 낮은 돌기이고, 삽입부(205)와 수입부(207) 사이에 일정 이상의 이격력으르 줌으로써 걸어맞춤구멍(209a)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있다.
저항부여요소(210)는 삽입부(206)의 선단벽측 외면에 돌출설치한 걸어맞춤돌기(210a)와, 수입부(208)의 상기 걸어맞춤돌기(210a)에 대응하는 부위에 뚫어설치한 걸어맞춤구멍(210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206)를 수입부(208)에 압입할 때에 부재의 일시적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걸어맞춤돌기(210a)가 상기 걸어맞춤구멍(210b)에 걸어맞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210a)는 둥근 모양을 띈 상태로 뻗어나온 낮은 돌기이며, 삽입부(206)와 수입부(207) 사이에 일정 이상의 이격력을 줌으로써 걸어맞춤구멍(210b)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의 것이면, 파일(201)을 닫음으로써 삽입부(205,206)가 수입부(207,208)에 끼워맞춤된다. 그때, 삽입부(205,206)에 설치한 걸어맞춤돌기(209a,210b)가 수입부(207,208)의 일시적 탄성 확개(擴開)작용을 야기시키면서 수입부(207,208)에 설치한 걸어맞춤구멍(209a,210b)에 결합하게 되고, 파일(201)은 부주의로 닫히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파일(201)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양 개폐표지(104,105) 선단가장자리를, 가령, 손끝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우선, 변형되기 쉬운 개폐표지(105)가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만곡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개폐표지(105) 선단가장자리는 상맞닿기부(203) 아래가장자리(203a)와 하맞닿기부(204) 위가장자리(204a)를 지지점으로 하여 만곡하게 되고, 상기 아래가장자리(203a)와 위가장자리(204a)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는 개폐표지(10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고, 상기 아래가장자리(203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 및 상기 위가장자리(204a)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개폐표지(104)에서 이격하는 방향으로 치우친다. 그 때문에 상기 아래가장자리(203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삽입부(205)가 대응하는 수입부(207)에서 빼내어 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돌기(209a)가 걸어맞춤구멍(209b)에서 벗어남과 동시에상기 위가장자리(204a) 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삽입부(206)가 대응하는 수입부(208)에서 빼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돌기(210a)가 걸어맞춤구멍(210b)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개폐표지(104,105) 선단가장자리 중앙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삽입부(205,206)가 상기 각 수입부(207,208)에서 빼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개폐표지(104,105)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재하면, 양 개폐표지(104,105)는 간단하게 열린다.
또한, 노치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령,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파일에 있어서는 선단벽(109) 및 하벽(110)의 대략 중앙부분에 적어도 엄지가 통과할 정도의 폭치수를 절결한 것이라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파일은 주로 용지류를 철한 상태로 비교적 장기간, 보관고나 서가 등에 수납하여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12)

  1. 앞 뒤 한쌍의 개폐표지와, 그들 개폐표지의 기단 사이에 설치한 등표지와, 그 등표지의 내면 또는 개폐표지의 기단 근방부 내면에 고착한 철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일로서, 한쪽의 표지의 상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의 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상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2. 앞 뒤 한쌍의 개폐표지와, 그들 개폐표지의 기단 사이에 설치한 등표지와, 그 등표지의 내면 또는 개폐표지의 기단 근방부 내면에 고착한 철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일로서, 한쪽의 표지의 상, 하단 및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다른쪽의 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상, 하벽 및 선단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열어 사용할 때에 앞쪽에 위치하는 하벽에, 한쪽의 표지의 내면부근 까지 도달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개폐표지를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선단벽에 양 개폐표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노치부를 형성해 두고,그들 양 개폐표지 사이에, 그 개폐표지의 닫힘 동작을 이용하여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양 개폐표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이탈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4. 제3항에 있어서, 한쪽의 개폐표지에 설치한 선단벽이 그 상하단에 다른쪽의 개폐표지에 맞닿는 상, 하 맞닿기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들 상맞닿기부의 아래가장자리와 하맞닿기부의 위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노치부를 구비한 것이며, 탄성 걸림부가 상맞닿기부의 아래가장자리 보다도, 상방 및 하맞닿기부의 위가장자리 보다도 하방에 위치시켜서 한쪽의 개폐표지측에 설치한 삽입부와, 다른쪽의 개폐표지측에 설치되어 개폐표지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가 끼어 들어가는 수입부와, 이들 삽입부의 수입부로 부터의 빼내어지는 것에 일정의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파일.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라벨장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7. 제5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8. 제2항에 있어서, 개폐표지를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선단벽에 양 개폐표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노치부를 형성해두고, 그들 양 개폐표지 사이에, 그 개폐표지의 닫힘 동작을 이용하여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양 개폐표지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이탈하는 탄성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9. 제8항에 있어서, 한쪽의 개폐표지에 설치한 선단벽이 그 상하단에 다른쪽의 개폐표지에 맞닿는 상, 하 맞닿기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들 상맞닿기부의 아래가장자리와 하맞닿기부의 위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노치부를 구비한 것이며, 탄성 걸림부가 상맞닿기부을 아래가장자리 보다도 상방, 및 하맞닿기부의 위가장자리 보다도 하방에 위치시켜서 한쪽의 개폐표지측에 설치한 삽입부와, 다른쪽의 개폐표지측에 설치되어 개폐표지 닫힘시에 상기 삽입부가 끼어 들어가는 수입부와, 이들 삽입부의 수입부로 부터의 빼내어지는 것에 일정의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10. 제2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라벨장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11. 제2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12. 제10항에 있어서, 등표지 및 상벽에 각각 손잡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KR1019960702279A 1994-09-05 1995-06-28 파일 KR100198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47894 1994-09-05
JP94-211478 1994-09-05
PCT/JP1995/001295 WO1996007549A1 (fr) 1994-09-05 1995-06-28 Dossier-clas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691A KR960705691A (ko) 1996-11-08
KR100198320B1 true KR100198320B1 (ko) 1999-06-15

Family

ID=1660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279A KR100198320B1 (ko) 1994-09-05 1995-06-28 파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92849A (ko)
KR (1) KR100198320B1 (ko)
CN (1) CN1056562C (ko)
GB (1) GB2297063B (ko)
HK (1) HK1018577A1 (ko)
TW (1) TW356767U (ko)
WO (1) WO1996007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1272A (en) * 1997-11-15 1999-05-19 Frederick Adegbola Ajayi Document file cover
USD406603S (en) * 1998-02-26 1999-03-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Linear embossed spine panel and cover for ring binder
US20030230888A1 (en) * 2002-06-17 2003-12-18 Grummich Karl Wolfhard Memorabilia album
US20050117964A1 (en) * 2003-11-18 2005-06-02 Johnson Emily G. Apparatus for storing photographs and other memorabilia
US20060038394A1 (en) * 2004-08-23 2006-02-23 Henley Deborah A Album for storing and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tems of memorabilia
US20060095811A1 (en) * 2004-09-15 2006-05-04 Damon Afualo Apparatus and method for graphics memory controlling hub (GMCH) clocking support for dual television encoders
USD656188S1 (en) 2008-07-07 2012-03-20 Staples The Office Superstore, Llc Binder
CN103449090B (zh) * 2013-09-23 2015-10-07 长沙炎辰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取书书盒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466250A (en) * 1950-06-27 A. Whitfield Fred Means for interlocking folders
US813150A (en) * 1904-05-31 1906-02-20 Charles O Hiscock Filing-case.
US845390A (en) * 1906-09-08 1907-02-26 Charles C Baughman Loose-leaf binder.
CH221947A (de) * 1941-11-14 1942-06-30 Graber Willy Dokumenten-Kassette.
GB552787A (en) * 1942-02-12 1943-04-23 Walter Henry Swan Book protecting cover
US2549306A (en) * 1947-06-21 1951-04-17 Greene Sterling Self-contained easel display case
CH556753A (de) * 1970-11-03 1974-12-13 Montanari Sergio Raccoglitore-contenitore per archivio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ello stesso.
US3891070A (en) * 1971-11-03 1975-06-24 Sergio Montanari Assembly type filing system comprising portfolios and filing cabinets therefor
JPS479914A (ko) * 1971-11-04 1972-05-20
JPS5111458Y2 (ko) * 1972-03-31 1976-03-27
US4011940A (en) * 1975-12-12 1977-03-15 Amaray International Corporation Hinged storage container for tape cartridge with self-aligning walls
DE2747628B2 (de) * 1977-09-24 1980-02-21 Otto 3003 Ronnenberg Schmidt Ordner mit innerer Aufreihmechanik
US4222190A (en) * 1978-07-27 1980-09-16 Oxford Pendaflex Corporation Device for holding flip cards
US4269879A (en) * 1979-04-20 1981-05-26 The Dampney Company Solventless epoxy-based coating composition, method of applying and article coated therewith
JPS586716Y2 (ja) * 1979-05-19 1983-02-04 セキセイ株式会社 箱型バインダ−
US4294558A (en) * 1979-08-06 1981-10-13 Errichiello D Weatherproof portfolios
US4466638A (en) * 1981-10-08 1984-08-21 Miskin Renold A Directory holders
JPS58155269U (ja) * 1982-04-12 1983-10-17 重原 勝己 フアイル
DE8236741U1 (de) * 1982-12-29 1983-06-30 Sir Rowland Hill (Stamps) Ltd.(Gesellschaft) für alte und neue Philatelie mbH & Co, 3302 Weddel Loseblatt-Sammelordner
US4588321A (en) * 1984-06-08 1986-05-13 Egly Robert A Magnetic media and program case
JPH03394Y2 (ko) * 1985-03-05 1991-01-09
JPS6370378U (ko) * 1986-10-29 1988-05-11
GB2203097A (en) * 1987-04-07 1988-10-12 Shepheard Walwyn Christopher Personal organiser
US4856817A (en) * 1988-08-12 1989-08-15 The Mead Corporation Easy grip binder
JPH0268178U (ko) * 1988-11-14 1990-05-23
DE8816164U1 (de) * 1988-12-29 1989-07-27 Datox-Organisation Schweinsberg GmbH & Co. KG, 8633 Rödental Behälter zur Aufbewahrung von Gegenständen
US4997207A (en) * 1989-06-22 1991-03-05 Feldman Richard L Notebook cover res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H0320193U (ko) * 1989-07-10 1991-02-27
JPH0352184U (ko) * 1989-09-28 1991-05-21
JPH042685U (ko) * 1990-04-19 1992-01-10
NL9101174A (nl) * 1990-10-12 1992-05-06 Ode Off Data Europ Inrichting voor het opbergen van documenten.
AU642926B2 (en) * 1990-11-14 1993-11-04 Soon An Lim A dual purpose file
DK103291D0 (da) * 1991-05-30 1991-05-30 Jydsk Telefon As Ringbind og udstyr til samme
WO1993003932A1 (en) * 1991-08-16 1993-03-04 Celestial Products Pty. Ltd. Binder
US5267804A (en) * 1991-09-30 1993-12-07 Baumgarten Hans J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binder self-supporting
US5190127A (en) * 1991-12-31 1993-03-02 Cummings Don E Card collection carrying case with three-ring binder
GB9204588D0 (en) * 1992-03-03 1992-04-15 Ferguson Scot Ltd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07263D0 (en) 1996-06-12
CN1134685A (zh) 1996-10-30
GB2297063A (en) 1996-07-24
TW356767U (en) 1999-04-21
GB2297063B (en) 1998-09-30
HK1018577A1 (en) 1999-12-24
KR960705691A (ko) 1996-11-08
US5692849A (en) 1997-12-02
CN1056562C (zh) 2000-09-20
WO1996007549A1 (fr) 199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985A (en) Paper article dispenser
US6382575B1 (en) Instrument holder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mounting plate
KR100198320B1 (ko) 파일
WO2001001381A1 (en) Positionable indexing tab
EP0587268B1 (en) Ribbed mat for file cabinet
JP4347519B2 (ja) 調整可能な書見台に転換可能なフォルダー
US5823497A (en) Box holder
US4998695A (en) Multiple arrangeable strip support for a bag
WO2007065148A2 (en) Mountable box holder and method for mounting a box
GB2323075A (en) A receptacle
JP2689911B2 (ja) ファイル
JP2953056B2 (ja) ファイル
JP3867133B2 (ja) スタンド形成部材
JPH05114Y2 (ko)
JPS6343997Y2 (ko)
US4724580A (en) Hinge with offset guide walls
KR200493812Y1 (ko)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JP2557965Y2 (ja) 家具における棚板の仮止め具
KR100399654B1 (ko) 조리기 수납용 홀더
JP2003246178A (ja) ファイル用レバークリップ
JP3752314B2 (ja) 注射器用波形状ホルダー付きトレー
JPH024933Y2 (ko)
JP2525773Y2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部付書籍
JPH083326Y2 (ja) 収納袋並びに袋支持体
JP3024030U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