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087B1 - 오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8087B1 KR100198087B1 KR1019960015369A KR19960015369A KR100198087B1 KR 100198087 B1 KR100198087 B1 KR 100198087B1 KR 1019960015369 A KR1019960015369 A KR 1019960015369A KR 19960015369 A KR19960015369 A KR 19960015369A KR 100198087 B1 KR100198087 B1 KR 100198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tank
- partition wall
- sewage
- aeration t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오수도입관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침전 분리조와, 이 침전 분리조의 일측에 제1간막이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1간막이벽의 상측에 뚫려진 통수공을 통해 침전 분리조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이 배관되며 유동이 가능하게 접촉수단을 장설하는 접촉폭기조와, 상기한 접촉폭기조의 일측과 하부로 연통하는 연통구를 구비하는 침전조와, 이 침전조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방류관을 구비하는 소독조로 형성하며, 상기한 접촉수단은 접촉재와, 이 접촉재를 내설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그리고 상부 프레임의 측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한 제2간막이벽에 헐겁게 볼트 결합하는 돌편으로 이루어지며 접촉폭기조의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장설되게 구성된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접촉수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하좌우로 진동시켜 접촉재에 부착되어 증식된 생물막을 완전히 메어 내어 안전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어,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개략 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수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오수도입관 4 : 침전 분리조
6 : 제1간막이벽 8 : 통수공
10 : 송기관 12 : 접촉폭기조
14 : 제2간막이벽 16 : 연통구
18 : 침전조 20 : 방류관
22 : 소독조 24 : 접촉수단
26 : 접촉재 28 : 상부 프레임
30 : 하부 프레임 32 : 돌편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 정화조의 접촉폭기조에 내설되어 있는 접촉재가 생물막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수의 정화 처리를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배설물은 소정의 정화 처리를 거치지 않고 공공수역으로 방출하거나, 일반 가정과 일반 건축물에 구비되어 있는 단독 정화조에서 1차 처리하고 공공수역으로 방출한다. 또는, 이 처리수를 소정의 정화 시설을 갖춘 시설물에서 수집하여 2차 처리하여 공공수역으로 방출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공공수역의 부영양화의 방지와 환경 보존을 위하여 특히, 단독 정화조의 보급이 시급하며 활발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도입관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침전 분리조와, 이 침전 분리조의 일측에 제1간막이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1간막이벽의 상측에 뚫려진 통수공을 통해 침전 분리조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이 배관되며 접촉재를 추진하여 내설하는 접촉폭기조와, 상기한 접촉폭기조의 일측에 제2간막이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2간막이벽의 하부에 뚫려진 연통구를 통해 접촉폭기조의 처리수를 유입하는 침전조와, 이 침전조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방류관을 구비하는 소독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오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오수도입관에서 침전 분리조에 도입되는 오수는 이 침전 분리조에서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침전 또는 부상시켜 분리 제거 처리한다.
다음으로, 침전 분리조의 처리수는 제1간막이벽에 형성된 통수공을 통해 접촉재가 충진되어 있는 접촉폭기조로 유입된다.
상기한 접촉폭기조에 유입된 처리수는 내설된 송기관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폭기되어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이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폭기된 물은 침전조로 유입되고 침전조의 상부에 형성된 소독조에 의해 소독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소독조에 형성된 방류관을 통하여 방류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수 처리장치는, 접촉폭기조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접촉재의 표면에 부착한 생물막에 의해 흡착 및 산화 분해 처리되지만 이 접촉재에 부착된 생물막이 증식하여 소정의 기간을 두고 정기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접촉재가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접촉재의 폐쇄로 폭기순환이 곤란하게 되어 단격 현상이 발생하고, 수질이 악화되고, 접촉재가 오물의 압밀로 인하여 파괴되어 낙하 또는 부상하여 오수 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접촉폭기조의 접촉재 저부에 역세관을 배치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역세조작을 행하고 역세오물을 반출 처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세조작은 하부로부터의 폭기되는 공기에 의해 이 역세조작만으로는 강하게 고정되어 부착된 생물막을 완전하게 떼어 내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역세조작을 행하지 않고, 접촉폭기조의 내부에 소정의 접촉수단을 유동이 가능하도록 내설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하좌우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증식된 생물막을 완전히 떼어 내어 안전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어,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이 안정된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는, 접촉폭기조의 내부에 접촉재와, 이 접촉재를 내설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한 상부 프레임의 측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한 제2간막이벽에 헐겁게 볼트 결합하는 돌편으로 이루어진 접촉수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설한다.
[작용]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접촉폭기조의 접촉수단을 조내에 고정하지 않고, 간막이벽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장설함으로써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 접촉수단에 상하좌우로 잔동을 가하면 접촉재에 증식된 생물막이 떼어져 제거되어 접촉재의 폐쇄를 방지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오수처리 장치는, 오수도입관(2)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침전 분리조(4)와, 이 침전 분리조(4)의 일측에 제1간막이벽(6)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1간막이벽(6)의 상측에 뚫려진 통수공(8)을 통해 침전 분리조(4)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10)이 배관되며 유동이 가능하게 접촉수단(24)을 장설하는 접촉폭기조(12)와, 상기한 접촉폭기조(12)의 일측에 제2간막이벽(14)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2간막이벽(14)의 하부에 뚫려진 연통구(16)를 통해 접촉폭기조(12)의 처리수를 유입하는 침전조(18)와, 이 침전조(18)의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방류관(20)을 구비하는 소독조(22)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접촉수단(24)은 접촉재(26)와, 이 접촉재(26)를 내설하는 상부 프레임과(28), 하부 프레임(30)과, 그리고 상부 프레임(28)의 측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한 제2간막이벽(14)에 헐겁게 볼트 결합하는 돌편(32)으로 이루어지며 접촉폭기조(12)의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장설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오수도입관(2)에서 침전 분리조(4)에 도입되는 오수는 이 침전 분리조(4)에서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침전 또는 부상시켜 분리 제거 처리한다.
다음으로, 침전 분리조(4)의 처리수는 제1간막이벽(6)에 형성된 통수공(8)을 통해 접촉수단(24)이 유동 가능하게 장설되어 있는 접촉폭기조(12)로 유입된다.
상기한 접촉폭기조(12)에 유입된 처리수는 내설된 송기관(10)에서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폭기되어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이 처리되며 이 폭기에 의하여 시회류가 발생하여 폭기순환이 이루어져 유기물의 처리가 촉진된다.
또한, 이 처리수는 접촉수단(24)을 구성하는 접촉재(26)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생물막에 의하여 흡착 또는 산화 분해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접촉재(26)의 표면에 부착된 생물막이 증식을 하며 이 증식된 생물막을 제거할 때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접촉수단(24)을 상하좌우로 진동을 주면 증식된 생물막이 접촉제로부터 이탈되어 제거하게 된다.
이것은 접촉재(26)가 소정의 구성을 가지며 조림되어 유동이 가능하게 접촉폭기조(12)의 내부에 장설되는 것으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폭기된 처리수는 제2간막이벽(14)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구(16)를 통해 침전조(18)로 유입되고 침전조(18)의 상부에 형성된 소독조(22)에 의해 소독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소독조(22)에 형성된 방류관(20)을 통하여 방류된다.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수 처리 장치는, 접촉재에 부착되어 증식된 생물막을 완전히 떼어내어 안전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어, 오수를 더욱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 오수도입관(2)을 통하여 오수를 유입하는 침전 분리조(4)와, 이 침전 분리조(4)의 일측에 제1간막이벽(6)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1간막이벽(6)의 상측에 뚫려진 통수공(8)을 통해 침전 분리조(4)의 처리수를 유입하고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송기관(10)이 배관되는 접촉폭기조(12)와, 상기한 접촉폭기조(12)의 일측에 제2간막이벽(14)에 의하여 분리되어 형성하며 제2간막이벽(14)의 하부에 뚫려진 연통구(16)를 통해 접촉폭기조(12)의 처리수를 유입하는 침전조(18)와, 이 침전조(18)의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방류관(20)을 구비하는 소독조(22)로 형성된 오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폭기조(12)의 내부에 유동이 가능하도록 접촉수단(24)을 장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접촉수단(24)은 접촉재(26)와, 이 접촉재(26)를 내설하는 상부 프레임(28)과, 하부 프레임(30)과, 상기한 상부 프레임(28)의 측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한 제2간막이벽(14)에 헐겁게 볼트 결합하는 돌편(32)으로 이루어진 오수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접촉재(26)는 그물모양으로 유닛트(unit)화되어 이루어진 오수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5369A KR100198087B1 (ko) | 1996-05-10 | 1996-05-10 | 오수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5369A KR100198087B1 (ko) | 1996-05-10 | 1996-05-10 | 오수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4683A KR970074683A (ko) | 1997-12-10 |
KR100198087B1 true KR100198087B1 (ko) | 1999-06-15 |
Family
ID=1945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15369A KR100198087B1 (ko) | 1996-05-10 | 1996-05-10 | 오수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8087B1 (ko) |
-
1996
- 1996-05-10 KR KR1019960015369A patent/KR1001980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4683A (ko) | 1997-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7203B1 (en) | Filtration method and filtration apparatus | |
CN211471151U (zh) | 用于污水处理的装置 | |
KR100198087B1 (ko) | 오수 처리 장치 | |
JP2005329374A (ja) | 水処理装置 | |
KR100619094B1 (ko) | 하,폐수 처리장치 | |
KR100594888B1 (ko) |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정화장치 | |
KR200336701Y1 (ko) |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 |
JPH05230858A (ja) | 無排水式水洗トイレ | |
JP4017331B2 (ja) | 浄化槽 | |
JP4444430B2 (ja) | 単独処理浄化槽の合併処理化方法 | |
KR20010068850A (ko) | 막 분리 활성오니법과 고도 산화법을 활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 |
JP2002301491A (ja) |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における流体移送方法 | |
JP3975393B2 (ja) | 汚水浄化槽 | |
KR970003588Y1 (ko) |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 |
CN217947904U (zh) | 一种spf级实验动物废水处理系统 | |
KR102449327B1 (ko) | 분뇨 살균정화 처리 장치 | |
JP3449849B2 (ja) | 循環式浄化装置 | |
JP2002239570A (ja) | 排水再利用処理装置 | |
KR100305361B1 (ko) | 생활오수처리장치 | |
JPH06238288A (ja) | 中水装置 | |
JP2007105640A (ja) | 循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循環浄化槽、並びに汚水浄化装置 | |
JP2003313917A (ja) | 循環式浄化装置 | |
JP2528412B2 (ja) | 合併処理し尿浄化槽の空気抜き装置 | |
KR20010035183A (ko) | 전기분해 및 생물막을 이용한 난분해성 수처리시스템 | |
JP2003181483A (ja) | 浄化槽の処理方法及びその浄化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