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968B1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968B1
KR100197968B1 KR1019960055707A KR19960055707A KR100197968B1 KR 100197968 B1 KR100197968 B1 KR 100197968B1 KR 1019960055707 A KR1019960055707 A KR 1019960055707A KR 19960055707 A KR19960055707 A KR 19960055707A KR 100197968 B1 KR100197968 B1 KR 10019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xpansion joint
reinforcing bars
concre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025A (ko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101996005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96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시공시 바닥에 수직으로 입설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입설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후 격벽을 형성하는 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여러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에 있어서, 캡(52)(53)이 몸체(51)의 상부에서 착탈되고, 다양한 위치로 배근되는 철근(D)을 격벽을 통하여 수용하며, 몸체(51)가 상하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축줄눈재(50)와 상기 신축줄눈재(50)의 하부를 수평 또는 임의 각도로 구배지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본 발명은 넓은 콘크리트 시공면을 여러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나 도로, 지상주차장 등을 포장할 경우나 철도역의 플렛홈, 지하철의 노반을 콘크리트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이 혼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물이 차지하고 있던 미세한 공간에 틈새가 발생되며, 이렇게 틈새가 발생된 콘크리트는 대기의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상기 틈새로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균열된 틈새로 수분이 유입되어 건축물에 여러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에 비례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쫄대와 같이 길이가 긴 목재를 이용하여 넓은 시공면을 여러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킴으로서 각각 구획 정리되어 축소된 공간내에서는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극히 작은 균열만이 발생되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넓은 콘크리트 시공 면적을 축소 구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두께와 높이로만 제작이 가능하여 콘크리트를 수평상태로만 시공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상측의 슬래브층을 시공하게 되면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고 고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각도만큼 구획된 작은 공간으로 주입된 콘크리트가 이격된 신축줄눈재의 공간으로 서로 붙어 콘크리트 시공면 전체가 연결된 상태가 됨으로써 슬래브층에는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슬래브층을 경사지게 시공할 경우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신축줄눈재의 하측이 인접한 구획의 콘크리트와 서로 접합되어 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신축줄눈재의 경우에는 신축줄눈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층의 선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획된 공간 내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수축하였을 경우에 신축줄눈재와 접해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분이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스며들게 된다. 이렇게 스며든 빗물은 신축줄눈재의 하측에 고여 있다가 동절기가 되면 얼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에 균열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여러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축줄눈재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신축줄눈재의 수평설치 및 경사지게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었으나, 신축줄눈재로 수분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코킹된 실링부재가 겨울철 대기 온도에 의해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콘크리트판이 팽창하게 되면 신축줄눈재의 지지대들이 콘크리트판의 팽창력을 억제하지 못하여 오히려 균열을 초래하고 신축줄눈재의 설치 및 제거시 고정용 몰탈과의 접합 및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른 신축줄눈재의 높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1996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38642호)를 출원한 바 있다.
이 슬래브용 신축줄눈재는 상광 하협의 절취부(111)가 구비되고, 이 절취부(111)의 하부를 수직으로 연결한 지지대(112)가 구비되며, 절취부(111)와 지지대(112)의 경계선과 상부의 중앙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홈(113)이 형성된 캡(11)을 구성하고, 양측면의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삽입홈(121)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122)이 구비되며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123)(123')이 구비된 격벽(12)을 상기 캡(11)의 하부에 일체로 일체화한 제1몸체(1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2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1몸체(10)의 안내홈(122)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레일(2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21)의 하부 중앙에는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212)을 구성하며, 상기 격벽(2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213)(213')을 구성한 제2몸체(2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3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2몸체(20)의 안내홈(212)에 슬라이드 식으로 삽입되는 레일(3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3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312)을 구성한 제3몸체(30)가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줄눈재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몸체(10)의 격벽(21)에 형성된 삽입홈(121)에 방수부재(40)를 삽입하여 끼우고, 제1몸체(10)의 하부에는 콘크리트판(C)의 높이를 감안하여 하나 이상의 제2몸체(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그 하부에 제3몸체(30)를 연결하는 것이며, 이러한 신축줄눈재를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 그 상면과 콘크리트(C)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성이 완료되면 빠루 등과 같은 금속성의 공구를 캡(11)의 공간부에 삽입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캡(11)의 상부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113)이 절단되면서 절취부(111)는 이탈하고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112)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캡(11)의 절취부(111)가 이탈되면 지지대(112)의 사이에 스펀지와 같이 완충력이 양호한 백업부재를 끼워 넣고 그 상부의 공간에 실링부재를 충진시킨다.
이러한 신축줄눈재는 동절기에 콘크리트판이 수축하게 되면 그 수축 장력을 흡수하여 상부에 충진되는 실링부재가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하절기에 콘크리트판이 팽창하게 되면 각 격벽의 상하부 칸막이가 오므라짐과 동시에 그 중앙에 형성된 절취홈이 절취되면서 콘크리트판의 팽창 압력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균열을 방지하며, 몰탈과의 접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판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신축줄눈재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다단으로 형성된 몸체가 형성된 몸체가 수직으로 입설되도록 구성되어 바닥에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없게 됨에 따라 몰탈로 몸체의 좌우를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몸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계 작업을 수행할 때 몸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자체의 열변형으로 팽창과 수축 변형이 발생하여 시공이 난이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수축된 몸체가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결함이 있다.
그리고 시공시 1/100 정도의 구배를 형성하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취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으며, 철근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몸체의 성형이 일정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철근의 배근이 난이한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시 바닥에 수직으로 입설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입설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후 격벽을 형성하는 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연도 철판을 재질로 하여 캡이 몸체의 상부에서 착탈되게 하고, 다양한 위치로 배근되는 철근을 격벽을 통하여 수용하며, 몸체를 상하 다단으로 결합할 수 있는 신축줄눈재와 상기 신축줄눈재의 몸체 하부를 수평 또는 임의 각도로 구배지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선출원된 신축줄눈재의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의 수평 시공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의 구배 시공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 백업재와 실링재의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를 다단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신축줄눈재 51,51' : 몸체
52 : 제1캡 53 : 제2캡
60 : 고정부재 61 : 받침판
63 : 지지판 64 : 지지핀
65 : 고정핀 70 : 백업재
80 : 실링재 C : 콘크리트판
D : 철근 S : 완충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신축줄눈재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 신축줄눈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캡(52)(53)이 몸체(51)의 상부에서 착탈되고, 다양한 위치로 배근되는 철근(D)을 격벽을 통하여 수용하며, 몸체(51)가 상하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줄눈재(50)를 구성하고, 상기 신축줄눈재(50)의 하부를 수평 또는 임의 각도로 구배지게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부재(60)를 구성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줄눈재(50)는, 몸체(51)와, 이 몸체(51)의 상부에서 2단으로 착탈되는 캡(52)(53)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51)는 하부가 개방된 소정 폭의 공간으로 격벽(511)을 형성하며, 상단에 하향으로 양측이 만곡되고 중앙이 만곡되게 요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512)을 구비하며, 양측벽에 일정 간격 상하 좌우로 이격된 다수의 철근 통과공(513)을 선택적으로 관통시킬 수 있도록 원주의 상부 중앙을 제외하고 소정직경의 원으로 절개하고, 상기 철근 통과공(513)의 사이에는 종열로 고정핀이 통과하도록 다수의 고정공(514)을 양측으로 관통시키며, 개구된 하부에 스펀지와 같은 완충부재(S)를 충진시킨다.
또한 캡은 상기 몸체(51)의 삽입홈(512)과 만곡된 그 양측에 면접촉하여 수용되는 수용돌기(521)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레일(522)이 형성된 제1캡(52))과, 제1캡(52))의 레일(522)에 끼워지는 안내홈(531)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면에 요철면(53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캡(5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캡(53)은 제1캡(52))의 레일(522)에 슬라이드 식으로 끼워 결합하고, 제2캡(53)이 결합된 제1캡(52))은 몸체(51)의 상부에 면접촉되게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줄눈재(50)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는 장방형 받침판(61)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신축줄눈재(50)의 몸체(51)를 수용하도록 받침판(61)의 양측에 전후방으로 대향하는 2개 1조의 고정판(62)이 입설되고, 이 고정판(62)의 중앙에는 상기 신축줄눈재(50)의 몸체(51)에 통공된 고정공(514)과 일치하는 고정공(621)이 통공되며, 상부의 양측에는 걸림턱(611)이 구비되고, 각 고정판(62)의 전방 양측에 상기 걸림턱(611)과 대응하는 걸림턱(622)이 돌설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된 고정판(62) 사이의 양측에는 신축줄눈재(50)의 하단을 전후방에서 지지하도록 서로 어긋나게 대응하는 한쌍의 지지판(63)이 입설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611)(622)에는 외측에서 경사지게 연결되어 고정판(62)을 받침판(61)과 직각이 되도록 유지시키는 지지핀(64)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62)의 고정공(621)과 고정판(62)의 사이에 삽입될 신축줄눈재(50)의 몸체(51)에 통공된 고정공(514)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65)이 구비되며, 삽입된 고정핀(65)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651)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 신축줄눈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제4도 내지 제7도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캡(53)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제1캡(52))의 수용돌기(521)를 몸체(51)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512)에 안착시켜 신축줄눈재(5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콘크리트판이 두꺼워 하나 이상의 신축줄눈재가 요구되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신축줄눈재(50) 몸체(51)의 개구된 하부에 연결용 신축줄눈재의 몸체(51') 상부를 삽입한 후 측면으로 통공된 고정공(514)에 고정핀(65)을 관통시키고, 관통된 후단에 이탈 방지핀(651)을 끼워 고정핀(65)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두개의 몸체(51)(51')가 일직선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줄눈재(50)의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부재(60)를 바닥에 배치한 후 신축줄눈재(50)의 개구된 몸체(51) 하단에 스펀지와 같은 완충부재(S)를 삽입하여 그 하단을 상기 고정부재(60)의 고정판(62)과 지지판(63)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렇게 신축줄눈재(50)의 삽입이 완료되면 고정판(62)에 통공된 고정공(621)과 신축줄눈재(50) 몸체(51)에 통공된 고정공(514)을 일치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정핀(65)을 관통시킨 후 고정핀(65)의 후단에 이탈방지핀(651)을 꽂아 고정시킨다.
한편 신축줄눈재(50)를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줄눈재(50) 몸체(51)의 하단을 측방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수평으로 쎄팅함과 동시에 몸체(51)의 하부에 충진된 완충부재(S)를 바닥면에 밀착하도록 인출시키고, 고정판(62)에 통공된 고정공(621)과 몸체(51)에 통공된 고정공(514)을 일치시켜 고정핀(65)을 고정공(621)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시킨 후 그 후단에 이탈방지핀(651)을 꽂아 고정시킨다.
이 이탈방지핀(651)의 결합 상태는 제7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신축줄눈재(50)가 고정부재(60)에 지지되어 고정되면 몸체(51)의 양측면에 형성된 통과공 중에서 철근의 배근위치와 일치하는 통과공(513)을 절취하여 양측으로 관통되게 한 후 철근(D)을 통과시켜 배근작업을 수행하며, 배근작업이 완료되면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줄눈재(5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2)(53)을 이탈시킨다.
이때 제2캡(53)의 상면에 덮여 양생된 콘크리트는 요철면(532)에 의해 쉽게 분리된다.
이어서 도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의 상단에 하향으로 요입된 삽입홈(512)에 스펀지와 같이 완충력이 양호한 백업재(70)를 삽입한 후 그 상부에 실링재(80)를 충진시켜 신축줄눈재를 구획된 슬래브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2중캡이 몸체의 상부에서 착탈되게 하고, 다양한 위치로 배근되는 철근을 격벽을 통하여 수용하며, 몸체를 상하 다단으로 결합할 수 있는 신축줄눈재를 구성하고,이 신축줄눈재의 몸체 하부를 수평 또는 임의 각도로 구배지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성하여 시공시 신축줄눈재가 바닥에 수직으로 입설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입설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신축줄눈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후 격벽을 형성하는 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여러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에 있어서, 캡(52)(53)이 몸체(51)의 상부에서 착탈되고, 다양한 위치로 배근되는 철근(D)을 격벽을 통하여 수용하며, 몸체(51)가 상하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축줄눈재(50)와 상기 신축줄눈재(50)의 하부를 수평 또는 임의 각도로 구배지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줄눈재(50)는, 하부가 개방된 소정 폭의 공간으로 격벽(511)을 형성하고, 상단에 하향으로 양측이 만곡되고 중앙이 만곡되게 요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512)을 구비하며, 양측벽에 상하,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철근통과공(513)을 선택적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철근 통과공(513)의 사이에는 고정핀이 통과하도록 고정공(514)을 종열로 배열하여 양측으로 관통시키며, 개구된 하부에 완충부재(S)를 충진시킨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삽입홈(512)과 만곡된 양측에 면접촉하여 수용되는 수용돌기(521)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부에 레일(522)을 형성한 제1캡(52))과 상기 제1캡(52))의 레일(522)에 끼워지는 안내홈(531)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하고 상면에 요철면(532)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제2캡(5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60)는, 장방형 받침판(61)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신축줄눈재(50)의 몸체(51)를 수용하도록 받침판(61)의 양측에 전후방으로 대향하도록 2개1조로 입설되고 중앙에 신축줄눈재(50)의 몸체(51)에 통공된 고정공(514)과 일치하는 고정공(621)이 통공되며 상부의 양측에 걸림턱(611)이 구비된 고정판(62)을 구성하고, 상기 각 고정판(62)의 전후방 양측에 상기 걸림턱(611)과 대응하는 걸림턱(612)을 돌설하며, 고정판(62) 사이의 양측에 서로 어긋나게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판(63)을 입설하고, 상기 걸림턱(611)(622)에 외측에서 경사지게 지지핀(64)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판(62)의 고정공(621)으로 관통되는 고정핀(65)을 구비하고, 이 고정핀(65)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65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19960055707A 1996-11-20 1996-11-2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019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707A KR100197968B1 (ko) 1996-11-20 1996-11-2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707A KR100197968B1 (ko) 1996-11-20 1996-11-2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25A KR19980037025A (ko) 1998-08-05
KR100197968B1 true KR100197968B1 (ko) 1999-06-15

Family

ID=1948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707A KR100197968B1 (ko) 1996-11-20 1996-11-2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79A (ko) 2021-01-26 2022-08-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 줄눈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365B1 (ko) * 2015-06-18 2016-08-23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79A (ko) 2021-01-26 2022-08-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 줄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02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20475A (en) Building panel
US6401417B1 (en) Concrete form structure
US5855102A (en) Molded brick module
RU2136821C1 (ru) Стеновая структура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бетона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6530185B1 (en) Buck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s
US6280669B2 (en) Method for making insulated pre-formed wall panels for attachment to like insulated pre-formed wall panels
KR20150025554A (ko) 누수방지형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100197968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038513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EP0943742A1 (en) Structure panel and method of connecting same
KR200146362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고정장치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CN219909977U (zh) 固定结构、拼缝封堵结构及混凝土预制构件
US20080190063A1 (en) Prefabricated reinforced insulating element for a wall insulated on one si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JP3255620B2 (ja) 建築用基礎型枠装置
JPH0782753A (ja) 布基礎の施工方法
KR200146363Y1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재
JPH0754361A (ja) 法面や建物等の壁面構築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組立鉄筋
KR940003907Y1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신축줄눈재
KR200297984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
KR900002035Y1 (ko) 셋트타일보드 고정용 클립바
KR2002979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CN115787868A (zh) 一种保温一体化建筑墙体及其施工工艺
KR100325661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표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