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779A - 신축 줄눈대 - Google Patents

신축 줄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779A
KR20220107779A KR1020210010859A KR20210010859A KR20220107779A KR 20220107779 A KR20220107779 A KR 20220107779A KR 1020210010859 A KR1020210010859 A KR 1020210010859A KR 20210010859 A KR20210010859 A KR 20210010859A KR 20220107779 A KR20220107779 A KR 2022010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ight adjustment
concrete coupling
concre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442B1 (ko
Inventor
노영숙
오세열
김민성
이현식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4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줄눈대에 관한 것으로, 시공면에 정자세 또는 뒤집어 설치될 수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인출될 수 있는 높이조절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높이조절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바디의 인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와 중첩된 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Description

신축 줄눈대{Expansion Joint Filler}
본 발명은 신축 줄눈대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 시공된 콘크리트로 포장면은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이 일어 균열이 일어나므로 이를 억제 및 방지하기 위해 신축 줄눈대가 시공되어 있다.
그러나, 신축 줄눈대는 동일한 두께와 높이로만 제작되므로 높낮이가 있는 시공면에 설치하는데 다소 불편함이 있다.
신축 줄눈대는 시공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신축 줄눈대가 설치된 위치를 벗어나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도로에 주기적으로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신축 줄눈대와 콘크리트 사이가 벌어져 틈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7968호 (1999.02.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8297호 (2000.03.09.)
본 발명은 높낮이가 있는 시공면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인 신축 줄눈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 줄눈대는 시공면에 정자세 또는 뒤집어 설치될 수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인출될 수 있는 높이조절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높이조절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바디의 인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와 중첩된 부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와 중첩되는 중첩부,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중심을 가지는 상기 노출부는 상기 중첩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하단부, 그리고 상기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에는 상기 상단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와 중첩된 바디관통부, 상기 바디관통부의 일단에서 돌출된 제1 콘크리트 결합부 및 상기 바디관통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관통부의 길이보다 3 내지 8 배 긴 길이로 돌출된 제2 콘크리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와 상기 제2 콘크리트 결합부의 외부 둘레 지름은 상기 바디관통부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크며,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의 외부 둘레는 상기 바디관통부에서 멀어질수록 협소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와 상기 바디관통부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를 관통할 때 오므려지도록 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에서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돌출된 지지바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연장바의 돌출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면 또는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과 접할 수 있는 이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결속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결속홀을 관통하여 걸리는 돌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면의 높낮이에 따라 메인바디에서 높이조절바디를 인출하여 시공면으로부터 신축 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정자세로 설치되는 받침대를 뒤집어 설치함으로써 신축 줄눈대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현장에 시공면의 상태에 따라 신축 줄눈대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시공성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지지로 메인바디는 콘크리트 타설 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신축 줄눈대의 시공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고정부에 의해 콘크리트와 결합력이 높아져 신축 줄눈대는 콘크리트의 내부에 더욱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부의 상단부와 마감부재의 삽입홈이 상부측으로 경사지면서 신축 줄눈대와 포장면의 사이로 유입된 유체는 높이조절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높이조절바디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조절바디의 내부로 설비선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설비선의 시공효율이 높고 충격 등의 외부요건으로부터 설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 줄눈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받침대와 메인바디 분해도.
도 4는 도 1의 신축 줄눈대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슬라이드 바디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8은 도 4의 받침대를 뒤집은 설치 상태도.
도 9는 도 8의 C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1의 신축 줄눈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 줄눈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 줄눈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받침대와 메인바디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신축 줄눈대 설치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의 슬라이드 바디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받침대를 뒤집은 설치 상태도이며, 도 9는 도 8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신축 줄눈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 줄눈대(1)는 받침대(10), 메인바디(20), 높이조절바디(40) 및 고정부(60)를 포함하며 신축 줄눈대(1)를 높낮이가 있는 시공면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인다. 받침대(10), 메인바디(20), 높이조절바디(40) 및 고정부(60)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받침대, 메인바디, 높이조절바디 및 고정부를 금속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10)는 베이스(11), 연장바(12), 지지바(13) 및 이격돌기(14)를 포함하며 메인바디(20)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신축 줄눈대(1)가 시공면(G)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베이스(1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메인바디(20)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베이스(11)에는 메인바디(2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직사각형태의 결속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바(12)는 베이스(11)의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연장바(12) 끝은 베이스(11)의 상면과 수직한 가상의 수직선(11h)을 기준으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며 메인바디(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지지바(13)는 한 쌍의 연장바(12) 끝에서 메인바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바(13)는 메인바디(20)의 외부면과 수직하며 시공면(G)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이격돌기(14)는 베이스(11)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메인바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격돌기(1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속홀(11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이격돌기(14)는 시공면(G)과 접하며 베이스(11)의 하면이 시공면(G)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격돌기(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받침대(10)는 시공면(G)의 평탄에 따른 높낮이에 따라 연장바(12)가 상부로 향하여 메인바디(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정자세 또는 연장바(12)가 시공면(G)을 향하여 지지바(13)가 시공면(G)과 접하는 뒤집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20)는 슬라이드 공간(21)을 가지며 메인바디(20)의 상면, 일면 및 타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공간(21)은 메인바디(20)의 상면으로만 개방될 수 있다. 메인바디(20)의 상부측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바디(20)의 하면에는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1)이 있는 돌기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31)은 메인바디(20)의 하면과 떨어져 있다. 걸림턱(31)은 돌기부재(30)가 결속홀(1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11)의 하면에 걸려 고정된다.
높이조절바디(40)는 중첩부(41), 노출부(42) 및 마감부재(43)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공간(21)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중첩부(41)는 메인바디(2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중첩부(41)의 외측면 폭은 메인바디(20)의 내측면 폭과 갖다. 그러나 중첩부(41)의 외측면은 메인바디(20)의 내측면 폭 보다 좁을 수 있다. 중첩부(41)는 슬라이드 공간(21)에서 메인바디(20)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메인바디(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관통홀(22)과 일치하는 중첩부(41)의 부분에는 폭방향으로 위치설정홀(411)이 관통되어 있다. 위치설정홀(411)은 중첩부(41)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위치설정홀(411)은 중첩부(41)가 슬라이드 공간(21)에서 직선 이동할 때 관통홀(22)과 단계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노출부(42)는 하단부(421), 그리고 상단부(422)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공간(2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메인바디(2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하단부(421)는 중첩부(41)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하단부(421)는 가상의 수직선(11h)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하단부(421)의 끝(421e)은 메인바디(20)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단부(422)는 하단부(421)의 끝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단부(422)는 가상의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상단부(422)의 끝은 중첩부(41)의 내측면보다 가상의 수직선(11h)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단부(422)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면서 그 사이에 중첩부(41)의 내부와 연결된 개방부(41g)가 형성된다.
마감부재(43)는 노출부(42)와 결합되어 높이조절바디(40)의 내부로 우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마감부재(4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부(422)가 삽입된 삽입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단부(422)는 삽입홈(431)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상단부(422)의 경사에 의해 삽입홈(431)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마감부재(43)는 우레탄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단부(422)와 마감부재(43)의 사이가 기밀성을 유지하고 상단부(422)와 삽입홈(431)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우수 따위의 유체가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지 못하므로 높이조절바디(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메인바디(20)의 슬라이드 공간(21) 또는 높이조절바디(40)의 내부에는 시공에 필요한 전선, 파이프 등의 설비선(도시하지 않음)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설비선의 시공효율이 높고 충격 등의 외부요건으로부터 설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고정부(60)는 바디관통부(61),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 및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를 포함하며 메인바디(20)와 높이조절바디(40)를 연결하여 높이조절바디(4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 바디관통부(61) 및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디관통부(61)의 외부 둘레 지름은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와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의 지름보다 작고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와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의 되부 둘레는 관통홀(22) 및 위치설정홀(411)의 지름보다 크다.
바디관통부(61)는 메인바디(20) 및 높이조절바디(40)와 중첩되어 있으며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는 메인바디(2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있고,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는 메인바디(20)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는 메인바디(20)의 관통홀(22)과 높이조절바디(40)의 위치설정홀(411)을 관통한다.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는 메인바디(20)와 높이조절바디(4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부 둘레는 바디관통부(61)에서 멀어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는 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의 지름이 관통홀(22)과 위치설정홀(411)의 지름보다 크므로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가 관통홀(22)과 위치설정홀(411)을 관통할 때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가 오므려지도록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와 바디관통부(61)에는 절개홀(6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의 길이는 메인바디(2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보다 길고 바디관통부(61)의 길이보다 3 내지 8 배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에 의해 신축 줄눈대(1)는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의 길이가 바디관통부(61)의 길이 3배 미만인 경우 결합력을 높일 수가 없으며, 8배를 초과하는 경우 시공작업 및 중량 증가로 이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에는 결합바(도시하지 않음)가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결합바는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의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결합바는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와 함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부(60)의 결합력을 높인다. 이에 신축 줄눈대(1)는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와 제2 콘크리트 결합부(63)에 의해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포장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60)는 메인바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즉, 첫번째 고정부(60)는 메인바디(20)의 일측에서 메인바디(20)와 높이조절바디(40)를 관통한다. 그리고 두번째 고정부(60)는 메인바디(20)의 타측에서 메인바디(20)와 높이조절바디(40)를 관통한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신축 줄눈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줄눈대(1)의 마감부재(43)와 포장면의 높이가 맞아 높이 조절을 하지 않고 시공면(G)에 설치하는 경우, 슬라이드 공간(21)에 높이조절바디(40)가 삽입되어 있고, 제1 콘크리트 결합부(62)와 바디관통부(61)를 관통홀(22)과 위치설정홀(411)을 관통시켜 높이조절바디(40)와 메인바디(20)결합한다. 그리고 베이스(11)의 상면과 메인바디(20)의 상면이 접하도록 하여 돌기부재(30)를 결속홀(111)로 삽입하여 걸림턱(31)이 베이스(11)의 하면에 걸리도록 한다. 받침대(10)와 메인바디(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돌기(14)가 시공면(G)과 접하도록 설치한다. 이격돌기(14)가 돌기부재(30)의 양측에서 베이스(11)를 지지하므로 받침대(10)는 시공면(G)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메인바디(2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면(G)의 높낮이에 의해 마감부재(43)의 위치가 포장면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바디(40)를 메인바디(20)에서 상부로 인출하여 마감부재(43)와 포장면을 일치시킨다. 이때 고정부(60)는 관통홀(22)과 복수의 위치설정홀(411) 중 선택된 어느 한 홀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바디(40)를 메인바디(20)에서 인출하지 않고 받침대(10)를 뒤집어서 메인바디(20)와 결합하여 마감부재(43)와 포장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받침대(10)를 뒤집는 경우 베이스(11)의 하면과 메인바디(20)의 하면이 접하며 돌기부재(30)는 도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2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바디(20)에서 높이조절바디(40)를 인출한 상태에서 받침대(10)를 뒤집어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축 줄눈대(1)의 높이를 더욱 높여 마감부재(43)와 포장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도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면(G)의 높낮이에 따라 높이조절바디(40)의 위치조절, 받침대(10)를 정자세 또는 뒤집어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 줄눈대(1)가 시공면(G)에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포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바디(40)의 내부로 시공에 필요한 설비선들을 배치하고 마감부재(43)를 노출부(42)와 결합하여 신축 줄눈대(1)의 내부로 우수, 먼지 따위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신축 줄눈대 10: 받침대
11: 베이스 11h: 수직선
111: 결속홀 12: 연장바
13: 지지바 14: 이격돌기
20: 메인바디 21: 슬라이드 공간
22: 관통홀 30: 돌기부재
31: 걸림턱 40: 높이조절바디
41: 중첩부 41g: 개방부
411: 위치설정홀 42: 노출부
421: 하단부 421e: 끝
422: 상단부 43: 마감부재
431: 삽입홈 60: 고정부
61: 바디관통부 62: 제1 콘크리트 결합부
621: 절개홀 63: 제2 콘크리트 결합부
G: 시공면

Claims (5)

  1. 시공면에 정자세 또는 뒤집어 설치될 수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인출될 수 있는 높이조절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높이조절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조절바디의 인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와 중첩된 부분의 길이보다 긴
    신축 줄눈대.
  2. 제1항에서,
    상기 높이조절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와 중첩되는 중첩부,
    상기 중첩부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 및
    상기 노출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마감부재
    를 포함하는
    신축 줄눈대.
  3. 제2항에서,
    가상의 중심을 가지는 상기 노출부는
    상기 중첩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하단부, 그리고
    상기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상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재에는 상기 상단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 줄눈대.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와 중첩된 바디관통부,
    상기 바디관통부의 일단에서 돌출된 제1 콘크리트 결합부 및
    상기 바디관통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관통부의 길이보다 3 내지 8 배 긴 길이로 돌출된 제2 콘크리트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와 상기 제2 콘크리트 결합부의 외부 둘레 지름은 상기 바디관통부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크며,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의 외부 둘레는 상기 바디관통부에서 멀어질수록 협소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와 상기 바디관통부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콘크리트 결합부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높이조절바디를 관통할 때 오므려지도록 절개홀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 줄눈대.
  5. 제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에서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돌출된 지지바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연장바의 돌출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설치면 또는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과 접할 수 있는 이격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결속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결속홀을 관통하여 걸리는 돌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신축 줄눈대.
KR1020210010859A 2021-01-26 2021-01-26 신축 줄눈대 KR10243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59A KR102436442B1 (ko) 2021-01-26 2021-01-26 신축 줄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59A KR102436442B1 (ko) 2021-01-26 2021-01-26 신축 줄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79A true KR20220107779A (ko) 2022-08-02
KR102436442B1 KR102436442B1 (ko) 2022-08-24

Family

ID=8284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59A KR102436442B1 (ko) 2021-01-26 2021-01-26 신축 줄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75A (ko) * 1995-06-02 1997-01-24 이남승 콘크리트 신축줄눈재 지지 고정장치
KR100197968B1 (ko) 1996-11-20 1999-06-15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0258297B1 (ko) 1997-11-12 2000-06-01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1650365B1 (ko) * 2015-06-18 2016-08-23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75A (ko) * 1995-06-02 1997-01-24 이남승 콘크리트 신축줄눈재 지지 고정장치
KR100197968B1 (ko) 1996-11-20 1999-06-15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0258297B1 (ko) 1997-11-12 2000-06-01 이남승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1650365B1 (ko) * 2015-06-18 2016-08-23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이중 신축줄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442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872B1 (ko) 경계펜스
US807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KR102436442B1 (ko) 신축 줄눈대
KR101839087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물탱크용 기초패드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의 시공방법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US11255065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10255357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용 접합박스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의 시공방법
US5172531A (en) Conduit support apparatus for concrete installation
JP3564411B2 (ja) Pc階段からなる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KR102169525B1 (ko)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744585B2 (ja) 組立式フェンス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102182223B1 (ko) 네일 각도 및 네일 길이가 일체형으로 조절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200397826Y1 (ko)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JP6571235B1 (ja) 腰壁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78502B1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AU2005328639B2 (en) Method for introducing vertical built-in parts into structures erected with a sliding formwork, particularly in annular concrete wall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JP7266388B2 (ja) 消火装置用架台、消火装置
JP2972519B2 (ja) 落下物養生装置
KR101942023B1 (ko) 탈착 가능한 클램프를 이용한 기둥철골 사다리구조
KR102624202B1 (ko) 강관말뚝용 두부보강 구조물
KR102157487B1 (ko)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1000116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루프패널 연결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