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285B1 -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285B1
KR100197285B1 KR1019950013863A KR19950013863A KR100197285B1 KR 100197285 B1 KR100197285 B1 KR 100197285B1 KR 1019950013863 A KR1019950013863 A KR 1019950013863A KR 19950013863 A KR19950013863 A KR 19950013863A KR 100197285 B1 KR100197285 B1 KR 10019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wedge
plate
pressure plat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155A (ko
Inventor
나오키 토미야마
Original Assignee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찌 마사루
Publication of KR95003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Abstract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는, 압력판과, 이 압력판의 가압면 반대측에 제공되는 베이스 커버와, 다이어프램 스프링, 가압 메카니즘, 그리고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베이스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량만큼 베이스 커버의 운동을 허용하는 제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가압 메카니즘은, 베이스 커버와 압력판 사이에 배치된 링 플레이트와,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베이스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링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과 링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요소를 보유한다.

Description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하는 클러치 메카니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클러치 메카니즘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클러치 메카니즘의 부분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클러치 메카니즘에 적용된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부분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Ⅵ-Ⅵ선을 따라 본 측면도.
제7도는 제4, 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제8도는 제4, 5, 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부분인 제7도와 유사한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스프링 메카니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6 : 클러치 디스크
10 : 클러치 커버 11 : 압력판
12 : 지지 메카니즘 13 : 다이어프램 스프링
14 : 마모 보상 메카니즘 20 : 베이스 커버
22 : 지지 플레이트 25 : 가압 메카니즘
26 : 제한 메카니즘 27 : 링 플레이트
28 : 웨지 메카니즘 29 : 스프링 메카니즘
31 : 제1 테이퍼 블록 32 : 제2 테이퍼 블록
33 : 코일 스프링 34 : 가이드 요소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플라이 휘일로부터 클러치 디스크를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웨지요소를 구비한 마모조정기구를 갖는 클러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는 정상적으로 엔진의 플라이 휘일에 장착되어 플라이 휘일과 그 자신과의 사이에서 클러치 디스크를 물리게 하며, 변속기어로 엔진의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와 클러치 디스크가 오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여러 시도들의 결과 클러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리벳 등을 사용하지 않고 완충판에 그들을 고정시킴으로서 클러치 디스크 마찰면의 유효한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출원번호 63-270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의 구조는, 면이 마모되었을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탄지된 하중의 그것의 초기 하중으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는 압력판과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위치한 지지요소들이나 풀크럼(fulcrum) 링들을 포함하며,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설계에서 마모 보상 메카니즘은 압력판으로부터 떨어져 연장하는 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한다.
상기한 마모 보상 메카니즘은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압력판의 홈에 위치한 슬라이드 요소와, 원주방향으로 이들 슬라이드 요소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풀크럼 스프링과 슬라이드 요소들은 서로 접촉하는 웨지 표면을 갖는데, 면마모가 발생한 후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는 가압력이 해지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 요소들은 원주방향으로 풀크럼 스프링을 밀고, 그리고 이 풀크럼 스프링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으로 탄지된 측의 면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 결과로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탄지된 자세는 변하지 않고, 그것의 셋팅하중은 초기 하중으로 유지된다.
위에 언급된 일반적인 구조에서, 코일 스프링은 슬라이드 요소들과 압력판 지지섹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위치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코일 스프링들은 셋트 위치에서 조립되고, 코일 스프링이 압축유지되는 동안에 슬라이드 요소들은 어떤 위치에 셋트된다.
코일 스프링들이 압축되었을 때, 그들이 굽혀지고, 정확한 자세로 설치하는 것이 되지 않는 일이 때때로 발생한다.
상기한 코일 스프링들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때 풀크럼 링들을 향하여 작용하는 가압력의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에 설치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 결과로서, 조립작업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은 그들이 어떠한 위치에 셋트된 후 압력판으로부터 떨어져 풀크럼 스프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용한다.
압축상태에서 이동은 특별한 지그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작업을 까다롭게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조립 작업시에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요소들을 정확한 자세와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조립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에서 마모 보상 메카니즘의 조립동안에 관련된 지지 요소들의 압축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모 보상 메카니즘과 함께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의 조립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는 마모 보상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는 플라이휘일에 연결된다. 압력판은 그것의 제1면에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면을 갖는 커버 내에 배치되며, 플라이휘일과 압력판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디스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요소는 압력판에 관련하는 축방향의 변위를 위하여 그리고 그것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압력판과 결합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지지요소를 경유해서 플라이휘일을 향하여 압력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클러치 커버 내에 배치된다.
가압 메카니즘은 지지요소와 압력판 사이에 배치되며, 판요소와,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지지요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판요소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압요소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압요소들을 지지하며 판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요소들을 갖는다.
그리고,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에 따라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압력판에 대한 지지요소의 축 이동을 허용하는 제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한 판요소는 압력판과 맞물림되며, 압력판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며, 가이드 요소들은 상기 결합부와 맞물림 되는 일측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각각의 가이드 요소들은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돌출부가 연장된 방향은 가압요소의 대응하는 돌출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각각의 가이드 요소들은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가압 메카니즘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는 지지요소를 가압하기 위한 각각의 탄압수단을 갖는 복수개의 웨지 메카니즘을 더욱 포함한다.
더욱, 웨지 메카니즘의 각각은 함께 회전운동하기 위해 판요소에 고정되며 제1경사표면을 갖는 제1웨지 요소와, 지지요소에 고정되며 제2경사표면을 형성하는 제2웨지 요소와, 그리고 위에 언급된 가압요소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요소는 제1웨지요소와 제2웨지요소를 가압함으로써 제2웨지 요소들은 압력판으로 멀리 외측으로 떨어져 이동한다.
더욱더, 각각의 가이드 요소들의 일단은 제2웨지 요소들에 대하여 상대적인 축운동을 허용하도록 제2웨지 요소들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더욱, 가압 요소들은 원주방향에서 웨지 메카니즘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한 판요소는 링형상이며, 가압 메카니즘은 다수 셋트의 웨지 메카니즘들과, 가압 요소들과, 원주방향에서 판요소 위의 가이드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판요소는 복수개의 아치형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클러치 커버의 어셈블리에 관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탄압되는 압력요소가 지지요소를 누를 때, 압력판은 플라이휘일에 대항하여 마찰요소를 누른다.
이 클러치 결합상태에서 마찰요소가 마모되었을 때, 압력판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니 감소 두께 때문에 플라이 휘일을 향하여 이동한다.
탄압요소의 탄성력이 해지되었을 때, 지지요소는 가압요소들의 가압력에 의해 압력판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요소의 이러한 이동은 마찰요소의 마모량에 해당하는 정도로 제한요소에 의해 허용된다.
그 결과로, 탄압요소의 탄압자세는 초기 셋팅 상태로 유지되며, 가압하중은 초기 하중으로 유지된다.
가압요소를 조립할 때, 첫째로, 가압요소는 가이드 요소에 장착된다. 그리고 가압요소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 요소는 판요소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가이드 요소들이 판요소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가압요소는 가압 메카니즘에 정확한 자세로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가압요소 조립작업은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간은 단축된다. 조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가압요소와 가이드 요소들은 지지요소의 이동이 제한 메카니즘에 의해 제한되는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시에 지지요소의 이동을 압축하는 것은 용이하다.
가압요소들이 코일 스프링들이며, 가이드 요소들이 이 코일 스프링들의 내측에 위치하였을 때, 가이드 요소들의 여유 공간이 필요없게 되고 가압 메카니즘은 컴팩트하게 된다.
판요소가 압력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어서는 결합부를 갖고 있을 때, 가이드 요소들은 결합부들을 결합하는 일측단을 갖으며, 가압 요소들은 압력판으로부터 이동하는 위치로 안내된다.
그 결과, 그들은 압력판의 열에 의해 야기되는 역효과를 받지 않는다.
가이드 요소들이 탄압소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을 때, 조립자는 이들 돌출부를 잡고, 그리고 가이드 요소들과 가압요소들을 가압 메카니즘에 조립할 수 있다.
그 덕분에 조립작업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은 단축된다.
가압 메카니즘들은 웨지 요소들에 가압력을 가하는 가압요소들의 결과로 압력판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요소와 웨지 메카니즘들을 더욱 포함하므로서, 가압 요소들의 위치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상기한 웨지 메카니즘들이 제1웨지 요소들과 제2웨지 요소들을 포함할 때, 가압요소들은 제1웨지 요소들에 대항하여 제2웨지 요소들을 가압하며, 1쌍의 요소를 사용하므로 지지요소를 가공할 필요가 없다.
가이드 요소들의 다른 단부들이 축 이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제2웨지 요소들과 결합할 때, 가이드 요소들과 가압 요소들의 자세는 제2웨지 요소들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웨지 요소들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는다.
가압 요소들이 원주방향으로 웨지 메카니즘들을 가압할 때, 플라이 휘일의 회전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은 덜하다.
그러므로 마찰요소의 마모량에 따라서 아주 정확하게 탄압 요소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요소가 링 형상일 때, 가압 메카니즘은 웨지 메카니즘들과,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위치에서 판요소상의 가이드 요소들 및 가압요소들로 이루어지는 셋트를 설치함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가압요소들의 셋트들은 원주방향에서 동시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지지요소의 높이변화는 억압되며, 탄압요소의 기울기는 감소된다.
판요소가 복수개로 분할되고 그렇게 설치되었을 때 그것은 원호로 형성되며, 그 구조는 간단하고, 제작비는 경감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과 특징 및 이점들은, 상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는 참조 부호들과 부합되는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제1도에 나타나 있다. 상기한 클러치는 엔진(미도시)의 크랭크 축(1)에 연결된 플라이 휘일(2)로부터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다.
주 구동축(3)은 변속기(미도시)로부터 연장된다. 상기한 클러치 장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엔진은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변속기는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한다. 제1도의 좌측부분은 엔진측에 속하고 우측은 변속기 측에 속한다.
상기한 클러치는 클러치 디스크(6)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1도에는 나타내지 않음)와, 플라이 휘일(2)에 고정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5)와 같은 여러 주요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중심은 변속기로부터 연장하는 주 구동축(3)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해지 메카니즘(7)은 자유로운 축 이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주 구동축(3)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5)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도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5)는 클러치 커버(10)와, 압력판(11)과, 상기한 클러치 커버(10)와 압력판 사이에서 압력판(11)상에 배치되는 지지 메카니즘(12)과, 플라이 휘일(2)을 향하는 압력판(11)을 가압하거나 탄지하는 지지 메카니즘(12)을 경유하여 작용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5)는 마모 보상 메카니즘(14)을 포함한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10)는 일반적으로 접시형 요소이며, 그것의 외측 주변 가장자리는 플라이 휘일(2)에 고정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0a)는 클러치 커버(10)의 외측 주변벽에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형성된다.
원주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복수개의 금속밴드로 이루어지는 스트랩 플레이트들(15)은 각각의 개구(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한 스트랩 플레이트들(15)은 리벳들(16)에 의해 클러치 커버(10)의 일측단에 부착되며, 그들의 타측단은 지지 메카니즘(12)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상기한 스트랩 플레이트들(15)은 압력판(11)이 클러치 커버(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며, 다이어프램(13)에 의해 발휘된 압력이 해지되었을 때 압력판(11)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탄압하여 클러치 디스크(6)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한 스트랩 플레이트(15)의 탄성력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이 클러치 디스크(6)를 향하여 압력판(11)을 가압하지 않을 때 클러치 디스크(6)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하는 압력판(11)을 가압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탄압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탄압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압력판(11)은 일반적으로 링 형상의 요소이며, 그것은 클러치 커버(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한 플라이 휘일(2)을 향하는 압력판(11)의 일측상에서, 가압면(11a)은 플라이 휘일(2)과 그 자신 사이에서 클러치 디스크(6)를 마찰접촉하기 위해 형성된다.
링 형상의 단차부(11b)는 압력판(11)의 외측 주변부에 형성되며, 클러치 커버(10)의 각각의 개구(10a)를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개의 고정부(11c)는 압력판(11)의 외측 주변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지지 메카니즘(12)은 환형의 판과 같은 링 베이스 커버(20)를 포함하며, 시이트 금속재로 만들어지고,지지 플레이트(22)는 다이어프램(13)과 베이스 커버(20) 사이에서 위치한다.
상기한 베이스 커버(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되고, 그것은 압력판(11)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상기한 베이스 커버(20)는 클러치 커버(10)의 개구(10a)를 향하는 원주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0a)를 더욱 갖는다.
마모 보상 메카니즘(14)의 일 부분은 플랜지(20a)와 결합한다. 더욱더, 스트랩 플레이트들(15)의 각각의 일단은 플랜지(20a)에 고정된다.(제3도 참조)
지지 플레이트(22)는 시이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요소이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22)의 중간부에서 방사방향으로 환상의 지지부(22a)는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일부분은 이 지지부(22a)에 지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22)는 접시형 스프링이다.
지지 메카니즘(12)에서, 베이스 커버(20)가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작은 비교적 용이하며,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이 베이스 커버(20)로부터 분리되는 지지 플레이트(22)에 의해 지지되고, 그것은 제2 테이퍼 요소들(32)를 고정하고 결합하기 위한 구멍(20b)을 베이스 커버(20)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고정을 위해 핀과 같은 요소들은 필요하다.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은 클러치 커버(10)의 중심에 설치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외측 주변부 변속기 측은 클러치 커버(10)에 지지되며, 방사 방향으로 중간부에 접하는 로딩 압력부는 지지 플레이트(22)를 경유하여 작용하며 플라이 휘일(2)을 향하는 압력판(11)을 탄압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내측 주변 가장자리가 해지 메카니즘(7)에 의해 변속기측을 향하여 당겨질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로딩 압력부는 지지 플레이트(22)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며, 플라이 휘일(2)에 대하여 압력판(11)을 탄압하는 압력은 해지된다.
제2, 4, 5, 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마모 보상 메카니즘(14)은 압력판(11)의단차부(11b)에 설치되는 가압 메카니즘(25)과, 압력판(11)의 고정부(11c)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한 메카니즘(26)을 포함한다.
상기한 가압 메카니즘(25)은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가압 메카니즘(25)은 환상의 단차부(11b)에 배치된 환상형의 메카니즘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4도와 제5도는 환상의 단차부(11b)의 곡선형상을 따르는 곡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가압 메카니즘은 링 플레이트(27)와, 복수개의 웨지 메카니즘(28)과, 복수개의 스프링 메카니즘(29)을 포함한다.
상기한 링 플레이트(27)는 압력판(11)의 단차부(11c)에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한 링 플레이트(27)는 간격없이 끝과 끝이 이어져 배치된 복수개의 환형판들의 조립이므로,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된다.
상기한 링 플레이트(27)는 단차부(11b)와 접촉하며, 단차부(11b) 내에서 압력판(11)에 대하여 주변에서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복수개의 웨지 메카니즘(28)은 링 플레이트(27)와 판요소(21)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웨지 메카니즘(28)은 제1테이퍼 블럭(31)과 제2테이퍼 블럭(32)을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테이퍼 블럭(31)은 결합 돌출부(31b)를 통하여 링 플레이트(27)와 회전하기 위하여 고정되는데, 이 결합 돌출부는 링 플레이트(27)에 형성된 일치하는 홀을 갖는 제1테이퍼 블록(31)의 일측 가장 자리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한 제2테이퍼 블럭(32)은 결합 돌출부(32b)를 통하여 베이스 커버(20)에 고정되는데, 이 결합 돌출부는 상기한 베이스 커버(20)에 형성된 일치하는 홀을 갖는 제2테이퍼 블럭(32)의 일측 가장자리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한 제1테이퍼 블럭(31)은 링 플레이트(27)를 따라 주변부에 연장되며, 그것은 베이스 커버(20)를 향하여 주변부로 연장되는 제1경사표면(31a)을 갖는다.
상기한 제2테이퍼 블럭(32)은 제1테이퍼 블럭(31)의 각각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R2방향으로 배치된다.(제5, 6도 참조)
제1테이퍼 블럭(31)과 마찬가지로, 제2테이퍼 블록(32)은 링 플레이트(27)를 따라 주변부로 연장된다.
제2테이퍼 블록(32)은 링 플레이트(27)를 향하여 주변부로 연장되는 제2경사표면(32a)을 갖는다.
제1경사표면(31a)과 제2경사표면(32a)은 서로 접촉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으로 연장되는 홈(32c)은 제2테이퍼 블록(32)의 각각의 측단 표면에 형성된다.
원주방향으로, 스프링 메카니즘(29)은 연속하는 1쌍의 웨지 메카니즘(28)들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스프링 메카니즘(29)은 코일 스프링(33)과 가이드 요소(3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기립편(27a)은, 각각의 스프링 메카니즘(29)의 위치와 대응하는 링 플레이트(27)에 형성된다. 홀(27b)은 각각의 기립편(27a)에 형성된다.
가이드 요소(34)는 로드부재(34a)를 갖는데, 축방향에서 상기 로드부재(34a)의 일측단에 한정되는 확장부(34b)는 로드부재(34a)보다 더 넓으며, 확장부(34b)의 일측단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멀어져 연장하는 돌출부(34c)보다 더 넓다.
코일 스프링(33)은 가이드 요소(34)의 로드부재(34a) 주위에 배치되며, 이 코일 스프링(33)의 첫 번째 단은 확장부(34b)와 결합되며, 코일 스프링(33)의 두 번째 단은 기립부(27a)와 대응하여 결합된다.
각각의 가이드 요소(34)가 코일 스프링(33)의 내측으로 놓여지기 때문에, 가이드 요소(34)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스프링 메카니즘(25)과 가압 메카니즘(29)은 컴팩트하며 비교적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제7도에 상세하게 나타낸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요소(34)는 기립편(27a)과 제2테이퍼 블록(32)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 요소(34)의 로드부재(34a)는 기립편(27a)의 홀(27b)로 삽입됨으로서 코일 스프링(33)은 링 플레이트(27)가 R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압한다.
가이드 요소의 확장부(34b) 일단은 제2테이퍼 블록(32)의 홈(32c)으로 삽입됨으로서, 제2테이퍼 블록(32)은 가이드 요소(34)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3)의 일측단은 기립편(27a)과 접촉하며, 그것의 타측단은 확장부(34b)와 접촉한다.
코일 스프링(33)이 기립편(27a)에 의해 지지되므로 링 플레이트(27)로부터 공간을 형성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33)은 압축되며, 그것의 탄성력은 원주방향 R1으로 제2테이퍼 블록(32)을 가압하는 가이드 요소(34)를 통하여 작용한다.
상기한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은 원주방향 R2으로 링 플레이트(27)를 가압하는 기립편(27a)을 통하여 작용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제1테이퍼 블록(31)은 제12테이퍼 블록(32)을 항하여 이동시키려는 힘에 의하여 작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제2테이퍼 블록들(32)은 상호 작용하는 표면(31a)(32a)에 의해 위쪽으로 그들을 계속적으로 가압하는 힘의 영향을 받는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 메카니즘(26)은 압력판(11)의 고정요소들(11c)에 장착된다. 복수개의 홀들(11d)은 고정요소(11c)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한 메카니즘(26)은, 주 요소로서 웨지 칼라(35), 웨지(36) 및 볼트(37)를 갖는다.
상기한 웨지칼라(35)는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웨지칼라(35)는 각각의 홀(11d)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축방향으로 유도된 슬릿(35a)은 웨지칼라(35)에 형성됨으로서 방사방향으로 확장되고 축소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한 웨지칼라(35)는 플라이 휘일(2)로부터 증가하는 간격으로 더 좁게 되는 경사진 내측 주변 표면을 갖는다.
상기한 클러치 디스크(6)가 압력판(11)과 플라이 휘일(2) 사이에 잡혀있는 그러한 상태에서, 웨지칼라(35)의 일측단은 플라이 휘일(2)의 외측표면에 접촉한다.
상기한 웨지(36)는 웨지칼라(35)의 내측 주변 표면에 대하여 적합한 경사진 외측 주변 표면을 갖으며, 그것의 내측에는 볼트(37)가 나사결합되어 유지되는 나사홀이 있다.
상기한 볼트(37)는 베이스 커버(20)의 플랜지(20a)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그것의 헤드는 플랜지(20a) 측의 클러치 커버(10)에 결합된다.
상기한 플랜지(20a)가 볼트의 헤드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그것은 지지 메카니즘(12)의 축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외한다.
상기한 클러치 커버(10)는 볼트들(37)의 헤드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홀을 갖는다.
이하에 작용을 설명된다.
클러치 결합(engagement)시에,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은 지지 메카니즘(12)을 통하여 플라이 휘일(2) 측으로 압력판(11)을 가압함으로서 클러치 디스크(6)는 플라이 휘일(2)과 압력판(11) 사이에 잡혀진다.
그러므로 플라이 휘일(2)로부터의 회전력은 클러치 디스크(6)를 통하여 변속기 측으로 전달된다.
해지 제어작용에 응하여 지지 메카니즘(12)과 다이어프램 스프링(13) 사이의 접촉이 끝날 때, 스트랩 플레이트들(15)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3) 측을 향하여 그것을 위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작용하는 힘을 베이스 커버(20)에 발휘한다.
베이스 커버(20)의 플랜지(20a)를 통하여 볼트들(37)의 헤드에 작용하고, 그리고 더욱 그것은 웨지(36)를 통하여 웨지칼라(35)에 작용한다.
웨지들(36)과 웨지칼라들(35)이 경사져 접촉하므로서, 웨지들(36)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을 향하여 당겨지고, 웨지칼라들(3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데, 그러한 상태는 웨지칼라들(35)이 압력판(11)과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압력판(11)은 클러치 디스크(6)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며, 클러치 결합(engagement)이 완료된다.
상기한 클러치 디스크(6)가 마모되었을 때, 지지 메카니즘(12)과 압력판(11)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플라이 휘일(2)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때, 제한 메카니즘(26)들의 웨지칼라들(35)은 플라이 휘일(2)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는 일측단을 가지며, 웨지칼라들(35), 웨지(36) 및 볼트들(37)은 플라이 휘일(2)과 관련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마모에 해당하는 갭이 베이스 커버(20)의 플랜지(20a)와 볼트들의 헤드들 사이에 생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 제어작동이 수행되면, 코일 스프링(33)의 가압력은 그들이 제2 테이퍼 블록(32)을 위쪽으로 미는 방향으로 제1 테이퍼 블록(3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인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다이어프램 스프링(33)과 베이스 커버(20)의 접촉은 더 이상 오래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테이퍼 블록(32), 베이스 커버(20) 및 지지 플레이트(22)는 다이어프램 스프링(13) 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은 베이스 커버(20)의 플랜지(20a)가 볼트들(37)의 헤드들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베이스 커버(20)의 이동은 중단되며,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한 요소들(26)의 작용은 볼트들(37)이 압력판(11)에 상대적인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홈들(32c)은 제2 테이퍼 블록(32)이 가이드 요소(3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제2 테이퍼 블록(32)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 요소들(34)은 제2 테이퍼 블록(32)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코일 스프링(33)의 자세는 그렇게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작동의 결과로서, 베이스 커버(20)를 포함하는 지지 메카니즘(12)은 클러치 디스크(6)의 마모량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후 멈춘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이스 커버(20)의 플랜지(20a)는 제한 메카니즘(26)의 볼트들(37)의 헤드와 접촉하며, 축방향에서 지지 메카니즘(12)(지지 플레이트)(22)의 높이는 초기 높이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클러치 디스크(6)가 마모된다고 할지라도, 그때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탄압자세에는 변화가 없고 그것이 셋트되면 그 셋트하중은 초기하중으로 유지된다.
위의 마모 보상작동에서, 링 플레이트(27)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요소들은 그들 사이에 어떠한 갭도 없이 전체 주변부 주위에 배치되며, 그들은 코일 스프링(33)의 가압력에 의해 주변부에서 동시에 이동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 테이퍼 블록들(32)은 링 플레이트(27)의 곡선 이동에 응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을 향하여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베이스 커버(20)와 지지 플레이트(22)는 기울어짐이 없이 동일한 높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 스프링(13)에서 레버부 높이의 변화는 억제되며, 클러치 결합(engagement)과 떨어짐(disengagement)의 불안정이 감소된다.
더욱더, 링 플레이트(27)가 복수개의 원호상 요소들 속에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는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웨지 메카니즘들이 베이스 커버(20)의 이동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은, 설계요구가 지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이나 원주방향으로 비껴나가므로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테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클러치 메카니즘은 당김형 클러치이다.
여기에 언급된 베이스 커버(20)를 갖는 웨지 메카니즘들은 당김형 클러치 메카니즘에 적용된다.
더욱더, 독립된 제1 테이퍼 블록(31)과 제2 테이퍼 블록(32)이 사용되기 때문에, 베이스 커버(20)상에 경사 표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그 구조는 웨지 메카니즘들이 원주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플라이 휘일(2)의 회전속도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역효과는 덜할 것이다.
실제로, 제1 테이퍼 블록(31)과 제2 테이퍼 블록(32)은 외측 주변을 향하여 밀려지므로서 정확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베이스 커버(20)의 이동거리는 클러치 디스크(6)의 마모량에 상응하여 보다 정확하며, 다이어프램 스프링(13)의 자세는 정확하게 유지된다.
작용상에서 가압 메카니즘(25)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a) 코일 스프링(33)이 링 플레이트(27)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압력판(11)으로부터 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게 된다.
그러므로 열 방향에 의해 야기되는 클러치 단속(결합 및 떨어짐)의 반응 특징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제2 테이퍼 블록(32)과 가이드 요소들(34)이 상대적인 축 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제2 테이퍼 블록(32)을 따라서 끌려가는데 따른 가이드 요소들(34)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 스프링들(33)의 자세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음은 가압 메카니즘(25)의 조립 작업이 설명된다.
첫째로, 제1 테이퍼 블록(31)이 고정되는 링 플레이트(27)의 각각의 부분은 압력판(11)의 단차부(11b)에 설치된다.
다음에, 제2 테이퍼 블록(32)이 고정되는 베이스 커버(20)는 링 플레이트(27) 상에 셋트된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제2 테이퍼 블록들(32)의 제2 경사표면(32a)은 각각의 제1 테이퍼 블록(31)의 제1 경사표면(31a)에 접촉된다.
제한 메카니즘(26)이 제자리에 셋트되면, 그것은 베이스 커버(2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스프링 메카니즘들(29)을 가이드 요소(34)에 각각의 코일 스프링(33)을 조립할 준비를 한다.
제8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메카니즘(29)은 축방향 내측으로부터 웨지 메카니즘(28)과 링 플레이트(27)에 함께 조립된다.
조작자 기술자는 스프링 메카니즘(29)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의 손(H)으로 가이드 요소(34)를 잡는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메카니즘(29)은 구부러져 위치되며, 가이드 요소(34)의 로드부재(34a)는 기립편(27a)의 홀(27b)로 삽입된다.
상기한 가이드 요소(34)는 제8도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밀려짐으로서 코일 스프링(33)을 압축한다.
가이드 요소(34)의 확장부(34c)는 제2 테이퍼 블록(32)의 홈(32c)내로 삽입된다.
상기한 스프링 메카니즘(29)의 조립 작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a) 가이드 요소(34)가 링 플레이트(27) 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작업 효율은 크게 향상된다.
특히, 코일 스프링들(33)의 압축과 가이드 요소들(34)의 결합은 간단하지만 확실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조립에 있어서 조립 효율의 개선은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b) 가이드 요소들(34)이 링 플레이트(27)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스프링 메카니즘(29)들은 베이스 커버(20)와 가이드 요소들(34)의 조립 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베이스 커버(20)의 이동은 스프링 메카니즘(29)의 조립에 앞서 제한 메카니즘(26)에 의해 방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립 시에 베이스 커버(20)의 높이는 지그를 사용하지 낳고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 상기한 가이드 요소들(34)은 보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기부(34c)를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비록 위에서 언급된 당김식 클러치 장치에 적용된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미는 방식의 클러치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조립에 있어서, 가압 요소들은 가압 메카니즘에 정확한 자세로 조립될 수 있다.
그것은 가이드 요소들이 플레이트 요소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압 메카니즘의 조립 작업은 보다 용이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된다.
게다가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므로, 지지 부재가 제한 메카니즘들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제한되는 그러한 상태에서 가압 요소들과 가이드 메카니즘들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의 높이는 조립시에 용이하게 불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가압 요소들이 코일 스프링들일 때, 상기한 가이드 요소들은 코일 스프링들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가이드 요소들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고, 가압 메카니즘은 컴팩트하게 된다.
판요소가 압력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세워지는 결합부를 보유하고 있을 때, 가이드 요소들은 결합부를 결합하는 일측단을 갖으며, 가압 요소들은 압력판으로부터 이동하는 위치에 안내된다.
따라서 압력판의 열로부터 야기되는 역효과를 쉽게 받지 않는다.
상기한 가이드 요소들이, 탄성요소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을 때, 조작자나 기술자는 가압 메카니즘에서 요소들을 가압하고 가이드 요소들을 조립하고 이들 돌출부를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조립 작업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은 단축된다.
상기한 가압 메카니즘들이 웨지 메카니즘들을 더욱 포함할 때, 지지 요소는, 웨지 요소들 상에서 가압력을 발휘하는 가압 요소들의 결과로서 압력판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웨지 메카니즘들이 제1 웨지 요소와 제2 웨지 요소를 포함할 때, 가압 요소들은 제1 웨지 요소들에 대하여 제2 웨지 요소를 가압한다.
따라서 복수의 요소들이 이용되므로 지지부재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가이드 요소들의 각각의 타측단들이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제2 웨지 요소와 결합될 때, 가이드 요소들과 가압 요소들의 자세는, 제2 웨지 요소들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웨지 요소들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가압 요소들이 원주방향에서 웨지 메카니즘들을 가압할 때, 플라이 휘일의 회전속도에 의해 일어나는 영향은 덜 받는다.
그러므로 마찰요소의 마모량에 관련하여 아주 정확하게 탄압요소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요소가 링 형상일 때, 가압 메카니즘은 웨지 요소를 이루는 셋트들을 설치함에 의해 구성되며, 원주방향에서 복수개의 위치에 판요소 상에 놓여지는 가압 요소들과 가이드 요소들, 그리고 가압 메카니즘들의 셋트들은 원주 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의 높이 변화는 제한되며, 탄압요소의 기울어짐은 감소된다.
판요소가 복수개의 부품으로 나뉘어져 설치되었을 때 그것은 아치형을 이루며, 이 구조는 간단하게 되고, 제작 비용은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앞선 설명들은 단지 예시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것이며, 부가된 청구범위와 그와 동등한 것들에 의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플라이 휘일에 결합된 클러치 커버와; 압력판으로서, 상기 압력판과 플라이 휘일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디스크와 맞물림 되기 위한 첫 번째 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마찰면을 갖고 상기한 클러치 커버 내측에 배치된 압력판과; 상기한 압력판에 관련되는 축 변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기 위한 상기한 압력판에 연결된 지지요소와; 상기한 지지요소를 통하여 플라이 휘일을 향하는 상기한 압력판에 탄성력을 주는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판요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 요소들을 유지하며 상기한 판요소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요소들과, 상기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는 상기한 지지요소를 탄압하기 위하여 상기한 판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요소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한 지지 요소와 압력판 사이에 배치된 가압 메카니즘과; 그리고 상기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에 따라서 상기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상기한 압력판에대하여 지지요소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제한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요소들은 코일 스프링들로서, 이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가이드 요소들의 일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판요소는 압력판에 결합되며, 이 압력판으로부터 떨어져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요소들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일측단을 갖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요소들은 상기 가압 요소들이 연장하는 방향과 상응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요소들은 방사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가압 메카니즘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하여 상기 지지 요소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갖는 복수개의 웨지 메카니즘들을 더욱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 메카니즘은, 함께 회전운동을 하기 위하여 상기 판요소에 고정되며 제1 경사표면을 갖는 제1웨지 요소와; 상기지지 요소에 고정되며 제2 경사표면이 형성된 제2 웨지요소와; 상기 제1 웨지요소와 상기 제2 웨지요소를 가압함으로서 상기 제2 웨지요소가 상기 압력판으로부터 떨어져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한 가압요소들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요소들 각각의 일단은 상대적인 축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2 웨지요소의 일단과 결합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가압 요소들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웨지 메카니즘을 가압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판요소는 링형상으로서, 상기 가압 메카니즘은, 원주 방향의 판요소 상에 가이드 요소와 가압 요소와 복수개의 웨지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판요소는 복수개의 환형 조각들로 분할되는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KR1019950013863A 1994-05-31 1995-05-30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KR100197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18822 1994-05-31
JP11882294A JP3227306B2 (ja) 1994-05-31 1994-05-31 クラッチ押圧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155A KR950033155A (ko) 1995-12-22
KR100197285B1 true KR100197285B1 (ko) 1999-06-15

Family

ID=1474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863A KR100197285B1 (ko) 1994-05-31 1995-05-30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68852A (ko)
JP (1) JP3227306B2 (ko)
KR (1) KR100197285B1 (ko)
DE (1) DE19519863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82B1 (ko) * 2010-08-31 2012-11-1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마모보상 클러치커버 조립체
KR101588809B1 (ko) 2014-10-28 2016-01-26 (주)케이엔씨 디바이스 테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0905A1 (de) * 1994-03-29 1995-10-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FR2735823B1 (fr) * 1995-06-22 1997-09-05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5904233A (en) * 1996-03-14 1999-05-18 Exedy Corporatio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with diaphragm spring attitude control
JP3016189B2 (ja) * 1996-04-18 2000-03-06 マンネスマン ザッ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隙間検知器の摺動防止手段を有するプレッシャプレート構造群
US5791448A (en) * 1996-10-04 1998-08-11 Eaton Corporation Segmented cam rings for automatic self adjusting clutch
DE19755713B4 (de) * 1996-12-13 2008-05-08 Exedy Corp., Neyagawa Vorrichtung zur Verschleißkompensation für einen Kupplungsmechanismus
DE19881886B4 (de) * 1997-12-09 2014-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DE19756726C2 (de) * 1997-12-19 2003-10-23 Zf Sachs Ag Kupplungsanordnung
JP3717690B2 (ja) 1998-12-18 2005-11-1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DE10312078A1 (de) * 2003-03-19 2004-10-14 Rle International Produktentwicklungsgesellschaft Mbh Reibungskupplung
JP5431530B2 (ja) * 2012-06-07 2014-03-0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ツインクラッチ装置
DE102014226563A1 (de) * 2014-12-19 2016-06-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eckellose Kupplung mit Hohlbolzen und Zentrierhilfen
DE102016213178A1 (de) * 2016-07-19 2018-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275287A (en) * 1986-11-12 1988-06-01 Automotive Products Plc Automatic adjusting device
JPS63270925A (ja) * 1987-04-27 1988-11-08 Daikin Mfg Co Ltd クラツチカバ−アツセンブリ
GB2242945B (en) * 1990-04-11 1994-02-02 Honda Motor Co Ltd Multiple-disk clutch apparatus
RU2238451C2 (ru) * 1992-03-10 2004-10-20 Лук Ламеллен унд Купплюнгсбау ГмбХ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и устройство сцепления
DE4306505B4 (de) * 1992-03-10 2004-01-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JP2656200B2 (ja) * 1992-07-06 1997-09-2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DE4239292A1 (de) * 1992-11-23 1994-05-26 Zirox Sensoren & Elektronik Gm Prüfbare Sauerstoff-Meßsonde für den Einsatz bei normalen bis zu sehr hohen Temperatur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82B1 (ko) * 2010-08-31 2012-11-1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마모보상 클러치커버 조립체
KR101588809B1 (ko) 2014-10-28 2016-01-26 (주)케이엔씨 디바이스 테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68852A (en) 1996-10-29
JP3227306B2 (ja) 2001-11-12
JPH07317802A (ja) 1995-12-08
DE19519863C2 (de) 2001-01-25
KR950033155A (ko) 1995-12-22
DE19519863A1 (de) 199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285B1 (ko) 클러치 디스크 마모 보상수단을 갖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US5988338A (en) Automatically adjustable friction clutch
KR0146977B1 (ko) 마모 보상장치를 갖춘 클러치 커버 조립체
US5513736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wear compensation device
US5431268A (en) Clutch cover assembly
GB2284025A (en) Friction clutch with wear compensation
US5706924A (en) Clutch including a wear take-up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4844226A (en) Clutch cover assembly
US4684002A (en) Device for adjusting a clearance of a twin clutch
US5971126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with diaphragm spring attitude control
US4742901A (en) Device for adjusting a clearance of a twin clutch
US5695036A (en) Stopless self adjusting diaphragm clutch
US6029787A (en) Self-adjusting friction clutch
US6354419B1 (en) Clutch mechanism with wear take-up device comprising balancing means
US6394251B1 (en) Friction clutch with wear take-up device for friction lining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KR102548139B1 (ko) 마찰 클러치 장치
US6024199A (en) Clutch cover assembly
US5265709A (en) Pull-type clutch cover assembly
US5168974A (en) Clutch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6460675B1 (en)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960926A (en) Friction clutch with wear compensation
US20030062236A1 (en) Friction clutch, especially a multi-disk clutch
US5911294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tab members formed on the clutch cover to support a diaphragm spring
KR102245181B1 (ko) 자기조심형 클러치 조립체
US6655518B2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pressure plate assembly, pressure plat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