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605B1 - 전기커넥터 및 전기커넥터용 접촉자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및 전기커넥터용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05B1
KR100196605B1 KR1019910001427A KR910001427A KR100196605B1 KR 100196605 B1 KR100196605 B1 KR 100196605B1 KR 1019910001427 A KR1019910001427 A KR 1019910001427A KR 910001427 A KR910001427 A KR 910001427A KR 100196605 B1 KR100196605 B1 KR 10019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insulating housing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151A (ko
Inventor
쥰이찌 다니가와
쇼지 기꾸찌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2000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7Contact having three contact surfaces, including diverse surfa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회로기판에 부착된 판형 케이블 등의 절연 와이어의 상호 접속시 가장 적합한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콘텍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과 콘택트를 구비한다. 상기 절연 하우징은 한면이 실질적으로 판형상 부재에 얹어지고, 상기 한면과 거의 평행한 적어도 한단부에서 개구되는 콘택트 수용공동을 구비한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공동내에 삽입된 접촉부 및 이 접촉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 및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전기 커넥터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절연 하우징 12, 22, 32, 42 : 콘택트 수용 공동
14, 24, 24, 44, 50 : 접촉자 14a, 24b, 34b, 44b, 55, 56, 58, 59 : 접속부
14c, 24c, 34c, 44c, 54, 57 : 지지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회로기판에 부착된 판형 케이블(flat cable) 등의 절연 와이어와의 상호 접속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과 그 문제점]
각종 전자기기, 전자 용융기에는 각종 형상, 치수의 전기 커넥터가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전기 커넥터의 일반적인 응용은 회로기판위에 형성된 전자 회로를 다른 전자부품, 전자기기 등과 서로 접속하는 판형 케이블 등의 절연 와이어와 접속하는 경우이다.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 및 1개 이상의 접촉자(contact)로 구성이 된다. 이같은 전기 커넥터의 접촉자 수는 전자기기의 복잡화, 고성능에 따라 점점 증가함과 동시에 소형화의 요청에 의해 고밀도화 되고 있다. 또한, 이같은 접촉자와 회로기판의 접속에는 회로기판의 개구(관통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가지(관통 접속)형과 회로기판 표면의 접촉패드에 납땜 접속 등에 의해 접속되는 표면 장착형(SMT)이 있다. 또한, 장착밀도를 높이기 위해 가지 또는 접속 단자를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종의 변형으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접촉자를 각각 별도로 준비하는 것은 이것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 또는 프레스용 금형 등을 필요로 할뿐 아니라, 제조된 각종 접촉자의 보관 관리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있으며,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다. 특히 이같은 결점은 제조되는 전기커넥터의 종류가 많으면 많을수록, 또는 제조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개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제조원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전기 커넥터의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량 또한 소량 생산의 전기 커넥터에 가장 접합한 전기 커넥터 및 이를 위한 접촉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거의
Figure kpo00002
자 형의 또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판형상 접촉편을 가진 접촉자 하측부의 전후 양단부에 각각 접촉편에 대해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속부(리이드부)와, 상기 각 접속부에서 상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를 가진 접촉자를 사용한다. 상기 접촉자 한쌍의 접속부의 어느 한편을 절단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절연 하우징에 삽입 지지시키므로써 각종 용도에 적합한 각종 형식의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는 접촉자와 접속부의 결합부 근처에 형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접촉자를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을 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각종 변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명 등의 개구에 삽입 접속되는 가지(창)형 단자를 가진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회로기판 표면의 전도성 패드에 납땜 접합 등에 의해 접속되는 표면 장착형(SMT)의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10)는 단면이 거의 정방형 형상의 절연 하우징(11)을 갖는다. 이 절연 하우징(11)은 그 바닥면(11a)이 회로기판 등의 부착판 형상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얹어 놓여지고 앞면에서 뒷면으로 향해서 바닥면(11a)으로 거의 평행하는 대형 제1공동(12)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하방에 소형 제2공동(13)을 구비한다. 이같은 제1 및 제2공동(12, 13)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및 제2공동(12, 13)에는 앞면에서 접촉자(14)가 삽입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콘택트(14)는 상하 접촉편으로 구성된 포크형상 또는자 형상접촉부(14a)와, 하측 접촉편의 전단에서 절연 하우징(11)의 바닥면(11a)을 통과해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판형상 부재와의 접속부(14b) 및 접속부(14b)의 기부근처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브(역돌기) 부착 지지부(14c)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명백히 드러나듯이, 접촉자(14)의 접촉부(14a) 및 지지부(14c)는 각각 절연 하우징(11)의 제1공동(12) 및 제2공동(13)내로 압입되므로, 각 접촉자(14)는 절연 하우징(11)내에서 확실하게 지지된다.
각 접촉자(14)는 양호한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펀치 가공되었다. 접촉부(14a)는 양접촉편 간격이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경사시킴과 동시에 전단 안쪽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다소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접촉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자(14)의 접촉부(14a)와 위치를 맞추어 리본(판형) 케이블 등의 도체 단부 또는 다른 커넥터의 접촉핀이 삽입된 개구(15)가 절연 하우징(11)에 형성된다. 이 개구(15)의 전단에는 테이퍼 형상의 도입면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도의 전기 커넥터(20)는 제1도의 전기 커넥터(10)와 유사하고, 동일한 제1 및 제2공동(22, 23)을 갖는 절연 하우징(21) 및 접촉자(24)를 구비하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선, 제1 및 제2공동(22, 23)은 절연 하우징(21)의 뒷면에 개구되어 있다. 접촉자(24)는 접촉자(14)와 같은 모양의 접촉부(24a)를 구비하나, 접속부(24b) 및 지지부(24c)는 포크형상 접촉부(24a)의 공통접합부 우 하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자(24)는 절연 하우징(21)의 제1 및 제2공동(22, 23)에 각각 접촉부(24a) 및 지지부(24b)가 후면으로부터 압입 지지된다. 이같은 접촉자(24)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는 것, 도체 또는 접촉핀이 절연 하우징(21)의 앞면에서 공동(25)으로 삽입된 접촉부(24a)와 접속될 수 있는 것은 제1도의 전기 커넥터(10)와 동일하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전기 커넥터(10, 20)를 조합시켜 절연 하우징에 각 공동의 개구를 교대로 앞면 및 뒷면쪽에 형성하고, 또한 접촉자(14, 24)를 교대로 전방 및 후방에서 압입하여 스태거 형상(지그재그) 구조로써 고밀도의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접촉자, 특히 접속부를 제1도 및 제2도 내에서 점선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절연 하우징이 전방 및 후방으로 판형상 부재에 부착되므로, 고밀도화 뿐만 아니라 설치 강도도 개선된다. 물론, 접촉부는 동일면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표면 장착형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30, 40)를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의 전기 커넥터(30, 40)의 차이는 전자의 접촉자(34)는 절연 하우징(31)의 앞면에서 압입 지지되고, 후자의 접촉자(44)는 후면에서 압입 지지된다. 양 접촉자(34, 44) 모두 동일한 접촉부(34a, 44a) 및 지지부(34c, 44c)를 구비하나, 접속부(34b, 44b)는 회로기판 등의 판형상 부재 표면의 도전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접촉 접속된 표면 장착형이다. 표면 장착형 단자(34b, 44b)는 판형상의 각 접촉자의 단면이라도 좋으나, 일부분을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 가공하여 전도성 패드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서 접속 또한 지지 강도를 개선해도 좋다.
제3도 및 제4도의 SMT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도, 같은 콘택트 만을 복수개로 병렬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도 좋으나, 교대로 제3도 및 제4도의 접촉자를 절연 하우징내에 앞면 및 뒷면 개구로부터 압입 지지하여 단자를 전방 및 후방으로 스태거 형상으로 인출하여 구성하는 것도 좋다(도면내에서 다른 접속부를 점선으로 표시한다). 이같은 스태거 배열은 고밀도형 전기 커낵터에 특히 적합하다.
상술한 제1도 내지 제4도의 전기 커넥터(10, 20, 30, 40)용의 접촉자(14, 24, 34, 44)를 각각 별도로 제조하는 것은 상술한 대로 매우 비경제적이다. 여기에, 이같은 각종 전기 커넥터의 접촉자에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접촉자이므로 제5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상기 접촉자(50)는 상하 한쌍의 접촉편(51a, 51b)에 의해 포크형상 접촉부(52)를 형성한다. 또한 , 하측 접촉편(51b)의 양 단부는 접촉부(52)와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 지지부(53a, 53b)를 구비한다. 접속 지지부(53a)는 바브를 갖는 지지부(54) 및 가지형 접속부(55)와 SMT형 접속부(59)를 구비한다.
제5도의 접촉자(50)를 사용하여 제1도 내지 제4도의 전기 커넥터(10, 20, 30, 40)의 접촉자(14, 24, 34, 44)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이 도시하는 소정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접촉자(50)의 일부분을 절단한다. 우선, 제1도의 콘택트를 얻으려면 점선(61 및 65)으로 접촉자(50)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우측의 접속 지지부(53a)가 절단됨과 동시에 좌측의 SMT형 접속부(59)가 절단된다. 그 결과, 기판 관통형 가지를 갖는 전면 압입형의 접촉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점선(65)에 대신하여 점선(66)으로 가지형 접속부(58)를 절단하면, 제3도에 도시하는 앞면 압입형의 SMT 대응 전기 커넥터(30)용 접촉자(34)가 얻어진다.
다음에, 점선(62, 63)으로 절단하면, 제2도의 전기 커넥터(20)용 가지형 접촉자(24)가 형성되고, 점선(63)에 대신하여 점선(64)으로 절단하면 제4도의 전기 커넥터(40)에 사용되는 SMT 대응의 접촉자(44)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포트 형상 접촉부(62)를 갖는 공통 접촉자(50)를 사용하고 필요한 지지부 및 접속부를 보유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지지부 및 접속부를 절단하여 전기 커넥터에 조립할 수가 있다. 이같은 접촉자(50)는 예를들면 가지형 접속부(55, 58)의 선단에서 캐리어(담지) 스트립에 결합되어 다수의 접촉자를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공급 또는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절연 아우징과 회로기판 등의 판형상 부재는 접속부 자체에 의해 고정되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과 일체 또는 별도로 부착지지 다리를 사용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설명에서 이해되듯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부착판 형상 부재면에 거의 평행한 포크 형상 접촉부를 갖고 절연 하우징의 앞면 또는 후면에서 삽입되는 거의 판형상의 접촉자를 사용한다. 상기 접촉자는 접속부의 기초 근처에서 접촉자의 삽입과 동시에 절연 하우징 내의 보존용 공동에 삽입된 바브 부착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절연 하우징내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또한 충분히 낮은 높이의 구조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로기판 등의 판형상 부재에는 가지형 또는 SMT형 접속부가 선택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의 앞면 및 뒷면의 개구에서 교대로 접촉자를 삽입 지지하므로서, 고밀도 장착 또는 충분한 강도로 전기 커넥터를 판형상 부재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각 접촉자는 절연 하우징의 앞면 및 뒷면에서 안쪽으로 위치하고 서로 격벽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다른 도체부에 접촉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용 콘택트에 의하면 공통의 가로형 접촉부를 가짐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사용되는 한쌍의 접속 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접속부는 가지형 및 SMT형 접속부의 쌍방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종 변형의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가 공통화되므로, 제조원가의 감소 뿐만 아니라 관리비도 대폭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Claims (2)

  1. 한면이 실질적으로 판형상 부재에 얹어지고, 상기 한면과 평행한 적어도 앞단부에 개구되는 접촉자 수용 공동을 갖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공동내에 삽입된 접촉부 및 이 접촉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 및 지지부를 갖는 접촉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포크 형상의 2개의 판형 접촉편을 갖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접촉자의 접촉편 한쪽의 양단에서 각각 당해 접촉편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와, 상기 양 접속부에서 상기 접속편과 평행하고 서로 상대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접속편의 어느 한편을 기부에서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KR1019910001427A 1990-02-01 1991-01-29 전기커넥터 및 전기커넥터용 접촉자 KR100196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486A JP2767478B2 (ja) 1990-02-01 1990-02-01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20486 1990-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151A KR920000151A (ko) 1992-01-10
KR100196605B1 true KR100196605B1 (ko) 1999-06-15

Family

ID=1202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427A KR100196605B1 (ko) 1990-02-01 1991-01-29 전기커넥터 및 전기커넥터용 접촉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78611A (ko)
EP (1) EP0440016A1 (ko)
JP (1) JP2767478B2 (ko)
KR (1) KR100196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534A (en) * 1992-03-19 1993-02-23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clip engaging contacts
JPH0629015U (ja) * 1992-09-16 1994-04-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ターミナル
US5263882A (en) * 1992-11-02 1993-11-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JP2575272Y2 (ja) * 1993-01-27 1998-06-25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583670Y2 (ja) * 1993-09-20 1998-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サーフェイスマウントコネクタ
US5478248A (en) * 1993-12-17 1995-12-2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US5471887A (en) * 1994-02-01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Removable sensor assembly
US6319064B1 (en) 1999-06-22 2001-11-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odular jack with filter insert and contact therefor
US6409523B1 (en) * 2001-06-27 2002-06-25 Jess-Link Products Co., Ltd. Terminal legs of connectors
JP3753687B2 (ja) * 2002-09-30 2006-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108520B1 (en) 2005-05-06 2006-09-19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17268A1 (en) * 2005-11-23 2007-05-24 Baker Hughes, Inc. Ball grid attachment
US7563112B2 (en) * 2006-12-13 2009-07-21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O2015024715A1 (de) * 2013-08-23 2015-02-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printklemme
WO2015034439A1 (en) * 2013-09-05 2015-03-12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Header connector
JP5766848B1 (ja) 2014-05-20 2015-08-1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BE1025656B1 (de) * 2017-10-20 2019-05-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ötkontakt und Kontakt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moduls
DE102017124549B3 (de) * 2017-10-20 2019-02-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ötkontakt und Kontakt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moduls
US10153573B1 (en) * 2017-11-08 2018-12-11 Xiamen Ghgm Industrial Trade Co., Ltd. Multi-purpose female metal terminal and female termin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260B (ko) * 1963-08-16 1900-01-01
NL137271B (ko) * 1968-08-22 1900-01-01
GB8320987D0 (en) * 1983-08-04 1983-09-07 Amp Holland Electrical connector
JPS6383027A (ja) * 1986-09-25 1988-04-13 Tosoh Corp ス−パ−オキシドジスムタ−ゼの分離法
JPS63102177A (ja) * 1986-10-18 1988-05-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分割型コネクタ
JPH0346469Y2 (ko) * 1987-02-26 1991-10-01
FR2615045B1 (fr) * 1987-05-06 1992-09-11 Hager Electro Dispositif de connexion rapide de circuits imprimes pour boitiers modulaires
US4917614A (en) * 1987-05-12 1990-04-1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surface mounting onto circuit boards
JPH0256882A (ja) * 1988-08-23 1990-02-26 Yazaki Corp コンセントおよびその成形方法
US4992056A (en) * 1989-02-27 1991-02-12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67478B2 (ja) 1998-06-18
KR920000151A (ko) 1992-01-10
JPH03226976A (ja) 1991-10-07
US5078611A (en) 1992-01-07
EP0440016A1 (en)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05B1 (ko) 전기커넥터 및 전기커넥터용 접촉자
US7430801B2 (en) Connector assembly
KR900006370Y1 (ko) 재크
US4322120A (en) Plug-in connector with improved spring contact
US4621880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s, connectors and assemblies
US7553169B2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fuse housings and electric junction box for vehicle
US4655522A (en) Electrical terminal receptacle
KR20010078106A (ko) Pcb용 종단 어댑터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KR100248969B1 (ko) 전기 커넥터
US6558171B2 (en) Printed board connector, contact thereof and mating instrument
US4494818A (en) Mounting member for electrical contacts
JP3232241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S608379Y2 (ja) 圧入型接触子
JP2003272736A (ja) 電気コネクタ
US62802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rows of terminals
US3264596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GB2139122A (en) A method of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pins
CN112470555B (zh) 电子控制装置
JP3515833B2 (ja) 配線基板
KR970013520A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
US4039241A (en) Multiple contact connectors
JP3912877B2 (ja) 電気コネクタ
JPH081585Y2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H10189182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